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204B1 -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204B1
KR102146204B1 KR1020190140997A KR20190140997A KR102146204B1 KR 102146204 B1 KR102146204 B1 KR 102146204B1 KR 1020190140997 A KR1020190140997 A KR 1020190140997A KR 20190140997 A KR20190140997 A KR 20190140997A KR 102146204 B1 KR102146204 B1 KR 102146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double
adhesive tape
sid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수
고경남
Original Assignee
대원케미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케미칼(주) filed Critical 대원케미칼(주)
Priority to KR102019014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5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력한 부착력을 우수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전자파를 차폐하고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아크릴 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 첨가된 블랙 카본 분말을 포함한 조성의 제1점착층(11)과; 블랙 카본 분말이 첨가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기재층(14)과; 수지 조성의 발포 폼층(17)과; 아크릴 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 첨가된 블랙 카본 분말을 포함한 조성의 제2점착층(12)과; 도전성 섬유 기재로 구성된 전도성 기재층(18)과; 아크릴계 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 첨가된, 금속 분말, 블랙 카본 분말 및 적색의 안료를 포함한 조성의 제3점착층(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층(11), 기재층(14), 발포 폼층(17), 제2점착층(12), 전도성 기재층(19) 및 제3점착층(13)이 차례로 적층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테이프 {DOUBLE-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력한 부착력을 우수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전자파를 차폐하고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면 점착 테이프는 텔레비전의 제조시 가이드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 간에 삽입되어 이들의 상호 접착을 위해 사용되며, 이로써 텔레비전은 가이드 패널, 즉 일반적으로 전면측에서부터 텔레비전 화면의 테두리부를 이루는 베젤, 디스플레이 패널, 중간 캐비넷, 그리고 후면 커버의 순서대로 조립된다.
그런데, 양면 점착 테이프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착에 사용되어 경화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되어 상기 패널로부터 광이 흘러나오는 소위 빛샘(light leakage) 현상이 초래된다. 이러한 빛샘 현상은 예컨대 LCD 패널의 경우에서 스크린의 얼룩번짐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빛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다공성 폼(foam) 구조를 갖는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일 예로서, 상기 다공성 폼 구조체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되며, 이는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점착력 안정성, 대면적 및 중량이 적용되는 부품조립에 효율적이고도 외부충격의 완화 기능을 갖는다. 다른 예로서, 상기 다공성 폼 구조체는 초박형 두께로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층으로 구성되며 이의 양면은 점착체층으로 코팅된다.
특히, 최근의 텔레비전은 상기 베젤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텔레비전 화면 속 영상이 텔레비전의 프레임에 제한되지 않고 무한한 몰입감을 갖도록 하는 이른바 슬림 베젤(slim bezel) 또는 보더리스(borderless) 구조를 구현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베젤은 얇아지는 반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더욱 대화면화되어가므로, 결국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베젤은 그만큼 더 무거워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중을 감당해야하고 이에 사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는 더욱 강한 점착력을 가져야한다.
더구나, 위와 같은 슬림 베젤의 보더리스 구조에서는 증가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중으로 인해 빛샘 현상이 증가되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흘러나오는 광이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부를 구성하는 폼 구조체와 후면 커버에 의해 재반사되어 결국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추는 황색광인 산란광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사용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상기 산란광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지만, 그만큼 점착면적이 감소되어 대화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중을 제대로 지지하지못함으로써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의 폼 구조체가 밀려나 분리되어버리는 불량이 발생하고, 이는 결국 산란광 발생의 가중된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베젤, 중간 캐비넷 및 후면 캐비넷 간에 전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는 것도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3042호(2009. 5. 27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8717호(2013. 9. 5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강력한 부착력을 우수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전자파를 차폐하고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하기 층들 (i)~(vi)을 포함하며 이들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i) 아크릴 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 첨가된 블랙 카본 분말을 포함한 조성의 제1점착층과;
(ii) 블랙 카본 분말이 첨가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기재층과;
(iii) 수지 조성의 발포 폼층과;
(iv) 아크릴 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 첨가된 블랙 카본 분말을 포함한 조성의 제2점착층과;
(v) 도전성 섬유 기재로 구성된 전도성 기재층과;
