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401B1 -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 - Google Patents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401B1
KR102144401B1 KR1020190107665A KR20190107665A KR102144401B1 KR 102144401 B1 KR102144401 B1 KR 102144401B1 KR 1020190107665 A KR1020190107665 A KR 1020190107665A KR 20190107665 A KR20190107665 A KR 20190107665A KR 102144401 B1 KR102144401 B1 KR 10214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light
light blocking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파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파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파이브
Priority to KR102019010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15Compounds containing carbon-to-nitrogen trip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08K5/341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수지 및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사출 성형체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현저히 우수할 뿐 아니라, 광 투과율이 우수하면서도 황색을 띠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RESIN COMPOSITION FOR BLOCKING BLUE LIGHT AND INJECTION MOLDING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블루라이트는 가시광선 중 파장이 380 ~ 500 nm 영역인 청색광을 의미하며,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중에서 파장이 가장 짧고, 자외선에 가까운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380 ~ 430 nm 영역의 블루라이트는 각막이나 수정체에서 흡수되지 않고 망막에 도달하여 안구의 피로를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안구에 손상을 가하여 선명한 시야가 방해될 뿐 아니라, 안구건조, 눈피로, 불명증, 어깨 결림, 요통 등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PC, 휴대폰, 태블릿 등 스마트 기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현대인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스마트 기기의 LED 디스플레이 및 조명기기에서 발생되는 빛에는 유해한 블루라이트가 포함되어 있어, 스마트 기기로부터 블루라이트를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LED 디스플레이 및 조명기기의 전면에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 블루라이트 차단막, 블루라이트 차단 패널 등을 구비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5298호에서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광판, 복수의 LED로 구성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상기 조명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 중 420 ~ 450 nm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는 차단부 등을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제거용 조명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된 특허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서는 블루라이트 파장대 중에서도 사람의 눈에 유해한 380 ~ 430 nm 영역이 아닌, 420 ~ 450 nm 영역의 차단만을 실시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사람의 눈에 유해한 블루라이트의 차단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LED 디스플레이 및 조명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블루라이트 차단부에 의해 LED 디스플레이 및 조명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며,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부를 구성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염료 등에 의해 블루라이트 차단부가 황색을 띠어 색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나, 상기 등록된 특허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가지는 세 가지 성분을 조합하여, 380 ~ 430 nm 영역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율이 우수할 뿐 아니라, 광 투과율이 우수하면서도 황색으로의 변색이 없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5298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블루라이트 차단능을 가지는 세 가지 성분을 특정 조합으로 포함하여,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광 투과율이 높고, 황색으로의 변색이 발생되지 않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블루라이트 차단능을 가지는 세 가지 성분을 특정 조합으로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됨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 효율이 우수하면서도 광 투과율이 높고, 황색을 띠지 않는, 사출 성형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수지 및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0.01 ~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1 ~ 1 : 0.5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돌계 화합물은 메틸인돌(Methylindole), 벤조일인돌(Benzoyl indole) 및 페닐인돌(Phenylind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사출 유연제를 0.01 ~ 5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수지; 및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블루라이트 차단용 성형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사출 성형체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현저히 우수할 뿐 아니라, 광 투과율이 우수하면서도 황색을 띠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영역 중에서도 인체에 유해한 380 ~ 430 nm 영역의 차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수지 및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380 ~ 430 nm 의 블루라이트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PC, 핸드폰, 태블릿 PC, LED 조명 장치 등 블루라이트를 발생시키는 모든 장치 내지 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2,5-Bis(5-Tert-Butyl-2-Benzoxazolyl)Thiophene],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Alkyl 2-cyano-3-(4-hydroxy-3-alkoxy-phenyl)-prop-2-enoate]를 포함한다.
상기 인돌계 화합물은 메틸인돌(Methylindole), 벤조일인돌(Benzoyl indole) 및 페닐인돌(Phenylind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돌계 화합물은 메틸인돌, 벤조일인돌 및 페닐인돌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인돌계 화합물은 메틸인돌, 벤조일인돌 및 페닐인돌을 1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인돌계 화합물이 메틸인돌, 벤조일인돌 및 페닐인돌을 모두 포함하되, 상기 메틸인돌, 벤조일인돌 및 페닐인돌을 1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더욱 향상됨과 동시에, 우수한 광 투과율을 가지며, 황색을 띠지 않을 수 있다.
