KR102148235B1 -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35B1
KR102148235B1 KR1020200018744A KR20200018744A KR102148235B1 KR 102148235 B1 KR102148235 B1 KR 102148235B1 KR 1020200018744 A KR1020200018744 A KR 1020200018744A KR 20200018744 A KR20200018744 A KR 20200018744A KR 102148235 B1 KR102148235 B1 KR 102148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reinforcement
band
restraining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박경언
Original Assignee
김용주
박경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주, 박경언 filed Critical 김용주
Priority to KR102020001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35B1/ko
Priority to PCT/KR2021/000162 priority patent/WO2021167244A1/ko
Priority to US17/797,105 priority patent/US2023022067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1Protective caps for the ends of reinforcing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는 띠 철근의 외측면과 상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과 결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과 결합 시 상하 및 외측 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Band steel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주근에 설치되는 띠 철근의 풀림을 방지하는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구조물인 기둥, 보, 전단벽, 교대 등의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는 주근 둘레의 횡 방향으로 띠 철근을 설치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의 주근을 고정하고, 주근의 좌굴을 방지하며, 연직 하중에 의한 주근의 횡방향 변형을 억제하고, 주근이 소성 거동하게 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가 순간적으로 파괴되는 취성파괴를 방지하며 특히, 기둥 주근의 스터럽의 경우 지진발생을 대비하기 위해 스터럽 철근 직경의 6배 또는 75mm 이상 정착하면서 135도로 구부러져 정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보, 전단벽에서 마주보는 주근을 연결하는 내부 띠 철근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서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의 일 실시 예인 철근콘크리트 기둥(1)은 주근(2)을 가로, 세로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사각형상으로 설치하며, 주근(2)의 축방향을 따라 주근 외측 둘레에 횡 방향으로 외부 띠 철근(3)을 설치하고, 외부 띠 철근(3) 내부에는 마주보는 주근(2)을 결속하는 내부 띠 철근(4)이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보, 전단벽에서 외부 띠 철근(스터럽)과 내부 띠 철근(연결철근)이 주근을 결속하고 있으므로 기둥 주근의 좌굴을 억제하면서 지진 발생 시 지진에 대해 저항하고(내진설계), 내,외부 띠 철근에 의해기둥 내부의 콘크리트가 구속되어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 철근은 양단부가 90도 또는 135도로 절곡되어 기둥 주근을 구속하는 형태이며, 상기 띠 철근의 양단부에서 90도 또는 135도로 절곡 된 절곡부가 최대 내력 이후에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 보, 전단벽의 휨모멘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근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띠 철근을 135도로 절곡해야 하나 신속한 시공을 위해 띠 철근을 충분히 절곡하지 못한 상태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30335(2018. 02. 12.)
본 발명의 목적은 주근에 설치된 스터럽 및 띠 철근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띠 철근에 설치된 후 띠 철근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띠 철근 풀림방지 장치는 띠 철근의 외측면과 상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과 결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과 결합 시 상하 및 외측 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띠 철근의 외측면과 맞대어지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양단에서 상기 띠 철근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띠 철근의 상부 및 하부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2 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몸체부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연장부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2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이탈방지클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2 몸체부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띠 철근 사이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속홈과, 상기 제2 몸체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구속홈에 안착하고 상기 제2 몸체부를 옭아매는 구속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속끈은 철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속끈과 올가미형상으로 결합하여 상기 구속홈에 안착하고 상기 제2 몸체부를 옭아매는 구속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는 슬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에 의하면, 주근에 설치된 띠 철근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띠 철근에 설치된 후 띠 철근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 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는 띠 철근(30)에 설치될 수 있다. 띠 철근(30)은 주근(20)에 설치되어 주근(20)의 좌굴을 지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는 몸체부(100), 연장부(200), 이탈방지부(300) 및 구속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띠 철근(30)의 외측면과 맞대어지는 제1 몸체부(110)와 제1 몸체부(110)의 양단에서 띠 철근(30)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는 제2 몸체부(120)로 구비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띠 철근(30)을 제1 몸체부(110)에 더 밀어넣기 위해 제1 몸체부(110)의 양단에서 연장될 때 내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띠 철근(30)은 내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연장된 'ㄷ'자 형상의 몸체부(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연장부(200)는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로 나누어진다. 제1 연장부(210)는 한 쌍의 제2 몸체부(120)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 즉, 띠 철근(30)의 상부에 위치한 제2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210)는 상 방향으로, 띠 철근(30)의 하부에 위치한 제2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제1 연장부(210)는 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장부(220)는 한 쌍의 제1 연장부(210) 일단에 구비되어 띠 철근(30)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200)는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가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될 시 제1 연장부(210)와 제2 연장부(220) 사이에 유입되도록 하여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의 결합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00)는 제2 몸체부(120) 일면에 형성되어 이탈방지클립(310)과 유입홀(320)로 구비될 수 있다. 이탈방지클립(310)은 한 쌍의 제2 몸체부(120)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띠 철근(3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클립(310)은 몸체부(100) 사이에 위치하는 띠 철근(30)을 내측 방향으로 밀어 몸체부(100) 안에 띠 철근(30)이 이탈방지클립(310) 사이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홀(320)은 제2 몸체부(120) 일면 또는 한 쌍의 제2 몸체부(120) 일면에 구비될 수 있는데,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가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될 시 몸체부(100)와 띠 철근(30) 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도록 하여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의 결합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구속부(400)는 제2 몸체부(12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속홈(410)과 제2 몸체부(120)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구속홈(410)에 안착하고 제2 몸체부(120)를 옭아매는 구속끈(42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속홈(410)은 제2 몸체부(120)의 외부에서 부터 감쌀 수 있게 철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속끈(420)은 구속홈(410)에 맞추어 안착되고 제2 몸체부(120)의 외부에서 부터 1회 이상 감아 몸체부(100) 사이에 공간을 압박시켜 띠 철근(30)을 더 구속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를 내측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는 몸체부(100), 연장부(200), 이탈방지부(300) 및 구속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속부(400)는 제2 몸체부(120)의 외부에 구비되어 구속끈(420)과 올가미 형상으로 결합하여 구속홈(410)에 안착하고 제2 몸체부(120)를 옭아매는 구속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속부재(430)는 구속끈(420) 마감작업 간소화와 설치의 용이함을 높이기 위해 슬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구속부재(430)는 원통으로 구비되어 구속끈(420)을 올가미 형상으로 결합하고 제2 몸체부(120) 외부에서 부터 감싸서 구속홈(410)에 안착할 수 있다. 그리고 구속부재(430)는 결합된 구속끈(420)을 제2 몸체부(120)에 옭아매고 구속부재(430)를 공구로 압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구속부재(430)는 제2 몸체부(120)에 마감될 때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모든면에 위치되어 옭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10)가 이탈방지클립(310)을 통해 띠 철근(30)에 설치됨에 따라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속부(400)가 띠 철근(30)을 구속함으로써 띠 철근(30)이 최대 내력 이후에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휨 모멘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20 : 주근 30 : 띠 철근
100 : 몸체부 110 : 제1 몸체부
120 : 제2 몸체부 200 : 연장부
210 : 제1 연장부 220 : 제2 연장부
300 : 이탈방지부 310 : 이탈방지클립
320 : 유입홀 400 : 구속부
410 : 구속홈 420 : 구속끈
430 : 구속부재

