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721B1 -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721B1
KR102143721B1 KR1020190042886A KR20190042886A KR102143721B1 KR 102143721 B1 KR102143721 B1 KR 102143721B1 KR 1020190042886 A KR1020190042886 A KR 1020190042886A KR 20190042886 A KR20190042886 A KR 20190042886A KR 102143721 B1 KR102143721 B1 KR 10214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anel
pl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규
Original Assignee
㈜성심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심건업 filed Critical ㈜성심건업
Priority to KR102019004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filling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능 극대화에 따른 에너지절감 및 시공성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주택의 골조에 결합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1 판넬; 상기 제1 판넬을 상기 고정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상기 제1 판넬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판넬; 및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는 공간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HIGH INSULATION DOUBLE LAYER PANEL STRUCTURE FOR MOBILE HOUSES}
본 발명은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성능 극대화에 따른 에너지절감 및 시공성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벽 마감판넬은 다수개의 마감판넬이 서로 고정 연결되면서 건물의 외벽 등을 구성하게 된다. 즉, 고정프레임에 일정 간격의 스크류피스 의해 하나의 마감판넬에서 다음 마감판넬 순서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어져, 순차적으로 조립되면서 외벽을 구성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외벽 마감판넬들은 도장코팅이 된 아연도 강판, 알루미늄 시트판넬, 알루미늄 복합판넬 및 허니콤 판넬, 고밀도 판넬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마감판넬 뒷면에 스티로폼이나 그라스울, 우레탄 등의 단열재가 고정 프레임부분을 제외하여 부착되어 구비되기도 하고 외벽 마감판넬과 내부벽체 사이 공간에 스티로폼이나 그라스울, 우레탄 등의 단열재가 내장되어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마감판넬, 또는 단열재 설치가 완료되면 내부 마감을 위한 내부벽체가 구비된다.
그러나 여름철 직사광선, 겨울철 강풍 등의 외부에너지가 외벽 마감판넬에서 고정 프레임으로 차단되지 않고 전달되어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어서 단열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열재의 고정프레임, 또는 화스너 등의 간섭에 의한 부분 미설치, 고정불량 등으로 품질 미확보로 단열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405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4273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단열 복층판넬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면을 시공할 때 시공성 향상에 따른 공사기간 단축함으로써, 두께에 비해서 고단열성능을 유지하고 공사비의 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과 고단열성능에 의해 열효율성을 획기적인 향상으로 여름철의 냉방비용 및 겨울철의 난방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에너지절약 정책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는, 이동식 주택의 골조에 결합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1 판넬; 상기 제1 판넬을 상기 고정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상기 제1 판넬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판넬; 및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는 공간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 지지부는, 상기 제2 판넬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직 프레임; 일측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이 "X" 형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이 만나는 부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은, "T"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른 수직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연결뭉치; 상기 상부 연결뭉치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연결뭉치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소시키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다른 수직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연결뭉치; 및 "ㅗ"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연결뭉치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연결뭉치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는,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가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부가 삽입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가 고정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부가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소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 지지부는, 상기 제2 판넬을 지지하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 평판; 상기 상부 지지 평판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클램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네 개의 상부 진동 흡수부; 상기 네 개의 상부 진동 흡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진동 흡수부를 지지하는 네 개의 상부 지지 프레임;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 평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중간 평판; 상기 상부 중간 평판과 동일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 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상부 중간 평판이 상측에 이격되어 지지되는 하부 중간 평판; 상기 상부 중간 평판과 상기 하부 중간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중간 평판을 지지하는 네 개의 중간 진동 흡수부; 상기 하부 중간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중간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하부 지지 프레임; 상기 네 개의 하부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네 개의 하부 진동 흡수부; 및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의 상부에 상기 하부 진동 흡수부가 각각 설치되는 하부 지지 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중간 평판 또는 상기 하부 중간 평판은,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내, 외부 판넬 사이에 단열재 삽입으로 기밀성이 확보됨에 따른 단열성능의 획기적인 향상으로 냉,난방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구조의 단순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용접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화재예방은 물론 안전이 확보될 수 있으며 건물 내부의 공간형성의 용이함과 내구성 향상 및 두께 조절성에 의해 에너지 절약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공간 지지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수직 프레임 또는 제2 수직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공간 지지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상부 중간 평판과 하부 중간 평판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10)는, 고정빔(110), 제1 판넬(120), 고정부(130), 제2 판넬(140) 및 공간 지지부(400, 500)를 포함한다.
