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653B1 -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653B1
KR102144653B1 KR1020200040123A KR20200040123A KR102144653B1 KR 102144653 B1 KR102144653 B1 KR 102144653B1 KR 1020200040123 A KR1020200040123 A KR 1020200040123A KR 20200040123 A KR20200040123 A KR 20200040123A KR 102144653 B1 KR102144653 B1 KR 10214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light
switching element
switc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도현
Original Assignee
류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도현 filed Critical 류도현
Priority to KR102020004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제어 명령을 차량의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급감속시 관성 회전에 의해 스위칭소자를 자동 타격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이동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Switch ope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mergency Light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비상등을 차량의 급정차와 같은 급감속시에 자동으로 점멸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의 편의 및 사고 방지를 통한 운전자의 안전 보장을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 그 중 차량의 급제동경보시스템(ESS: Emergency Stop and alarm System)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으로 인한 급제동 상황 발생시, 차량 후미에 설치된 비상등(예: 적색등)을 점멸함으로써 후방 차량에 위험을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전달 경보해 주어 추돌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시스템이다.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한 차량의 급제동시 대부분의 차량은 차량의 후미에 후방 차량에 차량의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별도의 비상등(예: 노란색등)이 구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해당 비상등은 운전자가 점멸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긴급 상황이라고 인식한 후 비상등 점멸 스위치를 수동 조작하기 때문에 사고위험이 있고, 수동 조작에 따른 스위치 조작시간이 늦기 때문에 뒤늦게 비상등을 감지한 후방 차량의 추돌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06133호(2013.09.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27366호(2012.03.08.)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등을 차량의 급정차와 같은 급감속시에 자동으로 점멸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는,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량의 급감속시 관성 회전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를 자동 타격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이동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부는 상기 스위칭소자가 수용되도록 내공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 내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무게추가 고정되며 상기 차량의 급감속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스위칭소자를 작동시키는 레버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전진 및 후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 이동시 상기 레버부재를 연동회전시키는 버튼과,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은 통형의 몸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의 내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1,2스토퍼를 구비하여서, 상기 레버부재가 회동시 상기 제1,2스토퍼에 의해서 회동각도가 제한되거나, 상기 버튼의 전진 이동시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레버부재를 연동시키며,
상기 복원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에 고정되는 스프링이며,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축에는 상기 무게추를 상기 제2스토퍼에 탄성 밀착시키는 토오션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소자에 충격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센서에 상기 레버부재에 의한 충격시 상기 충격 센서의 충격량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충격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비상스위치의 내부에 관성 회전에 의해 스위칭소자를 동작시키는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급감속시 신속하게 비상등을 자동 점멸시켜 추돌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성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무게추의 충격량을 측정하여 이를 더 이용함으로써 비상등의 자동 점멸을 좀더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작동시 무게추의 1회 동작에 의해 바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비상등의 해제시에는 운전자나 조수석의 동승자가 버튼을 선택하여 해제하는 것 이외에 음성 명령이나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자동으로 비상등의 자동 점멸이 해제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차량 구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제어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점멸 제어를 위한 차량 구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점멸 제어를 위한 차량 구동 시스템(90)은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이하, 스위치)(100), 제어장치(110) 및 비상등(120)을 포함한다.
먼저, 스위치(100)는 자기 차량의 비상 상황을 외부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작동하는 비상 스위치로서, 통상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중앙 부위에 해당하는 대쉬보드에 설치된다. 대쉬보드의 중앙 부위에는 스위치(100)가 설치되는 것 이외에도 에어컨의 냉기와 히터의 온기가 나오는 팬(fan)이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의 동작이나 차량에 구비되는 전자기기의 다양한 정보(예: 실외온도 등)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외연을 형성하는 폴리(poly) 계열의 본체와, 그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예: PCB 기판)상의 스위칭소자, 그리고 그 스위칭소자를 관성 회전에 의해 자동으로 터치하는 이동체부와, 본체에 결합되어 차량 내의 운전자 등이 비상등을 수동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다.
