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599B1 -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 Google Patents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599B1
KR101152599B1 KR1020110113485A KR20110113485A KR101152599B1 KR 101152599 B1 KR101152599 B1 KR 101152599B1 KR 1020110113485 A KR1020110113485 A KR 1020110113485A KR 20110113485 A KR20110113485 A KR 20110113485A KR 101152599 B1 KR101152599 B1 KR 10115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tank
aberration
flow rate
flow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수
Original Assignee
한삼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삼코라(주) filed Critical 한삼코라(주)
Priority to KR102011011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입수관에 연결되어 입수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유량을 분배하도록 복수의 분배구가 형성되어 있는 1차 유량분배조와, 상기 1차 유량분배조의 복수의 분배구 중 일부의 분배구를 통해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재분배구가 형성되며, 상기 재분배구에는 재분배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형 도류판이 장착되어 있는 2차 유량분배조와, 상기 2차 유량분배조로부터 재분배된 유량을 담는 복수의 수조를 갖는 회전수차와, 상기 회전수차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약품투입관을 통해 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투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펌프가 회전수차의 회전에 의해 약품을 투입하게 되어,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을 소독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CHEMICALS INJECTOR FOR CONTROLING FLOW OF WATER}
본 발명은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수관에 연결되어 입수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유량을 분배하도록 복수의 분배구가 형성되어 있는 1차 유량분배조; 상기 1차 유량분배조의 복수의 분배구 중 일부의 분배구를 통해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재분배구가 형성되며, 상기 재분배구에는 재분배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형 도류판이 장착되어 있는 2차 유량분배조; 상기 2차 유량분배조로부터 재분배된 유량을 담는 복수의 수조를 갖는 회전수차; 상기 회전수차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약품투입관을 통해 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투입장치를 포함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종래기술로 회전수차를 이용하는 염소투입기는 대부분 회전력을 감속기에 연결하고 다시 튜브펌프를 통해 연결함으로서 몸체가 커지게 되고 따라서 물탱크 외부에 설치되고 송수관을 연결하거나 물탱크내부에 설치시는 하중 때문에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6374호의 소독약투입용 회전수차의 정위치 자동유지 장치는 회전수차의 회전력으로 튜브펌프로 약품을 투입하나 회전수차를 제어하는 것이 회전수차의 수조에 수위가 증가하여 물이 높아지면 회전수차를 지지하고 있는 탄성지지 스토퍼의 설정압력을 넘어서게 되고 따라서 정위치 돌기가 탄성지지 스토퍼에서 벗어나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방법은 정위치 돌기가 탄성지지 스토퍼에 부딪치는 충격으로 덜커덩하는 소음까지 발생하고 이러한 방법은 탄성지지 스토퍼와 탄성압력 조절구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이 오래 사용할수록 탄력을 잃어 작동이 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44215호에 자석을 이용한 물레방아 약품투입장치를 출원한바 있었다.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수차를 제어방법이 기존발명에서와 같은 스프링이 없고 고장요인이 없고 충격이 발생하지 않아 매우 획기적인 점이 있으나 유입량을 회전수차에 모두 담아내야하는 구조로 용량이 커지고 회전속도가 빨라지는 것 때문에 따라서 회전수차의 내구성 기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용도가 간이상수도 물탱크 설치되기 위해서는 소형화되어야 하며, 회전수차에 물이 유입 시 수조에 물이 가득차서 회전할 때 타성에 의해 계속 돌지 않고 정확하게 제어되기 위한 자석을 통하여 회전력을 제어하되 이를 보조하는 회전복원장치가 결합되는 회전수차의 제어방법으로 정확한 유량을 담아내는 회전수차의 회전력으로 농도의 정확성을 기하는 개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전수차의 회전력을 이용하되 첫째, 유량에 대비하여 회전수차가 회전함에 있어 감속기가 없이 회전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유량의 일부를 이용하여 회전수차를 돌리게 함으로서 전체유량을 산정하는 유량배분의 방법, 둘째 회전타성으로 계속 돌아가는 회전수차를 수조의 물이 가득 찰 때까지 정지하고 물이 비워질 시 다음 수조가 정 위치에 서게 하는 방법으로 자석제어장치를 적용하는 방법, 셋째는 기존의 튜브펌프를 사용하는 방법이외에도 수차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이를 압축펌프로 약품을 투입하되, 상기 약품투입은 양방향의 체크볼을 이용한 약품이송관을 구성함으로써, 압축펌프의 피스톤의 왕복시에 실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의 방법은 기존의 감속기를 없앰으로 가격을 절감과 고장요인을 없애고 유량을 배분하여 일부만 이용함으로써, 회전수차의 소형화로 제품의 경량화를 기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으며, 따라서 약품투입기를 물탱크 내부 입수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입수관에 연결되어 입수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유량을 분배하도록 복수의 분배구가 형성되어 있는 1차 유량분배조; 상기 1차 유량분배조의 복수의 분배구 중 일부의 분배구를 통해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재분배구가 형성되어 있는 2차 유량분배조; 상기 2차 유량분배조로부터 재분배된 유량을 담는 복수의 수조를 갖는 회전수차; 상기 회전수차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약품투입관을 통해 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투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상기 1차 유량분배조는 상부 둘레면에 8~16개의 분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차 유량분배조는 상기 분배구 중 선택된 하나의 분배구를 통하여 분배되는 유량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하나의 