고정빔(110)은, 이동식 주택의 골조에 결합되며, 전면에 제1 판넬(120)이 고정부(1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빔(110)은, 알루미늄, 스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필요에 따라 또는 설치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판넬(120)은, 고정부(130)에 의하여 고정빔(110)의 전면에 고정된다.
고정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구(160)에 의하여 고정빔(110)에 체결됨에 따라 제1 판넬(120)을 고정빔(110)에 고정시키며, 전면에 제2 판넬(140)이 제1 판넬(120)과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제2 판넬(140)은, 고정부(130)의 전면에 제1 판넬(120)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은, 본 발명의 경량화를 획득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 양쪽 면을 얇은 면재(0.5~1㎜ 정도)로 접착한 알루미늄 허니콤 판넬(Aluminum Honeycomb Panel)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다만 건물 외벽을 형성할 수 있는 판넬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은 단열에 의해 고단열 성능을 기대할 수 있어 냉,난방비를 크게 절감 할 수 있다.
공간 지지부(400, 500)는,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 사이의 공간을 지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10)는, 고정빔(110), 제1 판넬(120), 고정부(130), 제2 판넬(140), 공간 지지부(400, 500) 및 단열제(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빔(110), 제1 판넬(120), 고정부(130), 제2 판넬(140) 및 공간 지지부(400, 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열제(150)는,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다.
여기서, 단열제(150)는,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10, 10a)는, 작업시간의 단축 및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내, 외부 판넬 사이에 단열재 삽입으로 기밀성이 확보됨에 따른 단열성능의 획기적인 향상으로 냉,난방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구조의 단순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용접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화재예방은 물론 안전이 확보될 수 있으며 건물 내부의 공간형성의 용이함과 내구성 향상 및 두께 조절성에 의해 에너지 절약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공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지지부(400)는, 지지 프레임(410), 수직 프레임(420), 연결 프레임(430) 및 프레임 지지대(440)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410)은, 제2 판넬(140)을 지지하며, 하부 일측이 제1 수직 프레임(421)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하부 다른 일측이 제2 수직 프레임(422)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수직 프레임(420)은, 지지 프레임(4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41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수직 프레임(421)과, 지지 프레임(410)의 다른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41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2 수직 프레임(422)을 포함하고, 제1 수직 프레임(421)과 제2 수직 프레임(422)이 제1 연결 프레임(431)과 제2 연결 프레임(432)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즉, 수직 프레임(420)은, 상측이 지지 프레임(4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측이 제1 판넬(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는 구성인 것이다.
연결 프레임(430)은, 일측이 제1 수직 프레임(42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제2 수직 프레임(422)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연결 프레임(431)과, 일측이 제1 수직 프레임(42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제2 수직 프레임(42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연결 프레임(432)을 포함하며, 제1 연결 프레임(431)과 제2 연결 프레임(432)이 "X" 형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 설치된다.
이때, 제1 연결 프레임(431)과 제2 연결 프레임(432)은, 제1 수직 프레임(421) 또는 제2 수직 프레임(422)이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수직 프레임(421) 또는 제2 수직 프레임(422)이 자유롭게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대(440)은, 제1 연결 프레임(431)과 제2 연결 프레임(432)이 만나는 부분에 제1 연결 프레임(431)과 제2 연결 프레임(432)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연결 프레임(431)과 제2 연결 프레임(432)을 지지한다.