개략적으로는 운전석에서 볼 때 본체의 전면부에 버튼이 결합되고, 버튼의 동작시 회로기판상의 스위칭소자 등을 터치하여 운전자에 의한 제어 명령이 제어장치(11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스위치(100)의 내부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는 이동체부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하고, 버튼이 선택될 때에는 기판상의 별도의 구성을 통해 신호가 제어장치(11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지만, 동일 스위칭소자를 선택하여 무게추에 의해 자동으로 비상등의 자동 점멸 동작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물론 버튼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도 비상등의 자동 점멸 동작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스위치(100)를 기구적으로 어떠한 형태로 설계하느냐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와 같이 급감속시에 비상등이 자동 점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100)는 본체 내부의 이동체부에서 회동가능한 무게추에 의해 스위칭소자를 터치하여 제어 명령이 제어장치(11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속도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무게추가 스위칭소자에 닿지 않지만, 차량의 급감속시에는 무게추의 운동 거리가 증가하여 스위칭소자를 터치함으로써 제어 명령이 제어장치(11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무게추의 무게가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의 설계는 차량의 주행 시험을 통해 얻은 시험 데이터를 근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무게추의 무게를 결정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스위칭소자에 충격 센서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무게추가 스위칭소자를 터치할 때, 충격센서를 통해 충격량을 센싱하여 그 센싱값에 의해 비상등의 정밀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위치(100) 내의 스위칭소자는 즉 제어 명령을 제공하는 스위칭소자는 일측에 충격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차량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통상 제어장치(110)는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라 명명되기도 한다. 제어장치(110)는 스위치(100)로부터 차량의 급정거 등의 급감속시에 제공되는 제어 명령 즉 제어 신호가 있으면, 또는 제어 명령과 함께 제공되는 충격센서에 의한 센싱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비상등(120)을 자동 점멸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어장치(110)는 비상등(120)으로 제공되는 전압을 일시적으로 차단했다가 다시 제공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제어장치(110)는 비상등(120)을 주기적으로 온 및 오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110)는 온 및 오프를 반복하는 펄스 형태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스위치(100)로부터 지정 레벨의 전압(예: 5V 전압)이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거나 하는 등의 동작에 의해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충격 센서를 통해 센싱값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센싱값을 계산하여 기설정 값 즉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이를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빈번한 동작이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격센서를 더 이용하여 정밀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장치(11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일정 시간의 경과 후에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10)는 운전석의 운전자나 조수석의 동승자의 스위치(100) 조작에 의해 자동 점멸 동작을 해제하라는 지시가 있으면 이에 따라 비상등(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의 경우가 아니라 하더라도 운전자의 음성명령을 차량 내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취득하여 이를 인식해 비상등(120)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자동 점멸을 시작한 후 일정 시간(예: 30초 정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자동 점멸 동작을 해제하도록 비상등(120)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비상등(120)은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 차량을 급제동할 때 켜는 적색의 제1 비상등과 운전자가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노란색의 제2 비상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자동 점멸은 제2 비상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도 1의 스위치(100)는 제2 비상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비상등(120) 즉 제2 비상등은 소형 백열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친환경 기기를 제조하기 위해 LED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백열전구나 LED를 사용하여 노란색을 발광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100)를 통해 차량의 급감속시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비상등(120)이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이나 방어에 집중할 수 있어 2차 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절단선(A-A')을 따라 본 절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위치(100)는 스위칭소자(211)와 이동체부(221a ~ 222b)를 포함한다.