분배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재분배구에는 재분배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형 도류판이 장착되어 있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상기 1차 유량분배조는 사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상기 회전수차의 각 수조의 측면에 부착되는 영구자석과 대응하여 수조가 정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자석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상기 1차 유량분배조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되, 내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월류판을 설치하고, 전면을 다른 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에는 복수의 칸막이를 세로로 배치함으로써 칸막이 사이에 월류판을 넘어온 유량이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칸막이 사이 중 하나에는 가로벽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벽이 형성된 칸막이 사이의 바닥면에는 하부로 관통되는 하부 분배구를 형성하며, 상기 2차 유량분배조는 서랍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1차 유량분배조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에는 상기 하부 분배구를 통하여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전방부로 보낼 수 있도록 복수의 재분배구가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를 전방부와 후방부로 분할하도록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의 전방부 일측에는 재분배된 유량을 외부로 보내도록 전면이 개방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전방부 타측에는 재분배된 유량을 회전수차의 수조에 보내도록 바닥면에 관통되는 맨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유량분배조에는 입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1차 유량분배조 내의 입수관의 전면에는 입수되는 물이 서서히 차오르도록 유도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있는 차단판과 통공이 없는 차단판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상기 2차 유량분배조와 회전수차 사이에는 2차 유량분배조에서 재분배된 유량을 받아 다시 재분배하여 회전수차에 보내는 3차 유량분배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상기 약품투입장치는 튜브펌프 또는 회전수차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구동되는 압축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되는 총유량을 일정하게 분배하고 그 중 일부를 이용하고 이를 다시 2차 또는 3차에서 유량을 분배함으로써, 전체유량에 대한 일정비율이 회전수차로 유입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감속기가 불필요하고 제품이 소형화되는 이점이 있으며, 기존의 회전수차제어방법인 탄성지지스토퍼는 기어를 통해 감속해야하는 대용량 회전수차에 비하여 물리적인 충격이나 기계적인 마찰이 없어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대용량 회전수차에 비하여 소형화된 작은 회전수차로 기존 염소투입기에 비하여 부피가 반 이상으로 줄어 물탱크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부피가 작아진 만큼 원자재 절감과 물탱크 밖에 설치될 경우 배관공사비용, 보온비용, 외함 제작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하는 압축펌프는 기존 회전력을 그대로 이용하는 튜브펌프는 실리콘호스를 치약튜브처럼 짜내어 약품을 투입하는 것으로 짜주는 마찰로 인하여 일정주기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본 발명에 제시되는 압축펌프 또는 유리주사기는 실린더의 피스톤운동과 T분기관 및 체크밸브에 의한 일방향성 약품투입하는 방법으로 기존 실리콘을 교체하기 위한 인력, 자재 및 시간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를 갖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공을 갖는 차단판과 없는 통공이 없는 차단판이 설치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펌프 투입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제어장치.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의 현장설치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의 블록도.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수를 저장하는 간이상수도에 물탱크(100) 내부의 입수관(110)을 이용하여 약품투입기(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유량배분된 물이 별도의 수조 없이 바로 물탱크(100)에 담수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는 입수관에 연결되어 입수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유량을 분배하도록 복수의 분배구(13)가 형성되어 있는 1차 유량분배조(10); 상기 1차 유량분배조의 복수의 분배구 중 일부의 분배구를 통해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재분배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재분배구에는 재분배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형 도류판(12)이 장착되어 있는 2차 유량분배조(11); 상기 2차 유량분배조로부터 재분배된 유량을 담는 복수의 수조(21)를 갖는 회전수차(20); 상기 회전수차의 각 수조의 측면에 부착되는 영구자석(30)과 대응하여 수조가 정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자석제어장치(31); 상기 회전수차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약품투입관(45)을 통해 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투입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투입기를 유량배분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유량분배조를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1차 유량분배조의 상부 둘레면에 8~16개의 분배구(13)가 형성되어 유량을 분배하거나, 도 2와 같이 상기 1차 유량분배조는 사각함체 형상(10")으로 구성되되, 내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월류판(52)을 설치하고, 전면을 다른 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에는 복수의 칸막이(50)를 세로로 배치함으로써 칸막이 사이에 월류판을 넘어온 유량이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구(1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있다.