상기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은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2,5-Thiophenediylbis(5-tert-butyl-1,3-benzoxazole), Uvitex OB 등으로도 불린다. 또한, 상기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는 UV-80으로도 불리는, 밝은 노란색을 띠는 파우더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89728929-pat00001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1 ~ 1 : 0.5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포함할 뿐 아니라, 이들을 특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상기 세 개의 성분에 의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3 ~ 0.7 : 1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제가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5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더욱 향상된 블루라이트 차단능 및 우수한 광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황색을 띠지 않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5 : 1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제가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5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현저히 우수한 블루라이트 차단능 및 우수한 광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황색을 띠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0.01 ~ 5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1 ~ 3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0.01 ~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이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0.01 ~ 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현저히 낮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이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5 중량부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0.01 ~ 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광 투과율이 현저히 낮고, 황색을 띠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사출 유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 유연제는 베이스 수지와 블루라이트 차단제의 혼용성,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종류의 사출 유연제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출 유연제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PETS, Pentaerythritol Tetrastearate)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유연제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사출 유연성 및 블루라이트 차단제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우수한 블루라이트 차단능 및 광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황색을 띠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사출 유연제를 0.01 ~ 5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1 ~ 3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0.2 ~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이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사출 유연제를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사출 유연제를 0.01 ~ 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사출 유연제 첨가에 따른 효과 차이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이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사출 유연제를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사출 유연제를 0.01 ~ 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블루라이트 차단능 및 광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중합 개시제, 도막 형성제, 소포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및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구현하고자 하는 대상에 도포함으로써,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사출 성형되어 특정 형태의 사출 성형체로 형성됨으로써, PC, 핸드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또는 LED 조명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사출 성형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사출 성형체는 베이스 수지; 및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사출 성형체는 상기와 같은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됨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현저히 우수할 뿐 아니라, 광 투과율이 우수하면서도 황색을 띠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사출 성형체는 블루라이트 영역에 해당되는 380 ~ 500 nm 의 영역 중에서도 인체에 유해한 380 ~ 430 nm 의 블루라이트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사출 성형체는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사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출 성형체는 PC, 핸드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필름, PC, 핸드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커버, PC, 핸드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용 외부 프레임, LED 조명 장치용 필름, LED 조명 장치용 커버, LED 조명 장치용 외부 프레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출 성형체가 필름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 및 LED 조명 장치에 부착 내지 적층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 및 LED 조명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필름이 LED 조명 장치에 적용될 경우, 상기 LED 조명 장치는 LED 발광 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확산판; 및 상기 LED 모듈 및 상기 확산판 사이에 부착 내지 적층되는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출 성형체가 커버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 및 LED 조명 장치에서 광이 발생되는 부위에 부착 내지 적층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 및 LED 조명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커버가 PC 에 적용될 경우, 상기 PC 모니터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커버를 형성한 다음, 상기 PC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커버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PC 로부터 발생되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체가 LED 조명 장치용 외부 프레임인 경우에는, 상기 LED 조명 장치에서 LED 발광 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LED 모듈을 덮어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프레임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사출 성형체의 두께는 1 ~ 5 mm, 구체적으로는 2 ~ 4 mm, 더 구체적으로는 2 ~ 3 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사출 성형체는, 상기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사출 성형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표 1[단위 : 중량비]의 조성으로 혼합된 블루라이트 차단제 0.02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포함하며, 표 1의 중량비에 따라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 후, 공지의 사출 성형법에 따라,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두께가 2 mm 인 블루라이트 차단막을 제조하였다.



