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577B1 -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577B1
KR102147577B1 KR1020180123594A KR20180123594A KR102147577B1 KR 102147577 B1 KR102147577 B1 KR 102147577B1 KR 1020180123594 A KR1020180123594 A KR 1020180123594A KR 20180123594 A KR20180123594 A KR 20180123594A KR 102147577 B1 KR102147577 B1 KR 102147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image
display
display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040A (ko
Inventor
안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12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단말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TERMINAL AND DISPLAY METHOD}
아래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상기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단말기는 한번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 또는 요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한번에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가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면 멀티태스킹과 관련하여 표시되어야 할 데이터가 증가하고, 증가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 표시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전체 화면에 하나의 프로그램(채널)이 디스플레이 되고, 이와 동시에 내부 창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그램(채널)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라 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는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프로그램과 내부 창에 디스플레이 되는 프로그램에 제공하기 위한 두개의 독립적인 신호를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3623호(2016.12.14.공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단말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에 데이터가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픽쳐 인 픽쳐 이미지가 생성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필수 정보 영역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을 포함하는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픽쳐 인 픽쳐 이미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픽쳐 인 픽쳐 이미지의 크기가 조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픽쳐 인 픽쳐 이미지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에 데이터가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단말(100)은 메시지 서버(101), 콘텐츠 서버(102), 게임 서버(103), SNS 서버(104) 및 포털 서버(105) 등 많은 서버들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시지 서버(101), 콘텐츠 서버(102), 게임 서버(103), SNS 서버(104) 및 포털 서버(105) 등 많은 서버들이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시지 서버(101), 콘텐츠 서버(102), 게임 서버(103), SNS 서버(104) 및 포털 서버(105) 등 많은 서버들이 전송한 데이터들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100)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100)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시지 서버(101), 콘텐츠 서버(102), 게임 서버(103), SNS 서버(104) 및 포털 서버(105) 등 많은 서버들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서버'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단말(100)은 통신장치(110), 프로세서(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단말(100)을 구성하는 통신장치(110), 프로세서(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들 및 다른 단말들과 연결된다.
통신장치(110)는 서버들이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통신장치(110)는 다른 단말들이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통신장치(110)는 서버들로 데이터들을 전송한다.
통신장치(110)는 다른 단말들로 데이터들을 전송한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단말(100)에 대한 정보나 디스플레이 단말(100)의 동작을 관리한다.
ⅰ)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단말(100)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단말(100)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단말(100)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생성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인터페이스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을 사용자의 요청으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생성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입력을 사용자의 요청으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요청은 복수개일 수 있다.
ⅱ) 픽쳐 인 픽쳐 이미지 생성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서 이탈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예컨대, 디스플레이 단말의 화면)에서 이탈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도록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생성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는 필수 정보 영역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만 포함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구성하는 상기 필수 정보 영역 및 상기 커스터마이징 영역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서 상기 필수 정보 영역 및 상기 커스터마이징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는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필수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필수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필수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을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필수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필수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문자와 숫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필수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이미지와 숫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필수 정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 문자, 이미지 또는 그래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결정한 정보가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을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문자와 숫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이미지와 숫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 문자, 이미지 또는 그래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가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가 한번에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가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커스터마이징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크기를 조절한 상기 커스터마이징 영역이 포함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마다 교체되어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ⅲ)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디스플레이 위치 결정
프로세서(120)는 생성한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터치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라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라고 결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최종 터치 위치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횟수(예컨대, 두 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터치하면 기 설정된 위치(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좌측 하단으로부터 3분의 1 위치)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터치한 후 상기 터치를 유지하면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드래그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드래그를 멈추는 위치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고려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가시성(可視性, visibility)이 최대한 확보되는 위치를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콘텐츠의 가시성이 최대한 확보되는 위치를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ⅳ)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조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외곽선을 터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상기 터치를 드래그 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외곽선을 터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상기 터치와 다른 터치를 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모서리를 터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상기 터치와 다른 터치를 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에 응답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기 설정된 횟수(예컨대, 2회) 이상 터치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기 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비율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비율을 무시하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ⅴ) 이벤트 알림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이벤트 종류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결정하기 위한 이벤트 알림 이미지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오버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오버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오버레이 위치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오버레이 되는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오버레이 되는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오버레이 크기 결정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와 별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와 별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 알림 이미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한 이벤트 알림 이미지 변경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표시하는 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간 변경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소멸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표시되는 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기 위한 이벤트 알림 이미지 색 변경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에 발생하는 효과(예컨대, 이벤트 알림 이미지 점멸)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에 발생하는 효과의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에 발생하는 효과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에 발생하는 효과를 변경하기 위한 이벤트 알림 이미지 효과 변경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서버들이 전송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다른 단말들이 전송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서버들로 전송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다른 단말들로 전송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획득한 사용자의 요청들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생성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이벤트의 종류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이벤트 알림 이미지에 발생하는 효과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된 '장치'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픽쳐 인 픽쳐 이미지가 생성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 (a)는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b)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에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생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210)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 (b)를 참조하면,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고, 디스플레이 단말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220) 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230)가 생성된다.