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810B1 -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 - Google Patents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810B1
KR102142810B1 KR1020190084258A KR20190084258A KR102142810B1 KR 102142810 B1 KR102142810 B1 KR 102142810B1 KR 1020190084258 A KR1020190084258 A KR 1020190084258A KR 20190084258 A KR20190084258 A KR 20190084258A KR 102142810 B1 KR102142810 B1 KR 102142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member
fuel
burner device
fuel supply
inner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용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8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0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27B3/205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는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재 및 상기 공기공급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연료기체를 분사하되, 상기 연료기체가 분사되는 연료배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된 내측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의 가상연장선이 상기 연료배출구의 내측 영역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연료공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Burner apparatus and heating furnace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 공정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소재를 가열로에서 대략 1100 ~ 1300℃로 가열하고, 이와 같이 가열된 소재를 조압연과 사상압연 등으로 수행하는 공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열간 압연 공정에서의 소재를 압연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로는, 장입대, 예열대, 가열대, 균열대 등으로 연소존이 구분되어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역에서는 일정량의 연료기체가 공급되어 버너장치를 통하여 연소되면서 가열로 내부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가열로 공정의 주요 품질관리 인자는 소재를 두께, 폭,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열하여 각 방향 온도 편차에 의한 형상 결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연소로에 구비되는 버너 장치(1')는 연료공급 부재의 막힘에 의한 연소 불균형, 소재의 가열 온도 편차가 지속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 장치(1')의 연료공급 부재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연료 막힘 현상에 의하여 연료기체와의 접촉이나 냉각가스의 공급 부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연료공급 부재 선단부가 조기 열화되고, 이에 의해 소손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KR 10-1997-0002235 A
본 발명은 연료공급부재의 막힘에 의한 연소 불균형, 소재의 가열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는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재 및 상기 공기공급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연료기체를 분사하되, 상기 연료기체가 분사되는 연료배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된 내측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의 가상연장선이 상기 연료배출구의 내측 영역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연료공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는 상기 내측유도부는, 상기 경사면의 형성각도(A)를 아래의 수식에 만족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rctan(h/d) ≥ A > 0
여기서, A는 상기 경사면의 형성각도(라디안), h는 상기 연료배출구의 폭(m), d는 상기 연료배출구에 인접한 상기 내측유도부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연료배출구까지의 거리(m)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의 상기 내측유도부는, 상기 경사면의 가상연장선이 상기 연료배출구의 중앙부를 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의 상기 연료공급부재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료기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료배출구에 인접한 상기 내측유도부의 외측단부의 반대단인 상기 내측유도부의 내측단부까지 상기 중공의 폭을 일정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의 상기 연료공급부재는, 상기 연료배출구에서 상기 내측유도부까지 형성된 소재가 상기 내측유도부보다 내측에 형성된 소재보다 내열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는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외측을 감싸게 구비되는 가이드관부 및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가이드관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를 신축 이동시키는 실린더바디는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구동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는 상기 버너장치, 가열대상체가 내부에서 관통되어 이동되며, 상기 버너장치가 내부의 상벽부와 하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노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는 연료공급부재의 막힘에 의한 연소 불균형, 소재의 가열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료공급부재 내에서 와류 유동을 억제하여 타르(Tar), 수분 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연료공급부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너장치의 수명을 향상시켜 설치 유지비 및 정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더하여 버너장치의 연소 불균형에 의한 슬라브(Slab) 등의 가열대상체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버너장치에서 연료공급부재의 막힘현상을 나타낸 사진, 이러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버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에서 연료공급부재에서의 연료기체 유동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에서 연료공급부재의 내측유도부의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버너장치에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버너장치를 포함하는 가열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버너장치(1)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에 관한 것으로, 연료공급 부재의 막힘에 의한 연소 불균형, 소재의 가열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공급 부재 내에서 와류 유동을 억제하여 타르(Tar), 수분 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연료공급 부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의 (a)에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버너 장치(1')에서의 막힘 문제를 도 1의 (b), 도 1의 (c)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원인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한 것이다.
