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14B1 -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014B1
KR102143014B1 KR1020190112798A KR20190112798A KR102143014B1 KR 102143014 B1 KR102143014 B1 KR 102143014B1 KR 1020190112798 A KR1020190112798 A KR 1020190112798A KR 20190112798 A KR20190112798 A KR 20190112798A KR 102143014 B1 KR102143014 B1 KR 102143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eographic
call connection
cal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11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망; 유무선 통신망과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경로별 좌표정보 및 각 경로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가 포함된 지리안내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하고,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 출력되고 있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추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안내 요청정보에 응답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해당 경로에 대응하는 지점간 좌표정보 및 각 경로별 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국지적 좌표정보를 갖는 지도정보와 각 좌표별 지리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 지리안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지리 매칭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한 지리매칭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지피에스(GPS)로부터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서비스 서버로부터 지리안내 어플리케이션, 지리매칭 프로그램 및 지도정보를 제공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별 좌표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지도표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NAVIGATION NETWORK SYSTEM USING CELL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운전 중 휴대폰으로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때 통화하는 경우에도 네비게이션 기능이 정지되지 않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은 인공위성에서 발사된 전파를 수신하여 자기 자신의 위치를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러한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기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주로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대표적인데,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의 무선 송수신기가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하고 무선 기지국에서는 GPS 시스템을 통해 차량위치정보를 찾아 주행경로를 차량으로 보낸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CD-ROM과 같은 저장수단을 통해 지도정보를 제공받고, GPS 수신기 및 비콘(beacon) 등을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수신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DR(Dead Reckoning) 센서 예컨대,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방위 센서, 주행거리 센서 등으로부터 산출되는 궤적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소정의 매칭 알고리즘에 의해 지도정보 상으로 현재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3556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전화를 걸 때)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전화를 받을 때), 출력되고 있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춤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 통화하는 경우에도 네비게이션 기능이 정지되지 않고도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전 중 통화하는 경우에 지리음성정보의 크기가 낮춰진 상태이므로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 또는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임으로써, 원활한 운전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망; 유무선 통신망과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경로별 좌표정보 및 각 경로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가 포함된 지리안내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하고,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 출력되고 있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추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안내 요청정보에 응답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해당 경로에 대응하는 지점간 좌표정보 및 각 경로별 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국지적 좌표정보를 갖는 지도정보와 각 좌표별 지리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 지리안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지리 매칭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한 지리매칭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지피에스(GPS)로부터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서비스 서버로부터 지리안내 어플리케이션, 지리매칭 프로그램 및 지도정보를 제공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별 좌표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지도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정레벨은 복수이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복수의 설정레벨 중 하나의 설정레벨이 선택된다.
또한,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벨소리를 스피커 또는 음성 입출력 포트로 출력한다.
또한,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송신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송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이고,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수신이 완료되었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인다.
또한,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하고,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보다 큰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이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인다.
또한, 제1 설정시간 또는 제2 설정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전화를 걸 때)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전화를 받을 때), 출력되고 있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춤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 통화하는 경우에도 네비게이션 기능이 정지되지 않고도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전 중 통화하는 경우에 지리음성정보의 크기가 낮춰진 상태이므로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 또는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임으로써, 원활한 운전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표시장치의 주요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또는 수신시점)으로부터 통화하는 동안의 시간개념을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음성정보 크기의 설정레벨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호접속 송신과 관련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호접속 수신과 관련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유무선 통신망(100), 이동통신 단말기 (200),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300),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400) 및 지도표시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의미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망(100)과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여 사용자(또는 운전자) 요청에 따른 특정 경로별 좌표정보 및 각 경로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가 포함되는 지리안내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전화를 걸 때)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전화를 받을 때), 출력되고 있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춘다.
