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276B1 -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276B1
KR102146276B1 KR1020190047671A KR20190047671A KR102146276B1 KR 102146276 B1 KR102146276 B1 KR 102146276B1 KR 1020190047671 A KR1020190047671 A KR 1020190047671A KR 20190047671 A KR20190047671 A KR 20190047671A KR 102146276 B1 KR102146276 B1 KR 10214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unit
gripping
rotation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열
Original Assignee
(주)예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울 filed Critical (주)예울
Priority to KR1020190047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276B1/ko
Priority to PCT/KR2020/005010 priority patent/WO2020218770A1/ko
Priority to SG11202111405WA priority patent/SG11202111405WA/en
Priority to CN202080028683.5A priority patent/CN113677235A/zh
Priority to US17/604,386 priority patent/US20220192338A1/en
Priority to GB2114563.6A priority patent/GB2596736B/en
Priority to JP2021560578A priority patent/JP727865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1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with a rotatable handle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몸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어를 파지하는 모발연출부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거나 상기 모발연출부의 상부회전바디가 벌려질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른 헤어 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작피로도를 낮춰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면에 다수의 제어버튼(110)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 둘레를 따라 가이드편(120)이 형성된 파지몸체부(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하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핑거조작부(2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가이드편(120)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회전바디(310)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회전바디(350)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모발연출부(300); 상기 모발연출부(30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200)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하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어버튼(110)에 의해 상기 모발연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업다운컨트롤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MULTIFUNCTION 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HAIR DIRE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몸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어를 파지하는 모발연출부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거나 상기 모발연출부의 상부회전바디가 벌려질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른 헤어 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작피로도를 낮춰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연출용 미용기기의 고데기는 뜨거워진 가열판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에 컬을 부여하데 사용되는 미용기구이다. 고데기는 대략 집게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긴 머리카락을 고데기에 말거나, 고데기를 적당히 회전시켜 다양한 컬을 만들 수 있고, 고데기를 이용하여 곱슬한 머리카락을 곧게 펴는데도 사용된다.
고데기의 가열판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열하는 열선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집게 형상의 몸체 내측에는 서로 마주보게 가열판을 설치해 두고, 가꾸고자 하는 머리카락들을 가열판 사이에 물린 상태에서 고데기를 쓸어 내리는 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고데기를 사용함에 있어 가열판이 머리카락에 가열하는 접촉시간과 압력에 따라 컬의 완성도와 머리카락의 손상정도가 달라진다. 특히 잦은 퍼머, 드라이 등으로 손상된 머리카락의 경우, 고데기의 오랜 사용은 머릿결을 크게 악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사용자는 가열된 머리카락에 강한 텐션을 걸어주기 위하여, 머리카락의 단부를 물어주는 가열판을 강하게 압착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이로써 머리카락의 형상 세팅은 강하게 이루어지만, 가열판의 열이 머리카락에 크게 전달되면서 머릿결의 손상이 쉽게 일어나게 된다.