이때, 제1 연결 프레임(431)과 제2 연결 프레임(432)는, 프레임 지지대(440)에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다른 연결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고, 프레임 지지대(440)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의 관통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함으로써 회동은 물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간 지지부(400)는, 상술한 수직 프레임(420), 연결 프레임(430) 및 프레임 지지대(440)의 구성들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4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420)의 상측 일부는 케이스(45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간 지지부(400)는,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 사이의 공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제1 판넬(120) 또는 제2 판넬(140) 간의 간격의 함몰에 따른 본 발명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수직 프레임 또는 제2 수직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직 프레임(421)과 제2 수직 프레임(422)은, 서로 대칭되는 구성에 해당하는 바 이하에서는 도 5에서는 제1 수직 프레임(421)에 관하여만 도시하였으나 이하의 설명들은 제2 수직 프레임(4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수직 프레임(421) 또는 제2 수직 프레임(422)은, 상부 지지부(4211, 4221), 상부 연결뭉치(4212, 4222), 탄성부(4213, 4223), 하부 연결뭉치(4214, 4224) 및 하부 지지부(4215, 4225)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부(4211, 4221)는, "T"형태로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4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측 평편한 면으로 지지 프레임(410)을 지지하고, 상부 연결뭉치(4212, 4222)의 상측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돌기를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상부 연결뭉치(4212, 4222)는, 상부가 상부 지지부(4211, 422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른 수직 프레임(420)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돌기를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제1 연결 프레임(431)의 일측(상부 연결뭉치(4212)의 경우) 또는 제2 연결 프레임(432)의 다른 일측(상부 연결뭉치(4222)의 경우)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탄성부(4213, 4223)는, 상부 연결뭉치(4212, 42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연결뭉치(4212, 422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소시키고, 하부 연결뭉치(4214, 4224)의 상측이 설치된다.
하부 연결뭉치(4214, 4224)는, 탄성부(4213, 4223)의 하측에 설치되며, 다른 수직 프레임(420)과 대향하는 면에 제2 연결 프레임(432)의 일측(하부 연결뭉치(4214)의 경우) 또는 제1 연결 프레임(431)의 다른 일측(하부 연결뭉치(4224)의 경우)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형성된 반원 형태의 돌기가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하부 지지부(4215, 4225)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지지부(4215, 4225)는, "ㅗ"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연결뭉치(4214, 4224)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부 연결뭉치(4214, 4224)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수직 프레임(421) 또는 제2 수직 프레임(422)는, 각각의 구성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자유롭게 흡수하고 감쇄시킴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4213, 4223)는, 원통부(4216, 4226), 상부 플레이트(4217, 4227), 하부 플레이트(4218, 4228) 및 탄성체(4219, 4229)를 포함한다.
원통부(4216, 4226)는,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부 지지부(4211, 4221)의 하부가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하부 지지부(4215, 4225)의 상부가 삽입되며, 내부 공간의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4217, 4227)가 위치하고, 내부 공간의 하부에 하부 플레이트(4218, 4228)가 위치하며, 상부 플레이트(4217, 4227)와 하부 플레이트(4218, 4228)의 사이 공간에 탄성체(4219, 4229)가 위치하게 된다.
상부 플레이트(4217, 4227)는, 원통부(4216, 4226)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지지부(4211, 4221)의 하부가 고정 설치되고, 하측에 탄성체(4219, 4229)가 위치하게 된다.
하부 플레이트(4218, 4228)는, 상부 플레이트(4217, 4227)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하부 지지부(4215, 4225)의 상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측에 탄성체(4219, 4229)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4217, 4227)와 하부 플레이트(4218, 4228)는, 상하 방향으로 길쭉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에 있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지 아니하고, 상부 지지부(4211, 4221) 또는 하부 지지부(4215, 4225)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탄성체(4219, 4229)는, 상부 플레이트(4217, 4227)와 하부 플레이트(4218, 4228)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부 플레이트(4217, 4227)와 하부 플레이트(4218, 4228) 사이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4213, 4223)는, 탄성부(4213, 4223)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탄성체(4219, 4229)를 이용하여 감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진동을 감쇄시켜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공간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에 따른 공간 지지부(500)는, 상부 지지 평판(510), 네 개의 상부 진동 흡수부(520), 네 개의 상부 지지 프레임(530), 상부 중간 평판(540), 하부 중간 평판(550), 네 개의 중간 진동 흡수부(560), 네 개의 하부 지지 프레임(570), 네 개의 하부 진동 흡수부(580) 및 하부 지지 평판(590)을 포함한다.