스위칭소자(211)는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10)상에 형성된다. 회로기판(210)은 스위칭소자(211)가 이동체부(221a ~ 222b)의 무게추(221b)에 의해 터치될 때 제어 명령 즉 신호를 외부 가령 도 1의 제어장치(110)로 출력하기 위한 와이어가 연결된다. 도 1에서는 와이어와 함께 커넥터나 잭(jack)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위치 구조를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위치는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스위칭소자(211)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량의 급감속시 관성 회전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211)를 자동 타격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이동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체부는 상기 스위칭소자(211)가 수용되도록 내공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10) 내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무게추(221b)가 고정되며 상기 차량의 급감속시 관성에 의해 회동전되어 상기 스위칭ㅅ소(211)를 작동시키는 레버부재(221a)와, 상기 하우징(10)에 전진 및 후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 이동시 상기 레버부재(221a)를 연동회전시키는 버튼(220)과, 상기 버튼(22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버튼(220)은 통형의 몸통부(223)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223)의 내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1,2스토퍼(222a)(222b)를 구비하여서,
상기 레버부재(221a)가 회동시 상기 제1,2스토퍼(222a)(222b)에 의해서 회동각도가 제한되거나, 상기 버튼(220)의 전진 이동시 상기 제2스토퍼(222b)가 상기 레버부재((221a)를 연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복원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10)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220)에 고정되는 스프링(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221a)의 회동축에는 상기 무게추(221b)를 상기 제2스토퍼(222b)에 탄성 밀착시키는 토오션스프링(30)이 결합된다. 이에따라서 토오션스프링(30)의 복원력보다 차량의 급감속시 발생하는 무게추(221b)의 관성력이 클때 상기 스위치소자(211)를 레버부재(221a)가 터치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운전자에 의한 수동조작시, 버튼(220)이 운전자에 의해 눌릴 때 후방의 제2스토퍼(222b)가 무게추(221b)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스위칭소자(211)를 터치하게 하여 수동에 의해서도 스위칭소자(211)가 동작하는 구조를 가진다.
차량의 충돌이나 급감속시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221b)의 관성 회전 동작에 의해 무게추(221b)가 스위칭소자(211)를 작동시켜서 비상등이 점멸되도록 한다.
회로기판(210)이 구비되는 본체부(200)의 내부 수납부에는 운전자가 버튼(220)을 수동으로 조작할 때 버튼(220)이 눌리고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가령 슬라이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칭소자(211)가 턴온 동작할 때, 버튼(220)이 함께 눌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해제시에는 운전자가 버튼(220)을 한번 더 눌러 해제시키는 것이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는 해제시에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위해 음성 명령 등에 의해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해제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센싱부(420), 저장부(430) 및 급감속 분석부(4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센싱부(420)나 저장부(4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제어장치(110)가 구성되거나, 급감속 분석부(4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4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도 1의 스위치(100)로부터 제어 명령 즉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1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10)는 메인 PCB 기판상에 구성되는 CPU와 같은 다양한 IC 칩(Chip)과 그 주변회로들로 구성될 수 있다. CPU를 구성하는 IC 칩의 각 단자는 스위치(100)와 와이어 즉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나 잭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100)가 연결되어 있는 해당 단자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410)는 제어 명령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령 단자부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구성하는 일부가 될 수 있다. 물론 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어 명령이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지만, 스위치(100)의 동작에 의해 회로적으로 전류가 유입되면 또는 바이패스(bypass)되어 전류의 유입이 없으면 해당 단자에서 가령 저항(R) 등을 통해 저항 양단의 전압이 감지되고 감지되지 않느냐에 따라 신호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스위치(100)의 온 및 오프 동작에 따라 제어 신호가 입력되거나 입력되던 중에 끊기면 제어부(410)는 해당 신호에 따라 비상등(120)을 제어하여 자동 점멸을 중단시킬 수 있다. 물론 이의 경우가 아니라 하더라도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시 말해 유선 통신을 통해 스위치(100)에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알려주는 형태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IC 칩에서 스위치(100)는 5번 단자에 연결되고, 비상등(120)은 12번 단자에 연결된다면, 제어부(410)는 5번 단자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신호를 근거로 12번 단자에 연결된 비상등(120)을 제어하게 된다. 