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12B1 -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12B1
KR102145712B1 KR1020200059389A KR20200059389A KR102145712B1 KR 102145712 B1 KR102145712 B1 KR 102145712B1 KR 1020200059389 A KR1020200059389 A KR 1020200059389A KR 20200059389 A KR20200059389 A KR 20200059389A KR 102145712 B1 KR102145712 B1 KR 10214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ipe body
coupler
free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20005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형으로 일관되던 기존 방식을 적극 개선하여 개별 배관이 긴밀히 연결된 상태에서도 필요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해지므로 호스나 배관의 꼬임 내지 위치 정렬에 기여할 수 있는바, 단순히 배관을 연결하는 협의(狹義)의 수단이 아닌 회전성에 기인한 광의(廣義)의 효율 가치 확보와 함께 정밀 정확한 위치 전환과 역류 내지 누수 등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대처되는 등 우수한 품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설정 직경의 메인관체(100) 및 메인관체 내부로 끼움 개재된 조립관체(200)의 상호 중첩 영역에서 힌지 회동을 기반으로 한 결속부재(130)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메인관체 내부로의 진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관체의 탈거 방지에 기여하고, 조립관체 외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수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조립관체의 회전이 허용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Pip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배관의 연결 매개(媒介)로 작용하면서 설정 지점에 이르도록 유체의 흐름을 관장하는 배관 조립체의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형으로 일관되던 기존 방식을 적극 개선하여 개별 배관이 긴밀히 연결된 상태에서도 필요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해지므로 호스나 배관의 꼬임 내지 위치 정렬에 기여할 수 있는바, 단순히 배관을 연결하는 협의(狹義)의 수단이 아닌 회전성에 기인한 광의(廣義)의 효율 가치 확보와 함께 정밀 정확한 위치 전환과 역류 내지 누수 등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대처되는 등 우수한 품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상수도나 하수도의 배관설비 혹은 기타 특정 용수(用水)를 원거리 지점에 이르게 하는 용도의 배관 연결구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즉 일정한 길이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관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예컨대 양수작업 지역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해야 할 지역이 멀리 떨어져 있어 호스의 길이가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나 호스의 중간이 뚫어져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호스의 누수가 발생한 부분을 절단한 후 절단된 각각의 호스를 배관 연결구로 하여금 서로 긴밀히 일체화한다.
이렇듯 종래에는 호스 또는 배관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배관 연결구가 제안되어 왔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관련한 종래의 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624호 "호스 연결구"에서는 호스결합부를 가진 고정 결합구와 투입 결합구로 분리 형성되고, 투입 결합구의 일측에 결합 홈을 형성하여 고정 결합구의 투입 홈 내측으로 결합 홈을 투입한 후 작동구를 회동시켜 작동구의 일단부를 결합 홈에 투입되게 하며, 결합 고정구의 작동 홈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지주 돌기에 회동핀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는 작동구 양단에 체결부와 해지부를 형성하여 체결부에 가압 돌기와 가압 홈을 형성하고 해지부에 해지 돌기와 해지 홈을 형성하고 상하부 커플링의 내면에 체결 돌기와 해지 돌기를 형성하고 축 방향으로 양단에 가림돌 환을 형성하며, 상하부 커플링을 볼트로 결합한 후 상하부 커플링을 회전하여 상하부 커플링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 및 해지 돌기가 작동구의 체결부와 해지부에 접촉되어 가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연결구에 관하여 게재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고정 결합구의 내부에 투입 체결구를 삽입하고 작동구의 체결부가 투입 체결구의 결합 홈의 내측으로 투입하여 고정 결합구와 투입 체결구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고정 결합구의 내부에 투입 체결구가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투입 체결구에 호스 또는 배관을 연결할 시 꼬임된 호스를 일일이 풀어서 투입 체결구에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함께 배관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투입 체결구를 고정 결합구로부터 매번 분리한 후 회전시켜 재연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 결합구의 내측면과 투입 체결구의 일측 끝단부가 