(vi) 아크릴계 중합체와,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 첨가된, 금속 분말, 블랙 카본 분말 및 적색의 안료를 포함한 조성의 제3점착층.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점착층, 제2점착층 및 제3점착층 중의 하나 이상은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 열경화제 또는 광경화제, 가교제, 및 가소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전도성 기재층은 섬유 원단과 상기 섬유 원단의 표면상에 차례로 적층된 니켈층, 구리층 및 니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3점착층의 상기 안료는 청색, 황색 및 보라색 중의 하나 이상의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3점착층의 상기 금속 분말은 니켈 분말, 은 코팅 구리분말 및 니켈 코팅 구리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3점착층은 5Ω 이하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3점착층의 조성은 소포제, 분산제 및 레벨링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점착층, 제2점착층 및 제3점착층 중의 하나 이상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중량대비 0.05~5wt% 범위의 상기 블랙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3점착층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중량대비 20~50wt% 범위의 상기 금속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안료는 상기 제3점착층의 총량대비 0.05~2wt%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기재층의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성으로 구성된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발포 폼층의 상기 수지 조성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성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전도성 기재층은 0.1Ω 이하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전도성 기재층의 상기 섬유 원단은 폴리에스테르를 조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일면이 상기 전도성 기재층에 부착된 상기 제3점착층의 다른 일 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이드 패널과의 접착에 있어서 강력한 부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전자파를 차폐함과 동시에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특히 각각의 위치에 따라 점착기능과 산란광 차폐 기능 및 전자파 차폐 기능 중의 하나 이상을 하도록 점착층이 복수로 포함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적층됨으로써,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강력한 부착력을 유지함과 함께 산란광 및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폐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에 의한 양면 점착 테이프(10)는 제1점착층(11), 기재층(14), 발포 폼층(17), 제2점착층(12), 전도성 기재층(18) 및 제3점착층(13)이 차례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며 이들 각 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점착층(11) 및 제2점착층(12)
먼저, 본 발명에서, 제1점착층(11) 및 제2점착층(12)은 예컨대 사출물 알루미늄,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아연도금강판(EGI), 갈바늄 등 재질의 가이드 패널에 부착될 수 있는 감압성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기본조성에 블랙 카본을 첨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랙 카본은 아크릴계 중합체 중량대비 대략 0.05~5wt%, 바람직하게는 대략 1~5wt%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블랙 카본은 고형분이 대략 40~50%로 바인더에 분산된 토너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아크릴계 중합체에 첨가됨을 고려할 때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컨대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로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모든 아크릴계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점착층(11) 및 제2점착층(12)의 조성은 열개시제나 광개시제, 열경화제나 광경화제, 가교제, 그리고 가소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경화제로서는 이소시안네이트계, 폴리아민계, 금속 알킬레이드계, 멜라민계, 아지리딘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점착층(11)의 두께는 대략 0.03~0.08㎜ 범위로 될 수 있고, 제2점착층(12)의 두께는 대략 0.01~0.08㎜ 범위로 될 수 있다.
기재층(14)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층(14)은 필름시트에 블랙카본이 투입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시트는 플라스틱 재료로서 카본을 함유하여 블랙 색상의 필름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될 수 있고,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시트로서 적절한 시중의 제품으로는 PET 재질의 S800(SKC사)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14)은 기재층(14)-제1점착층(11) 간, 그리고 기재층(14)-발포 폼층(17) 간의 밀착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 양면에 산화법이나 요철화법 등에 의해 통상의 코로나 방전처리 및/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제1점착층(11)과 밀착되는 기재층(14)의 일 면은 코로나 방전처리 후 프라이머 코팅을 함으로써 기재층이 안착되고 밀착도가 개선되어 제1점착층(11)이 탈착됨이 방지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발포 폼층(17)과 밀착되는 기재층(14)의 다른 일 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를 함으로써 탈착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재층(14)의 두께는 대략 25~150㎛ 범위로 될 수 있다.
발포 폼층(17)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 폼층(17)은 원료수지를 발포하여 다공성 구조를 갖는 시트로 되고, 일 실시예로서 그 두께는 대략 120~3000㎛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폼층(17)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0.15~0.3g/㎤의 밀도로 발포되고 압축복원율은 대략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95% 이상이고, 압축력변형도(CFD: compression force deflection)는 대략 0.05~0.5이다. 이러한 특성의 발포 폼층(17)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양호한 내충격성을 갖고 전술했듯이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포 폼층(17)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폼으로 될 수 있고, 특히 폴리우레탄은 균일한 표면을 얻을 수 있고 연신율 및 파괴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전도성 기재층(18)
본 발명에서, 전도성 기재층(18)은 섬유 원단에 금속층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 원단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임의의 공지된 섬유 재질의 천 또는 부직포로 될 수 있으나, 상기 재질로서는 폴리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층은 니켈, 구리 및 니켈의 순서대로 차례로 상기 섬유 원단의 표면에 적층될 수 있고, 상기 적층은 도금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기재층(18)은 ASTM D257 표준에 따라 대략 0.1Ω 이하의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의 두께는 대략 25~150㎛ 범위로 될 수 있다.
