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859B1 -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859B1
KR102145859B1 KR1020200062981A KR20200062981A KR102145859B1 KR 102145859 B1 KR102145859 B1 KR 102145859B1 KR 1020200062981 A KR1020200062981 A KR 1020200062981A KR 20200062981 A KR20200062981 A KR 20200062981A KR 102145859 B1 KR102145859 B1 KR 10214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unit
voltage
terminal
activ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신성엔에스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전원을 제공 받는 전원 입력부와, 센서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받는 센서부와, 외부 장치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로직부와, 상기 전압 로직부의 신호에 따라 직류 전압 및/또는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파워 모듈 및 상기 파워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시 센서부는 움직임 센서를 통해 개별 소자들의 유지 보수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MOTION RECOGNITION FUNCTION}
본 발명은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움직임 감지에 의한 이상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움직임 인식 기능을 통해 스마트 시트 구현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보드가 양산되어 산업 및 우리 주변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인터페이스 보드를 통해 외부 환경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다. 물론, 종래 인터페이스 보드는 장치의 문제 발생 요소가 가장 많은 부분이라 유지 보수 및 확장의 필요성이 있고, 외부 이상 발생 감지로 인하여 주변에 이를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전원 공급을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는 한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4-0088393호 "전원 공급용 인터페이스 보드"와 같이 파워서플라이 유닛을 구비하여 안정적인 파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944호 "일체형 전원 공급보드"와 같이 단일의 보드 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이 일체화 된다.
외부 환경 감시와 전원을 공급하는 환경 감시 보드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다양한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기판 제작시 휴먼 에러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인해 전체 시스템은 물론 관련 장치에 손상이 발생하는 이슈가 있다.
인터페이스 보드를 버스 정류소 안내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 정류소 내의 다양한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들 요소에 관한 피드백을 통한 유지 보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리고, 버스 정류소는 다양한 외부 충격과 진동이 발생하는 곳이기 때문에 전자기기가 이러한 충격과 진동에 의해 쉽게 손상 받는 이슈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움직임 센서를 통해 충격 및 파손 발생은 물론 지진 등의 자연재해의 검출이 가능한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전원을 제공 받는 전원 입력부와, 센서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받는 센서부와, 외부 장치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로직부와, 상기 전압 로직부의 신호에 따라 직류 전압 및/또는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파워 모듈 및 상기 파워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시 센서부는 움직임 센서를 통해 개별 소자들의 유지 보수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움직임 센서의 센싱 값을 미세 움직임 기준 값, 이보다 큰 지진 기준 값과, 가장큰 파손 기준 값으로 분리하여, 미세 움직임 기준 값을 넘어갈 경우에는 일상적인 움직임, 문이 닫히거나, 차량이 지나가는 등의 상황을 인식하고, 지진 기준 값을 넘어갈 경우에는 지진이 발생을 인식하고, 파손 기준 값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가 외부 충격을 받고,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20만회 이상인 경우에 유지보수가 필요한 시기로 설정하고,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1만회 이상인 경우에 유지보수가 필요한 시기로 설정하고,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와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의 합산으로 평가할 경우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1만회와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5천회인 경우를 유지 보수 필요시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 입력부, 센서부, 통신부, 메인 제어부, 전압 로직부, 출력단이 형성된 메인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모듈은 별도의 서브 몸체로 제작되어 메인 몸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이슈 발생 원인 및 현황을 파악하는 이슈 원인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슈 원인파악부의 동작시 메인 몸체부를 통해 음향부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음성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워 모듈은 다수 단자를 갖는 제 1 능동 소자(U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7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커패시터(C1, C2)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1 저항(R1)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제 8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커패시터(C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1 다이오드(D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3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와 제2 저항(R2)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3 저항(R3)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입력단 사이에 위치한 제 4 저항(R4)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전압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덕터(L1)와, 전압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5 및 제 6 커패시터(C5, C6)와, 전압 출력단자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6 저항(R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생산성 및 휴먼 에러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고, 기기들의 문제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외부 충격 및 파손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과 기울림 등의 감지를 통해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정류장의 지점별 지진 및 진동 등의 빅데이터의 취합이 가능하여 스마트 시티 데이터로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지진, 충격 및 파손 등으로 인한 기울림, 낙하 위험 등이 발생할 경우 긴급 메시지를 표출하여 대중교통 이용 고객의 안정성과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직류 파워 모듈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류 