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240B1 -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240B1
KR102143240B1 KR1020130059777A KR20130059777A KR102143240B1 KR 102143240 B1 KR102143240 B1 KR 102143240B1 KR 1020130059777 A KR1020130059777 A KR 1020130059777A KR 20130059777 A KR20130059777 A KR 20130059777A KR 102143240 B1 KR102143240 B1 KR 10214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terminal
offline store
inter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290A (ko
Inventor
원은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2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소정의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정보를 제공받고, 단말로 위치 기반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단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관심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BASED ON INTERESTING GOODS IN THE SYSTEM}
본 발명은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관심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상품의 구매 가능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혹은 쇼핑몰의 등장으로 안방에서 필요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체계가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특정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 현재는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판매하고 있는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구매하려는 상품이 가격대가 높은 고가의 상품이거나 반드시 실물을 확인이 필요한 상품의 경우 사용자가 상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어 구매하는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
이와 같이 상품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쇼핑몰을 통해 일일이 오프라인 상점 위치를 확인하여야 한다.
하지만, 인터넷 쇼핑몰은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데 목적이 있어, 해당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소비자는 일일이 해당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점을 검색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이에 인터넷 쇼핑몰에서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131282호, 2009년 12월 28일 공개 (명칭: 오프라인 마트와 연계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관심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관심 상품의 구매 가능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받고, 단말로 위치 기반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상기 단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현재 단말 위치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오프라인 상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상점 정보는, 상점명, 전화번호, 상점 주소, 대표 판매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지도 이미지와 결합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지도 이미지의 표시되는 다른 POI(Point of interest)와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위치 기반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위치 기반의 경로 안내 서비스 수행 중 상기 통신부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상점 정보가 수신되면,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거나,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상점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지도 이미지의 표시되는 다른 POI와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는, 일정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위치를 기반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매 관심 상품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상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정보를 제공받고, 소정 단말로 위치 기반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상기 소정 단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상점 정보가 수신되면,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소정 단말로 위치 기반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상기 소정 단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 방법에서 상기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 방법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이미지에 상기 수신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수신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팝업 형태의 메시지 창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쇼핑몰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 상품을 검색하거나, 장바구니 담기 등을 통해 구매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 현재 위치에 기반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추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관심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관심 상품 기반의 상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관심 상품 기반의 관심 상품 기반의 상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지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심 상품 기반의 상점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110)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10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131, 1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100)은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10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이용을 위해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이러한 단말(100)은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오프라인 상점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표시되는 지도 이미지 상에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이때, 지도 이미지는 단말(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단말(100)은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소정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상점 아이콘을 지도 이미지 상의 다른 POI와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사용자가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이 근방에 있음을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100)은 지도 이미지 상에 오프라인 상점 아이콘을 선택 입력하는 경우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팝업 창으로 표시한다. 이때, 팝업 창에 표시되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는 상점명, 전화번호, 상점 주소, 대표 판매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해당 상점을 도착지로 선택할 수 있는 항목도 함께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해당 상점을 도착지로 선택하는 입력이 있으면, 단말(100)은 도착지를 오프라인 상점 위치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일정 정보에 포함된 위치 기반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때, 일정 수행 중 관심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점이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일정 정보를 입력하는 시점이 될 수도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관심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시점이 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확인하는 시점이 사용자가 일정 정보를 입력하는 시점일 경우에는 단말(100)은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해당 일정 수행 중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받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쥴에 맞춰 스케줄 수행 중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을 들릴 수 있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효율적인 구매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단말(100)의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 도 2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망(1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망(1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단말의 위치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130)로부터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받고, 관심 상품에 구매 가능한 오프라인 상점들을 매핑시켜 저장한다. 이때, 오프라인 상점들은 상품명을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에서 검색될 수도 있고, 이에 더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란 사용자가 소정 쇼핑몰에서 상품 검색을 통해 관심 상품으로 저장하거나, 구매를 위해 장바구니에 저장하는 것과 같이 소정 상품에 대한 구매 의사를 표시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소정 단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의 위치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단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때,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현재 단말 위치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오프라인 상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단말(100)로부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위치 기반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내부 구성은 하기의 도 3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130)는 상기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서비스 연계된 장치로,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13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제어부(200),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는 발명에서 기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200)는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단말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제어부(20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응용 프로그램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위치 기반의 경로 안내 서비스 수행 중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통신부(210)를 통해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가 수신되면, 표시부(230)를 통해 지도 이미지에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한다.
이때, 지도 이미지는 저장부(2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지도 이미지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는 지도 이미지의 표시되는 다른 POI와 구분되도록 진한 색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200)는 관심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점이 근방에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팝업 방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 형태로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위치를 추천할 수도 있지만, 메시지를 음성 출력하여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오프라인 상점에 들려 상품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200)는 입력부(220)를 통해 오프라인 상점 위치를 도착지로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도착지를 오프라인 상점 위치로 변경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저장부(2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통신부(210)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일정 정보에 포함된 위치 기반 일정 거리 범위 내에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요청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표시 시점은 일정 정보 알람 시점에 같이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단말로부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위치 기반으로 구매 관심 상품의 오프라인 상점 제공 요청이 있으면,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일정 정보에 포함된 위치 기반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일정 정보는 일정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메모 기능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어떤 경로를 통해 저장되든 일정을 포함하는 정보는 모두 적용될 것이다. 또한, 일정 정보는 위치 및 날짜, 시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정보일 것이다.
