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524B1 -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524B1
KR102216524B1 KR1020200046680A KR20200046680A KR102216524B1 KR 102216524 B1 KR102216524 B1 KR 102216524B1 KR 1020200046680 A KR1020200046680 A KR 1020200046680A KR 20200046680 A KR20200046680 A KR 20200046680A KR 102216524 B1 KR102216524 B1 KR 10221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file
file
user terminal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이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규 filed Critical 이준규
Priority to KR102020004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3Details of arch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저 단말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녹음 파일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녹음 파일의 전체 녹음 시간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을 분할 저장하기 위한 분할 단위를 결정하고, 녹음 파일을 결정된 분할 단위로 나눔으로써 획득되는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RECORDED FILE THROUGH DATA STRUCTURE}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녹음 파일의 분할, 병합 및 구조화를 통하여,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이 수행될 시,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이 현대인들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상술한 스마트 단말은 우리 주변에서 발생되는 수많은 이벤트를 수시로 기록하고, 현장을 더욱 생생하게 기억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녹음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식에 의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녹음되어 녹음 파일로 생성될 경우, 유저가 특정 시각 혹은 시간대에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빨리 감기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통해서만 검색을 하거나 속성 정보에서 녹음 된 시각 정보를 확인한 후, 재생 시간을 일일이 계산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유저가 특정 부분, 특정 시각에 녹음된 오디오 데이터의 검색을 위해서는 녹음된 파일 전체 내용을 직접 들어보지 않고서는 어떤 내용이 어느 시간대에 녹음되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특히 녹음 시간이 긴 경우, 유저가 원하는 부분(POI: Point Of Interest)을 빠르게 찾아서 해당 시간대로 재생 시점을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녹음 파일을 이용한 정보 획득의 효율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998333호(녹음 파일의 분할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음 파일 재생 방법)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 시, 녹음 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에 도달할 때마다, 분할된 녹음 파일을 생성하도록 하고, 이렇게 분할된 녹음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선행 기술의 경우, 기 설정된 기준 간격으로 분할된 녹음 파일 셋을 제공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점에서는 분명한 장점이 있으나,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들 간의 재생 시작 및 재생 종료가 반복되어 재생 끊김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녹음 파일의 제공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존재하였으며, 또한, 선행기술에서는 복수 개의 파일이 유저 단말에 한꺼번에 제공됨에 따라서, 서버 자원의 낭비가 큰 문제가 존재하였다.
즉 이에 따라서, 보다 나은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녹음 파일의 제공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녹음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와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녹음 서비스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녹음 파일의 분할, 병합 및 구조화를 통하여,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이 수행될 시,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오디오 탐색의 편의성을 위하여 녹음 파일을 분할하여 분할된 녹음 파일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과는 달리, 하나의 병합된 녹음 파일에 분할 단위에 따른 인덱스를 할당함으로써 녹음 파일의 재생 품질의 향상과 함께 유저와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녹음 파일의 제공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은, 유저 단말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녹음 파일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녹음 파일의 전체 녹음 시간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을 분할 저장하기 위한 분할 단위를 결정하고, 녹음 파일을 결정된 분할 단위로 나눔으로써 획득되는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의 수행 후, 분할 녹음 파일 각각의 메타데이터에서, 분할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순서로 병합 처리함으로써,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단일의 녹음 파일로 병합하는 녹음 파일 병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녹음 파일 병합 단계의 수행 후, 병합된 녹음 파일에는, 분할 녹음 파일에서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정보마다 인덱스를 할당하여 병합된 녹음 파일에 서로 다른 재생 시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구조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화 단계의 수행 후, 유저 단말로부터 구조화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유저 단말에, 인덱스의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인덱스 리스트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유저 단말에서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재생 시점과 관련된 출력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재생이 수행될 시, 인덱스가 할당된 재생 구간별 재생 시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화 단계의 수행 후,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병합된 