한편 고데기는 때로 빗과 함께 사용된다. 빗은 고데기에 진입하는 머리카락을 고르게 하여, 고데기를 통과하는 가능한 모든 머리카락이 올바른 방향으로 말리거나 펼쳐질 수 있게 한다. 고데기와 빗을 사용하는 경우에 컬의 완성도는 좋게 나오지만 양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자세가 불편하여 개인이 혼자 거울을 보며 빗과 고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고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 중에는 고데기의 일측면에 빗을 가열판으로 들어가는 머리카락이 빗살을 거쳐 진입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빗이 부가된 고데기를 사용하더라도 컬을 잘 내려면 고데기를 강하게 쥐어야 하고, 그로 인해 머릿결의 손상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데기는 길이방향 일측의 힌지축을 매개로 한 쌍의 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시 상기 몸체를 파지한 상태로 움켜쥐는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고데기는 손을 움켜쥐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함은 물론 움켜쥔 상태로 머리카락을 말아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8727호의 헤어 고데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몸체부를 파지한 상태로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파지몸체부에 마련된 제어버튼을 조작하여 헤어연출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어버튼을 조작하여 헤어가 물림된 모발연출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헤어연출에 따른 조작편의성을 높이고, 핑거조작부에 걸쳐진 검지손가락이나 중지손가락의 구부림 반복동작에 의해 헤어를 상부회전바디와 하부고정바디 사이에 손쉽게 물림하여 헤어연출에 따른 조작피로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황에 따른 헤어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면에 다수의 제어버튼(110)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 둘레를 따라 가이드편(120)이 형성된 파지몸체부(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하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핑거조작부(2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가이드편(120)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회전바디(310)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회전바디(350)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모발연출부(300); 상기 모발연출부(30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200)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하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어버튼(110)에 의해 상기 모발연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업다운컨트롤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바디(3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하방가열판(321)이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에 캡장착구(322)가 마련된 하측물림구(320)와, 상기 하측물림구(320)의 하측에 장착되는 하측커버구(330)와, 상기 캡장착구(322)에 장착되는 장착커버(3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캡장착구(322)에는 한 쌍의 삽입장공(323)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커버(340)에는 노출공(3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상방가열판(361)이 장착된 상측물림구(360)와, 상기 상측물림구(360)의 상측에 장착되는 상측커버구(3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업다운컨트롤유닛(400)은,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버튼(11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캡장착구(322)와 장착커버(3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발연출부(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조작부(420)와, 상기 회전조작부(420)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조작시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벌려질 수 있도록 하는 상방회전가이드부(46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조작부(420)는,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장착공(431)이 형성된 밀착장착편(430)과, 상기 밀착장착편(43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모터(4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의 길이방향 일측이 힌지축(441)을 매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가이드편(440)과, 상기 회전가이드편(440)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밀착장착편(430)의 일측면에서 상기 장착커버(340)의 노출공(341)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4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축회전연결구(450)로 구성되며,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는,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장착공(43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연장가이드판(461)과, 상기 연장가이드판(46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편(440)에 상기 힌지축(441)을 매개로 결합되되 길이방향 하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리시버(46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핑거조작부(200)는,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바디부(210)와, 상기 파지바디부(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서포터(220)와, 상기 서포터(22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바디부(210)의 조작시 상기 리시버(462)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장가압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파지몸체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모발연출부(3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모발연출부(300)의 회전시 헤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모발파지편(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발파지편(500)은 상기 파지몸체부(10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어의 연출시 종래와 같이 손을 움켜쥐는 파지동작이 아닌 핑거조작부에 손가락을 걸어 구부리는 동작만으로 상기 상부회전바디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헤어 연출에 따른 조작피로도를 낮출 수 있고, 상황에 따라 헤어를 물림하여 쓰러내리거나 모발연출부를 회전시켜 헤어에 컬을 부여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헤어용 고데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몸체부 내측에 가이드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작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연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컨트롤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작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컨트롤유닛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작부상와 상방회전가이드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파지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성이 향상된 헤어용 고데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몸체부 