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995B1 -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995B1
KR102145995B1 KR1020200006918A KR20200006918A KR102145995B1 KR 102145995 B1 KR102145995 B1 KR 102145995B1 KR 1020200006918 A KR1020200006918 A KR 1020200006918A KR 20200006918 A KR20200006918 A KR 20200006918A KR 102145995 B1 KR102145995 B1 KR 10214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or slab
layer
concrete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철
Original Assignee
윤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철 filed Critical 윤석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8Membranes multi-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 외부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지면 위에 형성된 버림 콘크리트층에 물이 통과하지 않는 수지 재질의 방수층을 배치하는 방수층 배치단계; 상기 방수층 상부면에 접착층을 배치하는 접착층 배치단계; 상기 접착층 상부면에 물에 녹으면 제거되는 수용성필름을 부착하는 수용성필름 배치단계; 및 상기 수용성필름 위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수용성필름은 타설된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유래하는 수분에 의해 용해되고, 그 결과 상기 접착층이 상기 바닥슬래브 콘크리트 표면에 직접 접촉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의 외방수공법 중 특히 방수층이 바닥슬래브 표면에 직접 접착층만으로 부착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OUTSIDE WATER-PROOFING METHOD FOR CONCRETE FLOOR SLAB}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지면에 버림 콘크리트층, 방수층 및 바닥슬래브를 차례로 형성하는 방식의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에 있어서, 버림 콘크리트층 위에, 방수층,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을 차례로 적층하고, 수용성필름 위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기존 방수층 상부 접착층 상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 곤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부직포 또는 메쉬망을 접착층 위에 추가 배치한 상태로 타설 작업을 수행하였던 공법에 비하여, 자재 절약 및 작업 시간 단축이 가능해지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새로운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차도, 지하철 박스,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은 지하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법은 먼저 땅을 열어서 굴착한 후, 굴착면에 지지층으로서 버림 콘크리트층을 시공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지하수면과 접해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측벽, 바닥슬래브 및 상부슬래브 등 모든 벽체의 외측에 방수층을 시공한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접착식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 부착하는 방수공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부이나 상부슬래브의 경우와는 달리 그 바닥슬래브의 경우, 통상적으로 버림콘크리트층 타설, 방수층을 버림 콘크리트층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배치 및 바닥슬래브 타설이 순차로 진행되기 때문에, 방수층이 바닥슬래브 표면에 직접 접착되지 않았다. 이 경우 예컨대 지하 수위의 변동 또는 지하에 매설된 수도관에서 물이 누수되는 등의 이유로 콘크리트 구조물 하부슬래브 아래 또는 인근에서 흙이 유실되어 공동, 즉 싱크홀이 발생하여 버림콘크리트층에 거동이 발생하는 경우, 바닥슬래브를 보호하고 있던 방수층은 버림콘크리트층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버림콘크리트층과 함께 거동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바닥슬래브로부터 이탈되어 방수 성능에 큰 하자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만약 외부의 물이 하자 발생 부위에서 방수층을 뚫고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물은 방수층과 바닥슬래브 사이에서 불규칙적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바닥슬래브 내부에서는 물 유입이 어디서 시작되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어 하자 보수에 어려움이 크다는 문제도 있었다.