녹음 파일의 생성에 이용된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의 수행 이전, 생성된 녹음 파일에 대한 불량 파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녹음 파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은, 유저 단말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녹음 파일 생성부; 및 생성된 녹음 파일의 전체 녹음 시간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을 분할 저장하기 위한 분할 단위를 결정하고, 녹음 파일을 결정된 분할 단위로 나눔으로써 획득되는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녹음 파일 분할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유저 단말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녹음 파일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녹음 파일의 전체 녹음 시간 정보를 기초로, 녹음 파일을 분할 저장하기 위한 분할 단위를 결정하고, 녹음 파일을 결정된 분할 단위로 나눔으로써 획득되는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녹음 파일의 분할, 병합 및 구조화가 수행된 녹음 파일이 유저 단말로 제공됨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이 수행될 경우의 오디오 데이터 탐색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편의를 증대하기 위하여 하나의 녹음 파일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제공하여 분할된 녹음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재생시키는 방식과는 다르게, 분할된 녹음 파일을 병합한 후, 구조화하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단일 파일을 갖는 형태의 녹음 파일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분할 녹음 파일들 간의 순차 재생에 따른 끊김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녹음 파일의 제공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으로 유저 단말에는 단일의 구조화된 녹음 파일이 제공됨에 따라서, 버그 현상은 줄이면서, 서버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유저와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여, 녹음 서비스에 대한 유저의 이용 만족도가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화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병합된 녹음 파일이 재생될 때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시간 정보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녹음 파일의 분할, 병합 및 구조화를 통하여,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이 수행될 시,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하나의 병합된 녹음 파일에 분할 단위에 따른 인덱스를 할당함으로써 녹음 파일의 재생 품질의 향상과 함께 유저와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녹음 파일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수행하기로 하며,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이에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도 1 및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녹음 파일 생성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에 탑재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온라인 상의 콘텐츠 마켓(예를 들어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S10 단계에서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라 함은, 유저 단말의 마이크에 입력되는 각종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유저 단말과 호 연결된 외부 단말에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유저 단말은, 적어도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의 유저 단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S10 단계에서는 유저 단말의 마이크를 포함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녹음 파일을 생성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생성된 녹음 파일을 기 설정된 제1 단위 시각에서부터 제2 단위 시각까지의 재생 구간을 갖는 형태로 분할하여 획득된 복수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분할 녹음 파일 저장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S20 단계는 애플이 개발 및 제공하는 임베디드 운영체제인 IOS에서는 녹음 파일의 생성 중에 파일의 분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과정인 것으로서, 이러한 과정 수행을 통하여 IOS 운영체제가 적용된 유저 단말에서도 녹음 파일의 구조화 작업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녹음 파일을 분할하는데 있어서 유저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 설정된 제1 단위 시각에서부터 제2 단위 시각까지의 재생 구간을 갖는 형태로 녹음 파일의 분할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단위 시각의 기준은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정각 시각을 제1 단위 시각으로 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각의 다음 번 정각 시각을 제2 단위 시각으로 설정하고, 매시 정각을 재생 시작 시점으로 하는 분할 기준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들어보면, 제1 실시 예로서, 9시부터 11시까지의 녹음 파일이 존재할 경우, 분할 파일은 9시~10시, 10시~11시로 2개의 분할 파일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 실시 예로서, 9시 40분에서 11시 30분까지의 녹음 파일이 존재할 경우, 분할 파일은 9시 40분~10시, 10시~11시, 11시~11시 30분까지의 분할 파일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녹음 수행 시각이 모두 상이한 녹음 파일이 유저 단말에 제공될 시, 일관된 규칙성이 부여된 녹음 파일 목록으로서 출력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저의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S20 단계의 기능 수행은, 종래 녹음 파일의 분할과 관련된 기술에서는, 단순히 최초 녹음 수행 시각에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녹음 파일을 분할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면 그 기능 측면에서 더욱 현저한 효과를 입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단순히 최초 녹음 수행 시작 시간에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녹음 파일을 분할하여 왔다.
일 예로, 종래 분할 방식은, 녹음 시작 시간이 9시 40분이라고 하면 10시 40분까지의 녹음 파일을 생성하고, 10시 40분에서 11시 40분까지의 녹음 파일을 생성하도록 하는 분할 방식이 이용되어 온 것이다.
