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077B1 -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 - Google Patents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077B1
KR102144077B1 KR1020180120911A KR20180120911A KR102144077B1 KR 102144077 B1 KR102144077 B1 KR 102144077B1 KR 1020180120911 A KR1020180120911 A KR 1020180120911A KR 20180120911 A KR20180120911 A KR 20180120911A KR 102144077 B1 KR102144077 B1 KR 102144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rum
winding device
ai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025A (ko
Inventor
권남원
김덕형
Original Assignee
웨스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웨스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0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전원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센서에 관한 것으로, 계면센서에 전원 및 신호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절단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태로 공급 및 회수함으로써 케이블로 전자기적 노이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공급장치와 연결된 에어호스를 별도의 회전실린더 없이 케이블에 내장함으로써 에어호스가 권취장치의 회전에도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계면센서를 세정할 수 있는 에어를 계면센서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 {A CABLE DRUM AND SLUDGE LEVEL ME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전원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센서에 관한 것으로, 계면센서에 전원 및 신호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절단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태로 공급 및 회수함으로써 케이블로 전자기적 노이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공급장치와 연결된 에어호스를 별도의 회전실린더 없이 케이블에 내장함으로써 에어호스가 권취장치의 회전에도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계면센서를 세정할 수 있는 에어를 계면센서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면센서에 전원을 제공하고,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전원공급장치와 계면센서를 연결시켜주는 케이블이 존재한다.
그러나 계면센서는 수면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케이블의 길이가 한정적이면 계면센서의 움직임에 영향이 가며, 일반적인 케이블 권취장치를 사용할 경우 케이블이 감기고 풀리는 과정에서 꼬임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전원 및 신호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움직이는 제품에 용이하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슬립링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슬립링 방식은 회전하는 실린더의 원통면에 전도체가 원형으로 부착되고, 각각의 인출 전선을 전도체에 대응하여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전선은 절단되어 인출 전선과 상술된 전도체에 연결되는 연결 전선으로 나뉘어지며, 인출 전선은 실린더 외측에 형성된 전극 바에 연결되고, 센서와 연결되는 연결 전선은 실린더에 내장되어 전도체와 연결된다(도 7 참조).
따라서, 연결 전선은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공급 및 회전될 수 있고, 전도체와 밀착된 전극 바의 전기적 접촉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고,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립링 방식에서는 실린더와 전극 바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되기 때문에 정밀한 신호의 송수신을 요하는 경우 마찰시 발생되는 노이즈가 유입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계면센서는 위치하는 환경상 수조 내 슬러지와 같은 수중 내 이물질이 계면센서에 달라붙게 되면서 계면센서의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에어를 이용한 계면센서의 세정이 필요하나 위와 같은 슬립링의 경우로는 계면센서에 에어를 공급할 수 없고 에어공급을 위한 에어호스와 연결된 별도의 회전실린더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움직이는 계면센서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공급 및 회수하여 계면센서에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계면센서를 세정할 수 있는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와 이를 이용한 계면계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210호 (2018.07.05.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케이블을 절단하는 기존의 슬립링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밀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회전실린더 없이 계면센서를 세정할 수 있는 에어 공급장치를 케이블과 함께 연결하여 용이한 에어공급이 가능한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 및 에어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공급 및 회수하는 케이블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전력을 제공하고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일측으로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고, 내측에 상기 케이블이 감겨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드럼 내측으로 인입되는 곳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블을 공급 및 회수하는 조절부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드럼으로 인입된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드럼 내측에 수용된 케이블을 회전시키며, 상기 케이블의 감김상태가 변화하여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은 일단이 전원과 연결되며, 타단이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드럼 내측에 감김상태가 변화하여 외부로 공급 및 회수되는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 케이블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조절부에 따라 회전하여 감김상태가 변화하는 내부케이블로 구성된다.
이때, 드럼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너비와 대응되게 이격되고, 일 드럼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며, 타 드럼측으로 돌출된 수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기 내측으로 상기 내부케이블이 권취되며, 상기 수용돌기 외측으로 상기 외부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절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드럼 내부로 인입되는 측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드럼 중앙에 관통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태엽스프링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태엽스프링과 상기 고정축의 일단이 내장되는 조절부 커버 및 상기 고정축의 양측 말단에 구비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이 공급될 때 상기 드럼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대응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이 압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드럼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이 회수된다.
