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56B1 - 용착성 비즈 완구 - Google Patents

용착성 비즈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56B1
KR102147156B1 KR1020180167095A KR20180167095A KR102147156B1 KR 102147156 B1 KR102147156 B1 KR 102147156B1 KR 1020180167095 A KR1020180167095 A KR 1020180167095A KR 20180167095 A KR20180167095 A KR 20180167095A KR 102147156 B1 KR102147156 B1 KR 10214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able bead
weldable
bead toy
toy
t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540A (ko
Inventor
료 사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샤
Publication of KR2019007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specially adapted to be assembled by adhesive or 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tarsia or mosaic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47Playing pieces with particular shapes
    • A63F2003/00794Stereometric sha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04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containing a liquid
    • A63F2250/0407Water
    • A63F2250/0428Water being squirted

Abstract

[과제]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용착성 비즈 완구(10)는, 복수의 돌기(12)와 복수의 패임부(13)을 구비한다. 돌기(12)는, 4개의 평탄면(12a, 12b, 12c, 12d)과, 이 평탄면(12a, 12b, 12c, 12d)이 조합되어 하나의 정상부(12e)를 형성한다. 패임부(13)는, 이웃하는 3개의 돌기(12)에서 마주 대하는 3개의 평탄면이 조합되어 하나의 패임부(1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용착성 비즈 완구(1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투영된 형상은, 성형(星形)이 된다.

Description

용착성 비즈 완구{WELDING BEADS TOYS}
본 발명은, 수용성 수지로 형성된 용착성 비즈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수용성 수지로 형성된 용착성 비즈 완구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비즈 완구 세트에서는, 수용성 수지로 형성된 구형상의 용착성 비즈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수용성 수지로 형성된 투명한 다면체 형상의 용착성 비즈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용착성 비즈 완구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놀 수 있다. 우선, 오목부가 형성된 유지 트레이에, 임의의 무늬에 맞추어서 구형상(球狀)이나 다면체 형상의 용착성 비즈 완구를 선택하여 재치한다. 이때, 용착성 비즈 완구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용착성 비즈 완구를 유지 트레이에 재치한 후, 용착성 비즈 완구에 분무기 등으로 물을 뿌리면, 용착성 비즈 완구가 습윤 상태가 된다. 그러면, 용착성 비즈 완구는 융해하여, 접촉하고 있는 용착성 비즈 완구끼리가 접속된다. 그리고, 그대로 건조시키면, 용착성 비즈 완구가 상호 접속된 상태로 경화한다. 또는, 이들의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적층시켜서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임의의 무늬나 형상에 맞추어서 구형상이나 다면체 형상을 선택하여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를 작성하여 즐겁게 놀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13129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특개2013-143986호 공보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의 작성은, 복수의 용착성 비즈 완구만으로 구성한 경우도 있다면,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에 구멍부 등의 간헐부(間歇部)를 작성하여, 이 간헐부에 장식 부재(예를 들면, 보석 완구나 유리 구슬 등)의 다른 물품을 삽입하여 노는 일도 있다. 또한, 작성한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는, 가방이나 의류등에 장식물로서 부착한 일도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물품을 삽입하여 부착하거나, 장식물로서 옥외에 갖고 나가거나 한 경우에는, 용착성 비즈 완구끼리의 결합의 강도가 부족한 것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착성 비즈 완구끼리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는,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패임부(窪み)를 구비한다.