1



2



3



4



5
인돌계 화합물 1 1 1 1 1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0.1 0.3 0.5 0.7 1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 1 1 1 1 1
*인돌계 화합물 : 메틸인돌, 벤조일인돌 및 페닐인돌이 1 : 1 : 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
실시예 6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사출유연제를 0.3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사출유연제로는 PETS(Pentaerythritol Tetrastearate)를 사용하였다.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3
표 2[단위 : 중량비]에 따르는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이 ‹š, 표 2에서 비교예 1은 인돌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으며, 비교예 2는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을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3은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다.



1



2



3
인돌계 화합물 - 1 1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0.7 - 0.7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 1 1 -
비교예 4 내지 7
표 3[단위 : 중량비]에 따르는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4



5



6



7
인돌계 화합물 1 1 1 1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0.05 2 0.7 0.7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 1 1 0.1 3
비교예 8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0.000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7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1 : 블루라이트 차단능 평가
블루라이트 파장대의 투과율은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 U4100; 히타치(Hitach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블루라이트 파장대인 380 ~ 500 nm 중에서도 380 nm, 400 nm, 420 nm, 430 nm 에서의 투과율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380 nm 400 nm 420 nm 430 nm
실시예1 2.3 30.45 58.45 68.99
실시예2 1.0 26.00 54.01 65.00
실시예3 0 18.98 52.26 62.08
실시예4 1.2 25.66 55.99 65.94
실시예5 2.5 29.49 58.00 68.71
실시예6 0 15.40 50.40 60.94
비교예1 48.24 79.58 92.14 99.90
비교예2 45.69 78.44 93.59 98.14
비교예3 44.99 80.22 91.09 96.54
비교예4 38.16 58.49 81.09 90.54
비교예5 35.86 59.00 79.44 95.44
비교예6 39.00 60.17 76.56 90.69
비교예7 34.24 57.17 82.96 89.04
비교예8 79.85 91.40 99.09 99.80
비교예9 0 20.04 53.59 66.97
표 4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비교예 보다 투과율이 낮은 바, 비교예에 비해 효과적으로 블루라이트를 차단함을 의미한다.
더 상세히, 실시예 1 내지 5를 비교할 때,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5 : 1로 포함하는 경우, 380 ~ 430 nm 영역에 대해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6을 비교하면, 사출유연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비교하면, 블루라이트 차단제가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모두 포함할 때,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4 내지 7을 비교하면, 블루라이트 차단제가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모두 포함하되, 상기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1 ~ 1 : 0.5 ~ 2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8 내지 9를 비교하면,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블루라이트 차단제 0.01 ~ 5 중량부를 포함할 때, 블루라이트의 사용량 대비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극대화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광 투과율 평가
ASTM D1003의 규정에 따라 Haze Meter 장비를 활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출 성형체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표 5[단위 : %]에 나타내었다.
광투과율(%) 광투과율(%)
실시예1 86 비교예1 78
실시예2 88 비교예2 79
실시예3 90 비교예3 77
실시예4 88 비교예4 82
실시예5 86 비교예5 80
실시예6 93 비교예6 80
비교예7 80
비교예8 90
비교예9 53
표 5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6의 광 투과율이 비교예 1 내지 9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Yellow Index 평가
휘도계[CS-2000 : 미놀타(Minolta)]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Yellow Index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Yellow Index Yellow Index
실시예1 3.0 비교예1 5.0
실시예2 2.5 비교예2 5.5
실시예3 2.0 비교예3 5.0
실시예4 2.5 비교예4 8.9
실시예5 3.5 비교예5 10.0
실시예6 1.0 비교예6 11.4
비교예7 9.5
비교예8 2.0
비교예9 15.6
표 6을 보면, 실시예 1 내지 6의 Yellow Index가 비교예 1 내지 9 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사출 성형체는 황색을 띠지 않고, 투명에 가까운 색을 가짐을 의미한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실시예에 따르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광 투과율이 높고, 황색을 띠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베이스 수지 및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는
    인돌계 화합물, 2,5-비스-(5-부틸-2-벤즈옥사졸릴)티오펜, 및 알킬 2-시아노-3-(4-하이드록시-3-알콕시-페닐)-프로-2-에노에이트를 1 : 0.1 ~ 1 : 0.5 ~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제를 0.01 ~ 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돌계 화합물은
    메틸인돌(Methylindole), 벤조일인돌(Benzoyl indole) 및 페닐인돌(Phenylind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사출 유연제를 0.01 ~ 5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블루라이트 차단용 성형체.