또한, 제어부(200)는 일정 정보 기반으로 관심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일정 정보를 입력하는 시점이 될 수도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관심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시점이 될 수도 있고, 일정 알람 시점이 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확인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통신부(210)는 통신망(110)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110)에 접속하며, 통신망(110)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부(220)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20)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시징 기능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은, 클릭과 같은 마우스 입력, 키 입력, 플릭, 스와이프, 플릭, 싱글 터치, 멀티 터치와 같은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230)는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2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220)와 함께 터치 패널(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장부(240)는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24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실행하도록 어플리케이션 된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242)과 일정 정보(246)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242)은 제어부(200)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 구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242) 및 기타 다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내부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제어부(300), 통신부(310), 저장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 통신부(310), 저장부(320)는 발명에서 기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30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제어부(30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응용 프로그램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서비스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130)를 통해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받는다.
제어부(300)는 소정 단말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소정 단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상점 정보는, 상점명, 전화번호, 상점 주소, 대표 판매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때, 제어부(300)는 현재 단말 위치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오프라인 상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만을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 지도 이미지와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결합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어부(300)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지도 이미지의 표시되는 다른 POI와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310)는 통신망(110)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31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110)에 접속하며, 통신망(110)을 통해 단말(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장부(32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동작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320)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322), 사용자 별 관심 상품 정보(324)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2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구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상점 정보, 사용자 별 관심 상품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말(10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서, 사용자 별 관심 상품 정보 기반으로 POI를 추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서 관심 상품 기반의 상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관심 상품 기반의 상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130)로부터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수신한다.(S400) 이때,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상점 정보는 상기의 도 1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구매 관심 상품에 구매 가능한 오프라인 상점들을 매핑시켜 저장한다.(S402)
이후,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소정 단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요청에 따라 현재 단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 단말의 현재 위치 기반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한다.(S404)
이후,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확인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한다.(S406) 이때,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 전송하는 지도 이미지에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단말(100)이 관심 상품 기반의 POI를 추천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에 따라 지도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504)
단말(100)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오프라인 상점 정보가 수신되면,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지도 이미지에 포함시켜 표시하여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506 ~ S508) 이때, 오프라인 상점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기반으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라인 상점들이 될 수도 있고,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상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단말(100)은 오프라인 상점 위치를 도착지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 후(S509), 오프라인 상점 위치가 도착지로 선택되면 도착지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 전송한다.(S510 ~ S512)
상기의 S506 내지 S512 단계는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이 종료되기 전까지 계속하여 수행될 것이다.(S516)
본 발명에 따른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관심 상품 기반의 POI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 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 상품 구매 가능한 오프라인 상점들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스케줄에 맞춰 인접한 상점이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가까운 상점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0: 단말 110: 통신망 12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130: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 200, 300: 제어부
210, 3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표시부
240, 320: 저장부 322: 오프라인 상점 정보
324: 사용자 별 관심 상품 정보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별 구매 관심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구매 관심 상품에 구매 가능한 오프라인 상점들을 매핑시켜 저장한 후, 단말로 위치 기반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상기 단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프라인 상점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059777A 2013-05-27 2013-05-27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KR10214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777A KR102143240B1 (ko) 2013-05-27 2013-05-27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777A KR102143240B1 (ko) 2013-05-27 2013-05-27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90A KR20140139290A (ko) 2014-12-05
KR102143240B1 true KR102143240B1 (ko) 2020-08-10

Family

ID=5245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777A KR102143240B1 (ko) 2013-05-27 2013-05-27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15A (ko) 2015-04-28 2016-11-07 최상훈 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258844B1 (ko) * 2015-12-30 2021-05-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189192A1 (ja) * 2022-04-01 2023-10-0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218B1 (ko) * 2008-04-04 2010-06-16 엔에이치엔(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상품 검색 시스템 및방법
KR20090131282A (ko) 2009-12-07 2009-12-28 공인택 오프라인 마트와 연계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8169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케이티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90A (ko)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683B2 (en) Computer application promotion
KR10201996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1151629B2 (en) Detecting items of interest within local shops
WO2014011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interactive advertising content with a lock screen
US20170161680A1 (en) Product of interest anticipatory shipping service providing device using unmanned parcel box,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200160396A1 (en) Streamlined Mobile Advertising for Digital Passes
KR102108412B1 (ko)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170148072A1 (en) Transactional, Digital Image-based Asynchronous Electronic Communication
KR102143240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관심 상품 기반의 오프라인 상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KR20140102783A (ko) 온라인 쇼핑몰 상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20230062894A1 (en) Passive user-generated coupon submission
KR102119401B1 (ko) 상품 평가 정보를 이용한 상품 구매를 위한 장치
US202201889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e-commerce slip cart
US201902136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impulse product shelves in online shopping platforms
KR102379618B1 (ko) 구매 결정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상품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52393B1 (ko)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10068268B2 (en)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and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using communication device
KR102603433B1 (ko) 응용 프로그램을 안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60871B2 (en) Proximity navigation
US20180150653A1 (en) Operating System Privacy Mode
KR20230163145A (ko) 아이템 정보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30054324A (ko) 페이지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1934A (ko) 페이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8113923A (zh) 交互方法、装置、可读介质及电子设备
KR20230028142A (ko) 페이지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