Claims (9)

  1. 주근의 좌굴을 지연하기 위해 상기 주근에 설치되는 띠 철근에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의 풀림을 방지하는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는 상기 띠 철근의 외측면과 상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과 결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 시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과 결합 시 상하 및 외측 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띠 철근의 외측면과 맞대어지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양단에서 상기 띠 철근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띠 철근의 상부 및 하부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2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몸체부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연장부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띠 철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콘크리트 타설 시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한쌍의 제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이탈방지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클립의 상부를 절개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띠 철근 사이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속홈과, 상기 제2 몸체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구속홈에 안착하고 상기 제2 몸체부를 옭아매는 구속끈을 구비하고,
    상기 구속끈은 철사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속끈과 올가미형상으로 결합하여 상기 구속홈에 고정되며 풀리지않도록 상기 제2 몸체부를 옭아매는 구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부재는 슬리브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부를 상기 구속끈으로 옭아맨 뒤, 상기 슬리브를 공구로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18744A 2020-02-17 2020-02-17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KR102148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744A KR102148235B1 (ko) 2020-02-17 2020-02-17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PCT/KR2021/000162 WO2021167244A1 (ko) 2020-02-17 2021-01-07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US17/797,105 US20230220670A1 (en) 2020-02-17 2021-01-07 Tie hoop untying preven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744A KR102148235B1 (ko) 2020-02-17 2020-02-17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235B1 true KR102148235B1 (ko) 2020-08-26

Family

ID=7229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744A KR102148235B1 (ko) 2020-02-17 2020-02-17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20670A1 (ko)
KR (1) KR102148235B1 (ko)
WO (1) WO20211672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244A1 (ko) * 2020-02-17 2021-08-26 김용주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459A (ja) * 1999-07-02 2001-01-23 Akoo:Kk 配筋用吊り下げ具
KR101830335B1 (ko) 2017-07-03 2018-02-2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용 보조띠철근
KR20180059116A (ko) * 2016-11-25 2018-06-04 박경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KR101927760B1 (ko) * 2018-02-08 2018-12-11 박경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4344A1 (en) * 2006-08-24 2010-02-04 Satoshi Murayama Reinforcing bar joint
KR102148235B1 (ko) * 2020-02-17 2020-08-26 김용주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459A (ja) * 1999-07-02 2001-01-23 Akoo:Kk 配筋用吊り下げ具
KR20180059116A (ko) * 2016-11-25 2018-06-04 박경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KR101830335B1 (ko) 2017-07-03 2018-02-2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용 보조띠철근
KR101927760B1 (ko) * 2018-02-08 2018-12-11 박경언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244A1 (ko) * 2020-02-17 2021-08-26 김용주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244A1 (ko) 2021-08-26
US20230220670A1 (en)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735B2 (en) Spiral stirrup and steel element combination structure system
KR102148235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JP4819605B2 (ja) 端部と中央部とで強度の異なる緊張材を用いた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梁
KR101895306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JP487857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割れ防止具及びそれを用いたひび割れ防止構造
JP455771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における開口部回りの補強構造
JP5780829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配筋構造および配筋方法
KR101938887B1 (ko) 고정장치를 구비한 띠철근 배근구조
GB2549402B (en) Clamp
US10968653B2 (en) Buckling resistant spring clad bar
JP7157401B2 (ja) 柱中柱組付型拘束の接合構造
JP651375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柱の補強構造
JP7237549B2 (ja) 親綱支柱
JP201001379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
JP4298678B2 (ja) 接続構造
JP393871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構造
KR102093845B1 (ko)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JP7482803B2 (ja) 柱梁架構
KR102203621B1 (ko) 띠철근 풀림 방지 장치
KR101858557B1 (ko) 다중 x형 보강철근체가 구비된 철근콘크리트 기둥
JP7055976B2 (ja) ブレース構造
KR101750791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JP5436934B2 (ja) 梁貫通孔周囲の補強装置及び梁構造
JPH0749732B2 (ja) 高層建造物における連層耐震壁構造
JP4878576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割れ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