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597B1 -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597B1
KR102143597B1 KR1020200028990A KR20200028990A KR102143597B1 KR 102143597 B1 KR102143597 B1 KR 102143597B1 KR 1020200028990 A KR1020200028990 A KR 1020200028990A KR 20200028990 A KR20200028990 A KR 20200028990A KR 102143597 B1 KR102143597 B1 KR 10214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wheel
rotating disk
main bas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봉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영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영서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영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2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7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a stationary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삭대상물의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면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바이스나 치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는 이형의 구조를 갖는 연삭대상물 또한 용이하게 고정하여 다면연삭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고중량 및 고체적을 갖는 연삭대상물의 연삭작업시 크래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연삭대상물의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면을 연속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중 발생되는 안전사고 및 연삭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력을 갖는 메인베이스(200)가 상측면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몸체부(100); 상기 지지몸체부(10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서포터부(150)에 장착되는 연삭구동부(300);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베이스(200)에 장착된 연삭대상물의 측면 및 상면을 연속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삭휠(400);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삭휠(40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휠안전커버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삭휠(400)은, 상기 연삭구동부(300)의 스핀들(330)에 장착연결부재(350)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위치하는 방향의 일측면 중앙부에 인서트컨실홈(411)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연결부재(350)가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디스크(410)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연삭대상물의 표면을 연삭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연마팁(4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마팁(420)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밀착연마구(421)와, 상기 밀착연마구(42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고정되게 설치되는 돌출연마구(4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연마구(421)는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CONTINUOUS PROCESSING TYPE SAFTY 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삭대상물의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면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바이스나 치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는 이형의 구조를 갖는 연삭대상물 또한 용이하게 고정하여 다면연삭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고중량 및 고체적을 갖는 연삭대상물의 연삭작업시 크래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연삭대상물의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면을 연속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중 발생되는 안전사고 및 연삭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기는 고속 회전하는 연삭숫돌에 의해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로서, 원통연삭기, 평면연삭기, 성형연삭기, 나사연삭기, 기어역삭기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중 원통연삭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0125호의 원통연삭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삭대상물을 연마하는 지석이 스핀들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스핀들이 삽입되는 축 삽입홀 내측에 이격되게 결합된 제1,2베어링을 통해 상기 축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주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연삭기는 지석(1)의 가장자리에 상기 지석의 가장자리 두께에 대응되는 연삭숫돌(2)이 결합되고, 상기 지석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삭숫돌로 연삭대상물(10)의 표면을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삭대상물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연삭숫돌에 의해 일측면을 연삭가공한 후, 다른 면의 연삭을 위해 상기 연삭대상물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개의 면을 연삭가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연삭대상물의 크기가 크거나 고중량물인 경우 위치변경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대상물을 상판플레이트(3)에 장착하기 위해 바이스와 같은 치공구(4)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일측면이 불규칙한면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연삭대상물의 고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없어 연삭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평면을 갖는 입체의 연삭대상물을 연삭하는 경우, 상기 연삭대상물의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면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연삭대상물의 일측면이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이형의 구조를 갖어 바이스나 치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고정하여 연삭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삭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고중량 및 고체적을 갖는 연삭대상물의 연삭작업 수행시, 메인베이스에 연삭대상물을 올려 고정한 상태에서 크래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여 다면을 연속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고중량 및 고체적의 연삭대상물 연삭작업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크래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위치변경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력을 갖는 메인베이스(200)가 상측면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몸체부(100); 상기 지지몸체부(10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서포터부(150)에 장착되는 연삭구동부(300);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베이스(200)에 장착된 연삭대상물의 측면 및 상면을 