여기서, 설정레벨은 제1 레벨, 제2 레벨, 제3 레벨, 제4 레벨, 제5 레벨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레벨의 개수는 복수이며 제한이 없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복수의 설정레벨 중 하나의 설정레벨이 선택되는데, 사용자 입력은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의 설정에서 메뉴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전화를 걸 때)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전화를 받을 때), 출력되고 있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춤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 통화하는 경우에도 네비게이션 기능이 정지되지 않고도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화 벨소리를 스피커(speaker) 또는 음성 입출력 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송신이 완료되었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송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인다. 마찬가지로,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수신이 완료되었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인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이 완료되었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송신 전 또는 송신 후의 상태로 높이는 이유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되었으므로 지리음성정보를 낮출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하고,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하는 이유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가 낮춰진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운전하게 됨으로써 운전에 방해되므로 통화를 완료하라고 알려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통화완료 요구음성은 "운전자님 통화가 오래 지속되고 있습니다. 네비게이션 수행을 위해 통화를 완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일 수 있다. 또한, 제1 설정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되는데 3분, 5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전 중 통화하는 경우에 지리음성정보의 크기가 낮춰진 상태이므로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보다 큰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이고,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인다. 이와 같이,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 또는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이는 이유는,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한 후에도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계속 통화하고 있으므로 원활한 운전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제2 설정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되는데 5분, 7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비스 서버(4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안내 요청정보에 응답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해당 경로에 대응하는 지점간 좌표정보 및 각 경로별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되어 국지적 좌표정보를 갖는 지도정보와 각 좌표별 지리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와, 지리안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지리 매칭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한 지리매칭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지도표시장치(500)는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로부터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지리안내 어플리케이션과, 지리매칭 프로그램 및 지도정보를 제공받아,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다운로드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별 좌표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지리매칭 알고리즘은 GPS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위치를 지도정보의 지도상으로 도시하기 위한 위치보정용 프로그램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성 알고리즘을 이용함에 따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원리 또는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지리안내 어플리케이션은 지도표시장치(5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간의 운용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한편, 지도표시장치(500)는 지도정보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지도표시장치(500)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패널 또는 차량으로 기 장착되는 텔레비젼)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표시창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표시창을 이용하여 지도정보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지도표시장치(5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표시창에 대응하는 픽셀 구조에 따라 지도정보의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다운로드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로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내부 메모리 예컨대, 동글(dongle) 메모리(모네타 칩 전용수신기에 사용되는 메모리)로 저장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른 어느 하나의 경로정보를 지도표시장치(5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지도표시장치(500) 간의 통신수단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양에 따라 Uart(고속직렬 비동기 통신), Bluetooth(근거리 통신), USB(범용직렬버스), WirelessLAN(무선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 간의 무선 인터넷 플랫폼은 단말 플랫폼 WITOP/WIPI, BREW, GUM, SKUM, J2M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 기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셀룰러 폰, 피디에이(PD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도표시장치(500)로 탑재되는 지도정보는 개인용 컴퓨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공되며, 개인용 컴퓨터는 유무선 통신망(100)에 접속되어 데이터베이스(400)와 연동되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주요 기능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좌표정보 산출모듈(301), 좌표간 경로추출모듈(302), 경로별 좌표산출모듈(303) 및 지리음성정보 추출모듈(304) 및 데이터 입출력 모듈(305)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정보 산출모듈(301)은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입력되는 목적지 정보와 지도표시장치(500)의 GPS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와 목적지간 좌표정보를 산출한다.
좌표간 경로추출모듈(302)은 현재 위치 및 목적지 간의 좌표정보와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제공되는 지도정보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한다.
경로별 좌표산출모듈(30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에 대한 각각의 좌표를 산출한다.
지리음성정보 추출모듈(304)은 각 경로별 좌표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추출한다.