종래 하부접착방식의 바닥슬래브 외방수공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수층이 바닥슬래브에 안정적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상부접착방식의 바닥슬래브 외방수공법에 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0-0930421호(2009.12.07 등록,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역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는 (1) 바닥부에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단계, (2) 방수시트 위에 후타설 콘크리트와 부착가능한 방수씰재를 설치하는 단계, (3) 방수씰재 위에 매쉬망을 설치하는 단계 및 (4)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선시공 방수층이 후타설 콘크리트와의 안정된 접착을 확보하는 방수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다른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0-1360132호(2014.02.03 등록, 발명의 명칭: 지하구조물의 외방수와 역타설 구간의 방수시공 방법)는 (1) 바탕면에 양면 점착형 방수시트 설치단계, (2) 방수시트 상에 압축보호판을 설치하고 및 압축보호판 사이와 위에 저점도 매스틱씰을 충진 및 도포하는 단계, (3) 저점도 매스틱실 위에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 및 (4) 부직포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의 압력에 의해 압축보호판이 압착되고 이에 따라 저점도 매스틱씰이 부칙포에 함침됨으로서, 방수시트가 매스틱씰에 의해 바닥슬래브에 접착되도록 하는 방수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상부접착방식 공법들은 특히 바닥슬래브에 직접 방수층이 접착하게 되므로, 하자 발생시에도 물이 유입되는 부분을 쉽게 발견하여 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바닥슬래브 하부의 버림콘크리트층에 거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방수층이 안정적으로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였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상부접착방식 외방수공법에 따르면 방수층 위 접착층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끈적거리는 접착층 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끈적거리는 접착층 위를 밟으면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할 수는 없으므로, 접착층 위에 보호층을 추가 설치한다. 이러한 보호층은 바닥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접착층을 막아 보호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후 바닥슬래브 표면에 접착층이 직접 접촉하도록 보호 기능을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보호층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보호층으로서 부직포 또는 매쉬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방수층은 부직포 또는 매쉬망에 침투된 상태의 접착층에 의해 바닥슬래브 표면에 부착되는 간접부착구조로 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방수층이 직접 접착층을 통해 바닥슬래브 표면에 부착하는 직접부착구조에 비하여 여러가지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콘크리트 타설시 접착층 보호를 위해 부직포나 매쉬망과 같은 추가 자재가 더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직포나 매쉬망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접착력 유지를 위해서는 부직포나 매쉬망이 없는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량의 접착제가 필요해지므로 비용이 증가되고, 시공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공법들은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0930421호(2009.12.07) 등록특허번호 제10-1360132호(2014.02.03) 일본 특허공개번호 특개평6-340017 (1994.12.03)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지하차도, 지하철 박스 또는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의 외방수공법 중 특히 방수층이 바닥슬래브 표면에 직접 접착층만으로 부착되는 구조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기술을 찾던 중,
만약 방수층의 접착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번호 특개평6-340017에서 개시하고 있는 PVA(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이 평소에는 부직포와 같은 질감을 가지는 한편으로 물에 닿으면 녹아 제거되는 성질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수용성필름으로 구성하고, 예컨대 방수층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에 수용성필름을 부착시켜 제조된 상태의 방수시트를 그대로 버림 콘크리트층 위에 배치한 후 그 수용성필름 위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면,
첫째 버림 콘크리트층 표면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단계가 필요없으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둘째 방수시트에서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인 수용성필름을 떼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방수시트 배치 작업이 용이해지고; 셋째 접착층 위를 수용성필름이 보호하고 있으므로 접착층 위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위해 별도의 부직포나 매쉬망을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자재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넷째 수용성 필름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타설된 콘크리트의 수분에 의해 수용성필음이 녹아 제거될 수 있고 그 결과 방수층은 바닥슬래브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접착층을 통해 바닥슬래브에 부착되므로 본 발명자가 찾고 있던 직접부착방식의 외방수공법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을 깨달았다.
나아가, 이와 같이 수용성필름을 보호필름으로서 구비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할 경우, 기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굴착부 바닥에 형성하는 지지층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만들 필요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바탕면이 습윤 상태에서도 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버림 콘크리트층 위에 별도의 콘크리트층을 시공할 필요가 없고 건조에 필요한 시간이 절약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지지층을 시공하기 위해 소요되는 자재의 양이 감소되고 시공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추가적인 장점이 더 제공될 수 있다는 점도 깨달았다.