맞닿는 부분에 패킹이 위치함으로써 작동구의 체결구가 투입 체결구의 결합 홈의 내측으로 투입됨과 동시에 투입 체결구를 고정 결합구의 내측 횡방향으로 가압하여 패킹을 고정시키는바, 그로 인해 상기 투입 체결구가 작동구의 체결부가 작용하는 가압 및 패킹과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더욱 회전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서의 배관 연결구조는 단순히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수단에 지나지 않을 뿐 아니라 그 기능 또한 극히 제한적이어서 보다 광범위하고 사용 가치가 높으며 사용자 니즈에 충족할 수 있는 배관 조립체를 필요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13684호 "배관이음부재 조립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624호 "호스 연결구"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유기적인 조립성 및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 내지 구성으로 인해 자체 회전력이 부여될 수 있는 배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제어의 정확성과 조립의 효율성이 확보될 뿐 아니라 유체의 누수나 역류 등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될 수 있는 배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1)는 서로 이웃하는 배관의 연결 매개(媒介)로 작용하면서 설정 지점에 이르도록 유체의 흐름을 관장하되, 설정 직경의 메인관체(100) 및 메인관체 내부로 끼움 개재된 조립관체(200)의 상호 중첩 영역에서 힌지 회동을 기반으로 한 결속부재(130)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메인관체 내부로의 진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관체의 탈거 방지에 기여하고, 조립관체 외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수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조립관체의 회전이 허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1)는 설정 내경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관체(200,300)를 연결하는 메인관체(100) 및 메인관체 양측에서 개별 결합하여 일체화되고 메인관체 내부로의 수용 또는 메인관체 외면을 감싸면서 결부되는 조립관체(200,3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체(100)는 조립관체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디(110); 바디의 내경에 비해 확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관체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고, 바디 내경과의 경계 영역인 단턱진 공간에 이르기까지 조립관체를 내부 수용하는 커플러(120); 커플러 외면에서 적어도 복수 개로 구분 형성되고, 상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커플러 내부로 끼움된 조립관체의 위치 구속 및 조립관체 외면과의 설정 간극으로 인해 커플러 내부에서 조립관체의 회전 움직임이 허용되게 하는 결속부재(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120)는 내외 관통형의 조작홀(121)을 결속부재(130)와 대응한 위치 및 개소로 천공하여 각 결속부재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시 선회 움직임을 보장하고, 상기 조립관체(200)는 커플러 내부에 끼움되는 해당 영역의 외면으로 설정 깊이의 수용홈(210)을 더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210)은 조작홀(121)을 통해 출입하는 결속부재(130)가 잠금 과정에서 일시 접촉 후 잠금 완료 시 이격될 수 있는 설정 심도로 형성함에 따라 커플러 내측 방향으로 하향 돌출된 결속부재에 의해 조립관체의 직선 이동을 방지하면서 회전 움직임이 보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13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작용편(131); 작용편으로부터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결편(132); 연결편 끝단에서 사각 형상의 설정 두께면으로 구비되어 힌지 결합에 의한 위치 전환이 이루어지고, 수용홈(210) 상에서의 위치 고수로 인해 조립관체의 이동을 억제하되, 수용홈과 이격된 상태로 걸림 유지되는 지지간(133); 지지간의 모서리 영역에서 설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과정에서 수용홈과 일시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가압툴(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관체(200,300)는 각 외면에서 나사 결합을 주도하는 커넥터(400)가 더 체결되어 호스나 배관의 이음 또는 결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관체(300)는 메인관체(100)와 동일한 커플러(320)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320)는 메인관체 단부를 내부 삽입되게 하여 해당 결속부재의 조작으로 메인관체와 체결시키되, 커플러 내부로 끼움되는 메인관체의 외면에는 결속부재와 작용하는 또 다른 수용홈(14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관체(100)와 조립관체(200)는 각 단부에 계단 형상의 거치홈(150,220) 및 내부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요홈(160,23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150,220)은 요홈으로 인한 누수 내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 형상의 패킹부재(500)가 고정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500)는 