비상등(120)을 제어할 때에도 스위치(100)의 통신 방식과 마찬가지로 전압을 펄스 형태로 제공하여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즉 1초 동안 3 ~ 5V의 DC 전압을 인가하고, 다시 1초 동안 인가된 전압을 끊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서는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지만, 그 이외에도 차량이 급감속하여 운전자가 수동 조작이 순간적으로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스위치(100) 내부의 관성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무게추에 의해 제어 신호가 제공됨으로써 제어부(410)는 비상등(120)을 제어하여 자동 점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410)는 센싱부(420)를 구성하는 다양한 센서들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근거로 비상등(120)을 보다 정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00)에 무게추의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충격센서가 구비되어 있다면 스위치(100)의 터치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신호와 함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센싱 데이터를 급감속 분석부(440)로 제공하여 충격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측정 결과 기준값을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다시 말해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비상등(120)을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충격센서가 아니라 하더라도, 차량의 차륜에 구비되는 속도센서 등을 통해서도 급감속될 때 속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급감속 분석부(440)를 통해 급감속 상태 등을 분석하여 기준값과 일치하거나 벗어나거나 할 때 비상등(120)을 제어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 동작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동작의 해제는 또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등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폰 등의 음성취득부를 통해 취득한 음성을 음성인식을 통해 발화명령을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을 제어부(410)가 해제시키는 것이다. 또는 가령 운전자나 조수석의 동승자가 스위치(100)를 한번더 눌러 해제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센싱부(420)는 충격센서나 속도센서 등을 포함한다. 충격센서는 스위치(1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차량의 급감속시에 움직이는 무게추와 부딪히는 충격량을 센싱한다. 그리고 그 센싱된 센싱 데이터는 센싱부(420)가 가령 제어부(4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어부(410)로 전달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속도센서는 앞서 언급한 대로 차량의 차륜 등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센싱하여 속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제어부(41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가령, 센싱부(420)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저장부(430)에 임시 저장한 후 급감속 분석부(4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을 위한 기준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가령 이는 제어부(410)의 요청이 있을 때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급감속 분석부(440)는 단순히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스위치(100)의 제어 신호가 입력될 때 동작하기보다는 비상등(120)의 정밀 제어를 위하여 센싱 데이터를 이용할 때보다 유용할 수 있다. 물론 급감속 분석부(440)는 차량 내의 블랙박스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급감속 분석부(440)에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블랙박스의 촬영영상의 분석은 무엇보다 스위치(100)를 통해 유입된 제어 신호에 의해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감속 분석부(440)의 계산값과 저장부(430)에서 제공되는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 자동 점멸을 위한 조건을 만족할 때 급감속 분석부(440)는 해당 결과를 제어부(410)에 제공하여 비상등(120)을 자동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급감속 분석부(440)는 시스템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급감속 분석부(440)는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인식기를 포함하거나,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 동작 후 일정 시간 후에 작동을 해제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를 제어부(410)로 통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 점멸 동작을 시작하면 타이머(timer)를 작동시켜 가령 30초가 끝나면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을 해제하라는 신호를 제어부(410)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급감속 분석부(440)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그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4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10)의 초기 동작시, 가령 차량을 운행하는 초기에 CPU는 급감속 분석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하여 데이터 처리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이이피롬(EEPROM)이나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담당하며,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를 연산하며, 명령어해석부는 2진 비트정보가 어떤 동작에 관계하는지를 판단하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하다. 램은 휘발성 메모리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차량의 급감속시 이동체부에 포함되는 무게추가 관성 회전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칭소자를 자동 터치(혹은 타격)한다(S500).