KR1020190107665A 2019-08-30 2019-08-30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 KR10214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665A KR102144401B1 (ko) 2019-08-30 2019-08-30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665A KR102144401B1 (ko) 2019-08-30 2019-08-30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01B1 true KR102144401B1 (ko) 2020-08-14

Family

ID=7205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665A KR102144401B1 (ko) 2019-08-30 2019-08-30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285A (ja) * 1991-01-25 1993-02-19 Fuji Photo Film Co Ltd 非線形光学材料および光波長変換方法
WO2015097492A1 (en) * 2013-12-23 2015-07-02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Transparent optical article having a reduced yellowness appearance
CN106752190A (zh) * 2016-12-30 2017-05-31 宁波大榭开发区综研化学有限公司 防蓝光树脂组合物、硬化膜及制备方法、保护膜
KR101935298B1 (ko) 2017-07-24 2019-01-04 (주)에이치앤에이치에스 블루라이트 제거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285A (ja) * 1991-01-25 1993-02-19 Fuji Photo Film Co Ltd 非線形光学材料および光波長変換方法
WO2015097492A1 (en) * 2013-12-23 2015-07-02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Transparent optical article having a reduced yellowness appearance
CN106752190A (zh) * 2016-12-30 2017-05-31 宁波大榭开发区综研化学有限公司 防蓝光树脂组合物、硬化膜及制备方法、保护膜
KR101935298B1 (ko) 2017-07-24 2019-01-04 (주)에이치앤에이치에스 블루라이트 제거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940B1 (ko)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기능성 안경렌즈
KR101540114B1 (ko) 청색광 차단렌즈 및 그 제조방법
AU2013409186B2 (en) Transparent optical article having a reduced yellowness appearance
CN106687550A (zh) 用于向基体赋予紫外线吸收能力和/或高折射率的添加剂及使用该添加剂的树脂部件
KR20140058386A (ko) 편광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표시 장치
US20050009964A1 (en) Photochromic plate containing melanin
JP7171730B2 (ja) 粘着剤組成物
JP6106812B1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光学材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KR101790465B1 (ko) 청색광 차단 안경렌즈 및 청색광 차단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KR102144401B1 (ko) 블루라이트 차단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체
KR102179473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US20010053830A1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CN110392848A (zh) 具有改善的颜色的光学材料
JPWO2018062384A1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7065948B2 (ja) 眼鏡用レンズ及び眼鏡
CN1138829C (zh) 光致变色镜片的制造方法
KR20120029874A (ko) 저복굴절성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하는 사출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면 패널
JP6375192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KR102361100B1 (ko)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44679A (ko) 디스플레이의 전면 테두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전면 보호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tv
KR20210139235A (ko) 더 넓은 근적외선 커트 및 보다 양호한 미감을 위한 근적외선 염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광학적 요소
KR20220008695A (ko) 퍼펙트 자외선 차단렌즈
KR20160081656A (ko)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31348B1 (ko)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광확산제를 포함한 폴리카보네이트 광확산수지 조성물
KR102059166B1 (ko) 모노머 혼합방식의 고대비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