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314B1 -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314B1
KR102143314B1 KR1020200021083A KR20200021083A KR102143314B1 KR 102143314 B1 KR102143314 B1 KR 102143314B1 KR 1020200021083 A KR1020200021083 A KR 1020200021083A KR 20200021083 A KR20200021083 A KR 20200021083A KR 102143314 B1 KR102143314 B1 KR 102143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ar
magnets
sho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호
Original Assignee
손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대호 filed Critical 손대호
Priority to KR102020002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8Applying vibrations to th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585Vibration means for the injection unit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29L2031/504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서로 다른 재질의 수지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투입구를 구비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 및 상기 아웃솔에 수납되고 보행시 신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진동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생성하는 자기진동생성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자기진동생성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라 상기 자기진동생성부의 진동을 조절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Functional footwea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footwear by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수많은 종류의 신발이 제조되고 있으며, 또한 각 기능에 따른 특수신발 역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신발은 단순히 발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서 점차 벗어나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한 하나의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일예를 들어 특수작업자들을 위한 안전화, 뒷굽이 없는 다이어트슈즈 및 당뇨환자용 신발 등은 각 용도에 맞게 그 기능성을 부각시킨 신발로써, 점차 이러한 기능성 신발들의 생산량이 증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동양의학에서 인체의 각 기관과 상호작용하는 경혈점이 분포하는 발에 지압 또는 자극하기 위한 수단이 신발에 결합하여 건강보조 또는 치료보조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신발 안창의 표면을 불규칙적으로 만들어 발바닥 지압이 이루어지게 하고, 발바닥이 접하는 안창면에 전기자극패드를 형성하여 신발착용중에 지속적으로 경혈점이나 피부에 전기자극을 주어 근육을 이완시키는 마사지효과 또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신발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사출 성형이라는 오래된 방식을 따르고 있어 신발의 기능적인 발전과 비교해 신발의 제조 방식의 발전 속도는 아주 더디다고 할 수 있다. 신발의 각종 기능의 부가와 형상의 다변화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고 다양한 소재와 다양한 형태에 적합한 사출 성형에 의한 신발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1995-0026428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실시예는 서로 다른 재질의 수지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투입구를 구비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 및 상기 아웃솔에 수납되고 보행시 신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진동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생성하는 자기진동생성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자기진동생성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라 상기 자기진동생성부의 진동을 조절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자기진동생성부는, 가이드링,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 진동생성바,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상기 일측 제2 영역에서 연장되어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2 진동생성바 및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상기 타측 제3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3 진동생성바로 구성된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 각각의 끝단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상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하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홀 각각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홀 각각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을 더 포함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척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척력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착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른 신발 끝의 반복적인 내회전 또는 외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 중 어느 하나의 진동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은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석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아웃솔에 설치된 제어장치; 및 상기 아웃솔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의 이동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걸음걸이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갑피와 아웃솔을 접착하여 신발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출공정을 통해 아웃솔이 갑피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고, 이러한 사출공정에 따라서 아웃솔의 측면에 다수 개의 배구홀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아웃솔의 내부에 인서트를 삽입하고 이 것을 경계로 하여 서로 다른 2가지 색상이나 물성을 갖는 EVA 수지를 동시에 사출성형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2가지 색상 또는 2가지 질감의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착용자의 발의 혈류 개선시킴과 동시에 착용자로 하여금 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보행에 따라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 진동에 따른 파장이 조절되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보행이나 조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는 착용자의 발바닥의 외측 및 내측 영역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바른 보행을 유도하여 걸음에 대한 자가 교정이 가능하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신발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기능성 신발의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신발의 아웃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자기진동장치를 분해한 구성들의 상부면도이다.
도 7b 및 도 7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장치를 분해한 구성들의 상부면도이다.