스위칭소자는, 이동체에 의해 자동 터치될 때 차량의 비상등을 자동 점멸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차량의 제어장치(110)로 제공한다(S510). 이에 따라 제어장치(110)는 도 1의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스위치(100)는 충격센서의 충격량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여 비상등(120)의 자동 점멸 제어시 정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 기타 스위치(100)와 관련한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100, 100': 스위치 110: 제어장치
120: 비상등 200: 본체부
210: 회로기판 211: 스위칭소자
220: 버튼 221b: 무게추
222a,222b: 제1,2스토퍼 400: 통신 인터페이스부
410: 제어부 420: 센싱부
430: 저장부 440: 급감속 분석부

Claims (1)

  1.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제어 명령을 차량의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스위칭소자(211)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량의 급감속시 관성 회전에 의해 상기 스위칭소자(211)를 자동 타격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이동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부는 상기 스위칭소자(211)가 수용되도록 내공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10) 내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무게추(221b)가 고정되며 상기 차량의 급감속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스위칭소자(211)를 작동시키는 레버부재(221a)와, 상기 하우징(10)에 전진 및 후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진 이동시 상기 레버부재(221a)를 연동회전시키는 버튼(220)과, 상기 버튼(22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220)은 통형의 몸통부(223)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223)의 내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1,2스토퍼(222a)(222b)를 구비하여서,
    상기 레버부재(221a)가 회동시 상기 제1,2스토퍼(222a)(222b)에 의해서 회동각도가 제한되거나, 상기 버튼(220)의 전진 이동시 상기 제2스토퍼(222b)가 상기 레버부재(221a)를 연동시키며,
    상기 복원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10)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220)에 고정되는 스프링(20)이며,
    상기 레버부재(221a)의 회동축에는 상기 무게추(221b)를 상기 제2스토퍼(222b)에 탄성 밀착시키는 토오션스프링(30)이 결합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스위칭소자(211)에 충격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센서에 상기 레버부재(221a)에 의한 충격시 상기 충격 센서의 충격량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충격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
KR1020200040123A 2020-04-02 2020-04-02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 KR102144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123A KR102144653B1 (ko) 2020-04-02 2020-04-02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123A KR102144653B1 (ko) 2020-04-02 2020-04-02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778A Division KR102184788B1 (ko) 2019-04-12 2019-04-12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653B1 true KR102144653B1 (ko) 2020-08-28

Family

ID=7229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123A KR102144653B1 (ko) 2020-04-02 2020-04-02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6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86U (ko) * 1996-07-04 1998-04-30 김영귀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등 스위치
KR19980014532U (ko) * 1998-03-21 1998-06-05 박현동 자동차급제동시관성력에 의한 비상점멸장치
KR200345966Y1 (ko) * 2003-06-12 2004-03-25 조광희 자동차 비상등 자동점등장치
KR101127366B1 (ko) 2010-05-27 2012-03-29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
KR101306133B1 (ko) 2012-04-17 2013-09-09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86U (ko) * 1996-07-04 1998-04-30 김영귀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등 스위치
KR19980014532U (ko) * 1998-03-21 1998-06-05 박현동 자동차급제동시관성력에 의한 비상점멸장치
KR200345966Y1 (ko) * 2003-06-12 2004-03-25 조광희 자동차 비상등 자동점등장치
KR101127366B1 (ko) 2010-05-27 2012-03-29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
KR101306133B1 (ko) 2012-04-17 2013-09-09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비상등 점멸 스위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2174A (en) Motorcycle turn signal control circuit
KR100321235B1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US11161484B2 (en)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US9834137B2 (en) Turn signal systems and methods
JP2005200010A (ja) 安全拘束システムにおいて車両状態情報を使用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767994B1 (ko) 자동차 브레이크 등
US9352729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brake of vehicle
DE102014010345B3 (de) Verfahren zum Sichern ein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CN111989726B (zh) 用于在光信号设备处自动起动移动工具的方法、装置和移动工具
CN114212024B (zh) 方向指示器的控制方法以及方向指示器的控制装置
JP2019014464A (ja)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144653B1 (ko) 자동차의 비상등 스위치 작동장치
KR102184788B1 (ko)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
CN113165611B (zh) 用于在单轮辙式的机动车中执行自主制动的方法和装置
CN108909693A (zh) 一种乘车人员上下车的安全防护系统及其方法
KR20200120519A (ko)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
KR20200120518A (ko)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
KR20200120517A (ko) 비상등 자동 점멸을 위한 스위치장치
US11485341B2 (en)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JP2005306185A (ja) 乗員拘束装置の制御装置
KR101976497B1 (ko) 차량용 조작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14763A (ja) 車両用制御装置
EP1592580B1 (en) Vehicle alarm device
KR101594562B1 (ko) 차량용 제어장치
KR102191509B1 (ko)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멸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