제3점착층(13)
본 발명에서 제3점착층(13)은 빛흡수 기능을 갖는 복합 색상의 전자파 차폐 기능층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3점착층(13)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기본조성에 금속 분말 및 블랙 카본과, 안료를 첨가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금속 분말의 함유는 효과적으로 전자파 차폐를 달성하며, 상기 블랙 카본의 함유는 점착부위에서의 빛샘 방지를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또한, 상기 안료는 적색, 청색, 황색, 보라색 등의 안료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블랙 카본에 의한 빛샘 방지를 보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분말로는 니켈 분말, 은 코팅 구리분말 및 니켈 코팅 구리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니켈 분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분말은 아크릴계 중합체 중량대비 대략 20~50wt%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니켈 분말은 벌크밀도가 대략 1.9~2.3 g/㎤ 범위의 침상 분말이 사용될 수 있고, 적절한 시중의 제품으로는 T123TM(Vale사) 니켈분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점착층(13)은 ASTM D257 표준에 따라 대략 5Ω 이하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블랙 카본은 아크릴계 중합체 중량대비 대략 0.05~5wt%, 바람직하게는 대략 1~5wt%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블랙 카본은 고형분이 40~50%로 바인더에 분산된 토너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아크릴계 중합체에 첨가됨을 고려할 때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컨대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로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모든 아크릴계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료는 적색, 청색, 황색 및 보라색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료는 적색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 청색, 황색 및 보라색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색안료는 디케토피롤로피롤계, 퀴나크리돈계, 티아진인디고계 또는 안트라퀴논계 안료로 될 수 있고, 상기 청색안료는 구리 프탈로시아닌계 또는 크산텐계 안료로 될 수 있고 크산텐계 안료로 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황색안료는 아조계, 이소인돌린계, 퀴노프탈론계 안료로 될 수 있고, 상기 보라색 안료는 디옥사딘계로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료 분말은 제3점착층(13) 조성물의 총량대비 대략 0.05~2wt%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3점착층(13)의 조성은 열개시제나 광개시제, 열경화제나 광경화제, 가교제, 그리고 가소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3점착층(13) 조성물의 총량대비 대략 2~4wt%의 광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경화제로서는 이소시안네이트계, 폴리아민계, 금속 알킬레이드계, 멜라민계, 아지리딘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3점착층(13)의 조성은 상기 금속 분말과 블랙 카본 분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포제, 분산제 및 레벨링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점착층(11)의 두께는 대략 0.03~0.08㎜ 범위로 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형성된 제3점착층(13)의 전기저항을 ASTM D257 표준에 따라 측정한 값들을 정리한 것이다. 표 1에서, 제3점착층(13)의 각 시료 실시예 1~10은 100×100㎟ 및 500g의 크기로 형성하고 이를 이소프로필알콜(IPA) 및 헵탄으로 각각 1회씩 세척한 후, GOLD Conductive 지그로 면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온(23℃/50%)에서 30초후 또는 일정하게 나올 때는 낮은 수치로 측정값을 기록하였다.
제3점착층(13)의 실시예 전기저항값(Ω)
1 2.25
2 3.15
3 2.98
4 3.12
5 3.63
6 3.33
7 2.95
8 2.25
9 3.45
10 2.89
평균 3.00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들에 의한 제3점착층(11)의 전기저항값은 평균 대략 3.00Ω으로서, 전술한 전도성 기재층(18)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접착시 효과적인 접지기능과 전자파 차폐효과를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이형지(19)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전도성 기재층(18)의 이면에 적층된 상기 제3점착층(11)의 다른 일 면에 필름상의 이형지(19)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이형지(19)는 무광의 필름으로 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형지(19)는 무광을 부여하도록 매트(matt) 처리된 양면 실리콘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매트 처리 코팅은 광택도가 1~5 범위로 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형지(19)의 두께는 25~150㎛ 범위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접착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술한 구성층들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접착력을 도 2에 도시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측정하되(기판(substrate)으로는 SUS 기판과 글라스 기판을 각각 사용함), 25×300㎟의 크기로 형성하고 이를 이소프로필알콜(IPA) 및 헵탄으로 각각 1회씩 세척한 후, ASTM D3330 표준에 따라 4.5lb 롤러를 이용하여 1회 왕복 접착하고, 완전히 접착된 시편을 실온(23℃/50%)에서 30분간 UTM을 이용하여 300㎜/min의 속도로 180°박리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낸다(실시예 11).
