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946B1 -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946B1
KR102146946B1 KR1020200046681A KR20200046681A KR102146946B1 KR 102146946 B1 KR102146946 B1 KR 102146946B1 KR 1020200046681 A KR1020200046681 A KR 1020200046681A KR 20200046681 A KR20200046681 A KR 20200046681A KR 102146946 B1 KR102146946 B1 KR 102146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file
user terminal
tim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이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규 filed Critical 이준규
Priority to KR102020004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저 단말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 수행 단계;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유저 단말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에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를 등록하는 리스너 등록 단계;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리스너 처리 단계; 및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STRUCTURED RECORDING FILE}
본 발명은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녹음 파일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유저 측에 향상된 녹음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이동 단말기에는 녹음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고, 플레이스토어 및 앱 스토어를 비롯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온라인 콘텐츠 마켓을 통해서도 다양한 녹음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거래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784644호(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녹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녹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녹음 데이터를 녹음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녹음을 실시하여 유효한 녹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동 단말기에서 녹음 기능이 활성화될 시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한 녹화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반면 카메라 모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영상 녹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녹음을 중지할 경우, 사진을 찍을 때 녹음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향후 사진을 선택하였을 때, 해당 시점에 대응하는 녹음파일을 재생할 수 없다는 제약 사항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술한 선행기술의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녹음 기능이 실시되면, 이동 단말기의 다른 기능들을 전혀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여전히 존재하는 바, 유저 측에 더욱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녹음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녹음 파일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유저 측에 향상된 녹음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음 어플리케이션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간의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통해 획득되는 녹음 파일을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함에 있어서, 녹음 파일의 재생 시점에 대응되는 사진이 출력되도록 하여, 과거 일 시점에 대한 재현성이 극대화된 녹음 파일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은, 유저 단말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 수행 단계;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유저 단말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에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를 등록하는 리스너 등록 단계;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리스너 처리 단계; 및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녹음 파일 제공 단계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으로 출력 제공하되, 유저 단말에서 상기 녹음 파일의 재생 옵션을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가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유저 단말의 갤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유효하게 검색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의 녹음 파일 재생 화면 일 영역에 검색된 이미지 파일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단말로부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 명령이 수신될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을, 선택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촬영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구간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이 재생될 시,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 중 유저의 관심 영역에 대한 인터랙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인터랙션 이벤트의 발생 시점을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북마크 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녹음 파일의 저장 일자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러 형태의 출력 제공 방식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는, 유저 단말의 잔여 저장 용량 정보 및,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의 저장에 할당한 용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량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 관리를 수행하되, 용량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잔여 용량 미만으로 잔존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녹음 파일 중, 가장 오래된 저장 일자 정보를 갖는 녹음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삭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녹음 수행 단계는, 유저 단말로부터 녹음 중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될 시, 녹음 중단 이벤트의 발생 시점까지 녹음이 수행된 오디오데이터에 대한, 제1 녹음 파일의 생성 동작 및 일시정지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고, 녹음 중단 이벤트가 종료된 것으로 감지될 시, 녹음 중단 이벤트의 종료 시점에 대응되는, 제2 녹음 파일의 생성 동작 및 일시정지된 녹음파일의 녹음 재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로 구현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장치는, 유저 단말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 수행부;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유저 단말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에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를 등록하는 리스너 등록부;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리스너 처리부; 및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유저 단말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 수행 단계;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유저 단말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에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를 등록하는 리스너 등록 단계;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리스너 처리 단계; 및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녹음 파일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도록 하여 유저 측에 향상된 녹음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녹음 파일의 제공 시, 녹음 파일의 생성 과정 중 유저 단말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함께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과거 시점을 더욱 생동감 있게 재현할 수 있게 되어, 유저 측에 향상된 이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북마크 기능을 제공하거나, 녹음 파일들을 스케줄러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유저의 이용 만족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버에서 녹음 파일의 저장 공간에 대한 용량 관리가 자동으로 수행되어 용량 부족으로 인한 성능 저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스너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녹음 수행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제공되는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녹음 파일의 북마크 정보가 저장되는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녹음 파일의 저장 일자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러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내부 장치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서, 녹음 파일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유저 측에 향상된 녹음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녹음 어플리케이션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간의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통해 획득되는 녹음 파일을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함에 있어서, 녹음 파일의 재생 시점에 대응되는 사진이 동시 출력되도록 하여, 과거 일 시점에 대한 재현성이 극대화된 녹음 파일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수행하기로 하며,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면, 먼저 유저 단말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 수행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술한 S10 단계는, 유저가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명령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오디오데이터의 수집이 실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상기 유저 단말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오디오포커스(Audio Focus)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Listener)를 등록하는 리스너 등록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API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운영체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의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고, 상술한 오디오포커스는, 통상의 유저 단말, 특히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갖는 유저 단말에서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사용될 경우에 대해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운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유저의 이용 경험을 향상하도록 하는 수단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S20 단계에서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에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등록되도록 처리하는 것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켜진 후에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등록된 리스너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에 따라 API에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이때, 리스너에는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도록 이벤트가 설정됨에 따라서,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이 중단되게 된다.
