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660B1 -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660B1
KR102146660B1 KR1020130146107A KR20130146107A KR102146660B1 KR 102146660 B1 KR102146660 B1 KR 102146660B1 KR 1020130146107 A KR1020130146107 A KR 1020130146107A KR 20130146107 A KR20130146107 A KR 20130146107A KR 102146660 B1 KR102146660 B1 KR 10214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low
sound
band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865A (ko
Inventor
이창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6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으로,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하나의 대역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Method of preventing deception of vehicle intruder detection system using echo,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침입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은 침입자에 의해 창문의 파손 또는 부적절한 방법으로 도어락을 해제하여 차량을 도난하거나 차량 내의 귀중품을 도둑질하는 행위를 밀폐된 차내의 반향음을 이용하여 감지시 주변 혹은 차주에게 알림으로써 이를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침입자가 차량 침입시 외부에서 기만 장치(저주파 음향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정밀성은 감소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차량 침임 감지 시스템으로, (일본 출원번호 2003-626240) 차량 안에서 전송되고 차량 안에서 위치한 목적 대상으로부터 반사파를 기반으로 차량으로의 침입자를 탐지하기 위한 차량 탑재식 침입 탐지 장치에 있어서, 침입 탐지 장치는 1출력 레벨에 도달하거나 초과한 후, 반사파의 출력 레벨이 일정 시간 내에 1출력 레벨보다 높은 2출력 레벨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 침입을 표시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은 음향 전송 신호 성능을 개량한 경보 시스템으로 (일본 출원번호 1985-722509) 차량의 무선 스피커 시스템은 권한이 없는 침입자 또는 절도 감지와 승객의 음향 청취를 목적으로, 음향을 듣기 위해 사용될 때, 스피커는 수평으로 대시 보드에 탑재된 것과 같이, 차량에서 일반적 설치 위치를 차지한다. 차주 부재시 침입이 시도될 때, 차량의 외표면과 평행한 포지션 안으로 스피커를 변하게 하여 경보 시스템이 활성화된다. 이때 스피커의 재위치 설정으로 차량의 내부에서 경보 신호의 반향은 최소가 되고 외부에 대한 경보 신호의 전송은 최적화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차량 내부에서 반향된 저주파 음역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므로, 기만 장치(저주파 음향 발생기)를 사용하면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을 기만하여 경보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차량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은 침입자에 의해 창문의 파손 또는 부적절한 방법으로 도어락을 해제하여 차량에 침입할 때, 밀폐된 차내의 반향음을 감지하여 주변 또는 차주에게 알리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저주파의 반향음을 이용하여 침입자가 차량 침입시 외부에서 기만 장치(저주파 음향 발생기)를 작동시키면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간에 따른 저주파 주파수 대역을 무작위 선택하는 방법과 분할 주파수 대역을 무작위 조합하는 방법을 통해 기만 장치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는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부 및 상기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주파수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을 무작위로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상기 음향 발생부를 통해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고, 상기 선택된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폰부를 통하여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는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부, 상기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주파수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무작위로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대역을 조합하여 조합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고, 상기 조합된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 범위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은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하나의 대역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은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조합하여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합된 대역과 동일한 대역에서 발생되는 상기 저주파 음향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반향음과 상이한 반향음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주파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며 선택된 대역에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킨 후,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되,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한다.
저주파 음향의 반향음을 이용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은 다른 침입 감지 시스템보다 기만 장치의 구성이 용이한데, 기만 장치로부터 저주파 음향이 발생되면, 차량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종래 발명과 달리, 본 발명은 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주파수 무작위 선택 방법을 통해, 기만 장치가 예측하기 어려운 패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반향음으로 이용하여 차량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택한 저주파 음역과 상이한 음역대에서 일정 크기의 음향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기만 장치 작동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할 주파수 무작위 조합 방법을 통해, 여러 대역을 조합하여 이를 반향음으로 사용하므로, 기만 장치가 이를 예측하기 어려워 차량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정 시간마다 조합 방법을 바꾸므로, 수신된 반향음이 조합에 따른 반향음이 아닌 경우 기만 장치가 작동하거나 차량이 침입이 된 것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시스템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만 장치를 사용하여 경보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할 주파수 무작위 선택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할 주파수 무작위 조합 방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 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기만 장치를 사용하여 경보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가 파손되거나 도어가 개방되어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반향음의 진폭의 크기는 줄어들지만, 기만 장치로부터 저주파 음향이 발생되어 차량 침입 발생 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는 음향 발생부(110), 마이크로부(120), 경고부(130), 제어부(140) 및 타이머부(150)를 포함한다.