이러한 깨달음에 기초하여 제안되는 본 발명은 지면에 버림 콘크리트층, 방수층 및 바닥슬래브를 차례로 형성하는 방식의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으로서, 버림 콘크리트층 위에, 방수층,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을 차례로 적층하고, 수용성필름 위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기존 방수층 상부 접착층 상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 곤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부직포 또는 매쉬망을 접착층 위에 추가 배치한 상태로 타설 작업을 수행하였던 공법에 비하여, 부직포 또는 매쉬망이 필요없으므로 자재가 절약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새로운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의 외방수공법으로서 특히 방수층,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의 방수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방수층,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의 배치 작업이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림 콘크리트층의 표면이 습윤한 상태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버림 콘크리트층의 표면을 건조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시공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새로운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의 외방수공법으로서 특히 방수층,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의 방수시트를 배치할 때 인접한 두 방수시트를 일부분 겹치로록 겹이음하거나 또는 서로 측면이 인접하도록 맞이음하여 배치한 후, 그 사이를 이형지,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의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넓은 면적의 바닥슬래브의 외방수공법시 다수의 방수시트를 배치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시트와 방수시트간 틈을 포함하는 모든 영역이 수용성필름으로 커버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고 견고한 구조의 방수층 시공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새로운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은, 지면 위에 형성된 버림 콘크리트층에 물이 통과하지 않는 수지 재질의 방수층을 배치하는 방수층 배치단계; 상기 방수층 상부면에 접착층을 배치하는 접착층 배치단계; 상기 접착층 상부면에 물에 녹으면 제거되는 수용성필름을 부착하는 수용성필름 배치단계; 및 상기 수용성필름 위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수용성필름은 타설된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유래하는 수분에 의해 용해되고, 그 결과 상기 접착층이 상기 바닥슬래브 콘크리트 표면에 직접 접촉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층 배치단계, 상기 접착층 배치단계 및 상기 수용성필름 배치단계는, 상기 방수층과 상기 접착층과 상기 수용성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방수시트를 배치하는 방수시트 배치단계에 의해 한꺼번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필름은 CMC(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PVA(폴리비닐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 배치단계는 복수의 방수시트를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방수시트 사이는, 인접한 두 방수시트를 일부분 겹치로록 겹이음하거나 또는 서로 측면이 인접하도록 맞이음하여 배치한 후, 그 사이를 이형지,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의 접착시트에서 이형지를 제거한 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의 외방수공법 중 특히 방수층이 바닥슬래브 표면에 직접 접착층만으로 부착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라 예컨대 지하차도, 지하철 박스 또는 지하 주차장과 같이 개착식으로 시공되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에서, 예컨대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방수층이 바닥슬래브의 외표면에 직접 접착층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시공된다. 이에 따라, 시공후 시간이 경과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밑이나 인근지역 지하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는 경우, 지지구조인 버림콘크리트층이 파손되거나 거동이 발생되더라도, 방수층이 바닥슬래브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기능이 유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 표면에 방수층이 직접 접착되므로, 예컨대 다수의 방수시트 연결부위에서의 겹이음 불량, 시트 손상 등과 같은 하자 발생에 기인하여 방수층을 뚫고 콘크리트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물은, 하자가 발생된 방수층 부위에서 다른 곳으로 수평 이동하지 못하고, 그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에 유입될 것이므로, 방수층의 하자 발생시 그 발생 부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방수층 상부의 접착층 위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접착층 보호를 위하여 수용성필름을 사용한다. 수용성필름은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번호 특개평6-340017에서 개시하고 있는 PVA(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평소에는 부직포와 같은 질감을 가지는 한편으로 물에 닿으면 녹아 제거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바닥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타설된 콘크리트 내의 수분에 의해 수용성필름이 녹아서 제거되고 그 결과 방수층은 접착층에 의해 직접 바닥슬라브 표면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방수층,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은 공장에서 하나의 방수시트 제품으로 제조될 상태의 것을 이용할 있다. 