데이터 입출력 모듈(305)은 인터넷 플랫폼(WITOP, WIPI, BREW, GUM, SKUM, J2ME)에 기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표시장치의 주요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도표시장치(500)는 통신모듈(507), 맵 메모리(map memory, 504), 음성정보 메모리(505), 프로그램 메모리(506), 지피에스(502), 제어부(501), 영상어드레스 설정부(503), 영상출력부(508) 및 음성출력부(50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507)은 이동통신 단말기(200) 또는 개인용 컴퓨터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맵 메모리(504)는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지도정보를 저장한다. 맵 메모리(504)는 전국 지도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256MB의 용량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외부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음성정보 메모리(505)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좌표별 지리음성정보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메모리(506)는 시스템 구동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지리안내 어플리케이션 및 지리매칭 프로그램을 탑재한다.
지피에스(502)는 이동 중인 현재 위치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501)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로 좌표정보를 입력받아 특정 셀단위의 그래픽 위치정보로 변환하고, 그래픽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지도 그래픽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어부(501)는 지피에스(502)로부터 현재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지도 그래픽정보 상으로 현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정보를 생성하고, 위치표시정보에 대응하는 좌표정보에 기반하여 음성정보 메모리(505)로부터 지리음성 정보를 추출한다.
영상어드레스 설정부(503)는 그래픽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그래픽 정보를 맵 메모리(504)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해당 지도영상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영상출력부(508)는 지도 그래픽 정보를 입력받아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510) 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음성출력부(509)는 지리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스피커(511)로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표시장치(500)는 휴대가능한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충전지(512)를 보유하고, 충전지(512)로 외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접속포트를 보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510)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표시창으로 대치가능하며,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표시창으로 해당 지도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또는 수신시점)으로부터 통화하는 동안의 시간개념을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3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한다. 통화완료 요구음성은 "운전자님 통화가 오래 지속되고 있습니다. 네비게이션 수행을 위해 통화를 완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통화를 완료하라고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3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5분 경과 후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인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활한 운전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통화하는 동안의 시간개념을 나타내었으나,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통화하는 동안의 시간개념도 동일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음성정보 크기의 설정레벨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나타내는 설정레벨은 제1 레벨(a), 제2 레벨(b), 제3 레벨(c), 제4 레벨(d), 제5 레벨(e)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는 제1 레벨(a)에서 제5 레벨(e) 방향으로 커지도록 설정되거나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는 제1 레벨(a)부터 제5 레벨(e)까지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화면의 설정에서 메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제1 레벨(a)부터 제5 레벨(e)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청력이 양호한 사용자라면 필요에 따라 지리음성정보의 크기가 작은 레벨을 선택할 수 있고, 청력이 양호하지 않은 사용자라면 필요에 따라 지리음성정보의 크기가 큰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설정레벨이 제1 레벨(a)에서 제5 레벨(e) 방향으로 커지도록 설정되었다고 하자. 이때, 제4 레벨(d)로 설정된 상태에서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할 때 출력되고 있는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제2 레벨(b)로 낮출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에도 동일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전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한 시점 이후의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과정을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해서는 도 1과 관련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지리안내정보를 출력하는 중(S110)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한다(S120).
S12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춘다(S130).
S13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인지를 판단한다(S140).
S1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인 경우,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한다(S150). 그러나, S1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이 아닌 경우, S110으로 피드백한다(feedback).
S15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보다 큰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인지를 판단한다(S160).
S16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인 경우,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인다(S170). 그러나, S16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이 아닌 경우, S110으로 피드백한다(feedback).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전 중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의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과정을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해서는 도 1과 관련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지리안내정보를 출력하는 중(S210)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한다(S220).
S22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춘다(S230).
S23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인지를 판단한다(S240).
S2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인 경우,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한다(S250). 그러나, S2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이 아닌 경우, S110으로 피드백한다(feedback).
S25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보다 큰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인지를 판단한다(S260).