또한, 1차 유량분배조로부터 분배된 유량을 다시 8~12개의 재분배구(14)로 재분배하여 수조로 보내되, 수조로 보내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재분배구에는 삽입형 도류판(12)이 장착되며, 재분배구에는 삽입형 도류판을 장착할 수 있도로 연결부(55)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1차 유량분배조(10)를 입수관(100)에 연결하고, 2차 유량분배조(11)와 수차를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과, 1차 유량분배조와, 2차 유량분배조 및 회전수차(20)를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유량분배조를 입수관(110)보다 직경이 넓은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원통형의 1차 유량분배조의 상부 둘레에 분배구(13)를 형성하되 이 중 하나의 분배구(13')를 통하여 분배된 유량을 8~12개의 재분배구(14)를 갖는 원형의 2차 유량분배조에서 재분배된 유량을 회전수차(20)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간이상수도, 지하수 및 계곡수의 평균 유량인 100~300L/min를 그대로 회전수차(20)에 회전시키게 될 때, 수조가 커져야 하고 속도가 빨라져 이를 이용한 회전력으로 약품투입기(1)를 돌리게 하려면 감속기를 써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있다.
유량배분을 한번에 하지 않고 2~3차로 하게 되면 회전수차(20)는 소형화되고 감속기 없이도 직접 회전력을 튜브펌프(40) 또는 압축펌프(40')로 전달하여 유입량 대비 약품을 투입할 수 있으며, 2차 또는 3차에서 유량배분을 삽입형 도류판(12)으로 수조(21)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회전수차(20)가 회전하는 속도를 다르게 하여 농도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례로 본 유량분배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1차 유량분배조는 사각함체 형상(10")으로 구성되되, 내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소정 높이의 월류판(52)을 설치하고, 전면을 다른 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에는 복수의 칸막이(50)를 세로로 배치함으로써 칸막이 사이에 월류판을 넘어온 유량이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구(13)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칸막이 사이 중 하나에는 가로벽(51)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벽이 형성된 칸막이 사이의 바닥면에는 하부로 관통되는 하부 분배구(13")를 형성하며, 상기 2차 유량분배조는 서랍형(11")으로 구성되어 상기 1차 유량분배조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에는 상기 하부 분배구를 통하여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전방부로 보낼 수 있도록 복수의 재분배구(14')가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를 전방부와 후방부로 분할하도록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의 전방부 일측에는 재분배된 유량을 외부로 보내도록 전면이 개방되는 개방구(18)가 형성되며, 전방부 타측에는 재분배된 유량을 회전수차의 수조에 보내도록 바닥면에 관통되는 맨홀(60)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1차 유량분배조에 설치된 월류판(52)이 넘어온 물이 세로로 설치된 칸막이(50)에 의해 10개의 분배구를 통하여 분배되고, 그 중 하나의 칸막이 사이에는 가로벽(51)을 설치하여 가로벽을 설치한 칸막이 사이의 바닥면에 설치된 하부 분배구(13")를 통하여 서랍형의 2차 유량분배조(11")로 떨어지면, 상기 서랍형의 2차 유량분배조(11")에서 10개의 재분배구(14')가 형성되고, 그 중 하나의 재분배구를 통하여 재분배된 유량만을 하부의 맨홀(60)로 보내고 나머지는 개방구(18)로 내보내게 되면, 100분의 1로 유량을 얻을 수 있고, 따라서 분당 100리터의 물이 유입될 때 회전수차(20)에 1리터의 물이 담겨지고 3개의 수조(21)로 구성된 회전수차(20)가 한바퀴 회전할 시 300리터의 물이 물탱크(100)로 유입되어 튜브펌프(40)의 1회전 투입량 2mg이 투입되면 12% 염소농도의 약품에 의하여 이론상 약 0.7ppm의 잔류염소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인 