파워 모듈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의 관계적인 용어는, 그러한 엔티티 또는 액션 간의 실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고 다른 엔티티나 액션과 하나의 엔티티 또는 액션을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그 다른 변형은, 구성요소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가 구성요소만을 포함하지 않지만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열거되거나 내재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하나의 ~를 포함하다"로 진행되는 하나의 구성요소는, 더 이상의 제한없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 내에 부가적인 동일한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직류 파워 모듈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류 파워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는 외부 전원을 제공 받는 전원 입력부(100)와, 센서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받는 센서부(200)와, 외부 장치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00)와, 통신부(300)와 센서부(200)의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400)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로직부(500)와, 전압 로직부(500)의 신호에 따라 직류 전압 및/또는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파워 모듈(600)과, 상기 파워 모듈(600)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7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보드는 버스 정류장 내의 음향 장치를 제어하는 음향부(800)와, 센서부(200)의 결과에 따라 피해 상황 및 발생 이슈의 원인을 파악하는 이슈 원인파악부(9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 보드를 스마트 시티 내의 버스 정류장에 모두 설치하고, 관리 운영하는 서버를 배치한다. 이를 통해 각 버스 정류장내의 센싱 결과를 수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스마트 시티내의 미세먼지, 환경 정보 등의 수집과 주요 지점의 위험 요소 파악, 주변 정보 수집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센서부(200)를 통해 충격 및 파손 발생, 지진 등의 자연 재해의 검출이 가능하고, 각 지점별 지진 및 진동 발생과 관련한 빅데이터의 취합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점별 긴급 메시지와 주변 영역으로의 긴급 메시지 발생이 가능하여 대중교통 이용 고객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100)는 외부 전원을 제공 받아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내의 기기에 제공한다. 전원 입력부(100)는 220V, 60Hz의 전원을 제공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센서부(200)는 다양한 센서 장치에 접속하여 이 센서 장치로 부터 제공된 신호를 입력 받는다. 센서로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조도/휘도를 측정하는 센서,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 음향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메인 몸체부(10)에 마련된 움직임 센서(210)를 포함한다.
움직임 센서(210)로는 G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이나 기울기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움직인 센서(210)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충격 및 파손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움직임 센서(210)는 파워 모듈(600)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30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는 시리얼 통신 또는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COM 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 등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제어부(400)는 통신부(300)를 통해 외부 기기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기기 및 서버로 부터의 제어 신호들을 제공 받고,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생성된 감지 신호 등을 외부 기기 및 서버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에 접속된 기기와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400)는 움직임 센서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외부 충격 및 파손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400)는 미세 움직임 기준 값, 이보다 큰 지진 기준 값과, 가장큰 파손 기준 값을 갖는다. 이를 통해 미세 움직임 기준 값일 경우에는 일상적인 움직임, 문이 닫히거나, 차량이 지나가는 등의 상황을 인식한다. 지진 기준 값을 넘어갈 경우에는 지진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파손 기준 값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가 외부 충격을 받고, 파손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인 제어부(400)는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와,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를 카운팅한다. 이를 통해 유지 보수 필요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는 전자기기들이 PCB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많은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PCB 기판에 실장된 전자 기기의 실장 부분에 파손이나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출원인은 전자기기의 실장 부분의 흔들림에 의한 파손이력을 추적하여 흔들림의 발생 횟수에 따라 유지 보수 기간을 설정하였다.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20만회 이상인 경우에 유지보수가 필요한 시기로 설정하고,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1만회 이상인 경우에 유지보수가 필요한 시기로 설정하였다. 또한,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와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의 합산으로 평가할 경우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1만회와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5천회인 경우를 유지 보수 필요시기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보드를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400)는 움직임 센서(210)의 결과를 이용하여 충격 및 파손 등의 이슈가 발생할 경우, 이슈 원인파악부(900)를 통해 이슈 발생원인 및 피해 상황 등을 수집한다. 여기서, 이슈 원인 파악부(900)로 3차원 움직임이 가능하고, 영상촬영이 가능한 USB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보드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슈의 발생원인과 피해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제어부(400)는 기울어짐 및 낙하 위험이 발생할 경우 음향부(800)를 통해 버스 안내 정보보다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 정보를 송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고객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압 로직부(5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파워 모듈(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파워 모듈(600)은 전압 로직부(500)에 따라 외부 전압을 변화시켜 출력단(700)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파워 모듈(600)은 교류 파워모듈(610)과 직류 파워모듈(620)을 구비한다.
