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573B1 -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573B1
KR102146573B1 KR1020190088680A KR20190088680A KR102146573B1 KR 102146573 B1 KR102146573 B1 KR 102146573B1 KR 1020190088680 A KR1020190088680 A KR 1020190088680A KR 20190088680 A KR20190088680 A KR 20190088680A KR 102146573 B1 KR102146573 B1 KR 10214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 body
insulation panel
integrated insulation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학
황현식
최흥순
하정국
정성대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주식회사 인하우스앤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주식회사 인하우스앤피씨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9008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닥면에 복수개의 앵커바와 복수개의 고정바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앵커바와 상기 고정바의 사이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앵커바에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 액상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숏크리트 방식으로 타설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AN INSULATION PANEL INTEGRATED WITH }
본 발명은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벽이나 외벽 등의 경우에는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 벽을 양생한 후 벽면에 타일이나 벽돌 등의 장식재를 부착하게 되며, 이는 콘크리트 양생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타일이나 벽돌 등의 장식재를 부착 시공하는데 숙련을 요하는 등의 이유로 공사기간이 늘어나거나 공사비용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장에서 건축물의 외부에 단열재를 시공한 후 마감시공을 행하는 외단열 시공의 경우에는 단열재를 건축물의 외벽 전체에 붙인 다음, 단열재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그물망을 붙이고, 접착제가 경화된 후에 도장을 하여 마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단열 및 마감시공은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에 작업을 중단해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고, 건축물의 외벽 전체에 시공된 단열재에 일일이 작업자가 흙손 등을 이용하여 그물망을 붙여야 하므로 대부분이 숙련된 기술자에 의존하게 되어 시간과 비용의 부담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바닥면에 복수개의 앵커바와 복수개의 고정바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앵커바와 상기 고정바의 사이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앵커바에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 숏크리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은, 패널 본체; 상기 패널 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맞은 편인 타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 상기 패널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및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핀에 각각 결합되는 그물 형상의 와이어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상기 앵커바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고정바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바와 상기 고정바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웃한 상기 앵커바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서로 이웃한 상기 고정바를 잇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바에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어 메쉬부와 상기 앵커바를 철사를 이용하여 서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 본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은, 상기 일측면 또는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와이어 메쉬부에 겹쳐지게 배치되는 둘레 보강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은, 상기 일측면 또는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상기 와이어 메쉬부에 겹쳐지게 배치되는 모서리 보강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녹인 공간에 시스템 요소를 매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 요소를 매입하는 단계는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 숏크리트를 부착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이 공장에서 미리 제조되므로 공사 현장에서의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이 경량 자재이므로 현장에서의 양중장비를 소형화할 수 있고, 지진 질량의 획기적인 감소로 인해 고정하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이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경우 완전한 단열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시공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장의 숙련도가 비교적 불필요하며, 경량이므로 붕괴 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레미콘 타설을 위한 중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에 벽체나 천장 또는 바닥을 콘크리트와 철근를 이용하여 시공할때 쓰여지는 거푸집(형틀)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액상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숏크리트 방식으로 타설하므로 바탕면 처리 작업이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일측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고랑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고랑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고랑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패널 본체에 고랑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패널 본체에 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핀에 와이어 메쉬부가 용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앵커바와 고정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앵커바와 고정바의 사이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앵커바와 와이어 메쉬부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둘레 보강 메쉬부와 모서리 보강 메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 숏크리트를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 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일측면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고랑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고랑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고랑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패널 본체(110), 고랑부(120), 핀(150), 와이어 메쉬부(1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 본체(110)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널 본체(110)는 자체 지지되는 구조물로서, 보나 기둥, 슬래브 같은 다른 요소가 없이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패널 본체(110)는 폴리스틸렌 재질을 포함한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패널 본체(110)는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일측면의 맞은 편인 타측면에는 표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는 고랑부(120)가 구비된다.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패널 본체(1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와, 패널 본체(1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패널 본체(110)는 전체 영역에서 비슷한 두께를 가지게 된다.