연속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삭휠(400);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삭휠(40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휠안전커버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삭휠(400)은, 상기 연삭구동부(300)의 스핀들(330)에 장착연결부재(350)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위치하는 방향의 일측면 중앙부에 인서트컨실홈(411)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연결부재(350)가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디스크(410)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연삭대상물의 표면을 연삭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연마팁(4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마팁(420)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밀착연마구(421)와, 상기 밀착연마구(42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고정되게 설치되는 돌출연마구(4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연마구(421)는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상기 연삭휠(400)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상측면에 자력에 의해 안착되는 마그네틱테이블(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휠안전커버부(600)는 상기 장착연결부재(350)를 매개로 상기 스핀들(330)에 장착된 상기 연삭휠(400)을 수용하되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위치하는 방향의 전면과 상기 메인베이스(200)를 바라보는 하측면이 개구된 휠수용케이스(610)와, 상기 휠수용케이스(61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삭휠(400)를 커버하는 커버도어(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삭대상물의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면을 연속적으로 연삭할 수 있어 연삭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중량을 갖는 연삭대상물의 위치변경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도를 낮출 수 있어 작업안전성이 향상되고, 일측면이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이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바이스나 치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는 연삭대상물의 용이한 고정을 통한 연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연삭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중량 및 고체적을 갖는 연삭대상물 특히 이형의 구조를 갖는 고중량 및 고체적의 연삭대상물의 연삭작업 수행시 연삭대상물을 별도의 치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효과적을 고정하여 다면을 연속적으로 연삭할 수 있어 연삭작업의 효율성 증대는 물론 고중량 및 고체적의 연삭대상물에 대한 위치변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작업능률 향상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낯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의 측단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안전커버부의 내측에 연삭휠이 내장된 전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에 두께가 두꺼운 연삭대상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테이블의 상측에 연삭대상물이 설치되어 연삭휠에 의한 연삭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종래 연삭대상물을 바이스와 같은 치공구에 의해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의 측단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안전커버부의 내측에 연삭휠이 내장된 전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에 두께가 두꺼운 연삭대상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테이블의 상측에 연삭대상물이 설치되어 연삭휠에 의한 연삭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는 자력을 갖는 메인베이스(200)가 장착되는 지지몸체부(100)와, 상기 지지몸체부(10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서포터부(150)에 장착되는 연삭구동부(300)와,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삭휠(400)과, 상기 연삭휠(40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휠안전커버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는 다수개의 평면을 갖는 입체의 연삭대상물(10) 표면을 연삭하는 경우,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면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일측면이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이형의 구조를 갖음에 따라 바이스와 같은 치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연삭대상물(10)을 용이하게 고정하여 연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삭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몸체부(100)는 자력을 갖는 메인베이스(200)가 상측면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몸체부(100)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서포터유닛(110)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서포터유닛(110)에는 상기 메인베이스(200)를 상하왕복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회전조작휠(130)이 설치되고, 상기 서포터유닛(11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작휠(130)의 회전조작에 의해 신축되는 신축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조작휠(130)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신축유닛이 상하 신축되어 상기 지지몸체부(100)의 상하왕복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메인베이스(200)는 상기 지지몸체부(100)의 상측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무빙플레이트(210)와, 상기 무빙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무빙플레이트(21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연삭대상물(10)를 자력에 의해 고정하는 자력이동플레이트(22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무빙플레이트(210)와 자력이동플레이트(220)의 왕복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무빙플레이트(210)와 자력이동플레이트(220)는 각각 별도의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몸체부(100)의 상측에는 상기 무빙플레이트(21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방가이드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210)의 상측면에는 상기 자력이동플레이트(22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방가이드홈(211)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베이스(200)가 상기 무빙플레이트(210)와 자력이동플레이트(220)로 이루어져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지지몸체부(100)의 상측에서 각각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연삭위치의 조절을 위해 상기 지지몸체부(100)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베이스(200)가 다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삭대상물(10)을 고정하는 상기 메인베이스(200)가 자력을 갖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일측면이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이형의 구조를 갖어 바이스나 치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연삭대상물(10)을 고정하여 연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삭구동부(300)는 상기 지지몸체부(10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서포터부(150)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연삭구동부(300)는 