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631B1 -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631B1
KR102142631B1 KR1020190128961A KR20190128961A KR102142631B1 KR 102142631 B1 KR102142631 B1 KR 102142631B1 KR 1020190128961 A KR1020190128961 A KR 1020190128961A KR 20190128961 A KR20190128961 A KR 20190128961A KR 102142631 B1 KR102142631 B1 KR 10214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discharge
chemical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석
이호일
홍춘강
강광원
고주기
홍석현
Original Assignee
(주) 시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온텍 filed Critical (주) 시온텍
Priority to KR102019012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배관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일정한 유량의 약품이 자동 공급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조(100); 상기 수조(1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200); 상기 배관(200)으로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수조(100)에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공급부(3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Chemical supply device directly connected to pipe}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배관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일정한 유량의 약품이 자동 공급됨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발명 001은, 간이상수도 약품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 유량감지부(254b), 약품투입 정량펌프, 체크밸브, 약품저장탱크, 약품투입기, 약품저장량 감지부(254b) 및 약품투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관정을 통해 취수된 원수가 원수저장탱크에 저장되기 전에 약품을 투입하여 원수에 약품이 확산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주며, 취수된 원수에 고른 농도의 약품이 희석되기 위한 간이상수도 약품투입장치를 제공하고, 관정에서 지하수를 취수하는 수중모터와 연동되는 전원부를 통하여 약품투입 정량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며, 원수이송관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량 감지부(254b)에 의한 정량펌프의 2차 작동제어를 할 수 있으며 약품투입기에 구비되어 약품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는 약품저장량 감지부(254b)에 의해 약품투입 정량펌프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간이상수도 약품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이 저장된 약품탱크; 및 상기 약품탱크 안에 저장되어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 중의 유효염소 농도 측정 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를 포함하는 약품투입장치; 상기 약품탱크에 주입시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 중의 유효염소 농도와 유효염소 농도 측정장치 내 물에 희석된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 중의 유효염소 농도의 차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유량과 설정잔류염소농도에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 중의 유효염소 농도 변화가 더 감안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수용액의 투입량이 산출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약품투입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3은, 상수원에서 배수지 물탱크로 물을 송수관로를 통해서 끌어올려 수용가에 물을 공급하는 소규모 수도 시설의 듀얼펌프 약품투입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원으로부터 물탱크로 물을 투입하는 물투입장치; 물투입장치를 통해 투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라; 물탱크의 외부에 설치되며, 물탱크 내에 투입되는 약품을 저장하는 약품용기; 약품용기에 저장된 약품을 물탱크 내부로 공급하는 제1튜브펌프; 임펠라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제1튜브펌프로 전달하여 제1튜브펌프를 동작시키는 회전력전달장치; 약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며, 측정된 무게가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회전력전달장치에 무게측정신호를 전달하는 무게측정장치; 및 무게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무게가 설정된 값 이하가 된 경우에 동작하며, 제1튜브펌프와 함께 약품용기에 저장된 약품을 물탱크 내부로 공급하는 제2튜브펌프;를 포함하며, 회전력전달장치는 무게측정장치로부터 무게측정신호가 수신되면, 제2튜브펌프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동작시키는 소규모 수도 시설의 듀얼펌프 약품투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에 약품을 투입하여 형성된 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투입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외측에 구비되는 약품 저장탱크 내의 약품을 상기 급수관으로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상기 약품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급수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약품 투입관이 구비되는 약품 투입펌프와; 상기 약품 투입펌프와 연동되며,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약품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약품 투입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 내부에 물이 흐를 때에만 약품이 약품 투입관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압력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약품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KR 10-0779917 B1 (등록일자 2007년11월21일) KR 10-1543299 B1 (등록일자 2015년08월04일) KR 10-1294027 B1 (등록일자 2013년08월12일) KR 10-1508672 B1 (등록일자 2015년03월30일)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배관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일정한 유량의 약품이 자동 공급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조(100); 상기 수조(100)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200); 상기 배관(200)의 배출량에 비례하여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공급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관(200)은 원수가 공급되는 투입구(210); 상기 투입구(210)에서 공급된 원수를 수조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220); 상기 투입구 및 제1배출관 사이에 위치하며, 원수를 수조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2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관(220)에 형성되며,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배출량조절수단(25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관(230)에 위치하며,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배출량조절수단(27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품공급부(300)는 약품을 일정량 배출시키는 약품공급펌프(310); 상기 약품공급펌프(310)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구동수단(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배관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일정한 유량의 약품이 자동 공급되는 효과를 가진다.