즉, 도 1의 (a)에 도시된 종래의 버너 장치(1')의 막힘 현상이 발생한 원인은 도 1의 (b)에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료공급 부재에 형성된 수직단턱(S')에 의한 도 1의 (c)에 도시된 와류의 발생에 의한 것임을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와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버너장치(1)를 제시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버너장치(1)의 수명을 향상시켜 설치 유지비 및 정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더하여 버너장치(1)의 연소 불균형에 의한 슬라브(Slab) 등의 가열대상체(3)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1)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버너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1)에서 연료공급부재(30)에서의 연료기체 유동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는 코어부재(10), 상기 코어부재(10)의 외측에 구비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재(20) 및 상기 공기공급부재(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연료기체를 분사하되, 상기 연료기체가 분사되는 연료배출구(31)에 인접하여 구비된 내측유도부(3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유도부(32)에 형성된 경사면의 가상연장선(E)이 상기 연료배출구(31)의 내측 영역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연료공급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부재(30)는 상기 내측유도부(32)가 경사면을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연료공급부재(30) 내부에서 유동하는 연료기체의 와류 형성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내측유도부(32)에 형성된 경사면의 가상연장선(E)이 상기 연료기체가 배출되는 연료배출구(31)의 내측 영역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내측유도부(32)에 의해서 유도된 연료기체가 연료공급부재(30) 내부면과 충돌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어부재(10)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그 외경에는 상기 공기공급부재(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장치(1)가 후술할 가열로에 설치된 경우에, 상기 코어부재(10)를 통하여 버너장치(1)에서의 화염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재(20)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연료공급부재(30)에서 공급되는 연료기체와 연소에 의해서 화염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공기공급부재(20)는 상기 코어부재(10)에 구비되며, 상기 연료공급부재(30)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공기공급부재(20)는 상기 코어부재(10)의 외경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공급부재(20)의 외측에는 상기 코어부재(10)의 외경방향으로 상기 연료공급부재(30)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료공급부재(30)는 연료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공기공급부재(20)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연소에 의해서 화염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료기체는 코크스로 가스(COG), 용광로 가스(BFG), 전로 가스(LDG), 액화천연가스(LNG) 등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가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공급부재(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유도부(32)가 경사면을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연료공급부재(30) 내부에서 유동하는 연료기체의 와류 형성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연료공급 부재에는 수직단턱(S')가 형성되어 있었고, 이러한 수직단턱(S')에 의해서 종래의 연료공급 부재 내부에서 직선 유동하던 연료기체가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른 정체로 인하여 종래의 연료공급 부재는 막힘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본 발명의 연료공급부재(30)는 그 내부에서 직선 유동하는 연료기체가 상기 내측유도부(32)의 경사면에 의해서 직선 유동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와류 형성을 저감하고 그에 따른 막힘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내측유도부(32)에 형성된 경사면의 가상연장선(E)이 상기 연료기체가 배출되는 연료배출구(31)의 내측 영역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내측유도부(32)에 의해서 유도된 연료기체가 연료공급부재(30) 내부면과 충돌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내측유도부(32)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서 상기 연료기체가 직선 유동을 유지하더라도, 이와 같이 유도된 연료기체가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내부면과 충돌되면 그에 따른 연료기체의 와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도 방지하고자 상기 내측유도부(32)의 경사 각도를 한정한 것이다.
이러한 내측유도부(32)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의 더 구체적인 한정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의 상기 연료공급부재(30)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료기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료배출구(31)에 인접한 상기 내측유도부(32)의 외측단부(32a)의 반대단인 상기 내측유도부(32)의 내측단부(32b)까지 상기 중공의 폭을 일정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형상은 종래의 연료공급 부재에 수직단턱(S')이 형성되었던 것을 제거한 형태로서, 이에 의해서 상기 수직단턱(S')에 의해서 연료기체의 수직 유동이 방해받아 와류가 형성되는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연료기체의 유동방향에서 상기 내측유도부(32)보다 상류에 위치한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형상은 수직단턱(S') 등의 별도의 형상이 구비되지 않은 파이프 형태의 내부 중공을 포함하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의 상기 연료공급부재(30)는, 상기 연료배출구(31)에서 상기 내측유도부(32)까지 형성된 소재가 상기 내측유도부(32)보다 내측에 형성된 소재보다 내열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배출구(31)로 분사된 연료기체는 상기 공기공급부재(20)에서 분사된 공기와 연소되어 화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연료배출구(31)에 인접한 연료공급부재(30)의 부분을 상기 연료기체의 유동 방향의 비교적 상류에 위치한 부분보다 내열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하여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례로 상기 연료배출구(31)에서 상기 내측유도부(32)까지의 부분에 대한 소재를 인코넬 600(INCONEL 600) 등의 소재로 재질을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버너장치(1)에서 연료공급부재(30)의 내측유도부(32)의 형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는 상기 내측유도부(32)는, 상기 경사면의 형성각도(A)를 아래의 수식에 만족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rctan(h/d) ≥ A > 0
여기서, A는 상기 경사면의 형성각도(라디안), h는 상기 연료배출구(31)의 폭(m), d는 상기 연료배출구(31)에 인접한 상기 내측유도부(32)의 외측단부(32a)에서 상기 연료배출구(31)까지의 거리(m)이다.
