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370B1 -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 Google Patents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370B1
KR102144370B1 KR1020190147619A KR20190147619A KR102144370B1 KR 102144370 B1 KR102144370 B1 KR 102144370B1 KR 1020190147619 A KR1020190147619 A KR 1020190147619A KR 20190147619 A KR20190147619 A KR 20190147619A KR 102144370 B1 KR102144370 B1 KR 10214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nformation
user
intention
conver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민
박동길
윤기민
이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오
Priority to KR102019014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370B1/ko
Priority to PCT/KR2020/003297 priority patent/WO20211009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3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질의자의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맥락(Context)을 정의하고, 정의한 맥락에서 사용자와 매끄럽게 대화하기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시하면서 대화형으로 정보를 검색하여 최적의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텍스트 또는 음성으로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검색어를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기초로 맥락을 정의하고,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해 대화 키워드 제안을 하면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도출하며, 검색 결과를 텍스트/그래픽/음성/텍스트+그래픽/텍스트+음성/그래픽+음성/텍스트+그래픽+음성으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어, 정보 검색 시 음성 비서 역할을 하면서 대화형 정보 검색과 그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Conversational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본 발명은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의자의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맥락(Context)을 정의하고, 정의한 맥락에서 사용자와 매끄럽게 대화하기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시하면서 대화형으로 정보를 검색하여 최적의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등의 포털사이트(portal site)에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검색어 입력창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1차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그 검색 결과에서 다시 카테고리(category)를 선택하거나 상세 검색에서 반드시 포함할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여 재검색을 하여, 검색 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도 1에 일반적인 정보 검색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계층적(Hierarchy)(계층 1, 계층 2, 계층 3)으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정보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검색 방식은 검색어가 포함된 모든 문서를 검색 결과로 보여주기 때문에, 문서 검색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단순 검색어 입력방식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96806호(2012.08.31. 공개)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 목록에서 선택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선택 검색 결과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수집부,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 검색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추천 검색어를 선정하는 추천 검색어 선정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검색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한 추천 검색어를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유용한 검색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 방식도 사용자의 위치를 근거로 단순히 추천 검색어를 제시해줄 뿐, 논리적이고 구조화된 사고에 약한 대상자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검색 결과 역시 위치 기반 검색어가 포함된 모든 문서를 검색 결과로 보여주기 때문에, 문서 검색이 효율적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2-0096806호(2012.08.3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질의자의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맥락(Context)을 정의하고, 정의한 맥락에서 사용자와 매끄럽게 대화하기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시하면서 대화형으로 정보를 검색하여 최적의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질서적인 출발에서 질서적인 검색 결과를 도출하여, 검색을 요청한 사용자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의도에 부합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및 정보 제공자의 의도에 따라 정해진 카테고리(World)를 만들고, 그 안에서 맥락에 가까운 결과를 도출하여 기존 검색시 스폰서 및 광고와 같은 불필요한 정보가 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는,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입력부,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기초로 맥락을 정의하고,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해 대화 키워드 제안을 하면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검색 제어부 및 상기 검색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검색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어 입력부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검색 제어부는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 파악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대화를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안해주되, 대화 키워드의 순서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웹에 노출된 수와 빈도를 분석하여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 제어부는 제안 키워드 중 상위 소수만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노출되지 않은 대화에 대해서도 특정 경로로 유도하여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반영하여 검색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맥락을 정의하는 맥락 정의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통제력있는 질서 결정 정보를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자 의도 파악부; 입력받은 검색어와 사용자의 정보 및 정보 제공자의 의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매끄러운 대화를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안하는 대화 키워드 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결과 제공부는 검색 결과를 텍스트, 그래픽, 음성, 텍스트+그래픽, 텍스트+음성, 그래픽+음성, 텍스트+그래픽+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의자의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맥락(Context)을 정의하고, 정의한 맥락에서 사용자와 매끄럽게 대화하기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시하면서 대화형으로 정보를 검색하여 최적의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질서적인 출발에서 질서적인 검색 결과를 도출하여, 검색을 요청한 사용자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의도에 부합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및 정보 제공자의 의도에 따라 정해진 카테고리(World)를 만들고, 그 안에서 맥락에 가까운 결과를 도출하여 기존 검색시 스폰서 및 광고와 같은 불필요한 정보가 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보 검색 과정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검색을 요청한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되는 키워드 제안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정보 검색 과정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대화 키워드의 배치 예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검색어 입력부(10), 사용자 정보 획득부(20), 검색 제어부(30), 검색결과 제공부(40) 및 정보 데이터베이스(DB)(5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 입력부(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시된 검색어를 입력받아 검색 제어부(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기타 모바일 기기 또는 음성 입력장치가 연결된 퍼스널컴퓨터(PC)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텍스트 또는 음성으로 입력한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20)는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검색어를 모바일 기기로 입력할 경우, 사용자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 등으로 등록을 할 수 있다.