물레방아 형태의 상기 회전블레이드(321)를 구비함으로써, 물의 중량만으로도 상기 펌프구동수단(320)을 구동시키므로 별도의 에너지를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제2배출관(230)의 돌출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2배출관(230)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의 배관(200)과 약품공급부(30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의 수위조절부(4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
도 5는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의 상하구동게이트(252)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의 버터플라이게이트(253)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의 인디게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서 나사부 구조를 갖는 가변결합부(271)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서 돌출단자 구조를 갖는 가변결합부(271)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서 내부소켓(272)을 갖는 가변결합부(271)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의 약품공급펌프(3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2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의 변속기(323)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시한 인용번호는 제시된 번호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와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에 대하여 균등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조(100);
상기 수조(100)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200);
상기 배관(200)의 배출량에 비례하여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공급부(30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 상부에 위치하며, 수조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1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와 연통되며, 사용처(1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 하부에 위치하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는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내식성 소재는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조절부(4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8]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7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400)는 상기 배관(200)에서 분지되는 바이패스관(410); 상기 바이패스관(410) 및 배관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바이패스밸브(420); 상기 수조(100)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바이패스밸브(420) 작동을 제어하는 수위감지수단(4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9]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430)은 상기 수조(100)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1-9는 배관과 직결되는 약품투입장치에 대하여 제시한다.
일실시의 예로서, 본 발명은 상수도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은 지역에 지하수(계곡수) 등을 식수로 사용가능 하도록 살균소독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지하수나 계곡수 등을 수조(100)에 저장하여 살균 및 소독한 후 각 사용처로 공급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에 지하수나 계곡수 등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200) 및 상기 배관(200)을 통해 상기 수조(100)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의 투입량에 비례하여 약품을 정량공급하는 약품공급부(30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수조(100)는 용기형상이며,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되거나 밀폐된 조건을 형성한다. 상부가 개방될 경우,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수조(100) 하부에는 물을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20)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관은 하나 또는 복수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의 위치는 수조의 하부에 위치하며, 수조수의 수압에 의해 공급 가능하다. 이는 펌프와 같은 동력수단을 요구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수조(100) 하부에는 드레인관(130)을 설치한다. 상기 드레인관은 수조수의 완전방출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완전한 수조수 배출을 위해, 수조하부는 경사면을 형성되거나 또는 아크형상을 형성한다. 이는 수조수 완전 배출시 수조 바닥의 잔존수조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드레인관은 수조 최하단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금속은 물과 접촉하여 산화되며, 이는 오염의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조는 내식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400)는 상기 수조(100)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로써, 상기 배관(200)에 장착되며, 상기 수조(100)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상기 수조(10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수조(100)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배관(200)을 개방하여 상기 수조(10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수위조절부(400)는 상기 배관(200)에 장착되어 상기 배관(200)을 통해 상기 수조(100)로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바이패스관(410)과, 상기 배관(200)과 상기 바이패스관(410) 사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바이패스밸브(420) 및 상기 수조(100)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바이패스밸브(420) 작동을 제어하는 수위감지수단(4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패스밸브(420)는 상기 배관(100)과 상기 바이패스관(410) 사이에 장착되는 삼방 밸브로 상기 수조(100) 방향 입구와 상기 바이패스관(410) 방향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430)은 상기 수조(100)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볼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탑은 별도의 동력 없이 부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별도의 제어장치 및 동력원이 필요치 않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수위감지수단(430)은 초음파나 적외선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위를 측정할 수도 있고, 상기 수조(100)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변화에 따라 수위를 감지할 수 도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1-1에 있어서,
상기 배관(200)은 원수가 공급되는 투입구(210);
상기 투입구(210)에서 공급된 원수를 수조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220);
상기 투입구 및 제1배출관 사이에 위치하며, 원수를 수조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2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배관(200)의 세부적인 구조를 한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관(200)의 일측은 원수공급관에 결합되는 투입구(210)를 형성한다.
