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90B1 -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 Google Patents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90B1
KR102145790B1 KR1020190045015A KR20190045015A KR102145790B1 KR 102145790 B1 KR102145790 B1 KR 102145790B1 KR 1020190045015 A KR1020190045015 A KR 1020190045015A KR 20190045015 A KR20190045015 A KR 20190045015A KR 102145790 B1 KR102145790 B1 KR 10214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door
prevention device
building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가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가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가글로벌
Priority to KR102019004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에 방화문만 설치하여 문을 열경우에 자동으로 발판이 돌출되고,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건물의 외벽에는 방화문의 위치만 있고, 주변에 아무런 장치가 없어도 되기 때문에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아서 건물주와 입주자의 갈등이 근본적으로 해소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에 방화문만 설치하여 문을 열경우에 자동으로 발판이 돌출되고,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건물의 외벽에는 방화문의 위치만 있고, 주변에 아무런 장치가 없어도 되기 때문에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아서 건물주와 입주자의 갈등이 근본적으로 해소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FIRE DOOR INSTALLED AUTOMATIC EXPANDING PLATE TYPE FALL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난간을 설치하지 않고도 문을 열면 자동으로 난간이 만들어지면서 가이드가 쳐질 수 있도록 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미관도 해치지 않는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사무실 등은 화재의 전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금속재질의 방화문을 현관문으로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방화문은 문틀프레임과 일체로 이루어져 현관문으로 설치 또는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소방법에서 방화문의 규격과 기준을 엄격히 정하고 있고, 화재시 대피할 수 있거나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건물의 복도의 끝부분 즉, 건물의 외벽쪽으로는 방화문 또는 비상구문은 화재시 이를 열고 탈출하거나 피난할 수 있도록 강제로 설치하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설치되는 방화문은 건물외벽에 난간을 별도로 설치해야하고, 이러한 계단을 형성해야 하는 등 많은 부속장치가 달려야 하고,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건물주와 입주자간의 많은 실랑이가 벌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도 1은 난간이나 추락방지 가이등 등이 전혀 설치되지 않은채 문을 열면 곧바로 떨어도록 만들어진 방화문을 나타낸 것으로, 이렇게 된 구조로 술이 취하거나 잘 모르는 사람은 문을 열고 곧바로 추락하게 되어 크게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례까지 나오고 있다.
종래의 방화문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360568호 공개특허공보 제2019-0025310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문 특히 건물외벽에 설치되는 방화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방화문이 형성된 건물의 외벽에 별도의 난간 또는 가이드를 설치해야하고, 피난대피시설을 해야한다.
(2) 설치비용이 높고, 건물의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건물주와 입주자간의 끊임없는 분쟁거리가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문틀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에 일측이 힌지에 의해서 고정되는 금속재 문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문의 일측내벽에는 유선형으로 파진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문틀과 이격되게 일측이 발판힌지로 고정되는 발판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의 전방 일측에 롤러가 가이드홈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건물의 외벽에 방화문만 설치하여 문을 열경우에 자동으로 발판이 돌출되고,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
(2) 건물의 외벽에는 방화문의 위치만 있고, 주변에 아무런 장치가 없어도 되기 때문에 건물주와 입주자의 갈등이 근본적으로 해소된다.
도 1은 종래의 건물외벽에 설치된 방화문의 설치상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의 개방된 상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의 작동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이 닫혀있을 때 복도에서 바라본 상태의 개념도.
본 발명은 문틀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에 일측이 힌지에 의해서 고정되는 금속재 도어(100)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방화문(10)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의 일측내벽에는 유선형으로 파진 가이드홈(110)이 형성되고, 문틀과 이격되게 일측이 발판힌지(220)로 고정되는 발판(200)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200)의 전방 일측에 롤러(205)가 가이드홈(110)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100)은 일측에 문틀에 부착되는 힌지에 의해서 일측이 고정되고, 내벽에는 유선형으로 파진 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10)은 레일과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롤러(205)가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판(200)은 후방이 발판힌지(220)에 고정되는데, 발판힌지(220)는 문틀에서 복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발판힌지(220)에 후방양측이 고정되는 발판(200)은 전방일측에 형성된 롤러(205)에 의해서 도어(100)의 가이드홈(110)을 따라서 전방으로 펼쳐지거나 다시 후방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문틀 또는 복도의 내벽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100)의 내벽에 부착되는 가이드와이어(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와이어(210)은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도어(100)을 열었을 때 연 사람이 이를 발견하고 앞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가이드와이어(210)은 쇠사슬, 체인 또는 금속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100)이 설치된 문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힌지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바(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230)의 끝단은 연결와이어(235)에 의해서 발판(200)의 상부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230)는 전방으로 내려왔을 때 하단에 받침목(미도시)이 있어서 받혀져서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바(230)는 발판(200)이 전방으로 펼쳐질 때 연결와이어(235)에 의해서 당겨지면서 고정된다.
도 3은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복도에서 방화문(10)을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발판(200)의 상부에는 경고문구('방화문'이라는 문구)가 게시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일반적인 출입문이 아님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화문(10)은 평상시에 닫아두는데, 잠그지는 않아야 한다.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나 위급한 상황에서 손잡이(102)를 이용하여 도어(100)를 열게되면, 도어(100)와 연결된 힌지에 의해서 전방으로 열리게 되고, 이때 발판(200)은 도어(100)의 가이드홈(110)을 따라 유동하는 롤러(205)에 의해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와이어(210)와 연결와이어(235)가 각각 펼쳐지면서 사람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가이드바(230)가 전방으로 내려오면서 도어(100)의 반대쪽을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더 높아진다.
상기와 같이 열린 도어(100)를 따라 사람들이 나와서 발판(200)에 올라선 상태에서 상단에 형성된 완강기(300)를 펼쳐서 완강기(300)를 타고 내려갈 수 있다.
상기 완강기(300)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피난사다리를 비치하여 이를 펼친 상태에서 사람이 내려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에 방화문만 설치하여 문을 열경우에 자동으로 발판이 돌출되고,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건물의 외벽에는 방화문의 위치만 있고, 주변에 아무런 장치가 없어도 되기 때문에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아서 건물주와 입주자의 갈등이 근본적으로 해소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방화문 100 : 도어
102 : 손잡이 110 : 가이드홈
200 : 발판 205 : 롤러
210 : 가이드와이어 220 : 발판힌지
230 : 가이드바 235 : 연결와이어