출력단(700)은 파워 모듈(600)의 다양한 파워를 출력한다. 출력단(700)은 스피커, 팬, 히터, 화면장치 등에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는 파워 모듈부(600)를 제외한 전원 입력부(100), 센서부(200), 통신부(300), 메인 제어부(400), 전압 로직부(500), 출력단(700) 및 음향부(800)가 몸체 안에 형성된 메인 몸체부(10)를 포함한다. 그리고, 파워 모듈(600)은 별도의 서브 몸체로 제작되어 메인 몸체부(10)에 장착된다. 즉, 파워 모듈(600)은 착탈 가능하게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는 메인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전원의 전압을 변화시켜 외부 기기 및 장치에 맞는 전압을 각기 출력한다. 보드장치는 외부 전원을 변화시키는 소자를 환경 보드의 몸체내에 실장하여 구성하지 않고, 별도의 몸체에 실장된 파워 모듈(600) 형태로 제작하여 유지 보수 및 휴먼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지나가는 라인과 신호가 지나가는 라인을 분리 제작하여 PCB 보드로 사용하는 메인 몸체부(1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로직부(500) 출력을 원하는 전압을 결정하고, 그 결정 값에 따라 파워 모듈(600)은 전원 입력부(100)의 외부 전원을 변화시켜 결정된 전압을 출력부(7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파워 모듈(60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몸체부(10)와 착탈 가능한 서브 보드와, 서브 모드 내에 형성된 파워 로직을 포함한다.
서브 보드는 메인 몸체부(10)에 전기적 착탈을 위한 전기 착탈부와 물리적 착탈을 위한 물리적 착탈부를 구비할 수 있다. 파워 로직은 다양한 소자를 통해 외부 전원을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파워 로직은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워 로직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1 내지 220V 범위 내의 전압이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5V, 12V, 24V 및 220V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메인 몸체부(10)로는 다양한 소자 실장이 가능한 PCB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 보드도 PC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입력부(100)는 외부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을 환경 보드에 제공한다. 이때, 전원 입력부(100)에 의해 전압이 가변되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압 로직부(500)는 별도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 모듈(600)을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가변하는 다양한 회로 구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로직부(500)만을 메인 몸체부(10)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그 회로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전압 로직부(500)와 파워 모듈(600)의 구성이 구분되지 않고, 단일의 구성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단순하게 출력 전압을 생성하였다. 이에 따라 일부 부품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보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기존 보드의 손상 원인이 전압과 전류 흐름이 큰 부품들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과 전류 흐름이 큰 부분은 파워 모듈(600)로 분류하고, 전압과 전류 흐름이 작은 부분을 전압 로직부(500)로 분류하였다. 즉,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부분을 전압 로직부(500)로 분류하여, 제어 신호에 의한 출력 전압 레벨을 결정하도록 하였고,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가변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부분을 파워 모듈(600)로 분류하여 외부 출력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전압과 전류 흐름이 큰 부품에서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이 부분의 모듈 만을 제거하게 되면 전체 보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출력을 위한 보드의 값들이 고정되어 있고, 생산 단가를 줄이기 위해 각 보드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이로인해 5V의 출력이 되는 보드와 12v가 출력되는 보드의 사이즈가 동일하여 이를 장착할때 휴먼 에러가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이 손상되는 이슈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전압 로직부(500)와 파워 모듈(600)을 분리제작함으로 인해 이와 같은 이슈를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부(700)를 파워 모듈(600)에 두지 않고, 메인 몸체부(10) 상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출력부(700)와 외부 장치와의 연결시 파워 모듈(600)에 인가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파워 모듈(600)이 메인 몸체부(10)에 장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이 장착부분에 손상이 발생할 이슈가 있지만, 이를 메인 몸체부(10) 영역에 설치함으로 인해 이를 해소할 수 있다.