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23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을 읽는 것을 최소로 방해하기 위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230)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선택창(311, 312, 313, 314, 315, 316)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창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321, 322, 323, 324, 325, 326)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창을 선택하거나 선택 해제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요청을 나타내기 위한 마크(예컨대, 체크표시)를 상기 선택창에 오버레이 하여 표시(311, 312, 313)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요청을 나타내기 위한 마크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미리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미리 결정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마크(예컨대, 체크표시)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상기 선택창에 미리 오버레이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필수 정보 영역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을 포함하는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필수 정보 영역(410)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상부에 필수 정보 영역(410)을 포함하고, 하부에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만을 포함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필수 정보 영역(4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411, 412)을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필수 정보 영역(4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413, 414)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필수 정보 영역(4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문자와 숫자의 조합(미도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필수 정보 영역(4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이미지와 숫자의 조합(미도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필수 정보 영역(4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 문자, 이미지 또는 그래프의 조합(미도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결정한 정보를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미도시)을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미도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문자와 숫자의 조합(미도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이미지와 숫자의 조합(미도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 문자, 이미지 또는 그래프의 조합(미도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한번에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각각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기 설정된 시간 마다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4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이 기 설정된 시간 마다 교체되도록 커스터마이징 영역(420)에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픽쳐 인 픽쳐 이미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 (a)는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EXP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6 (b)는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임무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내며, 도 6 (c)는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물약 수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 (a)를 참조하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10)는 필수 정보 영역(511)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514)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10)는 상부에 필수 정보 영역(511)을 포함하고, 하부에 커스터마이징 영역(514)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10)는 필수 정보 영역(511)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들인 “HP 와 MP”(512)를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10)는 필수 정보 영역(511)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511)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10)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결정한 정보인 경험치 정보를 커스터마이징 영역(514)에 디스플레이 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1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514)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인 “EXP”(515)를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1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514)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인 EXP 관련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516)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 (b)를 참조하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20)는 필수 정보 영역(521)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524)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20)는 상부에 필수 정보 영역(521)을 포함하고, 하부에 커스터마이징 영역(524)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20)는 필수 정보 영역(521)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들인 “HP 와 MP”(522)를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20)는 필수 정보 영역(521)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523)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20)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결정한 정보인 경험치 정보를 커스터마이징 영역(524)에 디스플레이 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2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524)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인 “임무”(525)를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1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514)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인 임무 관련 정보를 문자와 숫자의 조합(526)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 (c)를 참조하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30)는 필수 정보 영역(531)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534)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30)는 상부에 필수 정보 영역(531)을 포함하고, 하부에 커스터마이징 영역(534)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30)는 필수 정보 영역(531)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들인 “HP 와 MP”(532)를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30)는 필수 정보 영역(531)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533)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30)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결정한 정보인 경험치 정보를 커스터마이징 영역(534)에 디스플레이 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3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534)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인 “물약”(535)를 표시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53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534)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인 물약 수량 정보를 이미지와 숫자의 조합(536)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필수 정보 영역(610)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620)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상부에 필수 정보 영역(610)을 포함하고, 하부에 커스터마이징 영역(620)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필수 정보 영역(6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들(예컨대, HP, MP 등)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들을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커스터마이징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한번에 커스터마이징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들(예컨대, EXP, 임무, 물약 등)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들을 숫자, 문자, 이미지 또는 그래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인 “EXP”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인 EXP 관련 정보를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621)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인 “임무”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인 임무 관련 정보를 문자와 숫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622)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600)는 커스터마이징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인 “물약”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인 물약 수량 정보를 이미지와 숫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623)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700)는 필수 정보 영역(710)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720)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700)는 상부에 필수 정보 영역(710)을 포함하고, 하부에 커스터마이징 영역(720)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700)는 필수 정보 영역(710)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들(예컨대, HP, MP 등)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들을 숫자와 그래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7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커스터마이징 영역(720)에 디스플레이 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7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커스터마이징 영역(720)에 각각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700)는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이 기 설정된 시간 마다 교체(723)되도록 커스터마이징 영역(720)에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721, 722)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70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임무”와 “물약”인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인 “임무”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인 임무 관련 정보(721)와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명칭인 “물약” 및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인 물약 수량 정보(722)들이 기 설정된 시간 마다 교체(723)되도록 커스터마이징 영역(720)에 상기 사용자의 요청인 “임무”와 “물약”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들(721, 722)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픽쳐 인 픽쳐 이미지의 크기가 조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 (a)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및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모서리를 나타내며, 도 9 (b)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 (a)를 참조하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00)는 필수 정보 영역(810)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820)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00)는 상부에 필수 정보 영역(810)을 포함하고, 하부에 커스터마이징 영역(820)을 포함한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00)는 모서리(831, 832, 833, 834)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00)의 모서리(831, 832, 833, 834)를 터치하고,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00)의 외부로 상기 터치를 드래그 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에 응답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00)가 확장된다.