또한, 비교예로서, 시중의 베젤리스 테이프(LG전자 65인치 65SM8500)를 동일 조건으로 평가하여 표 2에 함께 나타낸다(비교예 1). 상기 비교예 1의 테이프 구조는 블랙 제1점착층-스킨층-발포 폼층-기재층-제2점착층으로 구성된다.
사용 기판 측정횟수에 따른 접착력(g.f/25㎜) 평균 비고
제1회 제2회 제3회
비교예 1 SUS 2345 2250 2232 2276 기재층과 발포 폼층이 파괴됨
실시예 11 2172 2239 2387 2266 양호함
비교예 1 글라스 3264 2561 2880 2902 기재층과 발포 폼층이 파괴됨
실시예 11 2250 2428 2477 2385 양호함
위 표 2를 보면, 본 접착력 평가에서 시중의 제품인 비교예 1은 기재층과 발포 폼층 모두가 파괴되었으나, 본 발명 실시예 11은 구조가 양호하면서도 기준값 1500g.f/25㎜를 훨씬 초과하는 우수한 접착력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접착 유지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술한 구성층들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접착 유지력을 도 3에 도시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측정하되(기판(substrate)으로는 글라스 기판을 사용함), 시편을 25×25㎟의 크기로 형성하고 이를 이소프로필알콜(IPA) 및 헵탄으로 각각 1회씩 세척한 후, ASTM D3654 표준에 따라 4.5lb 롤러를 이용하여 1회 왕복 접착하고, 완전히 접착된 시편을 상온에서 30분간 에이징한 후 고온(60℃/50%)에서 500g 무게의 추로 1440분 이상에서 강제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상기 테이프가 분리되어 떨어지는 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낸다(실시예 12).
또한, 비교예로서, 시중의 베젤리스 테이프(LG전자 65인치 65SM8500)를 동일 조건으로 평가하여 표 3에 함께 나타낸다(비교예 2). 상기 비교예 2의 테이프 구조는 블랙 제1점착층-스킨층-발포 폼층-기재층-제2점착층으로 구성된다.
측정횟수에 따른 접착 유지시간(min)
제1회 제2회 제3회
비교예 2 1440 이상 1440 이상 1440 이상
실시예 12 1440 이상 1440 이상 1440 이상
위 표 3을 보면, 본 접착 유지시간 평가에서 본 발명 실시예 12는 시중의 제품인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모두 1440분 이상의 시간 동안 접착을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접착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면 점착 테이프(10)는 강력한 부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전자파를 차폐하고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은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양면 점착 테이프
11: 제1점착층
12: 제2점착층
13: 제3점착층
14: 기재층
17: 발포 폼층
19: 전도성 기재층

Claims (15)

  1. 아크릴 중합체와 첨가물로서 블랙 카본 분말을 포함한 조성의 제1점착층(11)과;
    블랙 카본 분말이 첨가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기재층(14)과;
    수지 조성의 발포 폼층(17)과;
    아크릴 중합체와 첨가물로서 블랙 카본 분말을 포함한 조성의 제2점착층(12)과;
    섬유 원단층과 상기 섬유 원단층의 표면상에 차례로 적층된 니켈층, 구리층 및 니켈층을 포함한 구조의 전도성 기재층(18)과;
    아크릴계 중합체와 첨가물로서 금속 분말, 블랙 카본 분말 및 적색 안료를 포함한 조성의 제3점착층(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층(11), 기재층(14), 발포 폼층(17), 제2점착층(12), 전도성 기재층(19) 및 제3점착층(13)은 차례로 적층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11), 제2점착층(12) 및 제3점착층(13) 중의 하나 이상은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 열경화제 또는 광경화제, 가교제, 및 가소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층(13)의 상기 안료는 청색, 황색 및 보라색 중의 하나 이상의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층(13)의 상기 금속 분말은 니켈 분말, 은 코팅 구리분말 및 니켈 코팅 구리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층(13)은 5Ω 이하의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층(13)의 조성은 소포제, 분산제 및 레벨링제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착층(11), 제2점착층(12) 및 제3점착층(13) 중의 하나 이상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중량대비 0.05~5wt% 범위의 상기 블랙 카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층(13)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중량대비 20~50wt% 범위의 상기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점착층(13)은 상기 제3점착층(13) 조성의 총량대비 0.05~2wt% 범위의 상기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14)의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성으로 구성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층(17)의 상기 수지 조성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재층(18)은 0.1Ω 이하의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기재층(18)의 상기 섬유 원단층은 폴리에스테르를 조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15. 제1항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전도성 기재층(18)에 부착된 상기 제3점착층(13)의 다른 일 면에 부착된 이형지(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190140997A 2019-11-06 2019-11-06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14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997A KR102146204B1 (ko) 2019-11-06 2019-11-06 양면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997A KR102146204B1 (ko) 2019-11-06 2019-11-06 양면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204B1 true KR102146204B1 (ko) 2020-08-20