상기 후방서포터부(15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동기어박스(310)와, 상기 후방서포터부(150)의 타측면에 장착된 상태로 구동축(미도시)이 상기 구동기어박스(310)로 연장되는 구동모터(320)와, 상기 구동기어박스(3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핀들(33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삭구동부(300)는 상기 후방서포터부(150)에 설치되어 외부전력에 의해 상기 스핀들(3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320)가 상기 후방서포터부(150)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장소나 상황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20)를 상기 후방서포터부(150)의 상측에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320)의 구동축이 상기 구동기어박스(310)로 연장되게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320)가 상기 후방서포터부(150)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후방서포터부(150)의 타측면에는 상기 구동모터(320)를 지지하는 지지판(1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삭휠(400)은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베이스(200)에 장착된 연삭대상물의 측면 및 상면을 연속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몸체부(100)와 메인베이스(2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삭대상물(10)을 상기 연삭휠(400)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후방서포터부(150)와 마주하는 방향의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측면을 1차 연삭하고, 1차 연삭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지지몸체부(100)와 메인베이스(2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삭휠(400)과 마주하는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상측면을 2차 연삭함으로써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위치변경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연삭대상물(10)의 다면을 연속하여 연삭할 수 있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연삭휠(400)을 살펴보면 상기 연삭휠(400)은 상기 연삭구동부(300)의 스핀들(330)에 장착연결부재(350)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위치하는 방향의 일측면 중앙부에 인서트컨실홈(411)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연결부재(350)가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디스크(410)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연삭대상물(10)의 표면을 연삭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연마팁(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인서트컨실홈(411)에는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스핀들(330)이 연결을 위한 상기 장착연결부재(350)가 설치되는 관통홀(4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연결부재(350)는 상기 인서트컨실홈(4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인트플레이트(351)와, 상기 조인트플레이트(351)에 볼팅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타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상기 스핀들(330)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연장결속구(35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삭구동부(300)의 스핀들(330)을 상기 장착연결부재(350)에 의해 상기 연삭휠(400)에 연결시, 상기 장착연결부재(350)의 조인트플레이트(351)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됨에 따라 고체적물인 연삭대상물의 측면 연삭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고 체적물인 연삭대상물을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상측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경우, 상기 연삭대상물(10)의 두께가 두꺼워 상기 지지몸체부(100)를 하측으로 최대하강시키더라도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상측면이 상기 연삭휠(400)의 회전중심방향에 인접시, 상기 장착연결부재(350)의 조인트플레이트(351)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인서트컨실홈(411)의 내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마팁(420)에 의한 연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마팁(420)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밀착연마구(421)와, 상기 밀착연마구(42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연마구(42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밀착연마구(421)와 돌출연마구(42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밀착연마구(421)는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상측에 고정된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상면 연삭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돌출연마구(422)는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상면과 수직된 측면 연삭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연마구(421)는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밀착연마구(421)의 폭이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삭작업시 마찰력 증대로 인해 상기 구동모터(320)의 과부하를 초래하여 상기 구동모터(320)의 손상을 야기하므로 상기 밀착연마구(421)의 폭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연마구(422)는 상기 밀착연마구(42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밀착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연삭휠(400)로 인해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상측에 고정된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위치변경 작업을 최소화하면서 다면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어 연삭작업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장착연결부재(350)의 조인트플레이트(351)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인서트컨실홈(411)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됨에 따라 두께가 두꺼운 연삭대상물의 측면 연삭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상측면에는 자력에 의해 안착되는 마그네틱테이블(50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마그네틱테이블(500)는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상기 연삭휠(400)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마그네틱테이블(500)는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자력이동플레이트(220)에 자력에 의해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테이블(500)의 상측면에 상기 연삭대상물(10)을 자력에 의해 고정시,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상기 연삭휠(400)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마팁(420)의 돌출연마구(422)에 의해 연삭작업진행시, 상기 연마팁(420)의 밀착연마구(421)가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자력이동플레이트(220) 상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연삭휠(400)를 통한 연삭대상물의 측면 연삭시, 연상대상물의 측면 상부에서 하부까지 용이한 연삭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휠안전커버부(600)는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삭휠(40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연삭작업의 