도 7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생성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신발의 이동 방향에 따른 진동조절가이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자기진동생성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을 이용한 아웃솔의 제조 방법을 위한 금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을 이용한 아웃솔의 제조 방법을 위한 금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신발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신발 제조방법(S100)은 신골에 갑피를 씌우는 단계(S110), 사출 금형 결합 단계(S120), 사출 투입 및 충진 단계(S130), 사출금형 분리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먼저 신골(LAST)(10)에 갑피(UPPER)(20)를 씌우는 작업이 수행되며 본 실시 예는 이를 라스팅 단계(S110)라고 칭한다. 그리고 신골(10)은 신발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골(형상)을 말하는 것이고, 이러한 신골(10)은 이후 공정에서 사용되는 사출액의 온도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여 신발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재)로 만들어진다. 또한 갑피(20)는 통상 밑바닥(밑창)이 없는 상태이고, 재질은 탄력있는 스판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라스팅 단계(S110)에서는 신골(10)의 밑바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갑피(20)가 씌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신골(10)에 갑피(20)가 라스팅되면 신골(10)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좌/우 사출금형(30a, 30b)이 신골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사출금형(30a, 30b)이 마주보는 단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상태를 사출금형 결합단계(S120)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중간에 신골(10)이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사출금형(30a, 30b)이 결합할 때, 신골(10)의 외면에 그 사출금형(30a, 30b)의 단면이 완전히 밀착하는 것이 아니라 신골(10)의 좌우 측면부분과 아랫부분에 소정 내부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 공간(S)은 사출액이 채워져서 실질적으로 기능성 신발(100)의 측면과 밑창부분을 형성하는 아웃솔(40), 즉 신발창을 성형하기 위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공간의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만 도 2에는 신골의 좌우 측면의 공간만을 도시한 상태이다. 한편 좌/우 사출금형(30a, 30b)이 결합하여 생성된 내부 공간(S)의 형태는 아웃솔(40)의 형상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아웃솔을 성형해야 하기 때문이다.
좌/우 사출금형(30a, 30b)의 내면에는 소정 모양을 가지는 각각 복수 개의 펀치(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출금형의 결합단계(S120)에서는 펀치(32)의 끝단 부분이 갑피(20)와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펀치(32)는 사출액이 충진되기 전의 내부 공간(S) 내에 위치한다.
이처럼 좌/우 사출금형(30a, 30b)이 결합하고 신골(10)과의 사이에 내부공간(S)이 형성된 상태가 되면,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출금형(30a, 30b)에 형성된 투입구(34)를 통해 사출액을 투입하여 내부 공간(S)를 충진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S120). 이때 사출액은 상기 좌/우 사출금형(30a, 30b)의 내면에 형성된 펀치(32)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내부 공간(S)을 충진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출액은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와 플라스틱 중간 형태의 재질인 액체고무(T.P.R: Thermo Plastic Rubber)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출액 투입공정에 따라 내부 공간(S)를 충진하는 사출액은 경화된 후 아웃솔(40)을 성형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사출금형(30a, 30b) 내에서 갑피(20)와 아웃솔(40)이 일체로 성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에는 사출액이 완전히 경화된 시점(즉 아웃솔이 성형된 상태)에 좌/우 사출금형(30a, 30b)을 분리하는 공정인 사출금형 분리단계(S140)가 수행된다. 사출금형(30a, 30b)의 분리공정은 도 3에 도시하였고, 이처럼 좌/우 사출금형(30a, 30b)이 분리되면 그 사출금형(30a, 30b)의 내면에 형성된 펀치(32)도 사출금형(30a, 30b)과 함께 이동하여 아웃솔(40)에서 빠지게 된다. 그 결과 아웃솔(40)에는 펀치(32)가 형성된 부분에 배수홀(50)이 그대로 형성되고 이렇게 배수홀(50)이 형성된 상태의 아웃솔(40)이 최종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따라 갑피(20)의 측면 저부와 바닥부분에는 아웃솔(40)이 형성될 것이고, 이때 갑피(20)와 아웃솔(40)은 그 아웃솔(40)을 형성하는 사출액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형태를 가지면서 아웃솔(40)의 측면에는 배수홀(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신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 완성된 기능성 신발(100)의 예는 도 5에 도시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아웃솔(40)을 사출하는 방식으로 갑피(20)와 일체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아웃솔(40)에 배수홀(50)이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배수홀(50)을 형성해야 할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갑피(20)와 아웃솔(40)을 성형한 다음 이를 접착할 필요도 없이 단지 사출 공정만으로 갑피(20)와 아웃솔(40)이 일체 형성된 신발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신발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신발의 아웃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7a는 자기진동장치를 분해한 구성들의 상부면도이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아웃솔(40)은 신발 착용자의 발 앞꿈치 또는 발 바닥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자기진동장치의 수납을 위한 수납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신발(100)은 아웃솔(40)에 수납되고 보행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진동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자기진동장치(200)는 케이스(210), 케이스에 수납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생성하는 자기진동생성부(300), 케이스와 자기진동생성부(300) 각각에 설치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자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진동생성부(300)는 중앙 영역이 개방된 사각형 구조의 가이드링(390),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제1 영역(300a)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 진동생성바(310),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제2 영역(300b)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타측으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2 진동생성바(320) 및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제3 영역(300c)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3 진동생성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300c)은 가이드링(390)의 영역 중 제1 및 제2 영역(300a, 300b) 사이의 영역이다.