한편 이러한 분할 방식은 유저 단말에 단 하나의 녹음 파일이 저장되는 경우에는 이용상 큰 불편함은 없을 수 있으나, 다수개의 녹음 파일이 저장되는 경우, 다수개의 녹음 파일이 서로 다른 재생 시점을 기준으로 분할된 파일들이 생성되게 되므로, 유저의 직관성을 저해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지극히 낮아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S2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기 설정된 단위 시각에 대응되도록 하는 분할 방식을 적용하여, 유저 단말에서 시간별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시점 제어가 수행될 수 있고 이에 유저의 직관성을 개선함은 물론이고,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S20 단계의 수행 전, S10 단계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녹음 파일에 대한 불량 파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녹음 파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 단계(미도시)가 더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 단계는, 오디오데이터의 입력이 수행되지 않아 소리가 녹음되지 않은 녹음 파일, 유저 단말의 마이크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녹음이 수행된 녹음 파일 및 파일의 생성 오류에 의하여 실행이 되지 않는 녹음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녹음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 파일의 존재 유무를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 단계의 수행 결과, 불량 파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본 발명에서는 불량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불필요한 녹음 파일의 구조화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을 방지되어 서버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의 수행 후, 분할 녹음 파일 각각의 메타데이터에서 분할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순서로 병합 처리함으로써,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단일의 녹음 파일로 병합하는 녹음 파일 병합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메타데이터는, 분할 녹음 파일 각각을 설명해주는 데이터로서, 분할 녹음 파일에 대한 속성 정보의 개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메타데이터에서는 분할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 정보, 재생 시간 정보 및, 용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때, 추출된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S30 단계에서는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정보로부터 분할 녹음 파일들을 단일의 녹음 파일로 병합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본 발명에서는 S30 단계에서 병합된 녹음 파일을 이용하여 구조화를 수행하게 되므로, 여러 개의 파일을 다루게 되면서 버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종래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편의를 증대하기 위하여 하나의 녹음 파일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제공하여 분할된 녹음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재생시키는 방식과는 다르게, 분할된 녹음 파일을 병합한 후, 구조화하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단일 파일을 갖는 형태의 녹음 파일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분할 녹음 파일들 간의 순차 재생에 따른 끊김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되어 녹음 파일의 제공 품질 향상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S30 단계의 수행 후에는, 병합된 녹음 파일에는 분할 녹음 파일에서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정보마다 인덱스를 할당하여, 병합된 녹음 파일에 서로 다른 재생 시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구조화 단계(S40)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S40 단계의 구조화는 예를 들어 분할 녹음 파일에서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이 9시 40분, 10시, 11시라고 가정하였을 때, 병합된 녹음 파일의 재생 구간 중 9시 40분, 10시 및 11시에 대응되는 지점에 인덱스를 할당하여 재생 시점에 대한 구조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S4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유저 단말에서 구조화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유저 단말에 인덱스의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인덱스 리스트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유저 단말에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재생 시점과 관련된 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오디오 데이터 탐색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재생이 수행될 시,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인덱스가 할당된 재생 구간별 재생 시간 정보가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화면 200에는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였다.