다시 말해, 상기 내측유도부(32)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서 상기 연료기체가 직선 유동을 유지하더라도, 이와 같이 유도된 연료기체가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내부면과 충돌되면 그에 따른 연료기체의 와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도 방지하고자 상기 내측유도부(32)의 경사 각도를 구체적으로 한정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내측유도부(32)에 의해서 유도된 연료기체가 상기 연료공급부재(30) 내부면과 충돌되지 않고, 상기 연료기체가 배출되는 연료배출구(31)의 내측 영역으로 유도되게 상기 내측유도부(32)의 형성 각도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의 형성각도(A)가 0보다 큰 것은 경사면의 형성각도(A)가 "0"인 것은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수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형성각도(A)의 최대각은 상기 연료배출구(31)의 폭(h)과 상기 내측유도부(32)의 형성 거리(d)와의 관계를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도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측유도부(32)의 외측단부(32a)와 상기 연료배출구(31)까지의 부분에는 유도지지부(33)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유도부(32)의 경사면에서 유도된 연료기체가 유동 경로의 갑작스런 확장에 의해서 와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유도지지부(33)는 상기 내측유도부(32)의 탑포인트와 같은 높이로 상기 연료배출구(31)까지 일정 높이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유도부(32)에 의해서 유도된 연료기체는 상기 연료배출구(31)의 중앙부를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연료배출구(31)의 외곽부에 인접한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내부면과의 충돌 가능성을 낮추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의 상기 내측유도부(32)는, 상기 경사면의 가상연장선(E)이 상기 연료배출구(31)의 중앙부를 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버너장치(1)에서 가이드부재(4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는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40)는 상기 내측유도부(32)에 의해서 유도된 연료기체와의 충돌에 의해서 연료기체를 상기 공기공급부재(20)에서 분사되는 공기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연료공급부재(30)에서 분사된 연료기체와 상기 공기공급부재(20)에서 분사된 공기와의 혼합을 유도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내측유도부(32)에 의해서 유동 경로가 변경된 연료기체는 상기 연료배출구(31)의 내측 영역으로 유도됨에 의해서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내부면과의 충돌은 회피하면서 분사되고, 이와 같은 연료기체는 분사된 후에 상기 가이드부재(40)에 충돌하면서 다시 유동 경로를 상기 공기공급부재(20)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상기 내측유도부(32)에 의해서 유도된 연료기체가 상기 공기공급부재(20) 방향으로 유동 경로가 조정된 연료기체의 양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40)가 상기 연료기체의 유동 방향으로 비교적 많이 이동되어 배치되면 비교적 더 많은 연료기체가 충돌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재(20)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버너장치(1)의 연소 효율을 조정하거나, 화염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1)의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외측을 감싸게 구비되는 가이드관부(41) 및 신축되는 로드(42a)는 상기 가이드관부(41)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42a)를 신축 이동시키는 실린더바디(42b)는 상기 연료공급부재(30)의 외면에 결합되는 구동실린더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관부(41)가 상기 연료기체와 충돌되는 구성이 되며, 상기 구동실린더부(42)가 상기 가이드관부(41)의 이동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수단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버너장치(1)를 포함하는 가열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는 상기 버너장치(1), 가열대상체(3)가 내부에서 관통되어 이동되며, 상기 버너장치(1)가 내부의 상벽부(2a)와 하벽부(2b)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노바디(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로는 상기 버너장치(1)를 구비함에 의해서, 종래의 버너 장치(1')와 같은 막힘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설치 유지비 및 정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더하여 버너장치(1)의 연소 불균형에 의한 슬라브(Slab) 등의 가열대상체(3)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너장치(1)는 상기 노바디(2)를 관통하여 이동되는 가열대상체(3)를 가열하기 위해서, 상기 노바디(2)의 상벽부(2a) 또는 하벽부(2b)의 내부에 설치되게 되고, 화염을 상기 가열대상체(3) 방향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버너장치 2: 노바디
3: 가열대상체 10: 코어부재
20: 공기공급부재 30: 연료공급부재
31: 연료배출구 32: 내측유도부
33: 유도지지부 40: 가이드부재
41: 가이드관부 42: 구동실린더부

Claims (8)

  1.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공급부재;
    상기 공기공급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연료기체를 분사하되, 상기 연료기체가 분사되는 연료배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된 내측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유도부에 형성된 경사면의 가상연장선이 상기 연료배출구의 내측 영역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연료공급부재; 및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외측을 감싸게 구비되는 가이드관부; 및
    신축되는 로드는 상기 가이드관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를 신축 이동시키는 실린더바디는 상기 연료공급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구동실린더부;
    를 포함하는 버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도부는, 상기 경사면의 형성각도(A)를 아래의 수식에 만족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arctan(h/d) ≥ A > 0
    A: 상기 경사면의 형성각도(라디안), h: 상기 연료배출구의 폭(m), d: 상기 연료배출구에 인접한 상기 내측유도부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연료배출구까지의 거리(m)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도부는, 상기 경사면의 가상연장선이 상기 연료배출구의 중앙부를 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재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료기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료배출구에 인접한 상기 내측유도부의 외측단부의 반대단인 상기 내측유도부의 내측단부까지 상기 중공의 폭을 일정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재는, 상기 연료배출구에서 상기 내측유도부까지 형성된 소재가 상기 내측유도부보다 내측에 형성된 소재보다 내열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버너장치;
    가열대상체가 내부에서 관통되어 이동되며, 상기 버너장치가 내부의 상벽부와 하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노바디;
    를 포함하는 가열로.