즉, 고랑부(120)가 형성되는 부위는 오목하게 파이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얇게 되는데,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므로, 패널 본체(110)의 두께가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되어 강도를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고랑부(120)는 패널 본체(11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랑부(120)의 저면은 패널 본체(110)의 표면과 수평하게 편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랑부(120)가 패널 본체(110)에 형성됨에 따라, 패널 본체(110)에 타설될 액상의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는 패널 본체(110)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고랑부(120)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와 고랑부(12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부착력이 더욱 향상된다. 와이어 메쉬부(180)를 구성하는 세로 방향의 와이어는 고랑부(120)의 영역에서 고랑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는 숏크리트 방식으로 타설된다. 숏크리트 방식은 매우 작은 틈새에도 들어가며 시공면도 확실히 밀착하여 밀도, 강도가 대단히 높기 때문에 방수용 모르타르 마감, 암반의 보호, 콘크리트의 수리 및 강재의 녹 방지 등에 이용된다.
패널 본체(110)에는 복수개의 핀(150)이 결합된다. 각각의 핀(150)은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다.
하나의 핀(150)이 패널 본체(110)를 관통하여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2개의 핀(150)이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핀(150)은 패널 본체(110) 상에 복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와이어 메쉬부(180)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이어 메쉬부(180)는 여러 개의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 즉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널 본체(110)에는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가 타설된다. 와이어 메쉬부(180)가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배치되므로,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는 와이어 메쉬부(180)를 아우르며 패널 본체(110)에 타설된다.
와이어 메쉬부(180)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취성 재료인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에 인장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와이어 메쉬부(180)는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를 구속하여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압축 강도를 향상시킨다.
와이어 메쉬부(18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150)에 결합되면서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다른 와이어 메쉬부(180)는 패널 본체(110)의 타측면 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핀(150)에 결합되면서 패널 본체(110)의 타측면 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각각 하나의 와이어 메쉬부(180)로 덮이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와이어 메쉬부(180)에 의해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덮일 수 있다. 다만, 패널 본체(110)의 측면에는 와이어 메쉬부(180) 및 핀(150)이 설치되지 않고, 패널 본체(110) 측면이 노출된다.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작업자는 와이어 메쉬부(180)를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배치하고,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여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를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패널 본체(110)에는 개구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15)에는 건축물에서 문틀 또는 창문틀이 장착될 수 있다.
개구부(115)는 하나의 패널 본체(110)에 추가 작업을 실시하여 일정 영역을 절개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15)는 복수개의 패널 본체(110)를 서로 맞대어 결합시킴으로써, 이웃한 패널 본체(110)의 공간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둘레 보강 메쉬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둘레 보강 메쉬부(310)는 패널 본체(110)에서 개구부(115)의 둘레를 따라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둘레 보강 메쉬부(31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모두 배치된다.
둘레 보강 메쉬부(31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메쉬부(180) 상에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패널 본체(110)에서 개구부(115)의 모서리에서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모두 배치된다.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메쉬부(180) 상에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개구부(115)의 일측 면과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본체(110)에는 여러 형태의 고랑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고랑부(120)는 패널 본체(11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형성된다. 또한 고랑부(120)의 저면은 패널 본체(110)의 표면과 수평하게 편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고랑부(120)는 패널 본체(110)의 표면에서 고랑부(120)의 저면까지 폭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고랑부(120)의 측면은 패널 본체(110)의 표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고랑부(120)는 패널 본체(11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형성되되,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상에 핀(150) 보다 더 돌출되는 연장핀(155)이 형성되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이다. 핀(150)이 와이어 메쉬부(180)와 거의 비슷한 높이로 돌출되는데 비해 연장핀(155)은 이보다 더 많이 돌출된다.
이로써,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과 다른 부재와의 결합이나 이음에 연장핀(155)을 활용할 수 있다.
도 9는 2개의 패널 본체(110)를 연결부(183)에 의해 서로 연결한 이중패널 타입의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이다.
2개의 패널 본체(110)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랑부(120)가 형성되지 않고, 그 맞은 편에만 고랑부(120)가 형성된다.
2개의 패널 본체(11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보강 철근(185)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보강 철근(185)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강 철근(185)은 와이어 메쉬부(180)와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83)는 2개의 패널 본체(110)를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시킨다. 연결부(185)는 2개의 패널 본체(110)가 전 영역에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패널 본체(110)의 복수 지점에 배치된다.