타측은 상기 투입구(210)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수조(100)로 전달하여 배출하는 제1배출관(220)을 형성한다.
중간측은 상기 제2배출관(230)을 형성하며, 이는 투입구(210)와 상기 제1배출관(220) 사이에 형성된다.
즉, 투입구와 제1배출관은 직선형태의 파이프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제1배출관은 중간측이 하부로 돌출된 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제2배출관의 일측은 상기 배관 내부로 일부 내부돌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돌출된 높이에 따라 제1배출관으로 유동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출관(220)과 상기 제2배출관(230)은 상기 수조(100) 내부에 위치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관(220)에 형성되며,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배출량조절수단(25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량조절수단(250)은, 상기 제1배출관(220)을 개폐하는 제1밸브;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좌우 이동하여 상기 제1배출관(220)을 개폐하는 좌우구동게이트(25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하 이동하여 상기 제1배출관(220)을 개폐하는 상하구동게이트(25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회전하여 상기 제1배출관(220)을 개폐하는 버터플라이게이트(25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량조절수단(250)은 제1배출관(22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표시하는 노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7]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노브에 형성되는 인디케이터(2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7)은 제1배출량조절수단(250)에 대한 것이며, 상기 제1배출량조절수단은 제1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유량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배출량조절수단(250)은 상기 제1배출관(220)을 개폐하는 제1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밸브는 작동 장식에 따라 좌우구동게이트(251), 상하구동게이트(252) 또는 버터플라이게이트(25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외에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는 어떠한 것도 채용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구동게이트(251)는 사각판 형상이며, 상기 제1배출관(220) 단면방향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구동게이트(252)는 상기 좌우구동게이트(251)와 마찬가지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배출관(2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배출관(220)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버터플라이게이트(2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출관(2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배출관(220)의 두께 방향으로 펼쳐지게 배치되면 상기 제1배출관(220)이 폐쇄되고, 상기 제1배출관(22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1배출관(220)은 개방된다.
상기 좌우구동게이트, 상하구동게이트 및 버터플라이게이트는 노브(손잡이)를 형성한다. 상기 노브는 사용자가 게이트의 개방량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며,상기 노브에는 인디케이터를 장착하여, 육안으로 개방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8]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관 단면에 개구되며, 상기 좌우구동게이트와 접촉되는 제1공급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9]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구는 원형, 직사각형, 타원형, 삼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실시예 3-8 내지 실시예 3-9)은 노브 작동에 따른 제1배출관의 유량변동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제1배출관 단면으로 제1공급구를 형성한다. 상기 제1공급구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공급구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제1좌우구동게이트를 점진적으로 이동하면, 제1공급구는 점진적으로 폐쇄될 것이며, 직사각형의 제1공급구는 제1좌우구동게이트의 이동량과 비례하여 유량이 선형적인 감소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의 형상으로부터 노브이동에 따른 유량변동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관(230)에 위치하며,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배출량조절수단(27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량조절수단은 상기 배관외주연에 형성된 플랜지;
중간이 상기 플랜지와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배관 내부에 진입되며, 타측이 배관외측에 돌출된 제2배출관(230);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관 및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며, 제2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가변결합부(271);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관 일측단부에 형성된 경사절단면;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량조절수단은 상기 제2배출관 일측이 상기 배관 측면과 연통되며, 타측이 배관외측으로 돌출된 제2배출관(230);
상기 제2배출관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이 배관내부로 돌출된 내부소켓(272);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내부소켓 및 제2배출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소켓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가변결합부(271);를 포함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내부소켓 일측단부에 형성된 경사절단면;을 포함한다.