거치홈(150,220)의 심도와 일치하도록 평면형으로 연장 전개되는 상부(510); 상부의 어느 일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거치홈 저면에 안착되는 측부(520); 상부의 다른 일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에 비해 확장된 길이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530); 연장부 외면에서 2개소로 구분하여 설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부와 제2돌부(540,5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홈(150,220)은 설정 방향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경사면(221); 경사면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 전개되는 유입면(222); 유입면에 비해 확장된 심도로 연장 형성되어 패킹부재의 측부(520)를 끼움 개재하는 안착면(2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단순 고정형으로 배관을 연결하는 수준이 아닌 이음수단으로의 제 기능에 충실하면서 호스의 꼬임 등에 효율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양방향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을 보장하므로 사용 가치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 형상의 커플러와 결속부재로 인해 관체의 견고한 조립성은 유지하면서도 회전 시에는 어떠한 간섭도 유발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상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바, 배관과 배관이 서로 긴밀히 연결된 상태에서 자체적인 회전 제어로 인해 호스나 배관의 꼬임 내지 위치 정렬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정밀 정확한 위치 전환과 역류 내지 누수 등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대처 기능한 소정의 패킹부재를 더 제안함으로써 사용 가치의 극대화는 물론 우수한 품질 구현에 기여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메인관체 상세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립관체 상세도.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메인관체와 조립관체의 조립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패킹부재 상세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 양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패킹부재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의 회전 움직임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배관의 연결 매개(媒介)로 작용하면서 설정 지점에 이르도록 유체의 흐름을 관장하는 배관 조립체의 기술사상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고정형으로 일관되던 기존 방식을 적극 개선하여 개별 배관이 긴밀히 연결된 상태에서도 필요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해지므로 호스나 배관의 꼬임 내지 위치 정렬에 기여할 수 있는바, 단순히 배관을 연결하는 협의(狹義)의 수단이 아닌 회전성에 기인한 광의(廣義)의 효율 가치 확보와 함께 정밀 정확한 위치 전환과 역류 내지 누수 등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대처되는 등 우수한 품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1)는 메인관체(100) 및 해당 메인관체 양단에서 결부되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조립관체(200,300)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기재하면, 상기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1)는 설정 직경의 메인관체(100) 및 메인관체 내부로 끼움 개재된 조립관체(200)의 상호 중첩 영역에서 힌지 회동을 기반으로 한 결속부재(130)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메인관체 내부로의 진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관체의 탈거 방지에 기여하고, 조립관체 외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수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조립관체의 회전이 허용되게 구성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상기 메인관체(100)와 조립관체(200,300)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사례로 서로 일체화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들의 구분은 단지 후술할 커플러(120,320)와 결속부재(130)의 교번 배치로 인해 서로 이웃하는 관체들간의 결합력이 구현될 수 있는 기능적인 수준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메인관체(100)를 형성함에 있어 일단은 커플러 및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반면, 타단은 패킹부재 및 수용홈 등이 구비되게 하여 이들 각각으로 서로 다른 구성의 조립관체를 긴밀하게 결부시킨다.
이때 상기 조립관체는 메인관체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하는바, 가령 메인관체의 커플러와 결합하는 해당 조립관체(200)는 패킹부재 및 수용홈 등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서로 일체화 가능하고, (커플러가 위치되지 않은) 메인관체 타단을 통해 조립되는 조립관체(300)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또 다른 커플러 및 결속부재를 더 완비함으로써 서로 일체화 가능하게 유도한다.