한편, S20 단계에서 리스너 등록이 수행된 후에는,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리스너 처리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서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관점에서의 리스너 처리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2에 대한 설명은, 녹음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오디오데이터의 녹음이 수행되는 중에 있어서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른 리스너 처리에 대한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먼저 도2의 S31단계에서와 같이 유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고,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것으로 감지될 시, API에 리스너를 등록하는 S32단계가 수행된다.
상술한 S32 단계의 수행 후에는,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었는지를 감지하는 S33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33 단계는, 유저 단말에서 영상 녹화 시작 명령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 녹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술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사진 촬영 혹은 단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는 감지 대상이 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S33 단계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됨이 감지될 시,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영상 녹화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S34단계와 같이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에 녹음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은 중단되게 된다.
상술한 S34 단계의 수행 후, 본 발명에서는 S35 단계와 같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영상 녹화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 녹화 종료가 감지되는 경우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는 S36 단계가 수행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녹음 수행 중,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더라도,실질적인 영상 녹화가 수행되는 시점부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오디오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S31 내지 S36 단계에서 살펴본 일련의 과정들은,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이 수행되는 중, 유저 단말에서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지 여부에 따라 반복 수행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 후에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공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40 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하여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것은,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이 수행된 시각을 기준으로 연결하여 생성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S40 단계에서 녹음된 오디오데이터의 구조화는,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기 설정된 제1 단위 시각에서부터 제2 단위 시각까지의 재생 구간을 갖는 형태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획득 한 후, 각각의 분할 녹음 파일을 녹음 수행 시각 순으로 병합 처리하고, 전체 재생 구간에 대하여, 분할 파일에서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에 대한 인덱스를 할당하여 구조화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구조화는, 단위 시각에 대응되도록 하는 분할이 이루어지는 것이 핵심인데, 상술한 단위 시각의 기준은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정각 시각을 제1 단위 시각으로 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각의 다음 번 정각 시각을 제2 단위 시각으로 설정하고, 매시 정각을 재생 시작 시점으로 하는 분할 기준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욱 원활한 이해를 위하여 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 구조화를 위한 분할 작업은 녹음 파일에 대한 녹음 수행 시각이 9시 40분에서 11시 30분까지로 가정될 경우, 분할 파일은 9시 40분~10시, 10시~11시, 11시~11시 30분까지의 분할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매 정각을 기준으로 하는 구조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40 단계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녹음 파일을 제공함에 있어서 더욱 직관적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 탐색 수단이 구비되게 됨으로써, 유저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40 단계의 수행 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로 제공함에 있어서,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의 재생 옵션을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가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으로서, 유저 단말로부터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유저 단말의 갤러리에 저장된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들 중,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검색될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의 녹음 파일 재생 화면 일 영역에 검색된 이미지 파일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도 3의 화면 100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녹음 수행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제공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의 110에는 재생 시점의 제어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구조화된 녹음 파일이 제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단위 재생 구간에 대응되는 촬영 시각을 갖는 이미지 파일들(120)이 출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유저 단말로부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 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을 선택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촬영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구간으로 변경되도록 기능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3의 100에서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121)이 특정 이미지 파일을 선택, 즉 12시 19분 27초에 촬영된 이미지를 선택하면, 재생 중인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을 상술한 이미지 파일의 촬영 시각에 대응되는 재생 구간(1210)으로 재생 시점을 변경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기능 수행에 있어서, 재생 시점의 변경은, 이미지 파일의 촬영 시각에 정확히 대응되는 재생 시점으로의 변경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촬영 시각보다 임계 시간 앞선 시점의 재생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하여, 이미지 촬영 시점의 전후 상황에 대한 녹음 파일이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더욱 생동감 있는 과거 시점의 재현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이 재생될 시,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 중 유저의 관심 영역에 대한 인터랙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인터랙션 이벤트의 발생 시점을 녹음 파일에 대한 북마크 정보로서 저장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인터랙션 이벤트의 발생 여부는 미리 약속된 행위(예를 들어 