[실시예 4-8]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3,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가변결합부는 나사결합 또는 돌기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2배출관에 형성되어 제2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원수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제2배출관 일측은 배관내부로 부분 돌출된다. (실시예 4-2) 즉, 배관 내부의 원수가 일정수위에 도달할 경우, 제2배출관으로 배출되기 위함이다. 제2배출관 일측은 배관내부에 위치하며, 제2배출관 타측은 배관 외부로 형성된다. 배출량 조절을 위해 배관내부로 진입된 제2배출관 높이는 가변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배관외부에 플랜지를 형성하며, 제2배관은 상기 플랜지에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 및 제2배출관은 가변적으로 결합위치를 가변시켜, 배관내부에 진입된 제2배출관의 일측의 돌출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실시예 4-5는 제2배출관 및 배관을 일체로 형성된다. 제2배출관 내부에는 제2배출관을 따라 가변 설치되는 내부소켓을 형성한다. 내부소켓의 고정위치에 따라 배관내부로 진입된 내부소켓의 돌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제2배출관 또는 내부소켓은 배관 또는 제2배출관으로부터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가변결합부를 형성한다. (실시예 4-3, 실시예 4-6) 상기 가변결합부는 제2배출관 및 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플랜지에 형성되며, 또는 상기 내부소켓 및 제2배출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제2배출관에 형성된다. 상기 가변결합부는 나사결합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숫나사가 형성된 제2배출관 또는 내부소켓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상하이동에 의해 배관내부로 진입된 제2배출관 또는 내부소켓의 일측 돌출량이 제어된다.
배관 내부로 돌출된 제2배출관의 일측 또는 내부소켓은 배관내부에 수용된 원수의 진입구가 된다. 배관내부의 원수는 유속을 가지며, 제1배출관으로 우선 진입되며, 잔류된 원수는 제2배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배관내부에서 유속을 가지는 원수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경사절단면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절단면은 제1배출관 방향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약품공급부(300)는 약품을 일정량 배출시키는 약품공급펌프(310);
상기 약품공급펌프(310)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구동수단(32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펌프구동수단(320)은 상기 제1배출관(22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블레이드(32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펌프구동수단(320)은 상기 회전블레이드(321)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3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펌프구동수단(320)은 상기 감속기(322)의 감속 비율을 조절하는 변속기(32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323)의 작동을 제어하는 변속레버(3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실시예 5-1 내지 실시예 5-5)은 상기 배관(200)으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을 소독 및 살균하기 위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부(3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품공급부(300)는 약품을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약품공급펌프(310)와, 상기 약품공급펌프(310)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구동수단(32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펌프구동수단(320)은 상기 제1배출관(220)과 연통되며, 제1배출관으로부터 투입된 원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레이드(321)와, 상기 회전블레이드(32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32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321)는 물레방아 형태로 형성되며, 중력에 의해 물이 떨어지는 힘을 이용하여, 회전블레이드를 회전시킨다. 회전블레이드는 물레방아 형태를 비롯하여 터빈블레이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회전 블레이드는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어 작동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은 평판형태의 블레이드에 돌출된 판재가 형성된다.
회전블레이드의 회전동력을 펌프에 공급하기 위해 감속해야 된다. 이는 감속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감속기는 복수의 기어 및 피니언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 및 피니언의 조합에 의해 1/2 내지 1/10의 감속비율범위에서 감속됨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약품투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해야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변속기를 장착한다. 상기 변속기는 감속기 내부에 위치하며,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기어조합을 변동시켜, 회전속도를 변속시킬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감속기 및 변속기는 내부에 구리스 등을 충전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동에 따는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약품공급펌프(310)는 유연관(312)이 원형 내부홈에 안착되는 고정지지대(311);
상기 원형내부홈에 안착되며, 상기 펌프구동수단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유연관을 부분 압착시키는 회전체(315);
상기 유연관(312) 일단과 연결되는 약품공급구(313);
상기 유연관(312)의 타단과 연결되는 약품토출구(3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5-7]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약품공급펌프(310)는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며 상기 약품공급구(313)와 연결되는 약품통(31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5-6, 실시예 5-7은 상기 펌프구동수단으로부터 얻어진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약품공급펌프를 구동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약품공급펌프는 통상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원형의 홈이 형성된 고정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대는 배관과 결합된다. 상기 원형의 홈 내부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유연관을 배치된다. 상기 유연관의 내부에는 약품이 수용되며, 외부변형에 의해 일방향으로 약품을 유동시키기 위함이다. 약품유동을 위해 회전체가 상기 원형내부홈에 삽입되며, 회전체의 외주연은 유연관과 접촉된다. 상기 회전체와 유연관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압착롤러를 형성하여, 유연관이 마찰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한다.