검색 제어부(30)는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20)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기초로 맥락(Context)을 정의하고,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해 대화 키워드 제안(Suggestion)을 하면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검색 제어부(30)는 검색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제어부(30)는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 파악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대화를 위한 대화 키워드(Conversational Keyword)를 제안해주되, 대화 키워드의 순서는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웹에 노출된 수와 빈도를 분석하여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검색 제어부(30)는 제안 키워드 중 상위 소수만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노출되지 않은 대화에 대해서도 특정 경로로 유도하여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반영하여 검색을 최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색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맥락을 정의하는 맥락 정의부(31),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통제력있는 질서 결정 정보를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자 의도 파악부(32), 입력받은 검색어와 사용자의 정보 및 정보 제공자의 의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매끄러운 대화를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안하는 대화 키워드 제시부(33),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제공부(50)는 상기 검색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검색결과 제공부(50)는 검색 결과를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음성(Speech), 텍스트+그래픽, 텍스트+음성, 그래픽+음성, 텍스트+그래픽+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대화형 정보 검색은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관심사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층적이나 단계적인 검색 과정 없이 바로 접근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 검색이 필요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할 수도 있고, 음성을 이용하여 검색을 요청할 수도 있다.
검색어가 텍스트로 입력된 경우에는 검색어 입력부(10)에서 데이터 처리를 하여 검색 제어부(30)에 전달하고, 검색어가 음성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이를 텍스트(STT)로 변환하여 검색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상기 검색어 입력부(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시된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대화형 키워드를 제시하면서 사용자의 관심사에 대해 검색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접속을 하면 사용자 정보 획득부(20)는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검색어를 모바일 기기로 입력할 경우, 사용자 개인정보를 모바일 기기를 통해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전에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 등으로 등록하여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20)는 사용자의 접속 방법을 확인하여, 모바일 기기일 경우, 제공되는 사용자 전화번호를 인덱스로 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50)를 검색하여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PC 등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통해 접속한 경우,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관심사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를 통해 나이나 지역, 직업 등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질의한 질의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의도가 파악되면, 정보 제공자 의도 파악부(32)는 사용자의 검색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의도도 파악하여 질서 결정 정보를 결정한다. 만약, 정보 제공자가 특정 기관(예를 들어,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정당)일 경우,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관계 정책이나 검색어에 대응하는 정책 등을 정확하게 제공해줄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정보 제공자와 무관한 타인이 제공해주는 정보나 스폰서 또는 광고와 같은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보 제공자의 의도 파악은 질의자에게 정확하면서도 관심사에 대응하는 정보만을 제공해주는 높은 통제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 파악이 이루어지면, 맥락 정의부(31)는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 정보를 기초로 맥락(Context)을 정의한다.
여기서 맥락이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관심사 의도 파악과 정보 제공자의 의도 파악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카테고리를 결정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정보 제공자가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정당일 경우, 미리 민주당공약 등과 같은 세계(World)를 만들어 검색 카테고리를 정의하고, 그 범주 내에서 맥락에 가까운 검색 결과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맥락을 정의한 후, 대화 키워드 제시부(33)는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해 대화 키워드 제안(Suggestion)을 한다.