내측에 가이드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작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연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컨트롤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작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다운컨트롤유닛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작부상와 상방회전가이드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파지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는 상측면에 다수의 제어버튼(110)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몸체부(100)와, 상기 파지몸체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핑거조작부(200)와, 상기 파지몸체부(100)에 연결되는 하부회전바디(310)와 상부회전바디(350)로 이루어져 헤어의 연출을 위해 헤어를 물림하는 모발연출부(300)와, 상기 모발연출부(300)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방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업다운컨트롤유닛(4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는 상기 파지몸체부(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버튼(1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발연출부(300)를 회전시켜 헤어에 컬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헤어를 곧게 펴는 작업시에는 핑거조작부(2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방회전시켜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와 하부회전바디(310) 사이에 헤어를 위치시킨 후,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조작을 해제하여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로 접혀져 헤어를 용이하게 물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헤어를 곧게 펴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지몸체부(100)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도록 이루어지고, 상측면에 다수개의 제어버튼(110)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 둘레를 따라 가이드편(12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편(120)은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걸림편(121)과 제2걸림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지몸체부(100)는 사용자의 파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외측면이 유선형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력선(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파지몸체부(100)가 전력선을 매개로 외부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별도의 건전지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 질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핑거조작부(2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하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핑거조작부(200)는 상기 모발연출부(300)의 하부회전바디(310)와 상부회전바디(350) 사이에 헤어를 물림하는 경우, 손가락의 구부림동작만으로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와 상부회전바디(350) 사이에 헤어를 용이하게 위치시켜 물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지몸체부(100)에는 상기 핑거조작부(20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별도의 탄성스프링(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핑거조작부(200)를 조작하여 후술되는 상부회전바디(350)를 벌리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조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 방향으로 원활히 접혀져 상기 상,하부회전바디(350,310)에 의한 헤어의 물림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핑거조작부(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발연출부(3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가이드편(120)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회전바디(310)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회전바디(350)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여 상황에 따른 적절한 헤어의 연출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모발연출부(300)는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와 하부회전바디(310) 사이에 헤어를 물림상태에서 쓰려내려 헤어를 곧게 펴거나,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와 하부회전바디(310) 사이에 헤어를 물림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헤어에 컬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와 상부회전바디(350) 사이에 헤어를 물림하는 경우, 상기 핑거조작부(200)에 걸림된 손가락의 구부림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방회전시켜 벌린 후,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와 상부회전바디(350)사이에 헤어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구부림동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로 접혀져 헤어를 용이하게 물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회전바디(3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하방가열판(321)이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에 캡장착구(322)가 마련된 하측물림구(320)과, 상기 하측물림구(320)의 하측에 장착되는 하측커버구(330)와, 상기 캡장착구(322)에 장착되는 장착커버(34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캡장착구(322)에는 한 쌍의 삽입장공(323)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커버(340)에는 노출공(3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장착커버(340)가 상기 가이드편(120)의 제1,2걸림편(121,122)사이에 위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상방가열판(361)이 장착된 상측물림구(360)와, 상기 상측물림구(360)의 상측에 장착되는 상측커버구(37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업다운컨트롤유닛(400)은 상기 모발연출부(30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200)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하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어버튼(110)에 의해 상기 모발연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조작하게 되면 상기 업다운컨트롤유닛(400)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벌려지게 되고, 상기 제어버튼(110)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업다운컨트롤유닛(400)에 의해 상기 모발연출부(300)가 회전되어 헤어에 컬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업다운컨트롤유닛(400)을 살펴보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버튼(11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발연출부(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조작부(420)와, 상기 회전조작부(420)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조작시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벌려질 수 있도록 하는 