200을 참조하여 보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조화된 녹음 파일이 제공되어, 녹음 파일의 재생 시점의 제어를 위한 인덱스 리스트(210)가 출력되는 것에 대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는,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인덱스 할당된 재생 구간에 대한 식별자(211)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간 재생 구간에 대응되는 재생 구간별 재생 시간 정보(220)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녹음 수행 시각을 기준으로 하는 재생 시간 정보(220)가 출력되도록 하여, 녹음이 수행되던 시점이 재현되도록 하여 오디오 데이터 녹음 시점을 상기시켜,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편의성을 향상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상술한 S40 단계의 수행 후,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병합된 녹음 파일의 생성에 이용된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S4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불필요하게 차지하고 있는 분할 녹음 파일들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서버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100에서는, 앞서 도 1 및 2의 S10 내지 S40 단계의 수행에 따른 녹음 파일의 데이터 구조화에 따른 개념도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110에서와 같이, 유저 단말에 설치된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임의의 녹음 시간을 갖는 녹음 파일이 생성된 후, 120에서와 같이 기 설정된 제1 및 제2 단위 시각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분할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분할 녹음 파일들의 메타데이터를 통하여 녹음 수행 시각에 따른 순서를 정렬한 후, 단일의 녹음 파일로 병합하는 과정이 수행됨으로써, 130의 단일 녹음 파일을 획득할 수 있으며, 병합된 녹음 파일을, 분할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 정보에 기반하여 인덱스를 할당함으로써, 구조화된 녹음 파일을 최종적으로 유저 단말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는 S10 내지 S40 단계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녹음 파일의 분할, 병합 및 구조화가 수행된 녹음 파일이 유저 단말로 제공됨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이 수행될 경우의 오디오 데이터 탐색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편의를 증대하기 위하여 하나의 녹음 파일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제공하여 분할된 녹음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재생시키는 방식과는 다르게, 분할된 녹음 파일을 병합한 후, 구조화하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단일 파일을 갖는 형태의 녹음 파일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분할 녹음 파일들 간의 순차 재생에 따른 끊김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녹음 파일의 제공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으로 유저 단말에는 단일의 구조화된 녹음 파일이 제공됨에 따라서, 버그 현상은 줄이면서, 서버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유저와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여, 녹음 서비스에 대한 유저의 이용 만족도가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장치(10)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였다.
이에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장치(10)는, 녹음 파일 생성부(11) 및, 녹음 파일 분할 저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녹음 파일 생성부(11)는, 유저 단말(20)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유저 단말(2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녹음 파일 생성부(11)는, 앞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녹음 파일 생성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녹음 파일을 구조화하기 위한 베이스 자료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녹음 파일 분할 저장부(12)는, 생성된 녹음 파일을 기 설정된 제1 단위 시각에서부터 제2 단위 시각까지의 재생 구간을 갖는 형태로 분할하여 획득된 복수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녹음 파일 분할 저장부(12)는, 앞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장치(10)는, 도 5에서도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술한 녹음 파일 생성부(11) 및 녹음 파일 분할 저장부(12)와 함께, 녹음 파일 병합부(13) 및 구조화부(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녹음 파일 병합부(13)는, 분할 녹음 파일 각각의 메타데이터에서 분할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순서로 병합 처리함으로써,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단일의 녹음 파일로 병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녹음 파일 병합부(13)는, 앞서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녹음 파일 병합부(13)에 의하여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이 단일의 녹음 파일로 합쳐지게 됨에 따라서, 불필요한 서버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여러 개의 파일을 다루게 되면서 기술적으로 버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 또한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더 나아가, 상술한 녹음 파일 병합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유저 단말(20)에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녹음 파일의 단일의 파일을 갖는 녹음 파일로 제공되게 됨에 따라서, 녹음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사용성 및 직관성을 개선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화부(14)는, 앞서 설명한 녹음 파일 병합부(13)에 의하여 병합된 녹음 파일에, 분할 녹음 파일에서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정보마다 인덱스를 할당하여, 병합된 녹음 파일에 서로 다른 재생 시점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구조화부(14)는 앞서 도 1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조화부(14)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탐색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 녹음 파일을 유저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 수행은, 유저와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의 녹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녹음 서비스에 대한 유저의 이용 만족도의 증대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장치(10)는, 녹음 파일 분할 저장부(12)의 기능 수행 전, 생성된 녹음 파일에 대한 불량 파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녹음 파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하는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부는, 예를 들어, 오디오데이터의 입력이 수행되지 않아 소리가 녹음되지 않은 녹음 파일, 유저 단말(20)의 마이크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녹음이 수행된 녹음 파일 및, 파일의 생성 오류에 의하여 실행이 되지 않는 녹음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녹음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 파일의 존재 