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진동생성바(330)는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310, 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310, 320)는 서로 길이가 동일할 수 있고, 제3 진동생성바(330)는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310, 320)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210)는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진동생성부(300)는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에 의해 생성된 공간 상에 위치하여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신발(100)은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끝단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일측은 가이드링(390)에 연결되고 말단은 고정되지 않으며 말단측에 진동바자석이 설치되므로 진동바자석의 무게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이 발생하여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1)에는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상부홀(221, 222, 223)이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212)는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하부홀(231, 232, 233)이 형성된다.
케이스(210)와 자기진동생성부(300)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상부홀(221, 222, 223) 각각과 제1 내지 제3 하부홀(231, 232, 233) 각각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또한, 신발(100)은 제1 내지 제3 상부홀(221, 222, 223)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한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홀(231, 232, 233)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한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을 더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 각각과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 각각과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310, 320) 각각은 이들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고, 제3 진동생성바(330)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착용자가 신발(100)을 착용한 후 보행이나 조깅을 시작하면 앞꿈치 부분에 위치한 자기진동장치(200)로부터 진동과 자력이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보행시 케이스(210)의 상부방향으로부터 그리고 하부방향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외압이 케이스(210)에 작용할 수 있다. 케이스(210)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상하 진동을 유발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과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사이의 척력과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과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 사이의 척력, 즉, 상하 방향으로부터 상호 척력 작용에 따라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상하부 방향으로의 진동이 조밀하게 연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착용자는 흥미를 느껴 보다 즐거운 보행이나 조깅이 될 것이고, 진동시 자기장이 발생되는 등 자력이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7b 내지 도 7d에서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생성부(300)는 전술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가이드링(390)의 가장자리의 영역은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이나 일부분만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나머지는 직선 형상을 가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7b 및 도 7c에 따르면, 제3 진동생성바(330)는 제3-1 진동생성바(330a)와 제3-2 진동생성바(330b)로 구성되고, 제3 진동바자석(339)는 제3-1 진동바자석(339a)와 제3-2 진동바자석(339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1 진동생성바(330a)의 상부면에는 제3-1 진동바자석(339a)이 설치되고, 제3-2 진동생성바(330b)의 하부면에는 제3-2 진동바자석(339b)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1 진동생성바(330a)의 하부면과 제3-2 진동생성바(330b)의 상부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이들은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에 마련된 제3 상부 자석(243)과 제3 하부 자석(253)의 척력에 의해 진동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d에 따르면, 상부케이스(211)에는 제1 및 제2 상부측자석(911, 912)가 마련되고, 하부케이스(212)에는 제1 및 제2 하부측자석(921, 922)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12)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바(941)와 돌출바(941)와 수직하게 상부케이스(211)와 하부케이스(212)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수평바(942)의 양쪽 끝단에 바련된 제1 및 제2 바측자석(931, 932)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생성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신발의 이동 방향에 따른 진동조절가이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자기진동생성부의 개략적인 상부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생성부(300)는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조절가이드(340)는 제1 회전부(341)에 설치되고, 제2 진동조절가이드(350)는 제2 