약속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의 터치 입력, 3초 이상 터치 등)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북마크 기능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도 4의 200에서는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유저가 입력한 관심 정보에 대응되는 북마크 정보(210)가 저장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221)을 통하여 특정 북마크 정보가 선택될 경우에, 선택된 북마크 정보(220)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의 녹음 파일 재생(2210)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저는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 중 기억하고 싶은 재생 지점에 대한 저장 및 재생의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녹음 파일의 저장 일자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러 형태의 출력 제공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5를 참조하면, 300 및 310의 화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30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녹음이 수행된 일자 정보에 대응되는 날짜를 차별화되게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300에서와 같이, 녹음이 수행된 일자를 볼드 처리하고, 음영 처리되도록 하여, 녹음 수행일에 대한 정보를 더욱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유저 측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때, 녹음이 수행일에 대응되는 일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자가 선택된 경우, 본 발명에서는 해당 일자의 녹음 파일을 310과 같이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310에서 제공되는 녹음 파일은, 하나의 녹음 파일이 구조화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310에서의 시각 정보는,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에 기반한 시각 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5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자 정보 외에 유저 단말의 GPS 모듈로부터 녹음이 수행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더 수집하도록 기능하여, 유저 측에 녹음이 수행되었던 장소에 대한 공간 정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서버는, 유저 단말의 녹음 파일에 대한 저장 공간에 대한 용량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유저 단말의 잔여 저장 용량 정보 및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의 저장에 할당한 용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량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 관리를 수행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데,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량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잔여 용량 미만으로 잔존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녹음 파일 중 가장 오래된 저장 일자 정보를 갖는 녹음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삭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더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가장 오래된 저장 일자를 갖더라도, 유저 단말에서 입력된 북마크 정보가 포함된 녹음 파일에 해당하는 경우, 삭제 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녹음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관리를 위하여 가장 오래된 저장 일자를 갖는 녹음 파일을 삭제 처리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유저 단말의 선택 입력에 따라 가장 최신에 저장된 녹음 파일을 삭제하도록 기능하거나, 재생 이력 횟수가 적은 순의 녹음 파일을 우선적으로 삭제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버에서 녹음 파일의 저장 공간에 대한 용량 관리가 자동으로 수행되어 용량 부족으로 인한 성능 저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되, 유저가 기억하고 싶은 순간에 대한 녹음 파일을 보호하여, 유저 중심의 감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S10 단계에서 녹음이 수행 시에는 예기치 못한 녹음 중단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녹음 중단 이벤트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유저 단말로 전화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배터리 부족으로 전원이 꺼지는 경우, 유저가 스스로 녹음에 대한 일시 정지 명령을 내린 경우, 알람이 울린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녹음 중단 이벤트 발생에 대하여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손실 방지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로서, 녹음 중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될 시, 본 발명에서는 녹음 중단 이벤트의 발생 시점까지 녹음이 수행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제1 녹음 파일의 생성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녹음 파일의 생성이라 함은, S10 단계의 수행 시점부터 녹음 중단 이벤트의 발생 시점까지 획득된 오디오데이터를 하나의 녹음 파일로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녹음 중단 이벤트의 종료가 감지될 경우, 본 발명에서는 녹음 중단 이벤트의 종료 시점부터 자동으로 새로운 녹음 파일로 녹음을 수행하여 제2 녹음 파일이 생성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녹음 중단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2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녹음 중단 이벤트의 발생 시점까지 오디오데이터에 대한 일시 정지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녹음 중단 이벤트의 종료가 감지될 시, 일시 정지된 녹음 파일의 녹음 재개 동작이 수행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녹음 중단 이벤트의 발생 동안에 대응되는 동안의 녹음만을 중단하였다가, 동일한 녹음 파일에 자동으로 연속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오디오 손실을 최소화한 녹음 파일을 생성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불가피한 녹음 중단 이벤트의 발생하는 경우에도, 녹음 중단 이벤트의 종료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녹음을 재수행함으로써, 오디오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녹음 파일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도록 하여 유저 측에 향상된 녹음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녹음 파일의 제공 시, 녹음 파일의 생성 과정 중 유저 단말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함께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과거 시점을 더욱 생동감 있게 재현할 수 있게 되어, 유저 측에 최적의 이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북마크 기능을 제공하거나, 녹음 파일들을 스케줄러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유저의 이용 만족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버에서 녹음 파일의 저장 공간에 대한 용량 관리가 자동으로 수행되어 용량 부족으로 인한 성능 저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장치(10)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장치(10)는, 바람직하게 녹음 수행부(11), 리스너 등록부(12), 리스너 처리부(13) 및, 녹음 파일 제공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녹음 수행부(11)는 유저 단말(20)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2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녹음 수행부(11)는, 앞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상술한 녹음 수행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부터, 유저 단말(20)에서 별도의 비활성화 명령이 요청되는 시점까지에 대한 오디오데이터의 녹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리스너 