이때, 조절부 커버는 상기 드럼 외측에 나사고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장력 조절을 위해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은 외부에 구비된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호스가 상기 케이블 내부를 따라 내장된다.
계면계는 위에 상술된 케이블 권취장치와, 상기 케이블 권취장치에서 공급된 상기 케이블 끝단에 구비되는 계면센서와, 상기 에어호스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계면센서에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계면센서로부터 받은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가 발생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에 구비된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호스가 내장된 케이블을 공급 및 회수하는 케이블 권취장치와, 상기 케이블 권취장치에서 공급된 상기 케이블 끝단에 구비되는 계면센서 및 상기 에어호스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계면센서에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계면센서로부터 받은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가 발생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는,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을 절단하지 않고, 용이하게 공급 및 회수할 수 있으며, 케이블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밀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케이블에 에어호스를 함께 내장함으로써 별도의 회전실린더 없이 에어 공급장치를 케이블과 함께 연결할 수 있고, 에어를 공급하여 계면센서를 세정하여 계면센서의 성능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2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의 외부 케이블이 감긴 상태와 풀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4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관통예를 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엽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슬립링을 이용한 케이블 권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2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의 외부 케이블이 감긴 상태와 풀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4 및 4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관통예를 측단면도 및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엽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전원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센서에 관한 것으로, 계면센서에 전원 및 신호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절단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태로 공급 및 회수함으로써 케이블로 전자기적 노이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공급장치와 연결된 에어호스를 별도의 회전실린더 없이 케이블에 내장함으로써 에어호스가 권취장치의 회전에도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계면센서를 세정할 수 있는 에어를 계면센서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장치와, 이를 이용한 계면계는 전력을 공급하고, 신호가 송수신되는 전선(W)이 내장되는 케이블(10)을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장치(1)와, 상기 케이블(10)의 끝단에 구비되는 계면센서(2)와, 상기 계면센서(2)에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계면센서(2)로부터 받은 신호를 외부 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3)로 구성된다.
이때, 계면센서(2)를 세정하기 위하여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데, 외부에 구비된 에어콤프레셔(A)는 제어부(3)와 연결되고, 에어콤프레셔(A)에서 발생되는 에어가 이동하는 에어호스(H)를 케이블(10)에 전선(W)과 함께 내장하고, 제어부(3)는 에어콤프레셔(A)를 제어하여 일정시간 간격마다 에어를 발생시키며, 이를 에어호스(H)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설명에 앞서, 케이블(10)은 전선(W)만을 내장하거나 전선(W)과 에어호스(H)를 함께 내장할 수 있는데 아래에서는 전선(W) 및 에어호스(H)를 함께 내장된 케이블(10)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케이블 권취장치(1)는 케이블(10), 드럼(20) 및 조절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10)은 외부에서 전력을 제공받는 전선(W)과 에어콤프레셔(A)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호스(H)가 내장된다. 이러한 케이블(10)은 드럼(20)의 외부 일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드럼(20)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케이블(10)은 외부케이블(11)과 내부케이블(12)로 구성된다.
외부케이블(11)은 드럼(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조절부(30)에 따라 드럼(20) 내측으로 감겨 회수되거나, 풀려서 외측으로 공급된다.
내부케이블(12)은 드럼(20) 내측에 수용되며, 외부케이블(11)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케이블(12)은 조절부(30)에 의해 감기거나 풀려 외부케이블(11)이 감겨지거나 풀려지는데 후술된 수용돌기(21a)의 내측에만 위치하고, 내부케이블(12)의 양측 말단은 각각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내부케이블(12)이 풀리게되면 수용돌기(21a) 내측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외부케이블(11)이 내측으로 감겨들어가면서 케이블(10)이 회수되는 형태를 가지고, 내부케이블(12)이 감기게 되면 감겨지는 내부케이블(12)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수용돌기(21a) 내측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외부케이블(11)은 반대로 외측으로 풀려지면서 케이블(10)이 공급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외부케이블(11)과 내부케이블(12)은 서로 감김상태가 반대가 된다.
드럼(20)은 원형 형상을 가지며, 케이블드럼(21)과 드럼커버(22)로 구성된다.
케이블드럼(21)과 드럼커버(22)는 일정거리 이격되며 결합되고, 이격된 케이블드럼(21)과 드럼커버(22) 내측으로 케이블(10)이 감겨 수용된다.