상기의 양태에 의하면, 용착성 비즈 완구끼리의 결합 강도를 높인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를 구비하는 비즈 완구 세트의 사용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를 구비하는 비즈 완구 세트에 관한 도 2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의 변형례 1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의 변형례 2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의 변형례 3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의 변형례 4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의 변형례 5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사시도.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성 비즈 완구(10)에는, 복수의 돌기(12)와 복수의 패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2)는, 그 표면에, 복수가 되는 4개의 4각형상의 평탄면(12a, 12b, 12c, 12d)를 구비한다. 각 평탄면(12a, 12b, 12c, 12d)는, 각각의 양 이웃과 1변을 공유하여 조합되어, 하나의 정상부(頂部)(12e)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평탄면(12a-1)은, 양 이웃의 평탄면(2b-1, 12d-1)과 각각 1변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돌기(12)에 이웃하는 복수의 돌기(12)는, 방사형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돌기(12-1)에 이웃하는 6개의 돌기(12-2, 12-3, 12-4, 12-5, 12-6, 12-7)는, 방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돌기(12)가 평탄면(12a, 12b, 12c, 12d)의 어느 하나는, 인접한 돌기(12)의 평탄면(12a, 12b, 12c, 12d)의 어느 하나와 접속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용착성 비즈 완구(10)에서는, 돌기(12)는 18개 형성된다. 따라서, 용착성 비즈 완구(10)는, 72면의 평탄면(평탄면(12a, 12b, 12c, 12d))을 구비한다.
또한, 패임부(13)는, 이웃하는 3개의 돌기(12)에서 마주 대하는 3개의 평탄면(평탄면(12a, 12b, 12c, 12d)의 어느 하나)이 조합되어 하나의 패임부(1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웃하는 3개의 돌기(12-1, 12-4, 12-5) 중, 마주 대한 3개의 평탄면(12a-1, 12b-4, 12d-5)이 조합되고 패임부(13-1)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마주 대하는 3개의 평탄면(12a-1, 12b-4, 12d-5)의 변 중, 각 돌기(12-1, 12-4, 12-5)에서 이웃하는 평탄면(2b-1, 12d-1, 12a-4, 12c-4, 12a-5, 12c-5)과 공유하지 않는 변이 패임부(13-1)의 형성에서 공유되도록, 마주 대하는 3개의 평탄면(12a-1, 12b-4, 12d-5)가 조합된다. 패임부(13)는 하나의 패임부 저부(13e)(패임부 저부(13e-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용착성 비즈 완구(1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투영(投影)된 형상은, 성형(星形)이 된다.
용착성 비즈 완구(10)는, 수용성 재료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수지에 배합하여 혼련(混鍊)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착성 비즈 완구(10)을 형성하는 수지는, 투명 재료나 투광성을 갖는 재료 또는 불투명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재료나 투광성을 갖는 재료를 선택하여 용착성 비즈 완구(10)을 형성한 경우에는, 용착성 비즈 완구(10)에 입사하는 광은, 돌기(12)나 패임부(13)에서 반복 반사되거나, 용착성 비즈 완구(10)의 내부를 투과하여 나온 광이 돌기(12)나 패임부(13)에서 반복 반사되거나 한다. 그리고, 72면체로서 형성된 용착성 비즈 완구(10)에서는, 하나의 돌기(12)의 평탄면(12a, 12b, 12c, 12d)와, 다른 하나의 돌기(12)의 평탄면(12a, 12b, 12c, 12d)의 거리가 짧다. 따라서, 높은 휘도로 용착성 비즈 완구(10)의 표면에서 광의 난반사가 생기고 눈부시게 빛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용착성 비즈 완구(10)에서는 투영면이 성형으로 보이기 때문에, 보다 아름답게 보일 수 있다.
도 2는, 비즈 완구 세트(80)의 사용례를 도시한다. 여기서, 비즈 완구 세트(80)는, 돌기(12)와 패임부(13)을 구비하는 복수의 용착성 비즈 완구(10)와, 구형상의 복수의 용착성 비즈 완구(22)와, 다면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름모 30면체)의 복수의 용착성 비즈 완구(24)와, 수지 도금이 시행된 복수의 장식 비즈 완구(30)와, 유지 트레이(50)를 구비한다.
또한, 용착성 비즈 완구(22, 24)는, 용착성 비즈 완구(10)와 마찬가지로, 폴리비닐알코올을 수지에 배합하여 혼련하고, 투명 또는 불투명의 유색 또는 무색의 구형상이나 다면체 형상으로 성형된다.