순차적인 유량배분율을 이용하여 약품 투입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특히 서랍형의 2차 유량분배조(11")에서는 흐르는 물의 유량을 연결부(55)에 삽입형 도류판(12)을 장착하여, 상기 삽입형 도류판(12)을 개폐하여 조정하면 물속의 농도를 조절할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한편, 입수관(110) 및 출수구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1차유량분배조(10')는 출수압을 낮추기 위해 관경을 넓힌 후 넓어진 원형 관경의 상부 둘레면에 12개의 부배구(13)를 형성하되, 그 중 하나의 분배구(13)를 통해 분배된 물을 이중 원형관 형태의 2차 유량분배조(11')에 담겨지고 이를 다시 똑같은 방법으로 2차 유량분배를 하게 되면 144배속의 1까지 유량을 배분해서 이를 회전수차(20)의 회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회전수차(20)의 수조(21)는 3개의 축을 가진 튜브펌프(40)를 사용하는 경우 3개이며, 왕복운동을 하는 압축펌프(40')는 2개가 바람직하나 4개의 수조(21)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회전수차(20)에 하나의 수조(21)에 물이 가득 차면 무게에 의하여 회전하되 회전타성에 의하여 계속 돌지 않고, 다음 수조(21)가 정위치에 정지하여 물을 담겨지도록 제어하는 방법으로, 수조(21)의 측방과 영구자석(30)과 본체에 밀봉되어있는 영구자석(30)의 N극과 S극이 자력으로 서로 끌어당김으로 정지되는 자석제어장치(31)가 있으며, 상기 자석제어장치(31)에 장착된 영구자석(30)는 나사식으로 영구자석(30)과 영구자석(30)과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적합한 자석간격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입수관(110)을 통해 들어온 물을 분배구(13)를 통하여 유량을 균등하게 배분하고 그중 일부를 다음 단계에서 한번 더 수행함으로써 수조(21)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수조(21)에 담겨지는 유량이 전체유량의 일정비율이 되게 하는 기능이 있어 유입량에 따른 정확한 잔류염소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수차(20)의 회전력을 감속기를 통하지 않고 튜브펌프(40)로 약품을 투입하는 방법 이외에도, 회전수차(20)의 회전판(22)에 연결된 압축펌프(40')를 사용하여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바꾼 피스톤(41) 작용으로 약품을 투입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는 약품이송관의 약품이 압축펌프(40')의 펌프압력에 불구하고 일 방향으로 약품이 투입되도록 체크볼(44)이 압축펌프(40)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약품이 인(in), 아웃(out)되는 약품유입관(45') 및 약품투입관(45)에 각각 장착되고 실린더의 피스톤(41)이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약품이 약품유입관(45')으로 들어가 약품투입관(45)을 통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발명의 구성요소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압축 펌프(40')를 유리주사기로 하는 것도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량의 배분을 통해 유량의 일부를 가지고 회전력을 얻기 때문에 회전수차(20)의 회전력에 직접 튜브펌프(40) 또는 압축펌프(40')를 부착하여 약품을 투입할 수 있으며 감속기 없이도 완만하게 약품을 투입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은 입수관(110)에 장착되는 1차 및 2차 유량분배조(10,11)와 회전수차(20)에 결합되는 튜브펌프(40) 또는 압축펌프(40')를 구성요소로 하되 입수관(110)의 크기와 유량에 따라 상기 유량분배조(10,11)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고 현장사정에 맞게 유량분배조(10,11)와 회전수차(20)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물탱크(100) 외부에서도 송수관에서 분기한 분기관에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지하수나 계곡수를 물탱크(100)에 담수할 때 유입되는 유량을 일정한 비율로 나누는 1차 유량분배조(10) 및 2차 유량분배조(11)에 의해 전체유량에 대한 일정비율로 회전수차(20)에 담기게 되고 회전수차(20)에 부착된 영구자석(30)에 의해 자력으로 