회전부(35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회전부(341)는 가이드링(390)의 내측면 중에서 제1 진동생성바(310)가 연장되는 지점 부근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회전부(351)는 가이드링(390)의 내측면 중에서 제2 진동생성바(320)가 연장되는 지점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회전부(341)는 가이드링(390)의 내측면 중에서 제1 진동생성바(310) 상의 제1 진동바자석(319)이 위치한 부근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회전부(351)는 가이드링(390)의 내측면 중에서 제2 진동생성바(320) 상의 제2 진동바자석(329)이 위치한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진동조절가이드(340)는 제1 회전부(341)에 설치되어 제1 회전부(34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진동조절가이드(350)는 제2 회전부(351)에 설치되어 제2 회전부(35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행시 신발(100) 끝의 외회전 또는 내회전에 따라 제1 진동조절가이드(340)는 제1 회전부(34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진동조절가이드(350)는 제2 회전부(35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각각은 두 개의 날개부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날개부 사이의 폭은 진동생성바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각각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 시 두 개의 날개부 중 하나는 진동생성바의 상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하나는 진동생성바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진동생성바가 진동할 때 진동 폭은 진동조절가이드의 두 개의 날개 사이로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은 줄어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걸음 걸이가 팔자걸음인 경우 보행시 신발(100)의 끝은 외회전을 반복적으로 그리게 된다. 그에 따라 도 9와 같이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는 외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부(341) 및 제2 회전부(35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 중에서 제1 진동조절가이드(340)만이 제1 진동생성바(31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제1 진동생성바(310)의 진동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착용자의 걸음 걸이가 안짱걸음인 경우 보행시 신발(100)의 끝은 내회전을 반복적으로 그리게 된다. 그에 따라 도 10과 같이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는 내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부(341) 및 제2 회전부(35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 중에서 제2 진동조절가이드(350)만이 제2 진동생성바(32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제2 진동생성바(320)의 진동의 폭을 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착용자가 팔자걸음으로 보행 시, 제2 진동생성바(320)에 의한 진동이 제1 진동생성바(310)의 진동보다 크게 발생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착용자의 발바닥의 외측 영역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게 유도한다. 또한, 착용자가 안짱걸음으로 보행 시 제1 진동생성바(310)에 의한 진동이 제2 진동생성바(320)의 진동보다 크게 발생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착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영역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게 유도한다.
착용자는 팔자걸음으로 보행 시 발바닥의 영역 중 외측 부위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게 되고 자연스럽게 일자 보행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착용자는 안짱걸음으로 보행 시 발바닥의 영역 중 내측 부위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게 되고 자연스럽게 일자 보행이 되도록 한다.
착용자가 일자 보행인 바른 보행을 하는 경우,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위치하도록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310, 230)의 진동의 폭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자는 바른 보행 시 발바닥의 외측 및 내측에서 균일한 진동을 느끼게 됨으로써 자신이 바른 보행을 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게끔 유도한다. 따라서, 착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바른 보행을 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걸음걸이이가 자가 교정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아웃솔(40)에는 센서(124) 및 제어장치(12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은 전자석이 될 수 있고 제어장치(125)의 제어 하에 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와 한 쌍의 신발(100) 상호간의 통신이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무선전력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전력 수신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124)는 신발(1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124)는 자이로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1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든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보행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신발(100)의 이동 방향에 따른 착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보행 속도를 검출함으로써 착용자가 현재 일반적인 보행 상태, 조깅 상태,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의 달리기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신발 끝의 이동 방향에 따른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분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장치(125)는 착용자의 걸음이 바른걸음, 팔자걸음, 안짱걸음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보행 속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25)는 보행 속도를 분석하여 보행 속도가 제1 속도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1 세기로 하고, 보행 속도가 제1 속도 이상 제2 속도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2 세기로 하고, 보행속도가 제2 속도 이상인 경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3 세기로 할 수 있다.