음향 발생부(110)는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음향 발생부(110)는 차량이 정상적인 잠김 상태 (도어락 상태)로 변하는 경우 ON 상태가 된다.
마이크로폰부(120)는 음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폰부(120)는 음향 발생부(110)에서 송신된 음향의 반향된 음향을 수신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경고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경고부(130)는 경고음, 점멸등 형식의 경고등 및 경고 안내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저주파 음향의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한 후, 선택된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음향 발생부(110)를 통해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고,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마이크로폰부(120)를 통하여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저주파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임의로 선택한 후, 선택된 대역을 조합하여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고, 조합된 대역과 동일한 대역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음향에 상응하는 반향음과 상이한 반향음을 마이크로폰부(120)를 통하여 수신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소정의 주기 시간마다 대역 조합을 변경한다. 따라서 기만 장치가 이를 용이하게 예측하기가 어려워 차량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타이머부(150)는 시간을 알려준다. 구체적으로 타이머부(150)는 일정 시간 때마다 시간을 제어부(140)에 알려주어 사용 주파수 대역을 변화시킨다.
제어부(140)는 타이머부(150)를 통해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저주파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한다(S21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를 통하여 저주파 대역폭을 n개의 대역으로 분할한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저주파 대역폭을 4개의 대역을 분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할된 n개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한다(S22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를 통하여 분할된 n개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한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분할된 4개의 대역(F(1), F(2), F(3), F(4)) 중 F(3)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어, 선택된 대역에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킨다(S23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선택된 대역에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음향 발생부(110)를 통하여 발생시킨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F(3)에서 5분을 주기로 저주파 음향을 음향 발생부(110)를 통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선택된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24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선택된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마이크로폰부(120)를 통하여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F(3)과 상이한 대역인 F(1)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마이크로폰부(120)를 통하여 5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끝으로,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S25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수신한 저주파 음향의 진폭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F(1) 대역에서 수신한 저주파 음향의 진폭 크기가 기설정한 임계값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경고부(130)는 경고음, 점멸등 형식의 경고등 및 경고 안내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한다(S220). 제어부(140)는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기만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저주파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한다(S31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를 통하여 저주파 대역폭을 3개의 대역으로 분할한다.
다음으로, 분할된 n개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임의로 선택한다(S32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분할된 3개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임의로 선택한다.
이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조합하여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킨다(S33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조합하는데, n=3이므로, 조합의 수는 7개가 된다. 전체 조합은 F(1), F(1)+F(2), F(1)+F(2)+F(3), F(2), F(2)+F(3), F(3), F(1)+F(3)이 된다. 여기서, 조합된 대역은 F(1)+F(2)가 될 수 있다.
계속하여, 조합된 대역과 동일한 대역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음향에 상응하는 반향음과 상이한 반향음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34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조합된 F(1)+F(2)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음향에 상응하는 반향음과 상이한 반향음을 5분 동안 지속적으로 마이크로폰부(120)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즉, F(1)+F(2)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음향과 상응하는 반향음을 수신하면 정상 상태인데, 이와 상이한 반향음을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상이한 반향음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S35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상이한 반향음을 5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부(130)를 통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경고부(130)는 경고음, 점멸등 형식의 경고등 및 경고 안내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조합된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 범위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F(1)+F(2)의 대역과 상이한 대역(예컨대, F(1))에서 소정 범위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이한 반향음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한다(S320). 제어부(140)는 상이한 반향음을 5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5분 경과 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한다.
또한, 조합된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 범위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한다(S320). 제어부(140)는 조합된 대역(예컨대, F(1)+F(2))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 범위의 에너지(정상 범위의 반향음이 존재)가 감지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할 주파수 무작위 선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주파수 무작위 선택 방법은 반향음으로 이용하는 저주파 음역대를 n개의 대역으로 분할하여 일정 시간 t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제어부(140)에서 선택하여 선택된 대역에서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고, 동일한 대역에서 반향음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선택된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일정 크기의 음향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기만장치가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할 주파수 무작위 조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주파수 무작위 조합 방법은 저주파 음역대를 n개의 대역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경우의 수는 2n - 1 개가 된다. (예컨대, 5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 경우, n=5 이면 25 - 1은 31가지의 대역으로 분할된다.
도 7에 도시한 경우를 살펴보면, F(1), F(1)+F(2), F(1)+F(2)+F(3), F(2), F(2)+F(3), F(3), F(1)+F(3)이 되고, 여기서, n=3 이고, 23 - 1은 7가지 대역으로 분할된다.