제어되어 일정유량이 되었을 때 회전하게 하는 기능으로 전체유량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의 회전만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축에 튜브펌프(40)가 있어 약품을 투입하는 방식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차(20)를 이용한 무동력 약품투입기(1)의 유입량 배분 구성도로서, 물탱크(100)의 입수관(110)에 연결되어 1단계로 1차 유량분배조의 상부 둘레면에 형성된 분배구(13)로 물이 분배되면 12배속의 1이 되고 그 중 하나의 분배구(13)를 통과한 물을 이용하여 다시 2단계의 8개의 재분배구(13)로 물을 분배하면서 그 중 하나의 재분배구(13)를 회전수차(20)에 수조에 떨어지게 하면 96:1의 배속을 갖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도 2 및 3은 또 다른 1차유량분배조(10")로서, 상기 1차 유량분배조는 사각함체 형상(10")으로 구성되되, 내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소정 높이로 월류판(52)을 설치하고, 전면을 다른 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에는 복수의 칸막이(50)를 세로로 배치함으로써 칸막이 사이에 월류판을 넘어온 유량이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구(13)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칸막이 사이 중 하나에는 가로벽(51)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벽이 형성된 칸막이 사이의 바닥면에는 하부로 관통되는 하부 분배구(13")를 형성하며, 상기 2차 유량분배조는 서랍형(11")으로 구성되어 상기 1차 유량분배조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에는 상기 하부 분배구를 통하여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전방부로 보낼 수 있도록 복수의 재분배구(14')가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를 전방부와 후방부로 분할하도록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의 전방부 일측에는 재분배된 유량을 외부로 보내도록 전면이 개방되는 개방구(18)가 형성되며, 전방부 타측에는 재분배된 유량을 회전수차의 수조에 보내도록 바닥면에 관통되는 맨홀(60)이 형성되어, 1차 유량분배조에 9개의 칸막이가(50) 있어 10개의 분배구로 분배되고, 그 중 하나의 분배된 물이 바닥의 하부 분배구(13")로 떨어져 분배되고, 하부 분배구를 통해 분배된 유량은 서랍형의 2차 유량분배조(11")에 형성된 10개의 재분배구(14')를 통해 재분배되고 재분배된 유량은 연결부(55)에 삽입되는 삽입형 도류판(12)으로 유량을 조절하여 맨홀(60)을 통하여 수조로 보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차(20)를 이용한 무동력 약품투입기(1)의 또 다른 유입량 배분 구성도인 것으로, 입수관(110)을 세운 후 입수관(110)보다 직경이 넓은 원통형 1차 유량분배조의 상부 둘레에 8~16개의 분배구(13)를 형성하되 이중 선택된 하나의 분배구(13')를 통하여 분배된 물을 8~12개의 재분배구(14)를 통하여 재분배하여 그 중 1~2개의 재분배된 유량만을 회전수차(20)로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분배구 및 재분배구의 숫자는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분배구(13) 중 선택된 하나의 분배구(13')로 분배된 물은 아래에 형성된 이중 원형관 형태의 2차 유량분배조(11')에 담겨지고, 상기 2차 유량분배조(11')에는 재분배구(14)를 구성하여 그 중 한 개의 재분배구(14)로 분배된 물이 회전수차(20)에 흐르게 할 수 있는 혼합형 유량분배조로, 상기 혼합형 유량분배조는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1차 유량분배조(10)에 측면 하단 출수구 일정높이에 통공의 차단판(15)과 통공이 없는 차단판(16)이 순차적으로 간격을 갖고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출수압의 물이 균등하게 차오르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차(20)를 이용한 무동력 약품투입기(1)의 압축펌프(40')의 구성도로서, 2차 유량분배조 하단측면에 부착된 회전수차(20)의 회전판(22)의 측방에 부착되어 피스톤(41)의 왕복운동을 가능케 하는 1~3개의 연결봉(46, 47, 48)은 회전판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준다.