제3 세기는 제2 세기보다 큰 세기이고, 제2 세기는 제1 세기보다 큰 세기이다.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가 커질수록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의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에 상부로부터 그리고 하부로부터 가해지는 척력이 강해져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상하 진동의 폭은 줄어들게 되고 착용자가 느끼는 진동은 줄어들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의 상하 간격이 줄어든 상태에서의 진동은 동일한 시간 동안의 상하 진동의 횟수를 증가시키지만 진동의 폭은 감소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줄어든 진동을 느끼게 하다. 결과적으로, 착용자는 달리기할 때보다 일반적인 보행 상태일 때 줄어든 진동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조깅이나 달리기를 할 때 신발에 가해지는 연속된 충격 횟수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착용자가 느끼는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편안한 산책, 조깅, 달리기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걸음걸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진동 불균형 상태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착용자의 신발(100) 끝의 이동 방향에 따라 걸음걸이를 정상걸음, 팔자걸음 및 안짱걸음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정상걸음으로 판단하면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장치(125)는 팔자걸음으로 판단하면 제1 및 제3 상부자석(241, 243)과 제1 및 제3 하부자석(251,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2 상부자석(242) 및 제2 하부자석(252)의 자력의 세기보다 높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제2 상부자석(242) 및 제2 하부자석(252)이 위치한 영역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즉, 착용자로 하여금 발 바닥의 내측보다 상대적으로 발 바닥의 외측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어장치(125)는 안짱걸음으로 판단하면 제2 및 제3 상부자석(242, 243)과 제2 및 제3 하부자석(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1 상부자석(241) 및 제1 하부자석(251)의 자력의 세기보다 높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제1 상부자석(241) 및 제1 하부자석(251)이 위치한 영역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즉, 착용자로 하여금 발 바닥의 외측보다 상대적으로 발 바닥의 내측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는 착용자의 걸음걸이가 정상걸음이 아닌 경우, 발바닥의 내측에 더 큰 진동을 느끼게 하여 자연스럽게 양 발의 한 쌍의 신발(100) 끝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모아지도록 유도하고, 발바닥의 외측에 더 큰 진동을 느끼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양 발의 한 쌍의 신발(100) 끝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벌어지도록 유도한다. 제어장치(125)는 그 후 신발(100)의 끝이 향하는 방향이 걸어가는 방향의 가상의 축에 평행하게 왕복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진동이 균일하게 느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정상걸음을 걷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센서(124), 제어장치(125) 그리고 자기진동장치(200)는 한 쌍의 신발(100) 각각에 설치되고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착용자의 양 발 중 어느 하나의 발의 걸음걸이만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도 정상적인 걸음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아웃솔(40)에는 향균제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사용자의 기능성 신발(100)의 착용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면, 향균제출력부를 통해 향균제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장치(125)는 사용자가 조깅 등을 수행함에 따라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의 세기 조절의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향균제출력부를 통해 향균제를 출력함으로써 기능성 신발(100) 내부의 쾌적함을 도울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을 이용한 아웃솔의 제조 방법을 위한 금형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금형(30d)과 하부금형(30c)을 합형하고, 사출용 게이트인 투입구(34)를 통해 수지를 주입하고, 소정의 온도와 시간동안 수지를 가교하여, 상하부금형(30d, 30c)의 이형과 동시에 그 내부의 내용물이 팽창되면서 하나의 제품이 완성되는 단계를 차례로 거쳐 아웃솔이 제조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을 이용한 아웃솔의 제조 방법을 위한 금형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부성형면(613)상에 소정의 높이로 된 받침벽체(614)를 갖는 하부금형(30c)과, 어느 1개에는 별도의 주입관(617)이 갖추어져 있는 적어도 2개의 투입구(34a, 34b)와 상부성형면(615)에서 아래로 수직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기둥(616)을 가지면서 하부금형(30c)과 상하 조합되어 아웃솔 모양의 성형부(618)를 구성하는 상부금형(30d)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받침벽체(614)와 지지기둥(616) 사이에 설치되면서 소정의 격리된 공간부(619)를 조성하며 중심에는 주입관(617)과 통하는 주입구멍(620)이 갖추어져 있는 인서트(62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서트(621)에는 그 판체를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갖추어져 질 수 있다.
또한, 인서트(621)의 윗면과 밑면에는 사방으로 통하는 격자형의 T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아웃솔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은 크게 아웃솔 모양을 구성하는 상부금형(30d) 및 하부금형(30c)과 소정의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금형 내부에 설치되는 인서트(621)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금형(30d)은 색상과 물성이 다른 2개의 수지를 각각 주입할 수 있는 2개의 투입구 (34a, 34b)를 갖추고 있다.