또한, 장식 비즈 완구(30)는, 비수용성 재료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수지 도금이 시행되어 있다. 따라서, 장식 비즈 완구(30)의 표면은, 금색 또는 은색 등의 색으로 고반사율로 형성되어 있다. 장식 비즈 완구(30)는, 주위에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가 배치되어 융해 후에 경화함으로써 유지된다.
유지 트레이(50)는 4각형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트레이(50)의 표면에는 복수의 원형의 오목부(52)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52)는, 다른 행(또는 열)마다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52)에 재치된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나 장식 비즈 완구(30)의 주위에는,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를 방사형상으로 6개 재치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52)의 직경은,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 등의 직경보다도 작게 형성됨과 함께, 이웃하는 오목부(52)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이웃하는 오목부(52)에 배치된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가 상호 접촉하여 또는 서로 약간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비즈 완구 세트(80)의 노는 방식은, 이하와 같다. 우선, 복수의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 및 장식 비즈 완구(30)을 임의의 무늬를 나타내는 형상이 되도록 유지 트레이(50)에 재치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전체를 하트 형상이 되도록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 및 장식 비즈 완구(30)을 임의로 배치하여,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40)를 형성한다.
도 2의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40)의 일부를 확대하고 도시하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성 비즈 완구(10)끼리는, 각 용착성 비즈 완구(10)의 돌기(12)끼리의 복수의 평탄면(도 1에서 도시하는 평탄면(12a, 12b, 12c, 12d))끼리가 접촉하여 계합한다. 또한, 구형상의 용착성 비즈 완구(22)나 다면체 형상의 용착성 비즈 완구(24)도, 용착성 비즈 완구(10)의 돌기(12)의 복수의 평탄면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유지 트레이(50)에 배치된 비즈 완구의 집합체(40)에 분무기 등으로 물을 뿌리면,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의 표면이 융해하고,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끼리는 접속된다. 이때, 여분의 물은, 유지 트레이(50)의 오목부(52)에 낙하하여 저류된다. 그리고,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40)에 물을 뿌린 후, 그대로 건조시키면,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끼리는 접속된 상태로 경화한다. 그러면, 용착성 비즈 완구(10)의 돌기(12)의 복수의 평탄면(12a, 12b, 12c, 12d)과 접촉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10, 22, 24)는, 구형상의 용착성 비즈 완구(22)나 다면체 형상의 용착성 비즈 완구(24)끼리가 접촉한 경우에 비하여, 접촉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40)가 경화한 때의 결합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10)의 형상이 다른 변형례를 설명한다.
(변형례 1)
도 4에 도시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10A)는, 복수의 돌기(12A)와, 복수의 패임부(13A)를 구비한다. 돌기(12A)는, 개략 반구형상(半球狀)으로 형성된다. 돌기(12A)에 이웃하는 복수의 돌기(12A)는, 각 돌기(12A)의 표면이 접속하도록 방사형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돌기(12A-1)의 주위에는, 방사형상으로 6개의 돌기(12A-2, 12A-3, 12A-4, 12A-5, 12A-6, 12A-7)가 배치된다. 그리고, 마주 대하는 3개의 돌기(12A)(예를 들면 돌기(12A-1, 12A-2, 12A-3))의 사이에는, 패임부(13A)(패임부(13A-1))가 형성된다.
(변형례 2)
도 5에 도시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10B)는, 복수의 돌기(12B)와, 복수의 패임부(13B)를 구비한다. 돌기(12B)는, 개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돌기(12B)에 이웃하는 복수의 돌기(12B)는, 각 돌기(12B)의 표면이 접속하도록 방사형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돌기(12B-1)의 주위에는, 방사형상으로 4개의 돌기(12B-2, 12B-3, 12B-4, 12B-5)가 배치된다. 그리고, 마주 대하는 3개의 돌기(12B)(예를 들면 돌기(12B-1, 12B-2, 12B-3))의 사이에는, 패임부(13B)(패임부(13B-1))가 형성된다.