제어부(140)는 무작위로 일정 시간 t일 때마다 조합법을 바꾸는 방법을 사용하고 수신된 반향음에서 조합에 따른 반향음이 아닌 경우, 기만장치가 작동하고 있거나 차량 침입으로 판단하고 경보 장치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주파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며 선택된 대역에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킨 후,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되,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지 않으면, 소정 시간 경과 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한다.
저주파 음향의 반향음을 이용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은 다른 침입 감지 시스템보다 기만 장치의 구성이 용이한데, 기만 장치로부터 저주파 음향이 발생되면, 차량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종래 발명과 달리, 본 발명은 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주파수 무작위 선택 방법을 통해, 기만 장치가 예측하기 어려운 패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반향음으로 이용하여 차량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택한 저주파 음역과 상이한 음역대에서 일정 크기의 음향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기만 장치가 작동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할 주파수 무작위 조합 방법을 통해, 여러 대역을 조합하여 이를 반향음으로 사용하므로, 기만 장치가 이를 예측하기 어려워 차량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정 시간마다 조합 방법을 바꾸므로, 수신된 반향음이 조합에 따른 반향음이 아닌 경우 기만 장치가 작동하거나 차량이 침입이 된 것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음향 발생부 120 : 마이크로폰부
130 : 경고부 140 : 제어부
150 : 타이머부

Claims (10)

  1.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부; 및
    상기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주파수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을 무작위로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상기 음향 발생부를 통해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고, 상기 선택된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폰부를 통하여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상기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
    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경고음 발생, 점멸등 발광 및 경고 안내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4.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부;
    상기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주파수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무작위로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대역을 조합하여 조합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고, 상기 조합된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 범위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주기 시간마다 대역 조합을 변경하는 것
    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6.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하나의 대역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로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 발생한 저주파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수신한 상기 저주파 음향의 진폭 크기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
  8. 저주파 음향의 전송 가능 대역폭을 n개의 대역(n은 2 이상의 자연수)으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상기 n개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조합하여 소정의 주기 시간 동안 저주파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합된 대역과 동일한 대역에서 발생되는 상기 저주파 음향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반향음과 상이한 반향음을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면, 기만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 범위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상기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로 재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조합된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소정 범위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인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방법.
KR1020130146107A 2013-11-28 2013-11-28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107A KR102146660B1 (ko) 2013-11-28 2013-11-28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107A KR102146660B1 (ko) 2013-11-28 2013-11-28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865A KR20150061865A (ko) 2015-06-05
KR102146660B1 true KR102146660B1 (ko) 2020-08-21

Family

ID=5349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107A KR102146660B1 (ko) 2013-11-28 2013-11-28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6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776A (ja) * 1999-03-17 2000-10-24 Valeo Services Ltd 侵入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9280114A (ja) * 2008-05-23 2009-12-03 Fujitsu Ten Ltd 侵入検知装置及び侵入検知方法
JP2011027666A (ja) * 2009-07-29 2011-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侵入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776A (ja) * 1999-03-17 2000-10-24 Valeo Services Ltd 侵入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9280114A (ja) * 2008-05-23 2009-12-03 Fujitsu Ten Ltd 侵入検知装置及び侵入検知方法
JP2011027666A (ja) * 2009-07-29 2011-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侵入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865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7022B2 (en) Car theft prevention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US9031538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if a cellular jamming signal is malicious or non-malicious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US9205808B2 (en) Intrusion detection device
JP6113016B2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携帯機
US11864076B2 (en) Pairing based detection of a car theft
WO2018127353A1 (en) Vehicle keyless entry systems
JP2011106879A (ja) 自動車用侵入検知装置
JP2017102840A (ja) 車両監視装置
JP4658671B2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
KR102146660B1 (ko)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의 기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32401A1 (en)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JP4522276B2 (ja) 周辺監視装置
JP2006084428A (ja) 障害物検知装置
JP2006208029A (ja) 周辺監視装置
JP2011073615A (ja) 車両監視装置
CN102501823B (zh) 具有可调报警提示音的汽车防盗报警系统
CN106600871B (zh) 一种超声波防盗系统及其控制方法
EP3207536B1 (en) Co-operative lock system
JPH09113617A (ja) 超音波センサ
WO2018164090A1 (ja) 盗難防止装置及び盗難防止システム
KR101471747B1 (ko) 이동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06155061A (ja) 車両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50012482A (ko) 반향음을 이용한 차량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5821025B2 (ja) 移動体検出装置
WO2018101141A1 (ja) 侵入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