상부 지지 평판(510)은, 제2 판넬(140)을 지지하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가 상부 진동 흡수부(52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상부 지지 평판(510)은, 제2 판넬(1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상부 진동 흡수부(5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부 진동 흡수부(520)는, 상부 지지 평판(51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제2 판넬(1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상부 지지 프레임(530)에 의하여 상부 중간 평판(540)의 상측에 이격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상부 진동 흡수부(520), 중간 진동 흡수부(560) 또는 하부 진동 흡수부(580)는, 도 6에서 상술한 탄성부(4213, 422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각 진동 흡수부(520, 560, 580)의 상측 및 하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판이 형성되고, 해당 평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부 지지 프레임(530)의 상부 또는 하부 지지 프레임(57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부 지지 프레임(530)은, 각각의 진동 흡수부(52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부 중간 평판(540)의 상측에 이격된 상부 진동 흡수부(520)를 지지한다.
상부 중간 평판(540)은,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상부 지지 프레임(53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 지지 평판(5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 면에 연결 설치된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511)에 의하여 하부 중간 평판(55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중간 진동 흡수부(560)에 의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상부 중간 평판(540)은,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중간 진동 흡수부(560)로 전달하는 중간 전달 수단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하부 중간 평판(550)은, 상부 중간 평판(540)과 동일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 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511)에 의해 상부 중간 평판(540)이 상측에 이격되어 지지되고, 상부 중간 평판(540)과의 사이에 중간 진동 흡수부(560)가 설치된다.
이때, 상부 중간 평판(540) 또는 하부 중간 평판(550)은, 중간 지지 프레임(511)의 상부 및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512)에 연결 설치되며, 슬라이딩 홈(512)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중간 진동 흡수부(560)는, 상부 중간 평판(540)과 하부 중간 평판(55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중간 평판(540)을 지지한다(도 8 참조).
하부 지지 프레임(570)은, 하부 중간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 중간 프레임을 지지한다.
하부 진동 흡수부(580)는, 네 개의 하부 지지 프레임(570)의 하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 지지 프레임(57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한다.
하부 지지 평판(590)은,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의 상부에 하부 진동 흡수부(580)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부 지지 평판(510)은 제2 판넬(14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부 지지 평판(590)은 제1 판넬(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는 구성인 것이다.
여기서, 하부 지지 프레임(570), 하부 진동 흡수부(580) 또는 하부 지지 평판(590)은, 상술한 상부 지지 평판(510), 상부 진동 흡수부(520) 또는 상부 지지 프레임(530)과 대칭형 구조로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간 지지부(500)는, 각각의 구성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자유롭게 흡수하고 감쇄시킴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간 지지부(500)는, 제1 판넬(120)과 제2 판넬(140) 사이의 공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제1 판넬(120) 또는 제2 판넬(140) 간의 간격의 함몰에 따른 본 발명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a: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110: 고정빔 120: 제1 판넬
130: 고정부 140: 제2 판넬
150: 단열제 400: 공간 지지부
410: 지지 프레임 420: 수직 프레임
430; 연결 프레임 440: 프레임 지지대
500: 공간 지지부 510: 상부 지지 평판
520: 상부 진동 흡수부 530: 상부 지지 프레임
540: 상부 중간 평판 550: 하부 중간 평판
560: 중간 진동 흡수부 570: 하부 지지 프레임
580: 하부 진동 흡수부 590: 하부 지지 평판

Claims (7)

  1. 이동식 주택의 골조에 결합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1 판넬;
    상기 제1 판넬을 상기 고정빔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상기 제1 판넬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판넬; 및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는 공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지지부는,
    상기 제2 판넬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직 프레임;
    일측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이 "X" 형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이 만나는 부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은,
    "T"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른 수직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연결뭉치;
    상기 상부 연결뭉치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연결뭉치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소시키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다른 수직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연결뭉치; 및