상방회전가이드부(46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조작부(420)는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장착공(431)이 형성된 밀착장착편(430)과, 상기 밀착장착편(43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모터(4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의 길이방향 일측이 힌지축(441)을 매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가이드편(440)과, 상기 회전가이드편(440)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밀착장착편(43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모터(4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축회전연결구(4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조작부(420)는 상기 캡장착구(322)와 장착커버(3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축회전연결구(450)는 상기 장착커버(340)의 노출공(341)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410)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는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장착공(43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연장가이드판(461)과, 상기 연장가이드판(46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편(440)에 상기 힌지축(441)을 매개로 결합되되 길이방향 하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부 하측 즉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길이방향 일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리시버(46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위치장착공(431)은 상기 캡장착구(322)의 삽입장공(323)과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가이드판(461)이 상기 삽입장공(323)과 위치장착공(43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업다운컨트롤유닛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방회전시켜 벌리는 경우, 상기 핑거조작부(20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일측이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의 리시버(462)를 가압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상기 힌지축(441)을 기준으로 상방회전되어 벌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조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로 접혀져 헤어를 용이하게 물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회전축에 설치되거나 상기 회전조작부(420)의 힌지축(441)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헤어를 곧게 펴는 연출의 수행시에는 작업자가 상기 상,하부회전바디(350,310)사이에 헤어를 물림한 상태에서 쓰러내리게 되면 헤어를 곧게 펼 수 있게 되고, 헤어에 컬을 연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버튼(110)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410)가 구동하여 상기 회전조작부(4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조작부(420)에 연결된 상기 상,하부회전바디(310)가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헤어에 컬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핑거조작부(200)는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방회전시켜 벌려지도록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핑거조작부(200)는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바디부(210)와, 상기 파지바디부(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서포터(220)와, 상기 서포터(22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바디부(210)의 조작시 상기 리시버(462)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상기 힌지축(441)을 기준으로 상방회전되어 벌려질 수 있도록 하는 연장가압구(23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서포터(220)의 상면에는 오목홈부(2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홈부(221)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모터(410)가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모터(4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별도의 회전제한부재(41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에는 상기 모발연출부(300)에 의해 헤어를 물림한 상태에서 컬을 연출하기 위해 상기 모발연출부(300)를 회전시키는 경우, 헤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발파지편(50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모발파지편(50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모발연출부(3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모발연출부(300)의 회전시 헤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발파지편(500)은 폭단면상 호 형상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회전바디(3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모발파지편(500)은 상기 파지몸체부(10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헤어에 컬을 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발파지편(5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헤어를 곧게 펴는 연출시에는 상기 모발파지편(500)을 상기 파지몸체부(100)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른 적절한 사용을 가능토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는 헤어를 곧게 펴는 연출이나 헤어에 컬을 부여하는 연출을 하나의 기기를 통해 모두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손가락 조작으로 상부회전바디를 상방회전시키거나 모발연출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파지몸체부 110: 제어버튼
120: 가이드편 200: 핑거조작부
210: 파지바디부 220: 서포터
230: 연장가압구 300: 모발연출부
310: 하부회전바디 320: 상부회전바디
400: 업다운컨트롤유닛 410: 구동모터
420: 회전조작부 460: 상방회전가이드부
500: 모발파지편

Claims (7)

  1. 상측면에 다수의 제어버튼(110)이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 둘레를 따라 가이드편(120)이 형성된 파지몸체부(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하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핑거조작부(2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가이드편(120)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회전바디(310)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회전바디(350)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모발연출부(300); 상기 모발연출부(30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핑거조작부(200)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상하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어버튼(110)에 의해 상기 모발연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업다운컨트롤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바디(3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하방가열판(321)이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에 캡장착구(322)가 마련된 하측물림구(320)와, 상기 하측물림구(320)의 하측에 장착되는 하측커버구(330)와, 상기 캡장착구(322)에 장착되는 장착커버(3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캡장착구(322)에는 