결국, 메인관체와 조립관체의 구성 내지 구조는 이들을 서로 결부되게 하는 커플러와 결속부재가 교번하여 반복되는 것에 기인한 것일 뿐 사용자 선택이나 시설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1)는 설정 내경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관체(200,300)를 연결하는 메인관체(100) 및 메인관체 양측에서 개별 결합하여 일체화되고 메인관체 내부로의 수용 또는 메인관체 외면을 감싸면서 결부되는 조립관체(200,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관체(100)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조립관체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디(110);와, 바디의 내경에 비해 확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관체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고, 바디 내경과의 경계 영역인 단턱진 공간에 이르기까지 조립관체를 내부 수용하는 커플러(120);와, 커플러 외면에서 적어도 복수 개로 구분 형성되고, 상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커플러 내부로 끼움된 조립관체의 위치 구속 및 조립관체 외면과의 설정 간극으로 인해 커플러 내부에서 조립관체의 회전 움직임이 허용되게 하는 결속부재(130);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바디(110)는 도면과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전술한 것처럼 바디의 어느 일측으로 커플러(120)와 결속부재(130)를 더 구비하여 타 조립관체(200)가 인입 수용되게 함으로써 서로 일체화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바디(110)의 내경은 커플러(120)에 비해 협소한 형태로 설정되어야 할 뿐 아니라 조립관체의 맞춤 수용을 위하여 커플러 직경이 설정됨은 물론 커플러 내부에서 조립관체와 바디가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유체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바디(110)와 커플러(120)가 서로 상이한 내경을 보유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바디 단부로 인해 자연스럽게 단차가 발생하는바, 이러한 단차는 조립관체(200)의 인입 범위를 적극 제어하면서도 서로 동일한 직경의 결합으로 인해 유체가 누수 등의 발생 없이 효과적으로 유동되게 한다.
상기 커플러(120)는 내외 관통형의 조작홀(121)을 결속부재(130)와 대응한 위치 및 개소로 천공하여 각 결속부재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시 선회 움직임을 보장하고, 상기 조립관체(200)는 커플러 내부에 끼움되는 해당 영역의 외면으로 설정 깊이의 수용홈(210)을 더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210)은 조작홀(121)을 통해 출입하는 결속부재(130)가 잠금 과정에서 일시 접촉 후 잠금 완료 시 이격될 수 있는 설정 심도로 형성함에 따라 커플러 내측 방향으로 하향 돌출된 결속부재에 의해 조립관체의 직선 이동을 방지하면서 회전 움직임이 보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커플러는 주지한 것처럼 이웃하는 타 조립관체(300)에도 대응 형성하여 바디(110) 타단을 해당 커플러(320)의 내부 공간에서 안정감 있게 결부되게 한다.
상기 수용홈(210) 및 결속부재(130)는 본 발명의 핵심사안으로, 결속부재의 선회 움직임 범위에 착안하여 수용홈의 함몰 정도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는 메인관체와 조립관체를 결부함에 있어 탈거 방지와 함께 회전력 부여에 결정적인 요소인바, 예컨대 결속부재를 제어하여 잠금 여부를 결정할 시 조작 과정에서 수용홈과 결속부재 단부가 맞닿이게 하여 필요 수준의 부하를 발생 유도할 뿐 아니라 잠금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이러한 결속부재가 수용홈과 설정 간극으로 이격 유지됨에 따라 커플러 내부의 조립관체 혹은 메인관체를 내부 수용한 조립관체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결속부재(130)는 하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작용편(131);과, 작용편으로부터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결편(132);과, 연결편 끝단에서 사각 형상의 설정 두께면으로 구비되어 힌지 결합에 의한 위치 전환이 이루어지고, 수용홈(210) 상에서의 위치 고수로 인해 조립관체의 이동을 억제하되, 수용홈과 이격된 상태로 걸림 유지되는 지지간(133);과, 지지간의 모서리 영역에서 설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과정에서 수용홈과 일시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가압툴(13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간(1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 회동에 의해 개별 관체를 연결하는 요부 구성으로, 작용편(131)으로부터 기인하는 압력에 의해 지지간의 위치 전환이 도모됨으로써 수용홈 내부에서의 락킹 여부가 결정되고, 나아가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는 수용홈과 극명하게 이격 유지됨에 따라 해당 관체의 회전력 부여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가압툴(134)은 지지간의 선회 움직임에 의해 수용홈과 순간적으로 마찰되고, 이때의 순간적인 마찰은 결속부재의 위치 전환 시 적정 수준의 부하를 유발시켜 보다 탄력있는 위치 결정에 