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804B1 -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804B1
KR102144804B1 KR1020190160820A KR20190160820A KR102144804B1 KR 102144804 B1 KR102144804 B1 KR 102144804B1 KR 1020190160820 A KR1020190160820 A KR 1020190160820A KR 20190160820 A KR20190160820 A KR 20190160820A KR 102144804 B1 KR102144804 B1 KR 10214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oidance system
wildlife
main body
horizontal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경
임상진
박영철
오장근
김경진
최인영
김혜리
정상민
Original Assignee
국립공원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공원공단 filed Critical 국립공원공단
Priority to KR102019016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메쉬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로 대피하고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SYSTEM FOR AVOIDING HARMFUL ANIMAL}
본 발명은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생 동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날씨가 좋아지면 산으로 들과 같은 자연으로 나들이를 가게 되나 뜻하지 않게 야생 동물을 만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멧돼지나 맹견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야생 동물이 사람을 인식 못한 상황이라면 소리를 내지 않고 안전한 장소로 피해야 한다. 야생 동물이 쫓아오면 나무나 큰 바위 뒤에 몸을 숨겨 위기를 모면하게 된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마주하면 적절한 대처를 하기가 쉽지 않으며 몸을 피신하기에 바람직한 주위 환경도 찾기가 쉽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9291호에는 종래의 야생동물차단용 펜스설치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야생동물차단용 펜스설치구조물의 분해 사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드레일의 지주(3) 상부에 각각 끼움결합되면서 고정설치되는 연결캡(4)이 구비되고 연결캡(4)의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펜스지지봉(5)이 돌출형성된 지주연결부(2)와, 좌우측 펜스지지봉(5) 사이에 부합되는 크기를 지닌 펜스판(14)이 구비되고 펜스판(14)의 좌우양측끝단에는 각각 좌우측 측면체결판(15a)(15b)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펜스지지봉(5)의 좌우양측에 돌출형성된 좌우측 측면결합판(10a)(10b)과 전후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연결되면서 가드레일판(7)의 상부를 일정높이로 차단하는 펜스부(13)와, 좌우측 펜스지지봉(5) 사이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전방지지바(22)가 구비되고 전방지지바(22)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펜스지지봉(5)의 외주면 하부를 감싼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체결링(23)이 구비되어 있어 펜스판(14)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하부체결판(18)의 전방에 전방지지바(22)가 맞닿은 상태로 고정연결되면서 펜스판(14)의 전면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21)와, 좌우측 펜스지지봉(5) 사이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후방지지바(27)가 구비되고 후방지지바(27)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펜스지지봉(5)의 외주면 상부를 감싼 상태로 결합되는 상부체결링(28)이 구비되어 있어 펜스판(14)의 후면 상부에 후방지지바(27)가 밀착되게 맞닿아 펜스판(14)의 상부를 받침지지하는 후방지지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에서는 멧돼지나 너구리 등의 야생동물의 침입에 의한 농작물의 훼손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과 같은 시설물을 이용하여 경작지를 둘러싸 야생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은 경작지나 사람이 거주하는 거주지에 설치하는 시설로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이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대피 시설은 설치 및 유지 관리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나 눈이 오는 경우 누전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야생 동물이 출몰하는 지역에 설치되어 야생 동물로부터 대피하고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메쉬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로 대피하고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본체는 상부를 향해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 및 상기 원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은 상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구조이다.
상기 원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손잡이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링 형상의 착좌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이동 통로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이동 통로 구멍에는 지면과 연결되는 브릿지가 구비된다.
상기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구조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본체 상부로 대피하는 단계, 버튼을 가압하는 단계, 및 스피커를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본체로 대피하는 단계는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작동 방법은 버튼을 가압하여 통신 모듈을 통해 관제실로 구조 신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야생 동물의 위험으로부터 대피하여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부상을 당한 경우에 관제실에 구조 요청을 송신하여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야생동물차단용 펜스설치구조물의 분해 사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다른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위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다른 일부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110), 상기 본체(110)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평 플레이트(120),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는 버튼부(130)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140) 및 상기 본체(110)를 지지하도록 메쉬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6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로 대피하고 상기 버튼부(130)를 가압하여 상기 스피커(140)를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본체(110)는 상부를 향해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11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112)은 상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구조로서 원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상기 원형 프레임(112)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1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 프레임(112)이 상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114)은 상기 원형 프레임(112)의 내부에 이격되어 경사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114)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손잡이(119)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중앙 하부에는 중심 프레임(116)이 연결되어 있어 전체 중심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링 형상의 앉을 수 있는 착좌부(1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착좌부(150)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118)에 의해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130)는 복수개의 버튼이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110)의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부(130)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 신호 버튼(132)과 관제실에 구조 신호를 요청하는 구조 요청 버튼(134)이 각각 복수개가 교번 배치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스피커(1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140)는 복수개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구비되어 원형 프레임(112)과 지지 프레임(114)에 의해 보호되므로 야생 동물로부터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구조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과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모듈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구비되면 원형 프레임(112)과 지지 프레임(114)에 의해 보호되므로 야외 환경과 야생 동물로부터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의 보호를 위해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의 하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위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베이스 플레이트(160)는 본체를 지지하도록 메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발굽이 있는 동물은 발굽이 빠지는 것을 싫어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발굽이 있는 동물의 접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는 평면을 기준으로 사각형이거나 또는 원형 베이스 플레이트(161)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측면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이동 통로 구멍(16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통로 구멍(162)에는 지면과 연결되는 브릿지(16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 통로 구멍(162)과 브릿지(164)는 곤충, 양서류, 파충류 등과 같은 소형 야생동물이 탈출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다른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작동 관계 및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야외에서 야생 동물과 마주치게 되는 경우에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의 본체(110) 상부로 대피한다(S110). 이 경우에 지지 프레임(114)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19)를 잡고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112)을 밟고 올라가서 수평 플레이트(120) 상에 위치한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20) 상에 올라간 후에는 버튼을 가압하되(S120),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 신호 버튼(132)을 가압하여 스피커(140)를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야생 동물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S130). 야생 동물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부상을 당한 경우에 관제실에 구조 신호를 요청하는 구조 요청 버튼(134)을 눌러 구조를 요청하게 된다(S14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야생 동물의 위험으로부터 대피하여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부상을 당한 경우에 관제실에 구조 요청을 송신하여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110: 본체
112: 원형 프레임
114: 지지 프레임
116: 중심 프레임
118: 연결 프레임
119: 손잡이
120: 수평 플레이트
130: 버튼부
132: 경고 신호 버튼
134: 구조 요청 버튼
140: 스피커
150: 착좌부
160: 베이스 플레이트
161: 원형 베이스 플레이트
162: 이동 통로 구멍
164: 브릿지