등록부(12)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상기 유저 단말(20)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30)에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리스너 등록부(12)는 앞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상술한 리스너 등록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녹음 어플리케이션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간의 오디오포커스 신호 송수신에 대한 네트워크 환경 구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리스너 처리부(13)는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리스너 처리부(13)는, 앞서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리스너 처리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녹음 수행 중,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더라도,실질적인 영상 녹화가 수행되는 시점부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오디오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녹음 파일 제공부(14)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하여 생성된 녹음 파일을 상기 유저 단말(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녹음 파일 제공부(14)는 앞서 도 1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녹음 파일 제공부(14)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오디오데이터를 생성 시각을 기준으로 시계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녹음 파일 제공부(14)에 의해 유저 단말(20)의 출력 수단에 제공되는 녹음 파일은, 바람직하게 녹음 파일의 재생 옵션을 설정 가능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가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녹음 수행 시점에 촬영된 이미지 제공 기능, 녹음 파일에 대한 북마크 기능, 스케줄러 형태의 녹음 파일 출력 기능 등 녹음 파일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재생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유저 인페이스의 개념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유저 측에 향상된 녹음 파일 제공 서비스 이용 경험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녹음 파일 제공부(14)는 녹음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하는데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구조화된 녹음 파일을 기 설정된 제1 단위 시각에서부터 제2 단위 시각까지의 재생 구간을 갖는 형태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분할 녹음 파일이 획득되도록 하고, 각각의 분할 녹음 파일을 녹음 수행 시각으로 병합 처리한 후, 전체 재생 구간에 대하여 분할 파일에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에 대한 인덱스를 할당하여 구조화하는 기능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녹음 파일을 제공함에 있어서 단위 시각(예를 들어 매 시간 정각)에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점을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유저의 오디오 데이터 탐색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유저 단말(20)은, 적어도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의 유저 단말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7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7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 수행 단계;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상기 유저 단말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오디오포커스(Audio Focus)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Listener)를 등록하는 리스너 등록 단계;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상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리스너 처리 단계; 및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공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녹음 파일 제공 단계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을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으로 출력 제공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녹음 파일의 재생 옵션을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가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상기 유저 단말의 갤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상기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유효하게 검색되는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녹음 파일 재생 화면 일 영역에 검색된 이미지 파일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 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을, 선택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촬영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하되, 상기 촬영 시점보다 임계 시간 앞선 시점의 재생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서버는, 상기 유저 단말의 잔여 저장 용량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녹음 파일의 저장에 할당한 용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량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 관리를 수행하되,
    상기 용량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잔여 용량 미만으로 잔존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녹음 파일 중, 가장 오래된 저장 일자 정보를 갖는 녹음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삭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녹음 파일이 재생될 시, 상기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 중 유저의 관심 영역에 대한 인터랙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인터랙션 이벤트의 발생 시점을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북마크 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녹음 파일의 저장 일자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러 형태의 출력 제공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수행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녹음 중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될 시,
    상기 녹음 중단 이벤트의 발생 시점까지 녹음이 수행된 오디오데이터에 대한, 제1 녹음 파일의 생성 동작 및 일시정지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녹음 중단 이벤트가 종료된 것으로 감지될 시, 상기 녹음 중단 이벤트의 종료 시점에 대응되는, 제2 녹음 파일의 생성 동작 및 일시정지된 녹음파일의 녹음 재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로 구현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장치에 있어서,