(변형례 3)
도 6(a)∼(c)에 도시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10C)는, 복수의 돌기(12C)와, 복수의 패임부(13C)를 구비한다. 5개의 돌기(12C)(돌기(12C-1, 12C-2, 12C-3, 12C-4, 12C-5))는, 도 6(b)에서는 돌기(12C-2, 12C-4)의 측면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주를 원호형상(圓弧狀)으로 하여, 일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된다. 각 돌기(12C)는, 도 6(b)에 도시하는 돌기(12C-3)의 정면시를 타원형상으로 하여, 도 6(a),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 선단을 향하여 오므라지도록 형성되고, 도 6(a)의 평면시에서 성형으로 배치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성 비즈 완구(10C)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투영된 형상은 성형이 된다. 그리고, 각 돌기(12C)(돌기(12C-1, 12C-2, 12C-3, 12C-4, 12C-5)) 사이는, 일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패임부(13C)(패임부(13C-1, 13C-2, 13C-3, 13C-4, 13C-5))가 된다.
(변형례 4)
도 7(a)∼(c)에 도시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10D)는, 복수의 돌기(12D)와, 복수의 패임부(13D)를 구비한다. 5개의 돌기(12D)(돌기(12D-1, 12D-2, 12D-3, 12D-4, 12D-5))는, 도 7(b)에서는 돌기(12D-2, 12D-4)의 측면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주가 원호형상이 되고, 일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된다. 각 돌기(12D)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 선단을 향하여 오므라지도록 형성되지만, 도 7(a),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돌기(12D)는 상하단(上下端)에서 연속한 구면형상의 면으로 연속적으로 접속되고, 도 7(a)에 도시하는 평면시에서 성형으로 배치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성 비즈 완구(10C)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투영된 형상은 성형이 된다. 그리고, 각 돌기(12D)(돌기(12D-1, 12D-2, 12D-3, 12D-4, 12D-5)) 사이는, 일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패임부(13D)(패임부(13D-1, 13D-2, 13D-3, 13D-4, 13D-5))가 된다.
(변형례 5)
도 8(a)∼(c)에 도시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10E)는, 복수의 돌기(12E)와, 복수의 패임부(13E)를 구비한다. 5개의 돌기(12E)(돌기(12E-1, 12E-2, 12E-3, 12E-4, 12E-5))는, 도 8(b)에서는 돌기(12E-2, 12-4)의 측면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의 외주를 원호형상으로 하며 하측의 외주를 직선형상으로 하고, 일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된다. 각 돌기(12E)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을 향하여 오므라지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반구부(半球部)(15E)와 접속된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착성 비즈 완구(10E)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투영된 형상은 성형이 된다. 각 돌기(12E)(돌기(12E-1, 12E-2, 12E-3, 12E-4, 12E-5)) 사이는, 일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길다란 패임부(13E)(패임부(13E-1, 13E-2, 13E-3, 13E-4, 13E-5))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기한 양태의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의 양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는,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패임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착성 비즈 완구의 돌기와 패임부에, 다른 용착성 비즈 완구를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용착성 비즈 완구끼리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용착성 비즈 완구끼리의 결합 강도를 높인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용착성 비즈 완구를 이용하여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를 작성하면, 파손되기 어려운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가 얻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에 다른 장식 부재를 서로 끼우거나, 가방이나 의복 등에 부착하는 등,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를 이용하여 더욱 즐겁게 놀 수 있다.