상기 회전판에 측면에 부착되는 제1연결봉(46)과, 상기 제1연결봉에 연결되고, 3/4 위치에 중심을 갖고 상하운동을 하는 제2연결봉(47) 및 상기 제2연결봉의 왕복운동에 연결된 제3연결봉(48)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봉(46)은 합성수지 베어링(43)에 상호 연결되고, 제2연결봉(47)의 3/4위치에 베어링(43)이 고정되어 회전수차(20)의 회전시 회전운동이 왕복운동으로 바뀌게 되어 상기 압축펌프(40')의 피스톤(41)이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피스톤 하부에는 T자형 분기관이 형성되어 2개로 분기되고, 그 중 하나는 약품이 유입되는 약품유입관(45')이고 다른 하나는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투입관(45)이 되며, 상기 약품유입관 및 약품투입관(45', 45)에는 체크볼(44)이 설치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약품을 흡입 및 토출하여 약품이 일방향으로 유입하여 투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합성수지의 압축펌프(40') 대신 유리주사기로 대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차(20)를 이용한 무동력 약품투입기(1)의 자석제어장치(31)의 구성도로서, 회전수차(20)가 회전타성에 의하여 계속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조에 배분된 유량이 채워질 때까지 정지하게 하기 위한 자석제어장치(31)로 회전수차(20)의 회전판(22)에 영구자석(30)을 밀봉하고, 회전판(22)에 근접된 영구자석(30)은 나사식으로 회전판(22)의 밀봉된 영구자석(30)의 거리를 조절하여 적합한 간격을 유지하는 회전판(22) 및 영구자석(30) 배치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차(20)를 이용한 무동력 약품투입기(1)의 현장설치도로서, 물탱크(100) 내부에 입수관(110)에 장착된 약품이송관은 물탱크(100) 외부에 설치된 약품저장조(120)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차(20)를 이용한 무동력 약품투입기(1)의 블록도로서, 물의 배분과 이를 이용하는 회전수차(20) 상기 회전수차(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축펌프작용으로 약품저장조의 약품을 물의 입수 시만 작용하여 약품을 투입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다.
10:1차유량분배조 11:2차유량분배조 12:삽입형 도류판
13:분배구 20:회전수차 21:수조
22:회전판 30:영구자석 31:자석제어장치
40:튜브펌프 40':압축펌프 41:실린더
42:연결봉 44:체크볼
50:칸막이 52:월류판 60:맨홀

Claims (8)

  1. 입수관에 연결되어 입수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유량을 분배하도록 복수의 분배구(13)가 형성되어 있는 1차 유량분배조(10);
    상기 1차 유량분배조의 복수의 분배구 중 일부의 분배구를 통해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재분배구(14)가 형성되는 2차 유량분배조(11);
    상기 2차 유량분배조로부터 재분배된 유량을 담는 복수의 수조(21)를 갖는 회전수차(20);
    상기 회전수차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약품투입관(45)을 통해 약품을 공급하기 위한 약품투입장치(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유량분배조(10)는 상부 둘레면에 8~16개의 분배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차 유량분배조(11)는 상기 분배구 중 선택된 하나의 분배구(13')를 통하여 분배되는 유량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하나의 분배구(13')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재분배구(14)에는 재분배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형 도류판(12)이 장착되어 있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유량분배조는 사각형 또는 원통형(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유량분배조는 사각함체 형상(10")으로 구성되되, 내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월류판(52)을 설치하고, 전면을 다른 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에는 복수의 칸막이(50)를 세로로 배치함으로써 칸막이 사이에 월류판을 넘어온 유량이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구(13)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칸막이 사이 중 하나에는 가로벽(51)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벽이 형성된 칸막이 사이의 바닥면에는 하부로 관통되는 하부 분배구(13")를 형성하며,