이때 케이블드럼(21)의 일측면, 즉 드럼커버(22)와 마주보는 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중앙측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하며, 드럼커버(22)가 위치하는 방향측으로 돌출형성된 수용돌기(21a)가 구비된다.
수용돌기(21a)는 케이블드럼(21)과 드럼커버(22)가 합형시 내측으로 내부케이블(12)이 권취되어 있고, 수용돌기(21a)에서 일정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된 배출구(21b)로 내부케이블(12)과 외부케이블(11)간의 연결부분이 위치하여 수용돌기(21a) 내측에 위치한 내부케이블(12)이 배출구(21b)로 이동되어 배출구(21b) 밖으로 외부케이블(11)이 구비되도록 한다(도 2a 참조).
이때, 배출구(21b) 측에는 배출구(21b)로 배출되는 내부케이블(12)의 말단과 수용돌기(21a)를 감싸 결합하는 홀더(25)가 구비된다.
홀더(25)는 외부로 인출되는 외부케이블(11)이 구비된 내부케이블(12)의 말단을 배출구(21b) 주위 수용돌기(21a)에 고정되도록 하여 케이블(10)이 용이하게 배출구(21b)를 관통하여 드럼(20) 내측에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수용돌기(21a) 내측으로 내부케이블(12)이 감겨지거나 풀려짐에 따라 외부케이블(11)이 회수 또는 공급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합형된 드럼(20)은 외부케이블(11)의 수용돌기(21a) 외측면을 따라 감기거나 풀려 외부로 케이블(10)이 공급 및 회수되는 형태를 가진다.
드럼커버(22)의 중앙에는 드럼커버(22)를 관통하여 형성된 케이블인입홀(22a)이 형성되어 제어부(3)와 연결된 케이블(10)이 드럼(20) 내측으로 인입되고, 케이블인입홀(22a)로 인입된 외부케이블(11)은 내부케이블(12)과 연결된 구간이 고정축(32)에 형성된 케이블끼움홈(32a)에 끼워진다(도 4a 참조).
이러한 케이블끼움홈(32a)은 케이블인입홀(22a)이 형성된 고정축(32) 중앙에서부터 고정축(32)의 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끼움홈(32a)에 끼워지는 케이블(10)은 개방된 케이블인입홀(22a)과 대응되는 중앙 관통면으로 인입되며 고정축(32) 측면에 개방된 부분으로 배출되어 드럼(20) 내측에 수용된다.
이러한 드럼(20)의 외축 중앙에는 외부의 벽이나 드럼(20)이 설치되는 공간 벽면 등에 드럼(20)을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23)이 구비된다.
고정브라켓(23)은 일측이 고정된 벽면과 직접 고정되며, 드럼(20)측으로 연장되어 드럼(20)의 중앙에 위치한 고정축(32)의 양측 말단과 직접 결합된다.
또한, 고정축(32)과 직접 결합되는 고정브라켓(23)에는 케이블(10)의 너비만큼 함몰된 케이블인출홈(23a)이 드럼(20)과 연결된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케이블(10)은 케이블인출홈(23a)의 내측을 거쳐 케이블인입홀(22a)을 관통하여 고정축(32)의 케이블끼움홈(32a)에 끼워져 고정되고, 드럼(20) 내측으로 수용된다.
이때, 케이블끼움홈(32a)에 끼워진 케이블(10)이 고정축(3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케이블(12)의 끝단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와이어(24)가 고정축(32)의 외측면을 따라 구비된다.
도 4 및 4a와 같이 고정와이어(24)는 고정축(32)의 절개된 케이블끼움홈(32a)을 포함한 외측면 둘레를 따라 감싸며 고정되며, 고정축(32) 끝단 중앙으로 인입된 케이블(10)이 측면 절개된 부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절부(30)는 태엽스프링(31), 고정축(32), 조절부 커버(33) 및 베어링(34)으로 구성된다.
태엽스프링(31)은 조절부(30) 내측에 위치하며 태엽 형상을 갖는 스프링으로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부케이블(12)이 감기거나 풀리게하여 케이블(10)을 공급 및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태엽스프링(31)은 합형된 드럼(20)의 중앙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축(32)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단은 고정축(32)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조절부 커버(33)와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태엽스프링(31)은 조절부 커버(33) 내측에서 팽창 및 수축된다.