여기서 대화 키워드는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 파악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대화를 위한 대화 키워드(Conversational Keyword)를 제안한다. 제안되는 대화 키워드의 순서는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웹에 노출된 수와 빈도를 분석하여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마이닝은 본 출원자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90862호(2019.06.13. 등록)(기저속성 분석을 이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유저 취향 정보 처리 방법)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인 보험정책에 대해 알려달라는 질의를 하면,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이용하여 맥락을 정의하고, 그 맥락의 범주 내에서 제안 키워드를 설정하여 제시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는 제안 키워드 중 상위 소수만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준다. 여기서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노출되지 않은 대화에 대해서도 특정 경로로 유도하여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 사용자가 제안된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에 대한 입력을 하면, 입력 키워드에 대해 최적의 관심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대화를 통해 가장 관심사 정보를 확인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음성 비서와 같이 검색시 대화형 검색을 진행한다.
이렇게 대화형 방식으로 검색을 진행할 경우, 논리적이고 구조화된 사고에 약한 지적 장애우, 노령층 등도 쉽게 접근하여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말한 특정 키워드에 대한 하위 제안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노출시키고, 사용자가 노출된 제안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를 선택하면 검색부(34)는 선택된 키워드에 대해 웹 검색을 통해 정보 제공자가 의도한 정책 등을 검색 결과로 제공해준다. 예컨대, 도 5와 같은 제안 키워드에 대해서는 노인×고혈압, 노인×피부병의 조합으로 웹 검색을 하여 검색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어, 검색 결과 제공부(40)는 상기 검색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준다.
여기서 검색결과 제공부(50)는 검색 결과를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음성(Speech), 텍스트+그래픽, 텍스트+음성, 그래픽+음성, 텍스트+그래픽+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검색 결과를 제공해주는 방식의 선택은, 검색 결과를 보고 미리 등록된 방식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결과를 텍스트로 전달하는 것이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인지하는 데 가장 바람직하면 텍스트로 제공하고, 그래픽으로 검색 결과를 전달하는 것이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인지하는 데 가장 바람직하면 그래픽으로 제공하고, 음성으로 검색 결과를 전달하는 것이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인지하는 데 가장 바람직하면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텍스트, 그래픽 및 음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대한 맥락을 정의하고, 대화 키워드를 제안하여 대화형으로 정보 검색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어에 대해 신속하게 관심사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리적이고 구조화된 사고에 약한 사용자에게도 대화형 검색을 통해 최적의 정보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검색어 입력부
20: 사용자 정보 획득부
30: 검색 제어부
31: 맥락 정의부
32: 정보 제공자 의도 파악부
33: 대화 키워드 제시부
34: 검색부
40: 검색결과 제공부
50: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 입력부;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기초로 맥락을 정의하고,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해 대화 키워드 제안을 하면서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검색 제어부;
    상기 검색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해주는 검색결과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통해 파악한 사용자 의도 및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정의함으로써 상기 맥락을 정의하고,
    상기 검색 제어부는 상기 정의된 맥락의 범주 내에서 대화 키워드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검색어 입력부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검색 제어부는 사용자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 파악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대화를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안해주되, 대화 키워드의 순서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웹에 노출된 수와 빈도를 분석하여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검색 제어부는 선정된 제안 키워드 중 상위 소수만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노출되지 않은 대화에 대해서도 특정 경로로 유도하여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반영하여 검색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검색 제어부는 사용자의 정보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맥락을 정의하는 맥락 정의부; 정보 제공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통제력있는 질서 결정 정보를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자 의도 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검색 제어부는 입력받은 검색어와 사용자의 정보 및 정보 제공자의 의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와 매끄러운 대화를 위한 대화 키워드를 제안하는 대화 키워드 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7. 청구항 1에서, 상기 검색결과 제공부는 검색 결과를 텍스트, 그래픽, 음성, 텍스트+그래픽, 텍스트+음성, 그래픽+음성, 텍스트+그래픽+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KR1020190147619A 2019-11-18 2019-11-18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KR10214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19A KR102144370B1 (ko) 2019-11-18 2019-11-18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PCT/KR2020/003297 WO2021100975A1 (ko) 2019-11-18 2020-03-10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19A KR102144370B1 (ko) 2019-11-18 2019-11-18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370B1 true KR102144370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19A KR102144370B1 (ko) 2019-11-18 2019-11-18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4370B1 (ko)