    상기 2차 유량분배조는 서랍형(11")으로 구성되어 상기 1차 유량분배조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에는 상기 하부 분배구를 통하여 받은 유량을 재분배하는 전방부로 보낼 수 있도록 복수의 재분배구(14')가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를 전방부와 후방부로 분할하도록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랍형 2차 유량분배조의 전방부 일측에는 재분배된 유량을 외부로 보내도록 전면이 개방되는 개방구(18)가 형성되며, 전방부 타측에는 재분배된 유량을 회전수차의 수조에 보내도록 바닥면에 관통되는 맨홀(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유량분배조에는 입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1차 유량분배조 내의 입수관의 전면에는 입수되는 물이 서서히 차오르도록 유도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있는 차단판(15)과 통공이 없는 차단판(16)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량분배조와 회전수차 사이에는 2차 유량분배조에서 재분배된 유량을 받아 다시 재분배하여 회전수차에 보내는 3차 유량분배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차의 각 수조의 측면에 부착되는 영구자석(30)과 대응하여 수조가 정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자석제어장치(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투입장치는 튜브펌프(40) 또는 회전수차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구동되는 압축펌프(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KR1020110113485A 2011-11-02 2011-11-02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KR10115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485A KR101152599B1 (ko) 2011-11-02 2011-11-02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485A KR101152599B1 (ko) 2011-11-02 2011-11-02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599B1 true KR101152599B1 (ko) 2012-06-04

Family

ID=4668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485A KR101152599B1 (ko) 2011-11-02 2011-11-02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5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343B1 (ko) * 2013-12-24 2014-08-27 천지플랜트주식회사 약품 분배 투입장치
KR101517869B1 (ko) * 2013-05-08 2015-05-11 한삼코라(주) 3개의 수조로 이루어진 회전수차가 형성되어 있는 약품투입기
KR101925241B1 (ko) 2018-03-10 2018-12-04 이태준 수처리시설의 약품 정량투입용 물분배장치
KR102142631B1 (ko) * 2019-10-17 2020-08-07 (주) 시온텍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19B1 (ko) 2011-03-11 2011-04-26 심성수 무전원 소독약 자동 투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19B1 (ko) 2011-03-11 2011-04-26 심성수 무전원 소독약 자동 투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869B1 (ko) * 2013-05-08 2015-05-11 한삼코라(주) 3개의 수조로 이루어진 회전수차가 형성되어 있는 약품투입기
KR101435343B1 (ko) * 2013-12-24 2014-08-27 천지플랜트주식회사 약품 분배 투입장치
KR101925241B1 (ko) 2018-03-10 2018-12-04 이태준 수처리시설의 약품 정량투입용 물분배장치
KR102142631B1 (ko) * 2019-10-17 2020-08-07 (주) 시온텍 배관직결 약품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599B1 (ko) 유량 분배를 통한 회전수차를 이용한 약품투입기
KR101030519B1 (ko) 무전원 소독약 자동 투입기
US9725844B2 (en) Powdered and liquid chemical dispensing and distribution system
US9144351B2 (en) Vacuum prime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CN104058180B (zh) 药剂分配器
HRP20210968T1 (hr) Postupak primjene tekućih analgetika
FR2922727B1 (fr) Systeme de distribution de substance pour dispositif d'injection d'oeufs
KR101057362B1 (ko) 무전원 소독약 자동 투입기
DE102004047585A1 (de) Wirkstoffversorgungssystem und Spritzeinrichtung zum Versprühen von Flüssigkeiten
KR101851904B1 (ko) 무게추를 이용한 수처리용 약품투입장치
CN113845188A (zh) 基于污水处理一体用加药设备
DE69908137T2 (de) Vorrichtung zum Abgeben von Flüssigkeit aus nebeneinander angeordneten Behältern
KR101517869B1 (ko) 3개의 수조로 이루어진 회전수차가 형성되어 있는 약품투입기
KR100998921B1 (ko) 자석을 이용한 물레방아 약품투입장치
DE112013004304T5 (de) Kraftstoffversorgungssystem und Verfahren zur Kraftstoffversorgung
KR101366643B1 (ko) 무전원 소독약 자동 투입기
KR100905774B1 (ko) 소독약 투입기용 물 분배기
CN207324715U (zh) 实时连续式混药平台
KR101227931B1 (ko) 유량 배분기능을 갖는 회전수차 약품투입기
KR100833131B1 (ko) 무동력 약품 투입장치
CN208200412U (zh) 具有高效加药功能的污水处理设备
KR10124939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소독약 투입기
KR200270265Y1 (ko) 소독약 자동투입기
KR20120041339A (ko) 컴프레서를 이용한 액체 이송 및 고압 분사 장치
KR101925241B1 (ko) 수처리시설의 약품 정량투입용 물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