이 경우, 통상 접착식 방수시트의 이형지 기능을 수용성필름이 수행하며, 통상 접착식 방수시트의 경우 이형지를 벗겨내어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수용성필름은 벗겨내어질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방수시트를 이용할 경우 버림 콘크리트층 표면을 예컨대 토치를 이용하여 건조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에 비하여, 버림 콘크리트층 표면을 건조시킬 필요없이 습윤한 상태에서 그대로 방수시트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층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 위를 수용성필름이 보호하고 있으므로, 접착층 위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위해 기존에 요구되었던 별도의 부직포나 매쉬망을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존 공법에 비하여 자재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방수시트를 배치하는 경우, 다시 말해서 방수층,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의 방수시트를 배치할 때 인접한 두 방수시트를 겹치거나 맞대어 배치한 후, 그 사이를 이형지,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의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넓은 면적의 바닥슬래브의 외방수공법시 다수의 방수시트를 배치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시트와 방수시트간 틈을 포함하는 모든 영역이 수용성필름으로 커버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고 견고한 구조의 방수층 시공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에 의해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 외방수구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의 단계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에서, 방수시트 배치단계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에서, 맞이음되어 인접한 두 방수시트 사이를 접착시트로 고정하는 단계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2에 예시된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에서, 방수시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슬래브를 시공한 후, 도 1에 예시된 바닥슬래브 외방수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에 의해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 외방수구조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법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중 특히 바닥슬래브의 외방수구조(10)를 보여준다. 이는 지면상에 형성된 하부 콘크리트층 즉 버림 콘크리트층(11), 버림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배치된 방수층(13), 방수층(13) 상부에 위치하는 접착층(15), 그리고 접착층(15)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상부 콘크리트층 즉 바닥슬래브(17)를 포함한다.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특히 버림 콘크리트층(11)과 바닥슬래브(17) 사이에서 방수층(13)의 상부에 접착층(15)이 존재하는 경우, 접착층(15) 위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기 위해 부직포나 매쉬망 등과 같은 추가 구조물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부직포나 매쉬망 등은 바닥슬래브를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접착층(15)이 이러한 부직포나 매쉬망을 통과하여 바닥슬래브 표면에 접촉하여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 공법에 따르면, 접착층(15) 위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기 위해 수용성필름을 이용한다는 특징이 제공된다. 이러한 수용성필름은 타설된 콘크리트에서 유래하는 수분에 의해 용해될 수 있다. 그 결과 비록 용해된 잔류물이 존재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접착층(15)이 바닥슬래브의 외부 표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층(13)이 소량의 접착제만으로도 바닥슬래브(17)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시공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의 단계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의 단계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방수시트 배치단계를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맞이음되어 인접한 두 방수시트 사이를 접착시트로 고정하는 단계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방수시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슬래브를 시공한 후의 외방수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200)의 단계를 예시한다. 본 발명 공법(200)은 지면을 정리(201)하고, 그 위에 버림 콘크리트층을 타설하여 양생(203)한 후에, 방수시트를 배치(205)하고, 인접한 방수시트를 고정(207)한 후,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209)함으로써,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바닥슬래브 외방수구조를 시공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방수시트 배치단계(205)를 예시한다. 방수시트 배치단계(205)는 방수시트(30)를 버림 콘크리트층(11) 상부면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방수시트(30)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의 방수층(32), 접착제로 이루어져 있는 접착층(34), 그리고 물에 의해 녹을 수 있는 재질의 수용성필름(36)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수시트(30)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도 있고, 직접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버림 콘크리트층(11)은 예컨대 지하차도, 지하철 박스 또는 지하주차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개착식으로 굴착한 지하 공간의 바닥 또는 지하 굴착면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버림 콘크리트층(11)은 굴착된 지하 바닥면에 환경에 따라 약 5 ~ 11cm 또는 다른 적당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할 수 있다. 버림 콘크리트층(11)의 상부면을 고르게 만들기 위해 또 다른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이러한 또 다른 콘크리트층도 버림 콘크리트층(11)과 일체화되어 거동할 것이므로 이것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방수시트(30)는 특히 방수층(32)이 버림 콘크리트층(11)에 접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그 결과 방수층(32)이 제일 하부에 배치되고, 방수층(32) 상부에 접착층(34)이 위치하며, 접착층(34) 위에 수용성필름(36)이 위치된다.