2개의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가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바닥에 주로 사용되는 바닥패널 타입의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이다.
본 실시예의 패널 본체(110)는 다른 타입의 패널 본체(110)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패널 본체(110)에는 기둥삽입부(130)가 구비된다. 기둥삽입부(130)는 기둥과 같은 다른 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로서, 삽입될 기둥의 개수에 맞춰 기둥삽입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패널 본체(110)에도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가 모두 설치될 수 있다.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는 보강 철근(185)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보강 철근(185)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강 철근(185)은 와이어 메쉬부(180)와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패널 본체에 고랑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패널 본체에 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서 핀에 와이어 메쉬부가 용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제조방법은 패널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S10), 패널 본체에 고랑부를 형성하는 단계(S20), 패널 본체에 핀을 결합하는 단계(S30), 패널 본체에 와이어 메쉬부를 배치하는 단계(S40), 핀과 와이어 메쉬부를 결합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패널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S10)에서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타입의 패널 본체(110)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일패널 타입의 패널 본체(110)는 물론, 도 9에 도시된 이중패널 타입의 패널 본체(110)와, 도 10에 도시된 바닥패널 타입의 패널 본체(110)를 제작할 수 있다.
패널 본체를 제작하는 단계(S10)는 패널 본체(110)에 개구부(115)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5)는 하나의 패널 본체(110)에 일정 영역을 절개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고, 또는 복수개의 패널 본체(110)를 서로 맞대어 결합시킴으로써 이웃한 패널 본체(110)와의 간격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패널 본체(110)의 제작이 완료되면, 패널 본체(110)에 고랑부(120)를 형성한다(S20).
고랑부(12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거나, 일측면의 맞은 편인 패널 본체(110)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고랑부(12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패널 본체(110)는 폴리스틸렌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패널 본체(110)는 설정온도 이상의 열에 녹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편평한 표면을 갖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열가공을 함으로써, 다른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파이는 고랑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열가공은 열선 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랑부(12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연속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패널 본체(110)의 두께가 전체 영역에서 동일 또는 거의 비슷하게 형성되도록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패널 본체(1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를 보면,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12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패널 본체(110)에 고랑부(120)를 형성한 후에 패널 본체(110)에 핀(150)을 결합할 수 있다(S30). 이와 달리, 패널 본체(110)에 고랑부(120)를 형성하기 이전에 패널 본체(110)에 핀(150)을 결합할 수도 있다.
핀(150)은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패널 본체(110)에 결합된다.
하나의 핀(150)으로 패널 본체(110)를 관통하도록 배치하되,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도록 하여 패널 본체(110)에 핀(150)을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돌출되는 핀(150)의 위치는 동일하다.
또는 2개의 핀(150) 중 어느 하나를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에 결합하고, 다른 하나를 패널 본체(110)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도록 핀(150)을 패널 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돌출되는 핀(150)의 위치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핀(150)은 와이어 메쉬부(180)이 패널 본체(110)에 묶이도록 하는 것이므로, 패널 본체(110)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산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핀(150)은 패널 본체(1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된다. 또한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이로써 핀(150)이 배치된 부위를 연결하면 그물 형상을 이루게 된다.
패널 본체(110)에 핀(150)이 결합된 이후에 패널 본체(110)에 와이어 메쉬부(180)를 배치한다(S40).
와이어 메쉬부(18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에 배치되거나, 패널 본체(110)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와이어 메쉬부(18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메쉬부(180)는 핀(150)과 결합되어야 하므로, 와이어 메쉬부(180)를 이루는 개별 와이어가 핀(150)에 접하도록 배치한다.