파워 모듈(600)은 전압 로직부(500)에 따라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류 파워 모듈(620)과, 전압 로직부(500)에 따라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류 파워 모듈(610)과, 직류 파워 모듈(620)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출력부(700)와, 교류 파워 모듈(610)의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교류 출력부(700)를 포함한다.
직류 파워 모듈(62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직류 서브 보드와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직류 파워 로직을 포함하고, 교류 파워 모듈(610)은 교류 서브 보드와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교류 파워 로직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전압 로직부(500)는 직류 파워 모듈(620) 및 교류 파워 모듈(610) 각각에 대응되는 전압 로직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파워 모듈(600)에 대하여 전압 로직이 작동하게 되어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전압 세팅 로직이 복수개로 제작되고, 이들이 직류 파워 모듈(620) 및 교류 파워 모듈(610)에 각기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직류 파워 모듈(620)과 5개의 교류 파워 모듈(610)을 구비한다.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메인 몸체부(10)의 단축 가장자리에 센서부(200), 통신부(300), 출력단(700) 및 음향부(800)를 배치하고, 메인 몸체부(10)의 장축 가장자리에는 출력단(700)을, 내측에는 파워 모듈(600)을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메인 몸체부(10) 내에 높은 전원이 인가되는 영역이 메인 몸체부(10)의 중앙 영역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00), 통신부(300), 출력단(700), 음향부(800)는 메인 몸체부(10)내에 위치하고, 파워 모듈(600)은 장착되기 때문에 중앙 영역에 배치함으로 인해 휴먼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장착/탈착시 메인 몸체부(10)에 부가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파워 모듈(620)은 다수 단자를 갖는 제 1 능동 소자(U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7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커패시터(C1, C2)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1 저항(R1)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제 8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커패시터(C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1 다이오드(D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3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와 제2 저항(R2)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3 저항(R3)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입력단 사이에 위치한 제 4 저항(R4)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전압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덕터(L1)와, 전압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5 및 제 6 커패시터(C5, C6)와, 전압 출력단자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6 저항(R6)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능동 소자(U1)로는 EML319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에 접속되어 입력단 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D2)를 발광시키는 제 7, 제 8 및 제 9 저항(R7, R8, R9),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파워 모듈(610)은 제 1 내지 제 3 능동 소자(U1, U2, U3)와, 전원 전압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R1)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교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R2)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 2 단자에서 접지로 전류 루트를 형성하는 제 1 트랜지스터(T1)와,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R3)과,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R4)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2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교류 입력단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 및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제 2 단자에 접속된 트라이악(Q1)과, 교류 입력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제 2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커패시터(C1) 및 제 6 저항(R6)과, 제 2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2 커패시터(C2)와, 전원 전압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1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7 저항(R7)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8 저항(R8)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3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7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9 저항(R9)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3 단자와 제 4 단자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10 저항(R10)과 제 3 커패시터(C3)와,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4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능동 소자(U1)로 MOC3063을 사용하고, 제 2 능동 소자(U2)로 ACS722LLCTR-10AB-T를 사용하고, 제 3 능동 소자(U3)로 LM321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트라이악(Q1)으로는 BTA08-600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설정로직을 가지며, 이를 받아 전원을 보정하여 출력한다. 또한, 동일 모듈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휴먼에러를 극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력전원에 대한 바이패스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모듈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메인 몸체부 100: 전원 입력부 200: 센서부
210: 움직임 센서 300: 통신부 400: 메인 제어부
500: 전압 로직부 600: 파워 모듈 610: 교류 파워모듈
620: 직류 파워모듈 630: 교류 서브보드 640: 직류 서브보드
700: 출력단 800: 음향부 900: 이슈 원인파악부

Claims (7)

  1. 외부 전원을 제공 받는 전원 입력부;
    센서 장치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받는 센서부;