    "ㅗ"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연결뭉치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연결뭉치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가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부가 삽입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가 고정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부가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소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지지부는,
    상기 제2 판넬을 지지하는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 평판;
    상기 상부 지지 평판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클램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네 개의 상부 진동 흡수부;
    상기 네 개의 상부 진동 흡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진동 흡수부를 지지하는 네 개의 상부 지지 프레임;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 평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중간 평판;
    상기 상부 중간 평판과 동일한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 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상부 중간 평판이 상측에 이격되어 지지되는 하부 중간 평판;
    상기 상부 중간 평판과 상기 하부 중간 평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중간 평판을 지지하는 네 개의 중간 진동 흡수부;
    상기 하부 중간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중간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하부 지지 프레임;
    상기 네 개의 하부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네 개의 하부 진동 흡수부; 및
    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의 상부에 상기 하부 진동 흡수부가 각각 설치되는 하부 지지 평판을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간 평판 또는 상기 하부 중간 평판은,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KR1020190042886A 2019-04-12 2019-04-12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KR10214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86A KR102143721B1 (ko) 2019-04-12 2019-04-12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86A KR102143721B1 (ko) 2019-04-12 2019-04-12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721B1 true KR102143721B1 (ko) 2020-08-11

Family

ID=7204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86A KR102143721B1 (ko) 2019-04-12 2019-04-12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610B1 (ko) * 2020-09-23 2021-06-02 (주)엠디산업 밀폐형 조립식 패널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054Y1 (ko) 2000-07-03 2000-11-15 주식회사동양산기 건축물의 벽면시공용 조립식 판넬
KR101242739B1 (ko) 2012-05-30 2013-03-18 김병수 단열성능이 개선된 고단열 커튼월 창호
KR20130086998A (ko) * 2013-07-16 2013-08-05 손동열 고단열 복층판넬 시공시스템
KR101557318B1 (ko) * 2014-03-25 2015-10-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탄성재가 삽입된 밀착형 차음단열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054Y1 (ko) 2000-07-03 2000-11-15 주식회사동양산기 건축물의 벽면시공용 조립식 판넬
KR101242739B1 (ko) 2012-05-30 2013-03-18 김병수 단열성능이 개선된 고단열 커튼월 창호
KR20130086998A (ko) * 2013-07-16 2013-08-05 손동열 고단열 복층판넬 시공시스템
KR101557318B1 (ko) * 2014-03-25 2015-10-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탄성재가 삽입된 밀착형 차음단열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610B1 (ko) * 2020-09-23 2021-06-02 (주)엠디산업 밀폐형 조립식 패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7622B2 (ja)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設備
CN205100395U (zh) 一种建筑物隔音防火保温外墙
KR102165531B1 (ko) 내진보강 열교차단형 건축 외장패널 조립체 및 그 외장패널 조립체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RU2528357C1 (ru) Акустический экран кочетова
KR102143721B1 (ko) 이동식 주택용 고단열 복층판넬 구조
JP5725881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外壁断熱構造
KR20090113458A (ko)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EP2631405B1 (en) Composite window support
CN211691778U (zh) 一种建筑工程施工防尘降噪装置
CN202936738U (zh) 一种太阳能隔音屏装置
CN205348439U (zh) 一种防火抗爆板
CN212534590U (zh) 一种基于环境保护用隔音结构
KR101699725B1 (ko) 건축물용 층간 차음재
JP2011184908A (ja) 吸音パネル及び吸音壁
CN215563544U (zh) 一种吸声功能高的建造内墙
CN218466837U (zh) 同声传译室减震、隔音吊顶机构和吊顶结构
CN213143691U (zh) 加强减震的绿色建筑用隔声墙板
RU2361984C1 (ru) Стеклопанель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проемов фасадных систем
CN217897699U (zh) 一种安装于隔音门侧边的框架结构
CN211736842U (zh) 一种采用竖龙骨的木门套安装结构
CN216865704U (zh) 一种基于绿色建筑的智能楼宇用隔音隔热墙板
CN104358462A (zh) 一种聚酯乙烯墙板阻燃复合房屋结构
CN204531169U (zh) 一种防雨式复合吸隔声墙体模块
RU205372U1 (ru)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ая фасадная панель с воздушной ячеистой каверной
CN220644686U (zh) 一种绿色施工的厂房降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