기여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압툴을 형성함에 있어 회전 방향으로의 과도한 마찰을 억제하면서 위치 전환이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립관체(200,300)는 각 외면에서 나사 결합을 주도하는 커넥터(400)가 더 체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호스나 배관의 이음 또는 결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예컨대 조립관체의 어느 일단으로 연결 대상 호스를 끼움한 후 이탈 방지를 위하여 설정 지점으로 링 형상의 커넥터가 나사 체결되므로 호스 등을 더욱 견고한 상태로 결합 유지할 수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립관체(300)는 메인관체(100)와 동일한 커플러(320)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320)는 메인관체 단부를 내부 삽입되게 하여 해당 결속부재의 조작으로 메인관체와 체결시키되, 커플러 내부로 끼움되는 메인관체의 외면에는 결속부재와 작용하는 또 다른 수용홈(140)이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관체(100)와 조립관체(200)는 각 단부에 계단 형상의 거치홈(150,220) 및 내부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요홈(160,23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거치홈(150,220)에는 요홈으로 인한 누수 내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 형상의 패킹부재(500)가 고정 개재된다.
상기 요홈(160,230)은 각 관체의 결합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유발되는 내부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밀폐된 관체의 내부 공간으로 또 다른 관체가 진입 시 해당 공간에 머무르던 공기가 미처 빠져나가지 못함으로써 초래되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함이다. 즉 상당한 수준의 압력으로 인해 관체의 끼움이 어렵지 않도록 본 발명에서는 설정 심도의 요홈을 더 형성하여 공기 이동 통로가 확보되게 하였다.
상기 패킹부재(500)는 거치홈(150,220)의 심도와 일치하도록 평면형으로 연장 전개되는 상부(510);와, 상부의 어느 일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거치홈 저면에 안착되는 측부(520);와, 상부의 다른 일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에 비해 확장된 길이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530);로 구분 구성되고, 나아가 연장부 외면에서 2개소로 구분하여 설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부와 제2돌부(540,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2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요부로 주장하는 패킹부재(500)는 전술한 요홈이나 기타 유체 압력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유수 등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가령 배관과 배관의 이음 시공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유체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내부 유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설정 구조의 패킹부재(500)를 제안한다.
상기 패킹부재(500)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거치홈(150,220) 상에 밀착 위치되는데, 해당 유체가 예기치 않게 관체 내부의 설정된 이동 공간이 아닌 거치홈의 영역으로 유동하는 경우 ㄷ자 구조를 보유한 패킹부재의 형상적 특성으로 인해 담수 혹은 저장 기능이 발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패킹부재 외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돌부와 제2돌부를 이격시켜 구분 형성함으로써 유출된 유체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게 2차적인 방지수단으로 작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재하면, 연장부와 측부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연장부의 외면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2와 같은 형상의 제1돌부 및 제2돌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1돌부 및 제2돌부는 도 12의 확대 도면에서와 같이 밀착력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미세하게 해당 면적의 증대 효과를 야기하므로 유체의 흐름을 더욱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홈(150,220)은 설정 방향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경사면(221);과, 경사면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 전개되는 유입면(222);과, 유입면에 비해 확장된 심도로 연장 형성되어 패킹부재의 측부(520)를 끼움 개재하는 안착면(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단순 고정형으로 배관을 연결하는 수준이 아닌 이음수단으로의 제 기능에 충실하면서 호스의 꼬임 등에 