방수층(32)은 예컨대 예컨대 EVA(ethylene-vinyl acetat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 또는 아스팔트 시트와 같이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34)은 방수층(32)이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접착제로 이루어진다. 한편 수용성필름(36)은 물에 의해 녹는 성분으로 된 박막의 시트 형태이며, 물에 닿아 녹지 않는 한 접착층(34)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수용성필름(36)은 PVA(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를 포함할 수 있다. PVA는 폴리바이닐 알코올, 또는 바이닐 알코올수지라고도 하며, 물에 녹는 성질이 있는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으로서, 필름 형성, 에멀전, 접착 특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VA로 만든 필름은 물과 만나면 대략 0.25mm 보다 작은 입자들로 풀어지므로, 그 결과 물에 녹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방수시트 배치단계(205)는, 방수층, 접착층 및 수용성필름을 각각 별도로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방수층과 접착층이 적층된 방수지를 먼저 배치하고, 배치된 방수지의 접착층 위에 수용성필름을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방수시트(30)는 복수개를 예컨대 겹이음방식 또는 맞이음방식으로 인접시켜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방수시트(30)는 대체로 약 80~120 cm 정도일 수 있으며, 겹이음시 약 5 ~ 10cm 정도의 폭으로 서로 겹쳐서 배치될 수 있고, 맞이음시는 서로 그 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에서 맞이음되어 인접한 두 방수시트(30) 사이를 접착시트(40)로 고정하는 단계가 예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버림 콘크리트층(11) 위에 두 개의 방수시트(30)가 맞이어져 있고, 그 사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시트(40)를 이용한다.
접착시트(40)는 수용성필름(46)의 일면에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44)이 형성되고, 접착층(44)에는 이형지(42)가 합지된 형태이다. 작업자는 복수의 방수시트(30)를 버림 콘크리트층(11)에 배열한 후 접착시트(40)의 이형지(42)를 떼어낸 후, 접착시트(40)의 접착층(44)이 두 인접 방수시트(30)의 수용성필름(36)를 함께 덮히도록 부착하는 방식으로, 두 인접 방수시트(30)를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시트(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성필름(36)은 접착시트(40)의 수용성필름(4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로 된다. 이렇게 서로 연결된 수용성 필름(36, 46) 위로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209)가 진행될 수 있다.
다른 고정방식에 비하여, 접착시트(40)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수시트(30) 사이를 고정하는 방식은 작업이 단순 용이하다는 장점 뿐만 아니라, 두 인접 방수시트(30) 사이를 접착층(44)을 구성하는 접착제로 메꾸어 방수효과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상부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하면 도 4의 수용성필름(36, 46)은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되고, 접착층(34, 44)에 의해 방수층(32)이 바닥슬래브(17)의 외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두 인접하는 방수층(32) 사이의 틈은 접착층(44)의 접착층에 의해 메꾸어져 실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에 따르면, 버림 콘크리트층(11)의 상부면에 물이 통과하지 않는 방수층(32)을 접촉시켜 배치하기 때문에, 버림 콘크리트층(11) 상부면에 일정 정도 수분이 존재하여도 별다른 건조과정이 필요없이 여전히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를 고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 바닥슬래브 외방수구조, 11: 버림 콘크리트층, 12: 방수층, 15: 접착층, 17: 바닥슬래브, 30: 방수시트, 32: 방수층, 34: 접착층, 36: 수용성필름, 40: 접착시트, 42:이형지, 44: 접착층, 46: 수용성필름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슬래브 외부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으로서,
    지면 위에 형성된 버림 콘크리트층에 물이 통과하지 않는 수지 재질의 방수층을 배치하는 방수층 배치단계;
    상기 방수층 상부면에 접착층을 배치하는 접착층 배치단계;
    방수층과 접착층과 수용성필름을 차례로 적층하여 제조된 방수시트를 상기 버림 콘크리트층 위에 복수 배치하는 방수시트 배치단계; 및
    상기 수용성필름 위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수용성필름은 타설된 바닥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유래하는 수분에 의해 용해되고, 그 결과 상기 접착층이 상기 바닥슬래브 콘크리트 외표면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방수층이 상기 바닥슬래브 외표면에 직접 상기 접착층만으로 부착되고,
    상기 복수의 방수시트의 연결시, 인접한 두 방수시트의 수용성필름 위에 접착시트를 부착하여 고정하여 연결하며;
    상기 접착시트는 이형지, 접착제 및 수용성필름이 차례로 적층된 제품으로서 준비되고; 또한
    상기 이형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두 방수시트의 수용성필름 위에 상기 접착시트의 접착제가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인접 방수시트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접착시트의 접착제가 메우도록 하면서 동시에 인접 방수시트의 수용성필름과 상기 접착시트의 수용성필름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필름은 CMC(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PVA(폴리비닐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외방수 공법.