Family

ID=7224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997A KR102146204B1 (ko) 2019-11-06 2019-11-06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55B1 (ko) * 2021-11-04 2022-03-22 김경호 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42A (ko) 2007-11-22 2009-05-27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고분자 발포 폼의 표면개질을 이용한 점착테이프의제조방법 및 그 구조물
JP2010013648A (ja) * 2008-07-04 2010-01-21 Tesa Se 電子部品を接合するための発泡体両面接着テープ
KR20130098717A (ko) 2012-02-28 2013-09-05 브이티컴퍼지트(주) 박막 폴리우레탄 폼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914376B1 (ko) * 2017-06-14 2018-11-01 고형수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8171916A (ja) * 2017-03-30 2018-11-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複合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42A (ko) 2007-11-22 2009-05-27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고분자 발포 폼의 표면개질을 이용한 점착테이프의제조방법 및 그 구조물
JP2010013648A (ja) * 2008-07-04 2010-01-21 Tesa Se 電子部品を接合するための発泡体両面接着テープ
KR20130098717A (ko) 2012-02-28 2013-09-05 브이티컴퍼지트(주) 박막 폴리우레탄 폼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18171916A (ja) * 2017-03-30 2018-11-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複合体
KR101914376B1 (ko) * 2017-06-14 2018-11-01 고형수 양면 점착 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55B1 (ko) * 2021-11-04 2022-03-22 김경호 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5794B2 (en) Impact-resistant film for flat display panel, and flat display panel
US20090246535A1 (en) Transparent conductive multi-layer struc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030211333A1 (en) Impact-resistant film for flat display panel, and flat display panel
KR101757962B1 (ko) 점착제 조성물
EP2799505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US6252703B1 (en) Transparent laminate and filter for use for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transparent laminate
US20090084599A1 (en) Nano inks for imparting emi shielding to windows
DE102008031356A1 (de) Doppelseitige Schaumstoffklebebänder zur Verklebung von elektronischen Bauteilen
US20150086767A1 (en) Adhesive tape
KR102146204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DE202012002321U1 (de) Mobiles elektronisches Gerät mit verbesserter Aufprallmilderung
JP2002173656A (ja) 感圧性接着剤組成物、感圧性接着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WO1998045828A9 (fr) Panneau anterieur destine a un ecran a plasma
JPWO2005088587A1 (ja) 透明積層体
US20110143071A1 (en) Sheet for absorbing impact and sealing having adhesivenes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914376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DE112004001388T5 (de) Frontplatte für eine Plasmaanzeige und Plasmaanzeige
US6780921B2 (en) Highly conductive thermoplastic elastomer (TPE) gap filler
DE202012002319U1 (de) Mobiles elektronisches Gerät mit verbessertem Toleranzakkumulator
DE202012002318U1 (de) Mobiles elektronisches Gerät mit verbessertem Chassis
EP3842503A1 (en) Impact-resistant double-sided tape for display device
CN101372537A (zh) 用于硬涂布层的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硬涂布膜以及包含该硬涂布膜的抗反射膜
KR10137590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광학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4394B1 (ko)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KR102215411B1 (ko) 차광성 잉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차광성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