효율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양방향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을 보장하므로 사용 가치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 형상의 커플러와 결속부재로 인해 관체의 견고한 조립성은 유지하면서도 회전 시에는 어떠한 간섭도 유발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상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바, 배관과 배관이 서로 긴밀히 연결된 상태에서 자체적인 회전 제어로 인해 호스나 배관의 꼬임 내지 위치 정렬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정밀 정확한 위치 전환과 역류 내지 누수 등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대처 기능한 소정의 패킹부재를 더 제안함으로써 사용 가치의 극대화는 물론 우수한 품질 구현에 기여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1.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100. 메인관체
200,300. 조립관체
400. 커넥터
500. 패킹부재

Claims (9)

  1. 서로 이웃하는 배관의 연결 매개(媒介)로 작용하면서 설정 지점에 이르도록 유체의 흐름을 관장하고, 설정 직경의 메인관체(100) 및 메인관체 내부로 끼움 개재된 조립관체(200)의 상호 중첩 영역에서 힌지 회동을 기반으로 한 결속부재(130)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메인관체 내부로의 진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관체의 탈거 방지에 기여하고, 조립관체 외면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수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조립관체의 회전이 허용되게 구성하는 배관 조립체에 있어서,
    설정 내경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관체(200,300)를 연결하는 메인관체(100) 및 메인관체 양측에서 개별 결합하여 일체화되고 메인관체 내부로의 수용 또는 메인관체 외면을 감싸면서 결부되는 조립관체(200,3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체(100)는 조립관체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디(110);와, 바디의 내경에 비해 확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조립관체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고, 바디 내경과의 경계 영역인 단턱진 공간에 이르기까지 조립관체를 내부 수용하는 커플러(120);와, 커플러 외면에서 적어도 복수 개로 구분 형성되고, 상하 위치 전환에 기인하여 커플러 내부로 끼움된 조립관체의 위치 구속 및 조립관체 외면과의 설정 간극으로 인해 커플러 내부에서 조립관체의 회전 움직임이 허용되게 하는 결속부재(130);로 구성하되,
    상기 조립관체(200,300)는 각 외면에서 나사 결합을 주도하는 커넥터(400)가 더 체결되어 호스나 배관의 이음 또는 결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120)는 내외 관통형의 조작홀(121)을 결속부재(130)와 대응한 위치 및 개소로 천공하여 각 결속부재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시 선회 움직임을 보장하고,
    상기 조립관체(200)는 커플러 내부에 끼움되는 해당 영역의 외면으로 설정 깊이의 수용홈(210)을 더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210)은 조작홀(121)을 통해 출입하는 결속부재(130)가 잠금 과정에서 일시 접촉 후 잠금 완료 시 이격될 수 있는 설정 심도로 형성함에 따라 커플러 내측 방향으로 하향 돌출된 결속부재에 의해 조립관체의 직선 이동을 방지하면서 회전 움직임이 보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30)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작용편(131);
    작용편으로부터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결편(132);
    연결편 끝단에서 사각 형상의 설정 두께면으로 구비되어 힌지 결합에 의한 위치 전환이 이루어지고, 수용홈(210) 상에서의 위치 고수로 인해 조립관체의 이동을 억제하되, 수용홈과 이격된 상태로 걸림 유지되는 지지간(133);
    지지간의 모서리 영역에서 설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과정에서 수용홈과 일시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가압툴(13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관체(300)는 메인관체(100)와 동일한 커플러(320)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320)는 메인관체 단부를 내부 삽입되게 하여 해당 결속부재의 조작으로 메인관체와 체결시키되, 커플러 내부로 끼움되는 메인관체의 외면에는 결속부재와 작용하는 또 다른 수용홈(14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체(100)와 조립관체(200)는 각 단부에 계단 형상의 거치홈(150,220) 및 내부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요홈(160,23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150,220)은 요홈으로 인한 누수 내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 형상의 패킹부재(500)가 고정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500)는,