유무를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부가 불량 파일을 탐색해낸 경우, 데이터베이스(30)에서 불량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녹음 파일의 구조화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술한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장치(10)는, 유저 단말(20)에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이 수행될 경우의 오디오 데이터 탐색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 및, 분할 녹음 파일들 간의 순차 재생에 따른 끊김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녹음 파일의 제공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으로 유저 단말(20)에는 단일의 구조화된 녹음 파일이 제공됨에 따라서, 버그 현상은 줄이면서, 서버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 및, 녹음 서비스에 대한 유저의 이용 만족도가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6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6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녹음 파일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녹음 파일을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정각 시각인 제1 단위 시각에서부터 상기 제1 단위 시각의 다음 번 정각 시각인 제2 단위 시각까지의 재생 구간을 갖는 형태로 분할하여 매시 정각을 재생 시작 시점으로 하는 복수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의 수행 후,
    상기 분할 녹음 파일 각각의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분할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순서로 병합 처리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단일의 녹음 파일로 병합하는 녹음 파일 병합 단계; 및
    상기 녹음 파일 병합 단계의 수행 후,
    병합된 녹음 파일에는, 상기 분할 녹음 파일에서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정보마다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병합된 녹음 파일에 서로 다른 재생 시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구조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구조화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인덱스의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인덱스 리스트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재생 시점과 관련된 출력이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의 수행 이전,
    상기 생성된 녹음 파일에 대하여 소리가 녹음되지 않은 녹음 파일, 유저 단말의 마이크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녹음 수행된 녹음파일 및 파일의 생성 오류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 녹음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불량 녹음 파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하는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효성 검증 단계의 수행 결과에 따른 불량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녹음 파일의 구조화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재생이 수행될 시, 상기 인덱스가 할당된 재생 구간별 재생 시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 단계의 수행 후,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병합된 녹음 파일의 생성에 이용된 상기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7. 삭제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로 구현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장치에 있어서,
    유저 단말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녹음 파일 생성부; 및
    생성된 녹음 파일을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정각 시각인 제1 단위 시각에서부터 상기 제1 단위 시각의 다음 번 정각 시각인 제2 단위 시각까지의 재생 구간을 갖는 형태로 분할하여 매시 정각을 재생 시작 시점으로 하는 복수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녹음 파일 분할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 녹음 파일 각각의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분할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순서로 병합 처리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단일의 녹음 파일로 병합하는 녹음 파일 병합부; 및
    병합된 녹음 파일에는, 상기 분할 녹음 파일에서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정보마다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병합된 녹음 파일에 서로 다른 재생 시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구조화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구조화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인덱스의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인덱스 리스트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재생 시점과 관련된 출력이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녹음 파일에 대하여 소리가 녹음되지 않은 녹음 파일, 유저 단말의 마이크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녹음 수행된 녹음파일 및 파일의 생성 오류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 녹음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불량 녹음 파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하는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효성 검증부의 기능 수행 결과에 따른 불량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녹음 파일의 구조화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장치.
  9.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 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유저 단말의 실행 명령에 따라 녹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녹음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녹음 파일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녹음 파일을 현재 시각에 대응되는 정각 시각인 제1 단위 시각에서부터 상기 제1 단위 시각의 다음 번 정각 시각인 제2 단위 시각까지의 재생 구간을 갖는 형태로 분할하여 매시 정각을 재생 시작 시점으로 하는 복수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의 수행 후,
    상기 분할 녹음 파일 각각의 메타데이터에서, 상기 분할 녹음 파일의 녹음 수행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순서로 병합 처리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분할 녹음 파일을 단일의 녹음 파일로 병합하는 녹음 파일 병합 단계; 및
    상기 녹음 파일 병합 단계의 수행 후,
    병합된 녹음 파일에는, 상기 분할 녹음 파일에서 추출된 녹음 수행 시각 정보마다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병합된 녹음 파일에 서로 다른 재생 시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구조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구조화된 녹음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될 시,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인덱스의 할당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인덱스 리스트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상기 구조화된 녹음 파일의 재생 시점과 관련된 출력이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녹음 파일 분할 저장 단계의 수행 이전,