고정축(32)은 조절부(30) 및 드럼(20)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드럼(20) 내측에 관통된 고정축(32)을 중심으로 내부케이블(12)이 권취된다.
따라서, 합형된 드럼(20)은 케이블(10) 끝단에 구비된 계면센서(2)가 이동하게 되면 외부케이블(11)이 풀려지고, 이에 따라 드럼(20)이 회전함으로써 내부케이블(12)이 감기게 된다. 따라서, 고정축(32)과 연결된 태엽스프링(31)이 압축된다.
또한, 수면 높이가 변화하는 등의 이유로 계면센서(2)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태엽스프링(31)이 다시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10)이 드럼(20) 내측으로 권취된다.
조절부 커버(33)는 내부에 태엽스프링(31)을 수용하여 태엽스프링(31)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압축 및 팽창함으로써 드럼(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절부 커버(33)는 케이블드럼(21)의 외측 중앙에 위치하여 케이블드럼(21)과 결합된다.
조절부 커버(33)의 일측 부분에는 스프링걸림홈(33b)이 형성되어 태엽스프링(31)의 타단이 고정되고, 드럼(20)의 부착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볼트홀(b')이 구비되며, 볼트(b)를 통해 드럼(20)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축(32)이 고정브라켓(23)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부 커버(33)를 회전시켜 볼트(b)를 조립함으로써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A 방향으로 조절부 커버(33)를 회전시켜 결합시키면 태엽스프링(31)이 압축되기 때문에 탄성복원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B 방향으로 조절부 커버(33)를 회전시켜 결합시키면 태엽스프링(31)은 압축되지 않고 느슨한 상태로 구비되므로 탄성복원력이 감소되어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태엽스프링(31)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가 장력이 해제된 상태이며, 고정축(32)에 가까이 감길수로고 펼쳐지려는 복원력이 강해져 장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정축(32)의 양측 말단에는 태엽스프링(31)에 의해 고정축(32)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34)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베어링(34)은 볼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된 케이블 권취장치(1)는 태엽스프링(3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블(10)이 자동으로 권취되거나 풀려 케이블(10)을 외부로 공급 및 회수하는 것으로 고정축(32)이 회전하여 케이블(10)이 감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케이블(10)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계면센서(2)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10)이 용이하게 공급 및 회수될 수 있다.
특히, 케이블(10)의 끝단에는 계면센서(2)가 구비되기 때문에 모터 등의 회전수단에 의해 급격하게 케이블(10)이 공급 및 회수될 경우 계면센서()의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블(10)을 서서히 공급 및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급 및 회수된 케이블(10)의 끝단에는 수위 등을 계측할 수 있는 계면센서(2)가 구비되며, 이러한 계면센서(2)는 전선(W) 및 에어호스(H)가 내장된 케이블과 연결되어 계면센서(2)에 전력을 제공하고, 계면센서(2)로부터 센싱된 신호를 케이블(10)을 통해 제어부(3)로 이동하며, 외부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계면센서(2)를 관통한 에어호스(H)의 끝단에는 분산기촉(2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분산기촉(2a)은 계면센서(2)의 하면에 위치하여 계면센서(2)에 붙을 수 있는 이물질을 에어를 통해 세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3)에서 일정시간을 간격으로 에어콤프레셔(A)를 작동시키고, 이를 통해 생성된 에어는 케이블(10) 내 에어호스(H)를 통해 분산기촉(2a)으로 배출시켜 계면센서(2)에 묻은 이물질을 에어로 세정시킬 수 있다.