이때의 2개의 투입구(34a, 34b) 중에서 1개는 아웃솔의 주 몸체를 형성해주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 투입구이고 다른 1개는 아웃솔의 주 몸체에 삽입되는 이색 또는 이질의 삽입체를 형성해주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보조 투입구이며, 여기서 주 투입구는 종전과 같이 금형의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각각의 투입구 (34a, 34b)는 작업성 측면과 주변과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금형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조 투입구 에는 금형의 안쪽까지 길게 연장되는 주입관(617)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을 통해 주입되는 수지는 주 투입구를 거쳐 금형 내부로 들어온 다른 수지와 섞이지 않고 후술하는 격리된 공간부(619)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금형(30d)의 상부성형면(615)에는 아래로 수직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기둥(6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기둥(616)은 하부금형(30c)상의 받침벽체(614)에 놓여져 있는 인서트(621)를 윗쪽에서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인서트(621)의 세팅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지지기둥(616)으로 인하여 생기는 제품 안쪽면의 구멍들은 제품의 품질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인서트(621)의 적어도 4곳 모서리와 중심의 2곳을 포함하여 적어도 6개 정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금형(30c)의 바닥면 즉, 하부성형면(613)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벽체(614)가 소정의 형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와 같은 4각형이나 아니면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외곽형태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받침벽체(614)가 구성하는 외곽틀 위에 인서트(621)가 얹혀지게 되면, 하나의 밀폐된 공간이 만들어지게 되며, 나중에 이곳으로는 아웃솔의 삽입체를 형성하는 수지가 채워지게 된다.
인서트(621)는 받침벽체(614)와 함께 밀폐된 공간을 조성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이나 물성을 갖는 2가지의 수지를 일체로 묶어주는 일종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보통 비닐수지 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되지만 금속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인서트(621)는 완성된 신발제품내에 그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신발의 품질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인서트(621)는 여러 모양의 형태로 될 수 있고, 받침벽체(614)의 상단에 얹혀지는 동시에 상하부금형 합형시 지지기둥(616)에 의해 눌려져 고정되면서 금형의 성형부(618)와는 격리되는 별도의 밀폐형 공간부(619)를 조성할 수 있게 되며, 투입구(612)의 주입관(617)과 통하는 중심의 주입구멍(620)을 이용하여 수지를 공간부(619) 안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받침벽체(614)의 상단과 접하는 인서트(621)의 밑면에 벽체의 외곽라인과 형합가능한 띠 모양으로 이어지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벽체의 상단이 형합되면서 그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인서트(621)의 세팅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621)를 설계할 때, 이 인서트(621)가 각각의 수지와 잘 접합되는 경우에는 민밋한 표면을 갖도록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잘 접합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을 뚫어서 각각의 수지가 이곳을 통해 엉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지와의 접합효과를 높이거나, 또는 표면에 바둑판 모양으로 T홈을 파서 각각의 수지가 홈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지와의 뛰어난 접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서로 다른 재질의 수지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투입구를 구비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 및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 앞꿈치와 대응하는 상기 아웃솔 영역에 형성된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어 상기 신발 착용자가 보행시 신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진동장치;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 중앙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신발 착용자가 보행시 신발 움직임을 센싱하여 착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진동장치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진동장치는,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생성하는 자기진동생성부; 및
    상기 자기진동생성부를 수납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진동생성부는,
    중앙 영역이 개방된 사각형 구조의 가이드링;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개방된 중앙 영역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 및
    상기 중앙 영역에 위치한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의 끝단에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
    상기 제1 진동생성바와 인접한 상기 가이드링 내측 일면에 배치된 제1 회전부와 상기 제1 회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을 조절하는 제1 진동조절가이드;
    상기 제2 진동생성바와 인접한 상기 가이드링 내측 일면에 배치된 제2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을 조절하는 제2 진동조절가이드;