WO (1) WO202110097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8619A (ja) * 2006-03-02 2009-08-06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ェブ検索の適合性を高めるためにウェブ検索のユーザの振舞いをマイニングすること
KR20120096806A (ko) 2011-02-23 2012-08-3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어 추천 시스템 및 검색어 추천 방법
US20150347500A1 (en) * 2014-05-27 2015-12-03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Interactive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6099381A (ja) * 2014-11-18 2016-05-3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音声対話システムおよび音声対話方法
KR20180098409A (ko) * 2016-06-10 2018-09-03 애플 인크. 멀티 태스킹 환경에서의 지능형 디지털 어시스턴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0338A1 (en) * 2016-11-18 2018-05-24 Google Inc. Autonomously providing search results post-facto, including in conversational assistant context
KR101972904B1 (ko) * 2017-04-12 2019-04-29 민보경 챗봇, 신뢰도측정 및 프로젝트관리를 이용한 프로젝트 매칭 방법 및 시스템
KR102016602B1 (ko) * 2017-08-28 2019-08-30 주식회사 솔트룩스 대화 모델 기반의 질의응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8619A (ja) * 2006-03-02 2009-08-06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ェブ検索の適合性を高めるためにウェブ検索のユーザの振舞いをマイニングすること
KR20120096806A (ko) 2011-02-23 2012-08-3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어 추천 시스템 및 검색어 추천 방법
US20150347500A1 (en) * 2014-05-27 2015-12-03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Interactive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6099381A (ja) * 2014-11-18 2016-05-3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音声対話システムおよび音声対話方法
KR20180098409A (ko) * 2016-06-10 2018-09-03 애플 인크. 멀티 태스킹 환경에서의 지능형 디지털 어시스턴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건우 외 1인, 질의어 패턴 자동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기반 개인화 검색, 정보과학회논문지 데이터베이스 36(4), 2009.08. 321-326페이지.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0975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559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network-based content exchange system
US105038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swering natural language question
RU2419858C2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интерфейс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персонализированного поиска и доступа к информации
KR20120091035A (ko) 쿼리 제안들로서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답변 상자들을 선택 및 제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JP2017068845A (ja) 情報ソースの情報ソース用言語を選択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20150081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based on knowladge service
EP2306333A1 (en) Offline software library
US20130117303A1 (en) Data search device, data search method, and program
KR20150130214A (ko) 텍스트를 포함하는 문서 분류 및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문서 분류 및 분석 장치
US116939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segmented audio content
Arteaga et al. Design of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the recommendation of tourist sites in the city of Manta, Ecuador through a Chatbot
KR20200049256A (ko) 인공지능 챗봇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의료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0077825A1 (zh) 论坛社区应用管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621252B2 (en) Method for searching in a database
KR101473239B1 (ko) 단어 패턴을 이용한 카테고리 및 감성 분석시스템
CN108280081B (zh) 生成网页的方法和装置
US2020004307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mmending items based on areas
US200400346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the impact of text
KR102144370B1 (ko) 대화형 정보 검색장치
KR101769981B1 (ko) 이미지를 이용한 번역문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308821B1 (ko) 검색엔진용 키워드 추출 시스템 및 추출 방법
JPH0962684A (ja) 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装置と、情報案内方法及び情報案内装置
CN112199487B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电影问答查询系统及其方法
Zottola (Trans) Gender in the News: Specialized language in the UK press. A corpus-based discourse analysis
US10642920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