    유저 단말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 수행부;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상기 유저 단말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에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를 등록하는 리스너 등록부;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상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리스너 처리부; 및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녹음 파일 제공부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을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으로 출력 제공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녹음 파일의 재생 옵션을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가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상기 유저 단말의 갤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상기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유효하게 검색되는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녹음 파일 재생 화면 일 영역에 검색된 이미지 파일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 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을, 선택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촬영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하되, 상기 촬영 시점보다 임계 시간 앞선 시점의 재생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서버는, 상기 유저 단말의 잔여 저장 용량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녹음 파일의 저장에 할당한 용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량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 관리를 수행하되,
    상기 용량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잔여 용량 미만으로 잔존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녹음 파일 중, 가장 오래된 저장 일자 정보를 갖는 녹음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삭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유저 단말에 설치되어, 녹음 파일의 생성 및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 수행 단계;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수행 중, 상기 유저 단말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점에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API에 오디오포커스 신호 처리를 위한 리스너를 등록하는 리스너 등록 단계;
    활성화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녹화가 시작되는 경우, 상기 API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하여 오디오포커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포커스 신호의 수신 시점부터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녹음을 중단하였다가, 영상 녹화의 종료 시점에 중단된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녹음이 재개되도록 하는 리스너 처리 단계; 및
    상기 녹음 어플리케이션에서 녹음된 오디오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구조화한 녹음 파일을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녹음 파일 제공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녹음 파일 제공 단계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을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으로 출력 제공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녹음 파일의 재생 옵션을 설정하도록 하는 선택 메뉴가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상기 유저 단말의 갤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중, 상기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상기 녹음 파일의 생성 시간에 촬영된 이미지 파일이 유효하게 검색되는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녹음 파일 재생 화면 일 영역에 검색된 이미지 파일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검색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 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을, 선택 입력된 이미지 파일의 촬영 시점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하되, 상기 촬영 시점보다 임계 시간 앞선 시점의 재생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서버는, 상기 유저 단말의 잔여 저장 용량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녹음 파일의 저장에 할당한 용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량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 관리를 수행하되,
    상기 용량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 잔여 용량 미만으로 잔존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녹음 파일 중, 가장 오래된 저장 일자 정보를 갖는 녹음 파일부터 순차적으로 삭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046681A 2020-04-17 2020-04-17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14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81A KR102146946B1 (ko) 2020-04-17 2020-04-17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81A KR102146946B1 (ko) 2020-04-17 2020-04-17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946B1 true KR102146946B1 (ko) 2020-08-21

Family

ID=7223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681A KR102146946B1 (ko) 2020-04-17 2020-04-17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9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607A (ja) * 2003-03-11 2004-09-30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100065577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607A (ja) * 2003-03-11 2004-09-30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100065577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0744B2 (en) Method for primary-backup server switching, and control server
US202004041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hoto and video capture
KR101668786B1 (ko)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8900902B (zh) 确定视频背景音乐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5955765B (zh) 应用预加载方法及装置
RU2656691C2 (ru) Способ и клиентский терминал для удаленной поддержки
US20220248077A1 (en) Video projec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038231B (zh) 日志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6484593A (zh) 日志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40111473A1 (en) Distributed display method and terminal for application interface
KR20160034839A (ko) 파일 백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0522829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372711A1 (en) Video playback apparatus and resume playback method
CN110851057A (zh) 配置bios的配置选项的方法和装置
KR20180043098A (ko)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7058795B2 (ja) ビデオ処理方法、装置、端末及び記憶媒体
CN115562744A (zh) 一种应用程序加载方法及电子设备
CN110798521B (zh) 分享文件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46946B1 (ko)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80122137A (ko) 영상에 동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457192A (zh) 一种文件监控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CN114339419A (zh) 一种视频流拉流处理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873082A (zh) 媒体文件播放方法及装置
CN108170576B (zh) 日志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2216524B1 (ko)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