    상기 제1 진동조절가이드와 제2 진동조절가이드는 각각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의 두께보다 크고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날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진동생성바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 내측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진동생성바는 상기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 외측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진동생성바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착용자의 신발 움직임이 외회전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제1 진동생성바가 상기 제1 진동조절가이드의 한쌍의 날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을 줄이고, 상기 착용자의 신발 움직임이 내회전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제2 진동생성바가 상기 제2 진동조절가이드의 한쌍의 날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2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을 줄이도록 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은 모두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자력이 조절될 수 있는 전자석인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을 줄여야 할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사이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 사이에서 척력이 강해지도록 자력을 조절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가 상기 착용자의 신발이 외회전을 반복하는 팔자걸음인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3 상부자석과 상기 제1 및 제3 하부자석의 자력 세기를 상기 제2 상부자석과 제2 하부자석의 자력 세기보다 높게 하여 상기 제2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을 크게 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가 상기 착용자의 신발이 내회전을 반복하는 안장걸음인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및 제3 상부자석과 상기 제2 및 제3 하부자석의 자력 세기를 상기 제1 상부자석과 제1 하부자석의 자력 세기보다 높게 하여 상기 제1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을 크게 하는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1083A 2020-02-20 2020-02-20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 KR102143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83A KR102143314B1 (ko) 2020-02-20 2020-02-20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83A KR102143314B1 (ko) 2020-02-20 2020-02-20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314B1 true KR102143314B1 (ko) 2020-08-10

Family

ID=7204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083A KR102143314B1 (ko) 2020-02-20 2020-02-20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3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428A (ko) 1994-03-30 1995-10-16 강박광 사출성형에 의한 신발중창용 발포체 프리폼 및 이를 이용한 신발중창의 제조방법
JP2012514509A (ja) * 2009-01-09 2012-06-28 ジャン−フランソワ ジャズダニアン、 振動装置を有するインソール
KR20160065734A (ko) *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위즈넷코리아 바이오 컨트롤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843999B1 (ko) * 2013-06-14 2018-04-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밑창 플레이트 조립체 및 제조 방법
KR101903704B1 (ko) * 2018-08-23 2018-10-02 조재훈 진동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428A (ko) 1994-03-30 1995-10-16 강박광 사출성형에 의한 신발중창용 발포체 프리폼 및 이를 이용한 신발중창의 제조방법
JP2012514509A (ja) * 2009-01-09 2012-06-28 ジャン−フランソワ ジャズダニアン、 振動装置を有するインソール
KR101843999B1 (ko) * 2013-06-14 2018-04-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밑창 플레이트 조립체 및 제조 방법
KR20160065734A (ko) *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위즈넷코리아 바이오 컨트롤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903704B1 (ko) * 2018-08-23 2018-10-02 조재훈 진동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022B1 (ko)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CN1296020C (zh) 康复性鞋内底装置
CN113133569B (zh) 具有触觉反馈的鞋底和鞋
JP2004537387A (ja) 自然な足取りを容易にする履物
JP2013504367A (ja) 振動が発生する履物およびその振動装置
AU652966B2 (en) Mid-sole or sole of shoes
KR20110067903A (ko)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JPH0614805A (ja) 靴の中底または靴底
JP2009106387A (ja) 歩容改善支援システム
KR101250517B1 (ko) 신발 깔창
KR102143314B1 (ko) 기능성 신발 및 사출 성형에 의해 기능성 신발의 제조 방법
KR101642347B1 (ko)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US20210068495A1 (en) Footwear stimulating the foot by reflexology massage
KR101198699B1 (ko) 진동발생 및 완충수단이 내장된 구두
KR101903704B1 (ko) 진동발생장치
KR20200144054A (ko) 발가락 마사지 장치
US11751627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shoe having same
CN109198786A (zh) 动态控压气垫装置
KR20210001973U (ko) 다층기능안창
KR102203504B1 (ko) Y형 허리쇠를 갖는 공기완충형 밸런스 신발
KR20110089834A (ko) 개인 맞춤용 깔창
KR101300896B1 (ko) 성장판 자극 신발
KR200406339Y1 (ko) 깔창
KR20190088860A (ko) 진동발생장치
KR102557301B1 (ko)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