    거치홈(150,220)의 심도와 일치하도록 평면형으로 연장 전개되는 상부(510);
    상부의 어느 일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거치홈 저면에 안착되는 측부(520);
    상부의 다른 일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에 비해 확장된 길이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530);
    연장부 외면에서 2개소로 구분하여 설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제1돌부와 제2돌부(540,5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150,220)은,
    설정 방향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경사면(221);
    경사면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 전개되는 유입면(222);
    유입면에 비해 확장된 심도로 연장 형성되어 패킹부재의 측부(520)를 끼움 개재하는 안착면(22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KR1020200059389A 2020-05-18 2020-05-18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KR102145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89A KR102145712B1 (ko) 2020-05-18 2020-05-18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89A KR102145712B1 (ko) 2020-05-18 2020-05-18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712B1 true KR102145712B1 (ko) 2020-08-18

Family

ID=7229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389A KR102145712B1 (ko) 2020-05-18 2020-05-18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758A (ko) 2020-10-28 2022-05-06 서한호 호스커플러의 누수방지회전구조
KR20220159230A (ko) 2021-05-25 2022-12-02 서한호 농업용 호스커플러의 누수 및 꼬임방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624Y1 (ko) 2004-03-11 2004-06-05 권각수 호스연결구
KR200386493Y1 (ko) * 2005-03-16 2005-06-13 김춘일 관 연결장치
KR101113684B1 (ko) 2011-05-03 2012-02-15 주식회사 선진정밀 배관이음부재 조립체
KR20160002519U (ko) * 2015-01-08 2016-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624Y1 (ko) 2004-03-11 2004-06-05 권각수 호스연결구
KR200386493Y1 (ko) * 2005-03-16 2005-06-13 김춘일 관 연결장치
KR101113684B1 (ko) 2011-05-03 2012-02-15 주식회사 선진정밀 배관이음부재 조립체
KR20160002519U (ko) * 2015-01-08 2016-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758A (ko) 2020-10-28 2022-05-06 서한호 호스커플러의 누수방지회전구조
KR102457656B1 (ko) * 2020-10-28 2022-10-24 서한호 호스커플러의 누수방지회전구조
KR20220159230A (ko) 2021-05-25 2022-12-02 서한호 농업용 호스커플러의 누수 및 꼬임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712B1 (ko) 개별 배관의 이음과 회전식 위치 전환이 허용되는 자유 회전형 배관 조립체
US3381982A (en) Plastic fitting assembly
JP2003502607A (ja) 流体の通過能力を有するインライン式分水弁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EP1669658B1 (en) Connection sleeve for pipe branches
KR20140085042A (ko) 파이프 연결장치
JP4311545B2 (ja) 流体分配プラントを形成するための中空エレメントを接続しかつブロックするデバイス
CA2661966A1 (en) Multi-attachment fitting
US20180106020A1 (en) Mounting Device for a Fitting Panel
KR10037050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연결구조
CN212900296U (zh) 快拆接头
KR200438690Y1 (ko) 유니온 타입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KR100899461B1 (ko) 다용도 플랜지 배관 연결 장치
JP6238641B2 (ja) 分岐用穿孔装置
JP5719639B2 (ja) 分岐栓付きサドル継手及び仮設配管用管継手
KR200484563Y1 (ko) 수도관용 t자 분기관 구조
CN103791185A (zh) 锁紧式管接头
BR112020023256A2 (pt) junta de tubo
JP4102972B2 (ja) 分水用管継手およびこれとペアで用いられる管継手
JP4567648B2 (ja) 配管接続用アダプタ及び耐震継手への仮設配管の接続方法
KR102166350B1 (ko) 상호 연결되는 배관 간의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배관연결구
JP7249978B2 (ja) 排水構造を構築する方法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JP2008057593A (ja) ルーズフランジ式管継手
KR102061623B1 (ko) 수도용 파이프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