    상기 생성된 녹음 파일에 대하여 소리가 녹음되지 않은 녹음 파일, 유저 단말의 마이크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녹음 수행된 녹음파일 및 파일의 생성 오류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 녹음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불량 녹음 파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하는 녹음 파일 유효성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효성 검증 단계의 수행 결과에 따른 불량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녹음 파일의 구조화 처리 프로세스의 수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046680A 2020-04-17 2020-04-17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21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80A KR102216524B1 (ko) 2020-04-17 2020-04-17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80A KR102216524B1 (ko) 2020-04-17 2020-04-17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524B1 true KR102216524B1 (ko) 2021-02-16

Family

ID=7468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680A KR102216524B1 (ko) 2020-04-17 2020-04-17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52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607A (ja) * 2003-03-11 2004-09-30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100677622B1 (ko) * 2005-12-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파일의 이퀄라이저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오디오 파일 재생 방법
KR20080024876A (ko) * 2006-09-15 200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구간 검색장치와 방법
KR20100065577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2011029688A (ja) * 2009-07-21 2011-02-10 Oki Networks Co Ltd 通話録音再生方法及び通話録音装置
KR20160028673A (ko) * 2014-09-04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9646A (ko) * 2017-11-23 2019-05-31 이준규 녹음 파일의 분할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음 파일 재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JP2019090917A (ja) * 2017-11-14 2019-06-13 株式会社情報環境デザイン研究所 音声テキスト化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36721B1 (ko) * 2018-05-16 2019-10-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녹음 음성에 대한 빠른 검색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0070B1 (ko) * 2018-10-31 2020-03-17 카테노이드 주식회사 스트리밍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이를 이용한 av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607A (ja) * 2003-03-11 2004-09-30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100677622B1 (ko) * 2005-12-0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파일의 이퀄라이저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오디오 파일 재생 방법
KR20080024876A (ko) * 2006-09-15 200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구간 검색장치와 방법
KR20100065577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2011029688A (ja) * 2009-07-21 2011-02-10 Oki Networks Co Ltd 通話録音再生方法及び通話録音装置
KR20160028673A (ko) * 2014-09-04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9090917A (ja) * 2017-11-14 2019-06-13 株式会社情報環境デザイン研究所 音声テキスト化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59646A (ko) * 2017-11-23 2019-05-31 이준규 녹음 파일의 분할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음 파일 재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36721B1 (ko) * 2018-05-16 2019-10-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녹음 음성에 대한 빠른 검색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90070B1 (ko) * 2018-10-31 2020-03-17 카테노이드 주식회사 스트리밍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이를 이용한 av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0660B (zh) 从中央存储装置引导计算机系统
US20140123111A1 (en) Automatic testing apparatus for embedded software and automatic testing method thereof
CN102938039A (zh) 针对应用的选择性文件访问
WO2013083065A1 (zh) 音乐播放方法、第三方应用及装置
WO2016026328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11120212B2 (en) Creating and modifying applications from a mobile device
US12072929B2 (en) Song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328742B (zh) 容器信息监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13523031A (ja) 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の制御過程に高速な応答を実現する方法及び放送装置
CN105512276B (zh) 一种构建垃圾文件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122952A (ko) 인터넷 만화 컨텐츠에 대해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19509547A (ja) Gpuリソース再構築方法、ユーザー・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CN113672748A (zh) 多媒体信息播放方法及装置
WO2022134683A1 (zh) 在创作过程中生成已创作内容的脉络信息的方法与设备
KR101998333B1 (ko) 녹음 파일의 분할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음 파일 재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216524B1 (ko)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녹음 파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JP6034277B2 (ja) コンテンツ作成方法、コンテンツ作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作成プログラム
KR20130071829A (ko) 콘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검색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
US8341552B2 (en) Translating events in a user interface
US11631416B1 (en) Audio content validation via embedded inaudible sound signal
CN106940626B (zh) 一种获取虚拟机多磁盘间差异数据的方法和系统
US11895203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llect media metrics on computing devices
US20140244545A1 (e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2506592B (zh) 页面加载时长的确定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5187944B2 (ja) コンピュータ使用可能コードを実行する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