상기 회전체는 앞에서 제시한 펌프구동수단의 동력과 연동된다. 상기 유연관의 일측에는 약품공급구가 위치하며, 타측에는 약품토출구가 위치한다. 상기 약품공급구에는 약품통이 결합된다. 상기 약품통은 수조 외부에 위치하며, 투명 또는 반투명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약품량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5-8] 본 발명은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6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약품토출구(314)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제1배출관(220) 및/또는 상기 제2배출관(230)과 연통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8은 약품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약품의 공급위치를 한정한다. 약품토출구로부터 일정량의 약품을 수조에 직접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교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약품토출구를 제1배출관 또는 제2배출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연장관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관 일측은 약품토출구와 결합되며, 타측은 제1배출관 및/또는 제2배출관에 연통한다.
100 : 수조 110 : 커버
120 : 공급관 130 : 드레인관
200 : 배관 210 : 투입구
220 : 제1배출관 230 : 제2배출관
250 : 제1배출량조절수단 251 : 좌우구동게이트
252 : 상하구동게이트 253 : 버터플라이게이트
260 : 인디케이터 261 : 돌출부
262 : 감지부 270 : 제2배출량조절수단
271 : 가변결합부 272 : 내부소켓
271a : 나사부 271b : 돌출단자
300 : 약품공급부 310 : 약품공급펌프
311 : 고정지지대 312 : 유연관
313 : 약품공급구 314 : 약품토출구
315 : 회전체 315a : 롤러
316 : 약품통 320 : 펌프구동수단
321 : 회전블레이드 322 : 감속기
323 : 변속기 324 : 변속레버
330 : 교반기 400 : 수위조절부
410 : 바이패스관 420 : 바이패스밸브
430 : 수위감지수단

Claims (5)

  1.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조(100);
    상기 수조(100)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200);
    상기 배관(200)의 배출량에 비례하여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공급부(300);
    상기 배관(200)은 원수가 공급되는 투입구(210);
    상기 투입구(210)에서 공급된 원수를 수조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220);
    상기 투입구 및 제1배출관 사이에 위치하며, 원수를 수조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230);
    상기 수조(100)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조절부(400);
    상기 수위조절부(400)는 상기 배관(200)에서 분지되는 바이패스관(410);
    상기 바이패스관(410) 및 배관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바이패스밸브(420);
    상기 수조(100)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바이패스밸브(420) 작동을 제어하는 수위감지수단(430);
    상기 약품공급부(300)는 약품을 일정량 배출시키는 약품공급펌프(310);
    상기 약품공급펌프(310)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구동수단(320);
    상기 펌프구동수단(320)은, 제1배출관(22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블레이드(321);
    상기 회전블레이드(321)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322);
    상기 감속기(322)의 감속 비율을 조절하는 변속기(323);
    상기 약품공급펌프(310)는, 내부에 약품이 수용되며 상기 펌프구동수단(3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약품을 공급하는 유연관(312);
    일측은 상기 유연관(312)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배출관(220)과 연통되어 약품을 제1배출관(220)으로 토출하는 약품토출구(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관(220)에 형성되며,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배출량조절수단(250);을 포함하는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관(230)에 위치하며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배출량조절수단(270);을 포함하는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5. 삭제
KR1020190128961A 2019-10-17 2019-10-17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KR10214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961A KR102142631B1 (ko) 2019-10-17 2019-10-17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961A KR102142631B1 (ko) 2019-10-17 2019-10-17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631B1 true KR102142631B1 (ko) 2020-08-07