도 9 (b)를 참조하면, 확장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40)는 기존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정보(850) 이외의 정보들(860)을 더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확장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40)는 확장된 커스터마이징 영역(860)에 새로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커스터마이징 영역(860)의 확장 정도에 따라 확장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4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개수가 변한다.
확장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840)가 확장된 커스터마이징 영역(860)에 디스플레이 하는 정보의 순서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픽쳐 인 픽쳐 이미지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 (a)는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10 (b)는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픽쳐 인 픽쳐 이미지에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910)가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910)에는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지 않는다.
도 10 (b)는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920)에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920)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는 이벤트 알림 이미지는 다른 유저에게 공격 받는다는 의미인 두개의 칼이 교차되는 이미지이고,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는 빨간색으로 점멸하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920)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는 이벤트 알림 이미지는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소멸될 수 있다.
사용자가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920)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는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터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다시 디스플레이 된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단말이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한다(1000).
이때 디스플레이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인터페이스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을 사용자의 요청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단말은 생성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입력을 사용자의 요청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이 픽쳐 인 픽쳐 이미지를 생성한다(1010).
이때,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는 필수 정보 영역 및 커스터마이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이 픽쳐 인 픽쳐 이미지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한다(1020).
이때, 디스플레이 단말은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고려하여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이 픽쳐 인 픽쳐 이미지 크기를 조정한다(1030).
이때, 디스플레이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이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표시한다(1040).
이때,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는 다양한 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는 점멸하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이벤트 알림 이미지가 소멸한다(1050).
이때, 이벤트 알림 이미지는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통신장치 120...프로세서
130...데이터베이스

Claims (18)

  1. 디스플레이 단말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하되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말.
  10. 디스플레이 단말에서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을 기초로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사용자의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의 커스터마이징 영역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이탈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이미지에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오버레이 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이벤트 알림 이미지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80123594A 2018-10-17 2018-10-17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47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594A KR102147577B1 (ko) 2018-10-17 2018-10-17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594A KR102147577B1 (ko) 2018-10-17 2018-10-17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040A KR20200043040A (ko) 2020-04-27
KR102147577B1 true KR102147577B1 (ko) 2020-08-24

Family

ID=7046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594A KR102147577B1 (ko) 2018-10-17 2018-10-17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703A (ja) 2002-07-03 2004-02-05 Copcom Co Ltd ゲーム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ゲーム制御方法及び、前記記憶媒体からデータの読取が可能なゲー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9695B1 (it) * 2010-04-14 2013-04-26 Sisvel Technology Srl Metodo per visualizzare un flusso video secondo un formato personalizzato.
KR20180061916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3623A (ko) 2016-12-05 2016-12-14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무안경 3d 영상을 이용한 적층형 홀로그램 구현 시스템
KR20180089018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스마트 기기에서의 게임 위젯 제공 방법 및 게임 위젯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703A (ja) 2002-07-03 2004-02-05 Copcom Co Ltd ゲーム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ゲーム制御方法及び、前記記憶媒体からデータの読取が可能なゲー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040A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8208B2 (en)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11533541B2 (en) Video access methods and apparatuses, client, terminal, server and memory medium
US20170332020A1 (en) Video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102071579B1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863391B1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CN111541930B (zh) 直播画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5979339B (zh) 一种窗口显示方法及客户端
CN111510788B (zh) 一种双屏双系统屏幕切换动画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JP2021535656A (ja) ビデオ処理方法、装置、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201503670A (zh) 用於控制像是電視的顯示裝置之直覺影像式節目指南
US1142546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4296949A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高清晰度截屏方法
CN112399212A (zh) 显示设备、分享文件的方法和服务器
CN113364998A (zh) 直播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1501352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1104020B (zh) 用户界面设置方法、存储介质及显示设备
WO2008018503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image,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enregistrement
CN116260999A (zh) 显示设备及视频通讯数据处理方法
WO200801850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2788378B (zh) 显示设备与内容显示方法
KR102147577B1 (ko)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08018502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image,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enregistrement
US20160239174A1 (en) Smart device capable of multi-tasking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3490060B (zh) 一种显示设备及确定常用联系人的方法
WO2008018511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dispositif fournisseur de données d'image,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cédé de commande du système d'affichage d'images, programme de commande et support d'enregist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