    외부 장치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로직부;
    상기 전압 로직부의 신호에 따라 직류 전압 및/또는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파워 모듈; 및
    상기 파워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시 센서부는 움직임 센서를 통해 개별 소자들의 유지 보수 시기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파워 모듈은 다수 단자를 갖는 제 1 능동 소자(U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7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커패시터(C1, C2)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1 저항(R1)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제 8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커패시터(C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1 다이오드(D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3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와 제2 저항(R2)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3 저항(R3)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입력단 사이에 위치한 제 4 저항(R4)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전압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덕터(L1)와, 전압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5 및 제 6 커패시터(C5, C6)와, 전압 출력단자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6 저항(R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움직임 센서의 센싱 값을 미세 움직임 기준 값, 이보다 큰 지진 기준 값과, 가장큰 파손 기준 값으로 분리하여, 미세 움직임 기준 값을 넘어갈 경우에는 일상적인 움직임, 문이 닫히거나, 차량이 지나가는 등의 상황을 인식하고, 지진 기준 값을 넘어갈 경우에는 지진이 발생을 인식하고, 파손 기준 값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가 외부 충격을 받고,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20만회 이상인 경우에 유지보수가 필요한 시기로 설정하고,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1만회 이상인 경우에 유지보수가 필요한 시기로 설정하고,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와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의 합산으로 평가할 경우 미세 움직임 기준 값과 지진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1만회와 지진 기준 값과 파손 기준 값 사이의 흔들림이 발생한 횟수가 5천회인 경우를 유지 보수 필요시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 센서부, 통신부, 메인 제어부, 전압 로직부, 출력단이 형성된 메인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모듈은 별도의 서브 몸체로 제작되어 메인 몸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이슈 발생원인 및 현황을 파악하는 이슈 원인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슈 원인파악부의 동작시 메인 몸체부를 통해 음향부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음성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7. 삭제
KR1020200062981A 2020-05-19 2020-05-26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KR10214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9998 2020-05-19
KR1020200059998 2020-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859B1 true KR102145859B1 (ko) 2020-08-19

Family

ID=7229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981A KR102145859B1 (ko) 2020-05-19 2020-05-26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8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503A (ko) * 1997-03-25 1998-11-05 윤종용 모듈 전원 제어장치
JP2002366397A (ja) * 2001-06-06 2002-12-20 Omron Corp メンテナンス時期決定装置、メンテナンス時期決定方法、およびメンテナンス時期決定システム
KR20120046960A (ko) * 2010-11-03 2012-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내부 전원을 구비한 센서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503A (ko) * 1997-03-25 1998-11-05 윤종용 모듈 전원 제어장치
JP2002366397A (ja) * 2001-06-06 2002-12-20 Omron Corp メンテナンス時期決定装置、メンテナンス時期決定方法、およびメンテナンス時期決定システム
KR20120046960A (ko) * 2010-11-03 2012-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내부 전원을 구비한 센서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9542B1 (en) Fan operation adaptive control system
US6636977B1 (en) Control device for use in a power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multiple processors adapted to perform separate functions associated with status monitoring and load balancing
US7791494B2 (en) Voltage monitoring device
KR101239286B1 (ko) 클라우드 기반 버스정보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정보시스템
CN103443836A (zh) Led交通信号故障记录系统和方法
CN104376642A (zh) 防破坏报警系统及方法
KR20180029184A (ko) 자동차 배터리 전압을 이용한 시동 상태 확인 시스템
KR102145859B1 (ko) 움직임 인식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KR102097148B1 (ko) 고장 감지 기능을 구비한 차량 과속 경보 장치
CN105848393A (zh) 故障检测设备及方法
CN109783282A (zh) 计算机装置以及电源异常检测方法
KR101601323B1 (ko) 반도체 슬립 모드에서의 스위치 입력 검출 장치 및 방법
EP2962915B1 (en) Supervision device and sensor device comprising a supervision device
CN101458311A (zh) 电源供应器检测装置
KR102145854B1 (ko)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시스템
WO2005124439A1 (en)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69756B1 (ko) 배터리에 의한 신호등 구동을 제어하는 교통신호기의 신호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889739B1 (ko) Smt 생산라인 설비 이상 진단 시스템의 최적 배치 시스템 및 방법
CN2894007Y (zh) 一种智能化配电柜
KR102145857B1 (ko) 파워 모듈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CN205054014U (zh) 一种电源自学习吸尘器
KR101100040B1 (ko) 크린룸용 팬 필터 유닛의 팬 구동 감시장치
WO2017037794A1 (ja) 発電装置
US20050206639A1 (en) Safety and protective personal computer power supply display device
CN102570378A (zh) 一种短路保护电路及保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