와이어 메쉬부(180)가 패널 본체(110)에 배치된 이후에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를 결합한다(S50).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 메쉬부(180)는 핀(150)이 설치된 지점에서 핀(150)과 용접되므로, 핀(150)을 통해 패널 본체(110) 상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패널 본체(110)에 개구부(115)가 형성되는 경우,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를 결합한 이후에 개구부(115)의 둘레를 따라 둘레 보강 메쉬부(310)를 와이어 메쉬부(180) 상에 겹쳐지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둘레 보강 메쉬부(310)는 용접 등에 의해 와이어 메쉬부(180)에 결합되거나, 핀(150)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 본체(110)에 개구부(115)가 형성되는 경우, 핀(150)과 와이어 메쉬부(180)를 결합한 이후에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를 개구부(115)의 각 모서리에서 와이어 메쉬부(180) 상에 겹쳐지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용접 등에 의해 와이어 메쉬부(180)에 결합되거나, 핀(15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둘레 보강 메쉬부(310)와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를 모두 와이어 메쉬부(180) 상에 겹쳐지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앵커바와 고정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앵커바와 고정바의 사이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앵커바와 와이어 메쉬부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시공방법에서 둘레 보강 메쉬부와 모서리 보강 메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서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앵커바와 고정바를 설치하는 단계(S110),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S120), 앵커바와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S130),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를 부착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앵커바와 고정바를 설치하는 단계(S110)에서는 바닥면(E)에 복수개의 앵커바(210)와 복수개의 고정바(215)를 설치한다.
바닥면(E)에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이 설치될 예정 지점이 선으로 표시된다. 표시선의 내측으로는 앵커바(210)의 설치를 안내하는 선이 바닥면(E)에 추가로 표시되고, 표시선의 외측으로는 고정바(215)의 설치를 안내하는 선이 바닥면(E)에 추가로 표시된다.
앵커바(210)와 고정바(215)는 바닥면(E)에 표시된 선을 따라 배치된다. 앵커바(210)와 고정바(215)는 60cm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로써 시공될 건축물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배치 간격은 변경될 수 있다.
앵커바(210)와 고정바(215)가 바닥면(E)에 배치될 때 건축물의 전체 외부를 따르는 영역은 방수 처리가 된다.
앵커바(210)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고정바(215)는 앵커바(210)의 후방에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앵커바(210)와 고정바(215)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이 배치될 지점에 미리 설치되므로, 작업자는 앵커바(210)와 고정바(215)의 위치 확인으로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설치 지점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앵커바(210)와 고정바(215)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앵커바(210)와 고정바(215)의 사이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이 설치되면,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앵커바(210)와 고정바(215)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앵커바(210)와 고정바(215)의 설치가 완료되면, 앵커바(210)와 고정바(215)의 사이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을 배치한다(S120).
앵커바(210)와 고정바(215)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연이어 설치되므로, 앵커바(210)와 고정바(215) 사이에 배치되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전방은 앵커바(210)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은 고정바(215)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서로 이웃한 앵커바(210)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서로 이웃한 고정바(215)를 잇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최단거리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두께와 동일하므로,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복수개의 앵커바(210)와, 그리고 복수개의 고정바(215)에 의해 바닥면(E)에 배치된 후에 흔들림 없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추가 작업이 필요한 경우 서로 이웃한 앵커바(210)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서로 이웃한 고정바(215)를 잇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최단거리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두께보다 다소 클 수 있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설계에 따라 2개 이상이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큰 건축물을 시공할 때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앵커바(210) 사이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코너에서 시작하여 이웃한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과 결속하여 보강될 수 있다. 이웃한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결속 시에 각각의 와이어 메쉬부(180)를 서로 겹치게 하고 각각의 와이어 메쉬부(180)를 철사(220) 등을 이용하여 결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널 본체(110)의 외곽으로 와이어 메쉬부(180)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건축물에서 구조적 목적이나 간막이벽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앵커바(210)와 고정바(215)의 사이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을 배치한 이후 앵커바(210)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을 결합한다(S130).