한 쌍의 삽입장공(323)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커버(340)에는 노출공(3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상방가열판(361)이 장착된 상측물림구(360)와, 상기 상측물림구(360)의 상측에 장착되는 상측커버구(3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업다운컨트롤유닛(400)은,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버튼(11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캡장착구(322)와 장착커버(3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발연출부(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조작부(420)와, 상기 회전조작부(420)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핑거조작부(200)의 조작시 상기 상부회전바디(350)가 벌려질 수 있도록 하는 상방회전가이드부(46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조작부(420)는, 상기 하부회전바디(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장착공(431)이 형성된 밀착장착편(430)과, 상기 밀착장착편(430)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동모터(4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의 길이방향 일측이 힌지축(441)을 매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가이드편(440)과, 상기 회전가이드편(440)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밀착장착편(430)의 일측면에서 상기 장착커버(340)의 노출공(341)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410)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축회전연결구(450)로 구성되며,
    상기 상방회전가이드부(460)는, 상기 상부회전바디(35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장착공(43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연장가이드판(461)과, 상기 연장가이드판(46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편(440)에 상기 힌지축(441)을 매개로 결합되되 길이방향 하측이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부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리시버(46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핑거조작부(200)는, 상기 파지몸체부(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바디부(210)와, 상기 파지바디부(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서포터(220)와, 상기 서포터(22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바디부(210)의 조작시 상기 리시버(462)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회전바디(3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장가압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몸체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모발연출부(3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모발연출부(300)의 회전시 헤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모발파지편(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파지편(500)은 상기 파지몸체부(10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47671A 2019-04-24 2019-04-24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KR10214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671A KR102146276B1 (ko) 2019-04-24 2019-04-24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PCT/KR2020/005010 WO2020218770A1 (ko) 2019-04-24 2020-04-14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SG11202111405WA SG11202111405WA (en) 2019-04-24 2020-04-14 Multi-functional hair-styling thermal treatment beauty device
CN202080028683.5A CN113677235A (zh) 2019-04-24 2020-04-14 多功能美发美容电热器
US17/604,386 US20220192338A1 (en) 2019-04-24 2020-04-14 Multifunctional hair-styling thermal treatment beauty device
GB2114563.6A GB2596736B (en) 2019-04-24 2020-04-14 Multi-functional hair-styling thermal treatment beauty device
JP2021560578A JP7278655B2 (ja) 2019-04-24 2020-04-14 多機能ヘアー演出用美容電熱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671A KR102146276B1 (ko) 2019-04-24 2019-04-24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276B1 true KR102146276B1 (ko) 2020-08-21

Family

ID=7223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671A KR102146276B1 (ko) 2019-04-24 2019-04-24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2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754Y1 (ko) * 2005-03-08 2005-06-02 유닉스전자주식회사 전동식 헤어스타일링 아이론
KR200394529Y1 (ko) * 2005-06-21 2005-09-02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발열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스타일링 아이론
KR101263801B1 (ko) * 2012-10-18 2013-05-13 주식회사 제이에스코퍼레이션 고데기
KR20140002071U (ko) * 2012-07-04 2014-04-08 좡파 덩 헤어 컬링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754Y1 (ko) * 2005-03-08 2005-06-02 유닉스전자주식회사 전동식 헤어스타일링 아이론
KR200394529Y1 (ko) * 2005-06-21 2005-09-02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발열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헤어스타일링 아이론
KR20140002071U (ko) * 2012-07-04 2014-04-08 좡파 덩 헤어 컬링 디바이스
KR101263801B1 (ko) * 2012-10-18 2013-05-13 주식회사 제이에스코퍼레이션 고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5986B2 (ja) ヘアカールおよび/またはヘアスタイリング用の装置
US6191387B1 (en) Hair styling tongs with biased handles
CN104869862B (zh) 直发器
US20060201527A1 (en) Multifunction hair appliance
GB2479881A (en) Hair styling implement
MX2011004813A (es) Herramienta de peinado de cabello con cilindro giratorio.
WO2020139940A1 (en) Hair styler including hinged arms having twisted hair contact surfaces
EP3927209B1 (en) Hair styling device
US10058158B2 (en) Hair waving apparatus
WO2005067760A1 (ja) ヘアーアイロン
JP2009522012A (ja) 毛髪処理装置
KR100910102B1 (ko) 헤어 아이론
KR102146276B1 (ko)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US20230114339A1 (en) Flat iron comb
JP6902239B2 (ja) ヘアーアイロン
KR101842932B1 (ko) 다용도 헤어 미용 기구
JP7278655B2 (ja) 多機能ヘアー演出用美容電熱機器
CN210248818U (zh) 理发设备
CN100376183C (zh) 头发成型装置
EP2135522A1 (en) Hair tool with vibrating member
JP3123139U (ja) セラミックヘアアイロン
KR101506150B1 (ko) 전열식 헤어 아이론
KR20150086088A (ko) 헤어 고데기
CN218515318U (zh) 壳体可左右转动的自动卷发器
JP2020195738A (ja) ヘアアイロンおよびそれに用いる毛梳き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