  4. 삭제
  5. 삭제
KR1020200006918A 2019-04-29 2020-01-18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 KR102145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0139 2019-04-29
KR1020190050139 2019-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995B1 true KR102145995B1 (ko) 2020-08-19

Family

ID=7226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918A KR102145995B1 (ko) 2019-04-29 2020-01-18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2804A (zh) * 2021-05-10 2021-08-31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简统构造的单面结合反粘式背贴止水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017A (ja) 1993-01-25 1994-12-13 American Colloid Co 水溶性ポリマーの層を含む多層防水材および方法
JP2008280835A (ja) * 2007-04-13 2008-11-20 Mitsuboshi Belting Ltd 防水シート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100930421B1 (ko) 2007-07-11 2009-12-14 (주)리뉴시스템 콘크리트 역 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
KR101360132B1 (ko) 2013-10-11 2014-02-12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외방수와 역타설 구간의 방수시공 방법
KR101958451B1 (ko) * 2018-08-01 2019-03-14 (주)리뉴시스템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하 외부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017A (ja) 1993-01-25 1994-12-13 American Colloid Co 水溶性ポリマーの層を含む多層防水材および方法
JP2008280835A (ja) * 2007-04-13 2008-11-20 Mitsuboshi Belting Ltd 防水シート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100930421B1 (ko) 2007-07-11 2009-12-14 (주)리뉴시스템 콘크리트 역 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
KR101360132B1 (ko) 2013-10-11 2014-02-12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외방수와 역타설 구간의 방수시공 방법
KR101958451B1 (ko) * 2018-08-01 2019-03-14 (주)리뉴시스템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하 외부 방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2804A (zh) * 2021-05-10 2021-08-31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简统构造的单面结合反粘式背贴止水带
CN113322804B (zh) * 2021-05-10 2023-03-10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简统构造的单面结合反粘式背贴止水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7809B (zh) 一种建筑工程地下室防水施工方法
CN111691467B (zh) 一种地下室防排水结合的施工方法
JP2012122317A (ja) 床面の防水方法、防水シート
CN112663681B (zh) 一种大放脚底板和侧墙不同防水材料的搭接方法
KR101059736B1 (ko) 비노출식 옥상 방수 시공용 균열방지시트 및 그 균열방지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145995B1 (ko)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외방수 공법
CN105840215A (zh) 一种隧道防水板粘结铺设工艺
JP4108460B2 (ja) トンネル止水構造の施工方法
KR100930421B1 (ko) 콘크리트 역 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
KR101068076B1 (ko)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978890B1 (ko)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역방수방법
RU268551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дро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из материалов на основе цемента
KR20070103813A (ko) 방수층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72401B1 (ko) 금속사시트테이프를 이용한 방근방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근방수공법
KR100776243B1 (ko) 방수시트 이음부의 수밀보강용 방수보호시트 및방수보호시트를 이용한 방수 보호층 시공방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130046645A (ko) 터널 방수 시공 방법
KR10130246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CN110644431A (zh) 一种河道桥墩处防渗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43948B1 (ko) 터널 방수 공법
KR102286256B1 (ko) 접합홀을 구비한 교면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326185B1 (ko) 터널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20010007922A (ko) 엠보싱 방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3869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064049A (ko) 터널 구조물의 측부 방수 구조 및 터널 구조물의 측부 방수 구조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