S26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인 경우,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인다(S270). 그러나, S26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이 아닌 경우, S210으로 피드백한다(feedback).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유무선 통신망 200 : 이동통신 단말기
300 : 서비스 서버 301 : 좌표정보 산출모듈
302 : 좌표간 경로추출모듈 303 : 경로별 좌표산출모듈
304 : 지리음성정보 추출모듈 305 : 데이터 입출력 모듈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지도표시장치
501 : 제어부 502 : GPS
503 : 좌표경로 디코딩부 504 : MAP 메모리
505 : 음성정보 메모리 506 : 프로그램 메모리
507 : 통신모듈 508 : 영상출력부
509 : 음성출력부 510 : 디스플레이 패널
511 : 스피커 512 : 충전지/충전회로

Claims (5)

  1.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망;
    상기 유무선 통신망과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경로별 좌표정보 및 각 경로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가 포함된 지리안내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하고, 상기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대측 단말기로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 출력되고 있는 상기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설정레벨로 낮추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안내 요청정보에 응답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해당 경로에 대응하는 지점간 좌표정보 및 각 경로별 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국지적 좌표정보를 갖는 지도정보와 각 좌표별 지리정보에 대응하는 지리음성정보, 지리안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지리 매칭 알고리즘을 제공하기 위한 지리매칭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지피에스(GPS)로부터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지리안내 어플리케이션, 지리매칭 프로그램 및 지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된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별 좌표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지도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시간 경과 후 통화 중일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완료 요구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설정시간보다 큰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상기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상기 통화 호접속 송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설정시간보다 큰 제2 설정시간 경과 후 상기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상기 통화 호접속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안내정보의 출력 중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 상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벨소리를 스피커 또는 음성 입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 상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송신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상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송신 이전의 상태로 높이고,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수신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지리음성정보의 크기를 상기 통화 호접속 요구신호의 수신시점 이전의 상태로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2798A 2019-09-11 2019-09-11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43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798A KR102143014B1 (ko) 2019-09-11 2019-09-11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798A KR102143014B1 (ko) 2019-09-11 2019-09-11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014B1 true KR102143014B1 (ko) 2020-08-11

Family

ID=7205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798A KR102143014B1 (ko) 2019-09-11 2019-09-11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474A (ja) * 2004-11-30 2006-06-15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KR100683556B1 (ko) 2004-10-05 2007-02-15 학교법인연세대학교 휴대폰 기반의 실시간 온디멘드 네비게이션 방법,네비게이션 시스템, 휴대폰, 및 네비게이션 서버
KR101655825B1 (ko) * 2016-01-20 2016-09-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556B1 (ko) 2004-10-05 2007-02-15 학교법인연세대학교 휴대폰 기반의 실시간 온디멘드 네비게이션 방법,네비게이션 시스템, 휴대폰, 및 네비게이션 서버
JP2006157474A (ja) * 2004-11-30 2006-06-15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KR101655825B1 (ko) * 2016-01-20 2016-09-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33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stination in navigation terminal
US20100039314A1 (en) Communicating navigation data from a gps system to a telecommunications device
JP200807641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4740462B2 (ja) 地図表示制御装置、地図情報更新装置、地図情報更新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0088575B2 (en)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apparatus, storage apparatus, and positioning method
CN105303591B (zh) 在拼图上叠加地点信息的方法、终端及服务器
JP2017143409A (ja) 移動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58117A (ko) 화상통화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KR20080078300A (ko) 카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234068B (zh) 一种定位方法及终端设备
CN109936817B (zh) 一种定位方法及终端设备
US20130045676A1 (en) Electronic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211796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20080010010A1 (en) Navigation system
CN103968823A (zh) 移动导航设备、车载设备及其信息同步方法
JP2010519565A (ja) 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8096289A (ja) 多言語対応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2143014B1 (ko)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CN108848566B (zh) 无线通信传输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US201001789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using short message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WO2018184263A1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JP2007282019A (ja) サーバ、地図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50103070A (ko) 휴대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네트워크 시스템, 네비게이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리정보 제공방법
KR1012739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정보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0577265B1 (ko) 3d 그래픽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l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