제2의 양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투영된 형상이 성형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방향에서 본 용착성 비즈 완구가 성형으로 보이기 때문에,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의 장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의 양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는, 상기 복수의 돌기 중의 제1의 돌기에 이웃하는 복수의 제2의 돌기는, 방사형상으로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착성 비즈 완구가 구비하는 돌기와 패임부를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용착성 비즈 완구끼리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4의 양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는, 상기 복수의 돌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평탄면에 의해 형성되어 하나의 정상부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착성 비즈 완구는, 복수의 평탄면에 의해 광의 확산 반사(난반사)를 발생시켜,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를 보다 예쁘게 보일 수 있다. 또한, 일방의 용착성 비즈 완구의 돌기의 정상부가 타방의 용착성 비즈 완구의 패임부의 바닥을 향하여 깊게 계합되기 때문에, 더욱 용착성 비즈 완구끼리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5의 양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는, 복수의 상기 평탄면은, 4개의 4각형상 평탄면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착성 비즈 완구는, 4면에 의해 하나의 돌기가 형성됨에 의해, 용착성 비즈 완구를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언더 커트가 생기지 않는 금형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 있다.
제6의 양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는, 상기 돌기는 18개 있고, 상기 평면은 72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착성 비즈 완구는, 결속 좋게 다수의 평탄면을 구비하는 다면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광의 확산 반사(난반사)에 의해 용착성 비즈 완구의 집합체를 예쁘게 보일 수 있다.
제7의 양태에 관한 용착성 비즈 완구는, 투명 또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착성 비즈 완구는, 용착성 비즈 완구에 직접 입사하는 광뿐만 아니라, 용착성 비즈 완구의 내부를 투과하여 나오는 광도 돌기의 평탄면이나 패임부에서 반사되거나, 돌기를 투과하는 광이 돌기를 출사하여 다른 돌기나 패임부에서 반사되거나 하기 때문에, 더욱 눈부시게 빛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의해, 용착성 비즈 완구를 보다 예쁘게 보일 수 있고, 장식 효과를 높인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10, 10A∼10E : 용착성 비즈 완구
12, 12A∼12E : 돌기
12-1, 12-2 : 돌기
12A-1∼12E-1, 12A-2∼12E-2, 12C-3 : 돌기
12a∼12d, 12a-1∼12d-1 : 평탄면
12e : 정상부
13, 13A∼13E : 패임부
13e : 패임부 저부
13A-1∼13C-1, 13E-1 : 패임부
15E : 반구부
22 : 용착성 비즈 완구
24 : 용착성 비즈 완구
30 : 장식 비즈 완구
40 : 집합체
50 : 유지 트레이
52 : 오목부
80 : 비즈 완구 세트

Claims (7)

  1.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패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평탄면에 의해 형성되어 하나의 정상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평탄면은, 4개의 4각형상 평탄면이고,
    상기 돌기는 18개 있고, 상기 평탄면은 72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투영된 형상이 성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중의 제1의 돌기에 이웃하는 복수의 제2의 돌기는,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명 또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67095A 2017-12-27 2018-12-21 용착성 비즈 완구 KR102147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0580 2017-12-27
JP2017250580A JP6681870B2 (ja) 2017-12-27 2017-12-27 溶着性ビーズ玩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822A Division KR20200022408A (ko) 2017-12-27 2020-02-20 용착성 비즈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540A KR20190079540A (ko) 2019-07-05
KR102147156B1 true KR102147156B1 (ko) 2020-08-24