장기간 진행시 작업중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고속회전중인 상기 연삭휠(400)이 상기 스핀들(33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스핀들(330)로부터 이탈된 상기 연삭휠(400)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휠안전커버부(600)를 살펴보면, 상기 휠안전커버부(600)는 상기 장착연결부재(350)를 매개로 상기 스핀들(330)에 장착된 상기 연삭휠(400)을 수용하되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위치하는 방향의 전면과 상기 메인베이스(200)를 바라보는 하측면이 개구된 휠수용케이스(610)와, 상기 휠수용케이스(61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삭휠(400)을 커버하는 커버도어(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삭휠(40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도어(620)를 열어 상기 휠수용케이스(610)의 내부가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스핀들(330)에 상기 장착연결부재(350)를 매개로 상기 연삭휠(400)을 장착하고, 이후 상기 커버도어(620)를 닫어 상기 연삭휠(400)를 커버함으로써 작업중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한 상기 연삭휠(400)의 분리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휠수용케이스(610)의 내측에 상기 연삭휠(400)을 장착하여 상기 커버도어(620)를 닫게 되면 상기 연삭휠(400)의 회전중심이 상기 커버도어(62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연삭휠(400)의 하단은 상기 휠수용케이스(610)의 하단보다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연삭대상물(10)의 상측면 연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연삭대상물 100: 지지몸체부
150: 후방서포터부 200: 메인베이스
210: 무빙플레이트 220: 자력이동플레이트
300: 연삭구동부 310: 구동기어박스
320: 구동모터 330: 스핀들
350: 장착연결부재 400: 연삭휠
410: 회전디스크 411: 인서트컨실홈
420: 연마팁 421: 밀착연마구
422: 돌출연마구 500: 마그네틱테이블
600: 휠안전커버부 610: 휠수용케이스
620: 커버도어

Claims (4)

  1. 자력을 갖는 메인베이스(200)가 상측면에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몸체부(100); 상기 지지몸체부(10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서포터부(150)에 장착되는 연삭구동부(300);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베이스(200)에 장착된 연삭대상물의 측면 및 상면을 연속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삭휠(400); 상기 연삭구동부(3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삭휠(40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휠안전커버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삭휠(400)은, 상기 연삭구동부(300)의 스핀들(330)에 장착연결부재(350)를 매개로 장착되되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위치하는 방향의 일측면 중앙부에 인서트컨실홈(411)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연결부재(350)가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디스크(410)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연삭대상물의 표면을 연삭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연마팁(4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마팁(420)은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밀착연마구(421)와, 상기 밀착연마구(42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고정되게 설치되는 돌출연마구(4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연마구(421)는 상기 회전디스크(410)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상기 연삭휠(400)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베이스(200)의 상측면에 자력에 의해 안착되는 마그네틱테이블(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안전커버부(600)는, 상기 장착연결부재(350)를 매개로 상기 스핀들(330)에 장착된 상기 연삭휠(400)을 수용하되 상기 연삭대상물(10)이 위치하는 방향의 전면과 상기 메인베이스(200)를 바라보는 하측면이 개구된 휠수용케이스(610)와, 상기 휠수용케이스(61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삭휠(400)를 커버하는 커버도어(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4. 삭제
KR1020200028990A 2020-03-09 2020-03-09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KR10214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90A KR102143597B1 (ko) 2020-03-09 2020-03-09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90A KR102143597B1 (ko) 2020-03-09 2020-03-09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597B1 true KR102143597B1 (ko) 2020-08-12

Family

ID=7203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990A KR102143597B1 (ko) 2020-03-09 2020-03-09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5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804Y1 (ko) * 1989-12-12 1991-11-08 김화수 연마기용 연마석 개량 카바
JP2003225861A (ja) * 2002-02-01 2003-08-12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難削材シ−ト状物の研削方法
KR101713523B1 (ko) * 2015-11-03 2017-03-08 주식회사 휴비츠 안경 렌즈 둘레 가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804Y1 (ko) * 1989-12-12 1991-11-08 김화수 연마기용 연마석 개량 카바
JP2003225861A (ja) * 2002-02-01 2003-08-12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難削材シ−ト状物の研削方法
KR101713523B1 (ko) * 2015-11-03 2017-03-08 주식회사 휴비츠 안경 렌즈 둘레 가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849B1 (en) Grinding spindle
US4622871A (en) Cutting tool compensator for stationary machine tool
US9895780B2 (en) Combined working machine and combined working method
CN109954915B (zh) 一种便于调节刀片安装位置的铣刀盘及其使用方法
EP1009585B1 (en) External abrasive machine
CN109605198B (zh) 一种用于机器人抛光的柔性抛光装置
CN113146417A (zh) 一种直流电机定子制造成型精加工机械
KR102143597B1 (ko) 다면연속가공형 안전 연삭장치
CN111531370B (zh) 一种双主轴车铣复合数控车床
US6390907B1 (en)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spindle and workpiece mounting-apparatus and grinding process
CN110744384A (zh) 一种轮毂法兰外圈加工用倒角设备
JP2013526415A (ja) 開口部を備えるハウジングの内側を加工するための方法
KR20160094725A (ko) 밸브 시트면 연마를 위한 래핑 머신
EP4032641A1 (en) Machine tool
CN209754732U (zh) 一种球头铣刀研磨机
KR200372048Y1 (ko) 수평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속절단기
CN210010833U (zh) 配合机器人打磨毛刺用多方向浮动动力磨头
CN211414586U (zh) 一种设有可移动刀具的削磨机床
CN210281917U (zh) 一种机械制造用自动化打磨装置
US5187900A (en) Auxiliary device for a machine tool
JP2007007758A (ja) テーブル装置及び当該テーブル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CN210060659U (zh) 全自动梯面磨床内角倒角装置
CN217942764U (zh) 一种减速机用斜进式数控外圆磨车床
CN214054391U (zh) 一种便于刀头组装的精雕机
US5803794A (en) Combined grinding machine for providing an internal sp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