Claims (4)

  1. 문틀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에 일측이 힌지에 의해서 고정되는 금속재 도어(100)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방화문(10)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의 일측내벽에는 유선형으로 파진 가이드홈(110)이 형성되고, 문틀과 이격되게 일측이 발판힌지(220)로 고정되는 발판(200)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200)의 전방 일측에 롤러(205)가 가이드홈(110)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힌지(220)에 후방양측이 고정되는 발판(200)은 전방일측에 형성된 롤러(205)에 의해서 도어(100)의 가이드홈(110)을 따라서 전방으로 펼쳐지거나 다시 후방으로 접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 또는 복도의 내벽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100)의 내벽에 부착되는 가이드와이어(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이 설치된 문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힌지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바(230)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바(230)의 끝단은 연결와이어(235)에 의해서 발판(200)의 상부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KR1020190045015A 2019-04-17 2019-04-17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KR102145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015A KR102145790B1 (ko) 2019-04-17 2019-04-17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015A KR102145790B1 (ko) 2019-04-17 2019-04-17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790B1 true KR102145790B1 (ko) 2020-09-17

Family

ID=7270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015A KR102145790B1 (ko) 2019-04-17 2019-04-17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21B1 (ko) * 2006-04-04 2006-11-01 김원구 대피용 구조물
KR20090118141A (ko) * 2008-05-13 2009-11-18 노석종 긴급 피난설비
KR20120073059A (ko) * 2010-12-24 2012-07-04 신예담 방수 겸 발판용 욕실 보조 문
KR101913093B1 (ko) * 2018-01-15 2018-10-31 주식회사 진성플러스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21B1 (ko) * 2006-04-04 2006-11-01 김원구 대피용 구조물
KR20090118141A (ko) * 2008-05-13 2009-11-18 노석종 긴급 피난설비
KR20120073059A (ko) * 2010-12-24 2012-07-04 신예담 방수 겸 발판용 욕실 보조 문
KR101913093B1 (ko) * 2018-01-15 2018-10-31 주식회사 진성플러스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0640021B1 (ko) 대피용 구조물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925617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US4211306A (en) Emergency building escape ladder
KR100738377B1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2145790B1 (ko) 자동발판돌출형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방화문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1913093B1 (ko)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KR20100137131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0636880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구조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CN212957451U (zh) 既有住宅非楼道处增设的电梯救援通道
KR100548650B1 (ko) 완강기를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
KR20020070028A (ko) 건물용 비상탈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