Family

ID=6536459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95A KR102147156B1 (ko) 2017-12-27 2018-12-21 용착성 비즈 완구
KR1020200020822A KR20200022408A (ko) 2017-12-27 2020-02-20 용착성 비즈 완구
KR1020200093595A KR102200705B1 (ko) 2017-12-27 2020-07-28 용착성 비즈 완구
KR1020200181645A KR102316863B1 (ko) 2017-12-27 2020-12-23 용착성 비즈 완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822A KR20200022408A (ko) 2017-12-27 2020-02-20 용착성 비즈 완구
KR1020200093595A KR102200705B1 (ko) 2017-12-27 2020-07-28 용착성 비즈 완구
KR1020200181645A KR102316863B1 (ko) 2017-12-27 2020-12-23 용착성 비즈 완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0758813B2 (ko)
JP (1) JP6681870B2 (ko)
KR (4) KR102147156B1 (ko)
CN (5) CN117205577A (ko)
AU (3) AU2018282477B2 (ko)
DE (2) DE102018010412B4 (ko)
FR (3) FR3076467B1 (ko)
GB (3) GB2570579B (ko)
RU (1) RU272602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7630S1 (en) * 2017-10-25 2021-04-27 Pedro CHUMILLAS ZURILLA Block from a construction set
JP6681870B2 (ja) * 2017-12-27 2020-04-15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
JP1624158S (ko) * 2018-08-24 2019-08-05
USD915067S1 (en) * 2018-09-25 2021-04-06 Epoch Company Ltd Case for toy beads
USD891513S1 (en) * 2018-11-30 2020-07-28 Epoch Company, Ltd Bead table
USD891515S1 (en) * 2018-11-30 2020-07-28 Epoch Company, Ltd. Bead receiver
USD891514S1 (en) * 2018-11-30 2020-07-28 Epoch Company, Ltd. Bead table
USD891516S1 (en) * 2018-11-30 2020-07-28 Epoch Company, Ltd. Bead t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590A (ja) * 2005-04-02 2006-10-19 Hiroshi Murata 中空状構造体の形成方法及びこの方法に基づいて設計するランプシェード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352A (en) * 1973-04-27 1975-07-15 Rea Ferdinand Hooker Polyhedral annular structures and blanks for forming same
US4227334A (en) * 1978-01-10 1980-10-14 Hooker Rea F Polyhedral annular structures, and blanks therefor
SU1127609A1 (ru) 1983-07-29 1984-12-07 Центр Методологии Изобретательства Азербайджанского Республиканского Совета Всесоюзного Общества Изобретателей И Рационализаторов Объемна логическа головоломка
JP2749704B2 (ja) 1989-07-31 1998-05-13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自動サイズ調整装置
US5871384A (en) 1993-04-20 1999-02-16 Kichijo; Hiroshi Block assembly and devices formed thereby
JP3221637B2 (ja) 1993-04-20 2001-10-22 ヨシリツ株式会社 組立てブロック
US5447584A (en) 1994-05-25 1995-09-05 Creative Capers Entertainment, Inc. Articles made from an edible, water soluble composition of low density for use in toys, games and arts and craft projects
TW336181B (en) 1994-12-27 1998-07-11 Hiroshi Yoshijou Block assembly
HRP960022A2 (en) 1996-01-17 1998-02-28 Josip Matijek A logic toy in the form of a ball with rotating or permutating elements
CN2373088Y (zh) * 1998-01-01 2000-04-12 贾勇峰 凸凹健身球
US20050014112A1 (en) * 2003-04-03 2005-01-20 Fentress Warren Scott Sacred geometry educational entertainment system
JP4191020B2 (ja) 2003-11-28 2008-12-03 有限会社アスポ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用カバー
CN2728581Y (zh) 2004-09-28 2005-09-28 蔡天钧 一种发光玩具棒
AU2005310758A1 (en) 2004-12-03 2006-06-08 Bld Oriental, Ltd. Polyhedral toy