Claims (12)

  1.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 및
    상기 본체를 하단에서 지지하며 메쉬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부를 향해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 및
    상기 원형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기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은 대피자가 상기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을 밟고 올라가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 상에 대피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원형 프레임은 상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손잡이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링 형상의 착좌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이동 통로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로 구멍에는 지면과 연결되는 브릿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구조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은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전원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구조 신호를 요청하는 구조 요청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KR1020190160820A 2019-12-05 2019-12-05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KR10214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20A KR102144804B1 (ko) 2019-12-05 2019-12-05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20A KR102144804B1 (ko) 2019-12-05 2019-12-05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804B1 true KR102144804B1 (ko) 2020-08-18

Family

ID=7226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820A KR102144804B1 (ko) 2019-12-05 2019-12-05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8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106A (ko) * 2010-09-06 2012-03-14 (주) 미도랜드 비상구조요청장치
KR200471680Y1 (ko) * 2013-10-24 2014-03-07 허현 신변 안전부스
KR20170034277A (ko) * 2015-09-18 2017-03-28 노병철 재난 및 치한 대피용 안전 스토리지 캐비넷
JP2018068271A (ja) * 2016-11-04 2018-05-10 志賀包装機株式会社 害獣忌避装置及び害獣忌避方法
JP3219774U (ja) * 2017-11-07 2019-01-24 ▲韋▼ 江 安全防護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106A (ko) * 2010-09-06 2012-03-14 (주) 미도랜드 비상구조요청장치
KR200471680Y1 (ko) * 2013-10-24 2014-03-07 허현 신변 안전부스
KR20170034277A (ko) * 2015-09-18 2017-03-28 노병철 재난 및 치한 대피용 안전 스토리지 캐비넷
JP2018068271A (ja) * 2016-11-04 2018-05-10 志賀包装機株式会社 害獣忌避装置及び害獣忌避方法
JP3219774U (ja) * 2017-11-07 2019-01-24 ▲韋▼ 江 安全防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9945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st control
WO2001093674A3 (en) Methods and personal protection devices for repelling insects
WO2000027187A3 (en) Method and device for attracting insects
JP6555466B2 (ja) 点滅照明による防虫方法および防虫用照明装置
EA200200214A1 (ru) Барьер против термитов и насекомых-точильщиков для защиты деревя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2144804B1 (ko) 야생 동물 회피 시스템
JPWO2020241149A1 (ja) 野生動物撃退装置
JP2008000066A (ja) 多獣種対応型侵入防止柵
CN106305665A (zh) 一种林业杀虫装置
Lynch et al. Using evolution to generate sustainable malaria control with spatial repellents
RU2198501C2 (ru) Способ и помещение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или их урожая от заражения насекомыми
KR102368952B1 (ko) 반려 동물용 유골함
CN212414445U (zh) 物联网太阳能电击式杀虫灯
CN113570804A (zh) 一种驱兽室外无人变电站系统
CN213246518U (zh) 一种园林树木病虫害杀灭装置
CN211129148U (zh) 一种农业驱虫大棚
CN209806908U (zh) 一种带有防堆积接虫盒的杀虫灯
CN205305788U (zh) 一种林业用杀虫灯
CN201104452Y (zh) 一种毒饵站
US65728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ng term protection from intrusion by insects and other cold blooded animals
CN220674899U (zh) 一种园林植物虫害防护器
KR200310871Y1 (ko) 조수퇴치기
CN209860390U (zh) 一种导线孔密封性较好的低压开关柜
CN211091461U (zh) 一种园林防雨除虫装置
GB2323009A (en) Pest deterr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