KR1020190084258A 2019-07-12 2019-07-12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 KR102142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58A KR102142810B1 (ko) 2019-07-12 2019-07-12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58A KR102142810B1 (ko) 2019-07-12 2019-07-12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810B1 true KR102142810B1 (ko) 2020-08-07

Family

ID=7204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258A KR102142810B1 (ko) 2019-07-12 2019-07-12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8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35A (ko) 1995-06-13 1997-01-24 조안 엠. 젤사 직화로 내에서 장입물을 가열 또는 용해시키는 방법
JP2002013704A (ja) * 2000-06-26 2002-01-18 Osaka Gas Co Ltd 炉加熱用バーナ
JP2003279001A (ja) * 2002-03-25 2003-10-02 Osaka Gas Co Ltd シングルエンド型ラジアントチューブ燃焼装置
KR20120072460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수명을 갖는 축열식 버너 노즐
JP2018204909A (ja) * 2017-06-08 2018-12-27 株式会社Ihi バー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35A (ko) 1995-06-13 1997-01-24 조안 엠. 젤사 직화로 내에서 장입물을 가열 또는 용해시키는 방법
JP2002013704A (ja) * 2000-06-26 2002-01-18 Osaka Gas Co Ltd 炉加熱用バーナ
JP2003279001A (ja) * 2002-03-25 2003-10-02 Osaka Gas Co Ltd シングルエンド型ラジアントチューブ燃焼装置
KR20120072460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수명을 갖는 축열식 버너 노즐
JP2018204909A (ja) * 2017-06-08 2018-12-27 株式会社Ihi バー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033B1 (ko) 산소-연료 버너 장치
JP2018136115A5 (ko)
JP2013509560A (ja) 固形燃料バーナー
KR102616621B1 (ko) 상부 연소 스토브
KR102142810B1 (ko) 버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
US20140170573A1 (en) BURNER UTILIZING OXYGEN LANCE FOR FLAME CONTROL AND NOx REDUCTION
KR20120031958A (ko) 관통 포트 산소-연료 버너
CN110242952A (zh) 一种采用复合材料喷口的低冷却风量燃烧器
CN104312633B (zh) 顶置式多喷嘴气化炉
US7810441B2 (en) Coal burner assembly
RU2678466C2 (ru) Горелк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введением воздуха или газа
US3596894A (en) Method of blowing furnances and system for the carrying out of the method
JP2016109349A (ja) 固体燃料バーナ及び固体燃料バーナを備えたボイラ
JP2006132826A (ja) 焼結機の点火用マルチバーナおよび点火システムと焼結原料の加熱方法
US20220074592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injecting a gaseous combustion agent
EP3049725B1 (en) Regenerative burner for non-symmetrical combustion
AU2007226496B2 (en) Equipment and method for heating gas in connection with sintering
KR101585507B1 (ko) 연속 주조 공정의 턴디쉬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 히터 조립체
CN1449364A (zh) 向玻璃熔池的燃烧用空气通道中减少氮氧化物地加入可燃气体
KR102185286B1 (ko) 탱크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
RU2217392C2 (ru) Агрегат для получения из минеральных тугоплавких расплавов супертонкого базальтового волокна
KR20140055178A (ko) 턴디쉬 예열 버너장치
KR100478085B1 (ko) 산소부화 가스버너
RU169606U1 (ru) Устройство горелочное
RU2070687C1 (ru) Горе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