앵커바(210)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을 결합하는 단계(S130)는 와이어 메쉬부(180)와 앵커바(210)를 별도의 철사(220)를 이용하여 서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앵커바(210)는 2개 이상의 지점에서 집게나 펜치 등의 공구(G)에 의해 철사(220)로 와이어 메쉬부(180)와 결속된다. 와이어 메쉬부(180)가 앵커바(210)에 결속됨에 따라 와이어 메쉬부(180)를 갖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앵커바(21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앵커바(210)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을 결합하는 단계(S130)는 와이어 메쉬부(180)와 고정바(215)를 별도의 철사(220)를 이용하여 서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고정바(215)는 2개 이상의 지점에서 집게나 펜치 등의 공구(G)에 의해 철사(220)로 와이어 메쉬부(180)와 결속된다. 와이어 메쉬부(180)가 고정바(215)에 결속됨에 따라 와이어 메쉬부(180)를 갖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은 고정바(215)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이 2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를 타설하기 전에 벽용 버팀대(S)를 이용하여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로 시공된 벽(W)을 지지하여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벽용 버팀대(S)는 바닥면(E)에 지지되는 부위가 이동되지 않도록 체결부재 등에 의해 바닥면(E)에 결합될 수 있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이 2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에는 패널 본체(110)에 보강 철근(185)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패널 본체(110)에는 개구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15)는 커터 등의 공구(G)를 이용하여 패널 본체(110)의 일부 영역을 절개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을 개구부(115)가 있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과, 개구부(115)가 없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로 나누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20과 같이 개구부(115)는 복수개의 패널 본체(110)를 서로 맞대어 결합시키되, 좌우로 이웃한 패널 본체(110)와, 상하로 이웃한 패널 본체(110) 사이에 공간을 생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개구부(115)에는 건축물에서 문틀 또는 창문틀이 장착된다. 개구부(115)는 패널 본체(110)의 다른 부위보다 강도가 취약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보강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15)에 둘레 보강 메쉬부(310)와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를 설치함으로써 보강 작업을 한다.
둘레 보강 메쉬부(310)는 패널 본체(110)에서 개구부(115)의 둘레를 따라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둘레 보강 메쉬부(31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메쉬부(180) 상에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패널 본체(110)에서 개구부(115)의 모서리에서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에 모두 배치된다.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와이어 메쉬부(180) 상에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115)의 내측면에는 U 형상의 철망이 설치될 수 있고, U 형상의 철망과 함께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가 설정 두께만큼 덮일 수 있다. U 형상의 철망은 전체적으로 U 형상으로 형성되어 패널 본체(110)의 일측면, 개구부(115)의 내측면, 패널 본체(110)의 타측면을 덮는다.
그리고, 개구부(115)의 내측면 테두리에는 ㄷ자 단면 형태의 커버(400)가 설치되어 내측면 테두리를 마감하고, 패널의 내면과 외부간의 열교환을 차단한다. 커버(400)는 테두리의 내면과, 전면, 후면에 각각 안착되며, 단열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 보강 메쉬부(330)는 개구부(115)의 수직선과 수평선에 대하여 45도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응력이 집중되는 개구부(115) 모서리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개구부(115)가 대형인 경우에는 개구부(115)와 인접하게 패널 본체(110)에 철근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파이프와 박스, 그리고 전기, 화장실 조립품, 난반 등의 여러 시스템 요소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설치 후,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 타설 전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에 매입된다.
패널 본체(110)는 폴리스틸렌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풍기 또는 토치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패널 본체(110)를 녹여 공간을 확보하고, 해당 공간에 시스템 요소를 매입할 수 있다. 매입된 시스템 요소는 철사를 이용하여 와이어 메쉬부(180)에 결속되어 설치될 수 있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W)을 시공한 후에 건축물의 지붕(R)을 시공할 수 있다. 건축물의 지붕(R)을 지지하기 위해 지붕지지대(F)를 설치할 수 있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붕용 지지축(T)으로써 지붕(R) 또는 지붕지지대(F)를 지지할 수 있다.
앵커바(210)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을 결합한 이후에 압송공압장비(D)를 이용하여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에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를 숏크리트 방식으로 타설한다(S140).
압송공압장비(D)의 노즐을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과 약 10cm 거리를 유지하면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를 타설한다.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는 첫 번째 층으로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모든 표면을 덮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를 뿌린다.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100)의 각 면에서 구조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의 최종 두께는 30mm 내외이다.