제어부(3)는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연결되며, 에어콤프레셔(A) 및 계면센서(2)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계면센서(2)로부터 감지된 센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게 되며, 일정시간을 간격으로 에어콤프레셔(A)를 작동시켜 계면센서(2)를 에어로 세정시키게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3)는 외면에 이를 수동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A: 에어콤프레셔 H: 에어호스
W: 전선
1: 권취장치 10: 케이블
20: 드럼 30: 조절부
2: 계면센서 3: 제어부

Claims (8)

  1. 전력과 신호를 케이블을 공급 및 회수하는 케이블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전력을 제공하고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일측으로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고, 내측에 상기 케이블이 감겨 수용되는 드럼;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드럼 내측으로 인입되는 곳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블을 공급 및 회수하는 조절부;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드럼으로 인입된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드럼 내부로 인입되는 측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드럼 중앙에 관통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태엽스프링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태엽스프링과 상기 고정축의 일단이 내장되는 조절부 커버와, 상기 고정축의 양측 말단에 구비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공급될 때 상기 드럼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대응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이 압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드럼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이 회수되게 하고,
    상기 조절부 커버는 상기 드럼 외측에 나사고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장력 조절을 위해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결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케이블은 외부에 구비된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호스가 상기 케이블 내부를 따라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전원과 연결되며, 타단이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드럼 내측에 감김상태가 변화하여 외부로 공급 및 회수되는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 케이블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조절부에 따라 회전하여 감김상태가 변화하는 내부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너비와 대응되게 이격되고,
    일 드럼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며, 타 드럼측으로 돌출된 수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기 내측으로 상기 내부케이블이 권취되며, 상기 수용돌기 외측으로 상기 외부케이블이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의 구성 전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권취장치;
    상기 케이블 권취장치에서 공급된 상기 케이블 끝단에 구비되는 계면센서; 및
    상기 에어호스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계면센서에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계면센서로부터 받은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가 발생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계.


KR1020180120911A 2018-10-11 2018-10-11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 KR10214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11A KR102144077B1 (ko) 2018-10-11 2018-10-11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11A KR102144077B1 (ko) 2018-10-11 2018-10-11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25A KR20200041025A (ko) 2020-04-21
KR102144077B1 true KR102144077B1 (ko) 2020-08-12

Family

ID=7045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911A KR102144077B1 (ko) 2018-10-11 2018-10-11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064B1 (ko) * 2022-02-15 2023-12-07 (주)휴에스 무접점 방식을 활용한 신호선 케이블 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721Y1 (ko) * 2003-02-25 2003-09-19 조세 웨이 고정단을 구비한 전선 수납용 충전기
KR200351684Y1 (ko) * 2003-10-29 2004-06-01 코트론 코포레이션 동축 및 복수 휠 케이블 저장장치
JP2005305560A (ja) * 2004-04-16 2005-11-04 Endo Kogyo Kk スプリングバランサー
JP2009102165A (ja) * 2007-10-05 2009-05-14 Hajime Nakada 電気ケーブル巻き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10B1 (ko) 2016-12-29 2018-07-05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케이블 락킹부재가 장착된 슬립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721Y1 (ko) * 2003-02-25 2003-09-19 조세 웨이 고정단을 구비한 전선 수납용 충전기
KR200351684Y1 (ko) * 2003-10-29 2004-06-01 코트론 코포레이션 동축 및 복수 휠 케이블 저장장치
JP2005305560A (ja) * 2004-04-16 2005-11-04 Endo Kogyo Kk スプリングバランサー
JP2009102165A (ja) * 2007-10-05 2009-05-14 Hajime Nakada 電気ケーブル巻き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25A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038B2 (en) Reel and reel housing
KR102144077B1 (ko) 케이블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면계
JP6676112B2 (ja) 発電電動機械のシャフト接地装置用接地ロープ
WO20060075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pooling of linear material
US20060071116A1 (en) Cable dispensing and retrieval
US6111376A (en) Motorizing awning with automatic safety control
CA3134958C (en) Compact wind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KR101380233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EP3517785B1 (en) Air compressor unit
DE69319727T2 (de) Verbesserte kabelaufwickelvorrichtung
CN107074354B (zh) 动力装置、动力套装及无人飞行器
SE523599C2 (sv) Upprullningsanordning
RU22686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кабеля
KR102408521B1 (ko)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WO2014146986A1 (en) Winding and unwinding device, particularly for power and/or signal transmission cables
KR20100104945A (ko) 슬립링 장치
KR200211681Y1 (ko)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WO2004111474A3 (fr) Arbre flexible a fil d’ame a elasticite inferieure a celle des fils d’enroulement
JP6936768B2 (ja) 開閉装置、シャッタ装置
KR20010066955A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시일
KR970000324Y1 (ko) 청소기의 전원코드 인입출장치
KR102014767B1 (ko) 마이크 케이블 권취장치
RU2808646C2 (ru) Компактное намо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ой линии
JP4436407B2 (ja) ケーブル巻取機
KR200348958Y1 (ko) 베어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