Family

ID=7204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961A KR102142631B1 (ko) 2019-10-17 2019-10-17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28B1 (ko) 2023-04-05 2024-01-11 주식회사 태화이엔아이 약품 공급 이중화 배관 서포트 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673A (ja) * 1997-02-10 1998-08-21 Mitsubishi Heavy Ind Ltd 分岐管の流量調節方法
KR100779917B1 (ko) 2007-06-12 2007-11-28 김동현 간이상수도 약품투입장치
KR100947300B1 (ko) * 2009-03-13 2010-03-11 (주)진보엔지니어링 무전원 정량공급형 약품투입장치
KR101152599B1 (ko) * 2011-11-02 2012-06-04 한삼코라(주)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KR101294027B1 (ko) 2011-12-05 2013-08-12 양동학 소규모 수도 시설의 듀얼펌프 약품투입 시스템
KR101508672B1 (ko) 2013-01-29 2015-04-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누리 급수관에 시공이 용이한 약품투입장치
KR101543299B1 (ko) 2015-02-05 2015-08-11 청정테크주식회사 약품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한 상수도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673A (ja) * 1997-02-10 1998-08-21 Mitsubishi Heavy Ind Ltd 分岐管の流量調節方法
KR100779917B1 (ko) 2007-06-12 2007-11-28 김동현 간이상수도 약품투입장치
KR100947300B1 (ko) * 2009-03-13 2010-03-11 (주)진보엔지니어링 무전원 정량공급형 약품투입장치
KR101152599B1 (ko) * 2011-11-02 2012-06-04 한삼코라(주)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KR101294027B1 (ko) 2011-12-05 2013-08-12 양동학 소규모 수도 시설의 듀얼펌프 약품투입 시스템
KR101508672B1 (ko) 2013-01-29 2015-04-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누리 급수관에 시공이 용이한 약품투입장치
KR101543299B1 (ko) 2015-02-05 2015-08-11 청정테크주식회사 약품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한 상수도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28B1 (ko) 2023-04-05 2024-01-11 주식회사 태화이엔아이 약품 공급 이중화 배관 서포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594A (en) Metered liquid dispensing system
US5234017A (en) Restrictor valve for a metered liquid dispensing system
US5244367A (en) Gear pump with a resilient means for biasing a side wear plate
KR102142631B1 (ko)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KR100989186B1 (ko) 무전원 약품 자동 공급장치
KR20150049741A (ko) 약품투입기용 부구장치
AU2013341306B2 (en) Fluid injection system
EP1593345B1 (de)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Überwachung des Flusses einer Flüssigkeit, insbesondere Urin
US5005601A (en) Automatic proportioning fertilizer injector
CN212370816U (zh) 用于污染场地的土壤修复系统
KR101161022B1 (ko) 무전원 약품 자동 공급장치
US5248070A (en) Volumetric measuring/dispensing device
CN113460940B (zh) 一种避免卸错油的防控装置和方法
KR101134129B1 (ko) 수압형성 분기유량계와 컨트롤러를 이용한 자동약품투입기
KR102131157B1 (ko) 염소 과다투입을 방지하는 자동 염소 투입장치
CN208327383U (zh) 一种高粘度化学药品自动提升定量加注系统
KR101209434B1 (ko) 직결 부착형 유량비례 약품투입기
IT201800010590A1 (it) Apparato per la raccolta e neutralizzazione/degradazione di liquidi organici e relativo metodo di funzionamento
RU26768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работы дозатора для введения жидкой добавки в главную жидкость и дозатор,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CN219816156U (zh) 一种带液位监测的自动加药装置
Boman et al. Chemigation equipment and techniques for citrus
CN209559555U (zh) 一种浮标式微型水质在线监测站
CN220126246U (zh) 一种标准溶液定量出液器
CN215540038U (zh) 自动加药计量装置
CN218665455U (zh) 一种用于污水治理的自动监测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