균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에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추가할 수 있다.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M) 시공이 완료되면 세라믹, 플라스틱, 석재 등으로 마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
110 : 패널 본체
115 : 개구부
120 : 고랑부
150 : 핀
180 : 와이어 메쉬부
210 : 앵커바
215 : 고정바
310 : 둘레 보강 메쉬부
330 : 모서리 보강 메쉬부

Claims (11)

  1. 바닥면에 복수개의 앵커바와 복수개의 고정바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앵커바와 상기 고정바의 사이에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앵커바에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에 액상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숏크리트 방식으로 타설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은,
    패널 본체;
    상기 패널 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맞은 편인 타측면에 형성되는 고랑부;
    상기 패널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및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핀에 각각 결합되는 그물 형상의 와이어 메쉬부;를 포함하며,
    패널 본체의 양측면에는 메쉬부와 핀이 설치되지 않으며,
    상기 고랑부는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고랑부와, 상기 타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고랑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핀은 패널 본체를 관통하여 패널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핀은 패널 본체 상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패널 본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돌출되는 핀의 위치는 동일하되,
    상기 핀과 상기 와이어 메쉬부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와이어 메쉬부를 패널에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 메쉬부를 구성하는 세로 방향 와이어는 상기 고랑부 영역에 고랑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앵커바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고정바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앵커바와 상기 고정바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앵커바에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어 메쉬부와 상기 앵커바를 철사를 이용하여 서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본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은, 상기 일측면 또는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와이어 메쉬부에 겹쳐지게 배치되는 둘레 보강 메쉬부와, 상기 일측면 또는 상기 타측면에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상기 와이어 메쉬부에 겹쳐지게 배치되는 모서리 보강 메쉬부를 더 포함하고,
    개구부 내측면 테두리에는 U자 형상의 철망이 설치될 수 있고, U자 형상의 철망과 함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덮히며, U자 형상의 철망은 전체적으로 패널 본체의 일측면, 개구부의 내측면, 패널 본체의 타측면을 덮으며,
    개구부 내측면에는 ㄷ자 형태의 단열재 재질의 커버가 설치되어 내측면 테두리를 마감하고, 패널의 내면과 외면간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상기 앵커바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서로 이웃한 상기 고정바를 잇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하는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88680A 2019-07-23 2019-07-23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146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80A KR102146573B1 (ko) 2019-07-23 2019-07-23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80A KR102146573B1 (ko) 2019-07-23 2019-07-23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573B1 true KR102146573B1 (ko) 2020-08-20

Family

ID=7229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680A KR102146573B1 (ko) 2019-07-23 2019-07-23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777A (zh) * 2021-04-29 2021-08-10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一种外墙建筑一体化保温结构及施工方法
CN114525854A (zh) * 2022-03-07 2022-05-24 济南佳易建材有限公司 一种钢丝网架保温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6851B2 (ja) * 2001-06-15 2011-04-06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鉄筋コンクリート造部材の隅部補強構造
KR20120062407A (ko) * 2010-12-06 2012-06-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101968240B1 (ko) * 2017-08-23 2019-04-11 신상철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6851B2 (ja) * 2001-06-15 2011-04-06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鉄筋コンクリート造部材の隅部補強構造
KR20120062407A (ko) * 2010-12-06 2012-06-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101968240B1 (ko) * 2017-08-23 2019-04-11 신상철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777A (zh) * 2021-04-29 2021-08-10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一种外墙建筑一体化保温结构及施工方法
CN114525854A (zh) * 2022-03-07 2022-05-24 济南佳易建材有限公司 一种钢丝网架保温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345B1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EP2483488B1 (en) Building structure with prefabricated ribbed panels
KR102146573B1 (ko)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20062407A (ko)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KR102101510B1 (ko) 철근망 일체화 단열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4339695B2 (ja) 建築パネル並びに建築方法
JP549673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EP1757750B1 (en) Construction system based on prefabricated plates
KR101061030B1 (ko) 건물의 벽체 구조물
EA013175B1 (ru) Наружная стен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истемы аркос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JPH08209825A (ja) 建物の外壁パネルおよび建物の壁面工事方法
JPH09195438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建物の補強構造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KR100583072B1 (ko) 건축물의 계단실의 선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사용되는 피씨부재
RU238776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стен жилых домов,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в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опалубке
KR100202840B1 (ko)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JP3281972B2 (ja) 鉄筋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る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施工方法
JPH0816363B2 (ja) 基礎,壁等の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構築法とその構造体
KR101019739B1 (ko) 건축 조립체,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RU2696737C1 (ru) Способ выравнивания фасада при монолитном домостроении
KR101036909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내화시공시스템
KR101884571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KR930005630B1 (ko) 건축물의 조립식 슬라브
SU1131984A1 (ru) Сборна многопустотна панель перекрыт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