GB0522004D0 (en) * 2005-10-28 2005-12-07 Benn Alastair Vanity unit
JP2007247258A (ja) * 2006-03-16 2007-09-27 Shimane Pref Gov 三次元噛み合いブロック
JP2007246373A (ja) * 2006-03-20 2007-09-27 Shimane Pref Gov 可撓性コンクリート
CN200950877Y (zh) 2006-06-14 2007-09-26 盈辉产品有限公司 玩具储蓄罐
JP3131292U (ja) 2007-02-15 2007-04-26 株式会社エポック社 ビーズ玩具セット
WO2010144284A1 (en) * 2009-06-08 2010-12-16 Monosol, Llc Hobby blocks including latently-adhesive surfaces
JP2012232002A (ja) 2011-05-03 2012-11-29 Shinjiro Naka 玩具セット、この玩具セットに使用される立体部品又は配置部品
JP5946169B2 (ja) * 2012-01-13 2016-07-05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
CN102772892A (zh) 2012-03-15 2012-11-14 周子强 一种益智玩具球
GB2531575B (en) * 2014-10-22 2016-09-14 Simbrix Ltd Beads and bead assemblies
US10898821B2 (en) 2015-06-02 2021-01-26 Moose Creative Management Pty Limited Adhesive toy beads
JP6047797B1 (ja) * 2016-02-29 2016-12-21 株式会社エポック社 装飾ビーズ玩具及びビーズ玩具セット
JP3210316U (ja) * 2017-02-24 2017-05-18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用ジョイント部材
CN206950678U (zh) 2017-06-21 2018-02-02 高的有限公司 立方体玩具
CN207805060U (zh) 2017-11-30 2018-09-04 李纯 一种集有空腔的玩具球
JP6681870B2 (ja) * 2017-12-27 2020-04-15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590A (ja) * 2005-04-02 2006-10-19 Hiroshi Murata 中空状構造体の形成方法及びこの方法に基づいて設計するランプシェ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8982A1 (en) 2023-07-13
FR3103114B1 (fr) 2022-12-23
GB2587495B (en) 2021-12-01
GB2570579B (en) 2021-03-31
GB2580514A (en) 2020-07-22
KR102316863B1 (ko) 2021-10-25
KR20200093494A (ko) 2020-08-05
AU2018282477B2 (en) 2020-04-02
JP2019115448A (ja) 2019-07-18
DE102018133620A1 (de) 2019-06-27
DE102018010412B4 (de) 2024-02-01
US11648459B2 (en) 2023-05-16
JP6681870B2 (ja) 2020-04-15
US20200094131A1 (en) 2020-03-26
GB202012663D0 (en) 2020-09-30
GB201917168D0 (en) 2020-01-08
CN116920428A (zh) 2023-10-24
GB2580514B (en) 2021-12-01
AU2019271887B2 (en) 2021-04-29
FR3076467A1 (fr) 2019-07-12
CN210096919U (zh) 2020-02-21
AU2018282477A1 (en) 2019-07-11
FR3076467B1 (fr) 2022-12-16
GB201820894D0 (en) 2019-02-06
AU2019271887A1 (en) 2019-12-19
KR20210002071A (ko) 2021-01-06
KR102200705B1 (ko) 2021-01-11
AU2021204359B2 (en) 2022-09-08
CN117205577A (zh) 2023-12-12
KR20200022408A (ko) 2020-03-03
FR3103115B1 (fr) 2023-03-24
US20190192961A1 (en) 2019-06-27
RU2726025C1 (ru) 2020-07-08
CN109966759A (zh) 2019-07-05
KR20190079540A (ko) 2019-07-05
GB2587495A (en) 2021-03-31
FR3103114A1 (fr) 2021-05-21
GB2570579A (en) 2019-07-31
US10758813B2 (en) 2020-09-01
FR3103115A1 (fr) 2021-05-21
CN116943255A (zh) 2023-10-27
AU2021204359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156B1 (ko) 용착성 비즈 완구
KR101843307B1 (ko) 장식 비즈 및 비즈 세트
JP5946169B2 (ja) 溶着性ビーズ玩具
JP7082695B2 (ja) 溶着性ビーズ玩具及び溶着性ビーズ玩具セット
US10286331B2 (en) Fusible toy bead joint member
JP6842580B2 (ja) 溶着性ビーズ玩具
JP2020078686A (ja) 溶着性ビーズ玩具
JP2009125232A (ja) ビーズ組立治具及び該ビーズ組立治具を備えたビーズ玩具セット
JP3112703U (ja) 発光飾り具
KR20050095560A (ko) 조립식 블럭완구
JP2016129700A (ja) 溶着性ビーズ玩具
JP3074385U (ja) 発光おもちゃ
TWM477919U (zh) 積木轉接構件
GB2453928A (en) Construction toy including connectable flat tiles in a variety of shapes with convex and/or concave side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