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626B1 -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626B1
KR102142626B1 KR1020140031731A KR20140031731A KR102142626B1 KR 102142626 B1 KR102142626 B1 KR 102142626B1 KR 1020140031731 A KR1020140031731 A KR 1020140031731A KR 20140031731 A KR20140031731 A KR 20140031731A KR 102142626 B1 KR102142626 B1 KR 10214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pring
kinetic energy
closing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659A (ko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 홍림교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홍림교역 filed Critical (주) 홍림교역
Priority to KR102014003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6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는, 압축 방향으로 소정의 변형율을 갖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일측단과 연결된 스프링베이스, 상기 스프링베이스를 상기 압축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베이스에 의해 눌려지며, 눌려지는 압력측정하는 압력센서, 닫히는 자동문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베이스를 유동시켜 상기 압력센서를 누르면,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기초하여 자동문의 운동 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압력 및 산출된 에너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AND KINETIC ENERGY OF DOOR WHEN IT CLOSE}
본 발명은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 출입문 등에 대한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등에 설치된 자동문은 자동으로 닫혀질 때, 승객을 압박하여 다치게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자동문의 닫힘 압력과 운동 에너지를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자동문의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측정 장치로는, 등록특허 제887365호(명칭: 자동문의 작용력 측정장치)(이하, 종래기술)를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측정장치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자동문의 레일부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에 장치되면 자동문의 닫힘 방향에 장치되어 자동문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촉부가 자동문에 의해 밀리는 힘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한 작용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이때, 자동문에 의해 접촉부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감소되도록, 접촉부의 이동추과 연결된 에어 실린더와 에어 실린더를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작용력 감지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작용력 감지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본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측정 장치는, 설치가 복잡하고, 측정의 결과도 단지 닫히는 힘에 국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 제887365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한 간단한 구성의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문의 문닫힘 압력뿐만 아니라, 문닫힘의 운동 에너지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단독으로 측정을 실행할 수 있는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는, 압축 방향으로 소정의 변형율을 갖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일측단과 연결된 스프링베이스, 상기 스프링베이스를 상기 압축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베이스에 의해 눌려지며, 눌려지는 압력측정하는 압력센서, 닫히는 자동문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베이스를 유동시켜 상기 압력센서를 누르면,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기초하여 자동문의 운동 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압력 및 산출된 에너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컴는, 상기 스프링의 변형율과 상기 압력센서 자체의 탄성계수를 조합하여 상기 문닫힘 압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문닫힘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스프링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문닫힘 압력과 상기 스프링의 변위를 조합하여 상기 문닫힘 운동 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타측단에 배치되어 닫히는 문과 접촉하게 되는 헤드 또는 상기 케이스의 일부에, 닫히는 문에 의해 작용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고무패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통신망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한 통신모뎀을 구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특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외부 제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제어 컴퓨터측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는, 상기 스프링의 변형율을 측정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프링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문닫힘 압력과 상기 산출된 변위를 조합하여 상기 문닫힘 운동 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단독으로 측정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가 간편한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자동문의 문닫힘 압력뿐만 아니라, 문닫힘의 운동 에너지까지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서, 적용 분야가 다양하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측정 장치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상세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조작부의 형태에 대한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외부 제어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분석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분석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100)는, 스프링(10)과, 스프링 베이스(20)와, 압력센서(30)와, 마이컴(40)과, 통신 인터페이스(84)와, 배터리(60)와, 케이스(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프링(10)은, 압축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 계수 및 변형율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10)은 일반적으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스프링(10)은, 예를 들면, 압축 방향으로의 25N의 힘에 대해 1mm씩 변형되는 변형율을 갖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스프링이 5mm 압축변형되었다면 스프링에 작용한 힘은 125N으로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125N의 힘이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었다면, 스프링은 5mm 변형된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스프링 베이스(20)의 일측면에는, 스프링(10)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베이스(20)는 케이스(70)에 형성된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스프링(10)의 압축에 대응하여 케이스(70)의 내부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다시 반대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10)의 타측단, 즉, 스프링 베이스(20)의 반대쪽 단부는, 스프링(10)의 코일이 노출되지 않도록 평판 형태의 헤드(12)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베이스(20)의 타측면(일측면의 뒷면)에는 압력센서(30)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 베이스(20)가 스프링(10)의 압축에 의해 케이스(70)의 안쪽으로 눌리면, 압력센서(30)가 눌려지게 된다.
압력센서(30)는, 스프링 베이스(20)에 의해 눌려질 때의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센서(30)로는, 일반적인 디지털 저울에 사용되는 로드셀(Load Cell)이 이용될 수 있다.
더욱, 로드셀로는, 인덕턴스 변화형, 정전용량 변화형, 저항 변화형, 광 반사형, 홀 효과형, 자기 변형형, 압전형 등 다양한 방식의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30)는, 케이스(70)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케이스(70)는, 적어도, 스프링 베이스(20)가 케이스(70)의 내부를 향해 눌려 이동하거나, 스프링 베이스(20)로부터 연장된 커넥터(22)가 케이스(70)의 내부를 향해 눌려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70)는, 압력센서(30)를 내장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마이컴(40), 통신 인터페이스(84) 등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70)의 표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조작부(80)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동문이 스프링(10)의 타측과 케이스(70)의 일측에 접하는 상태에서 닫히게 되면, 자동문의 닫히는 힘이 스프링(10)을 압축하여 스프링 베이스(20)가 압력센서(30)를 누르게 되고, 압력센서(30)는 대응하는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마이컴(40)은, 압력센서(30)에 전원을 공급하고, 압력센서(30)에서 출력하는 측정값(즉, 압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관계식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결과값(즉, 운동 에너지)으로 변환하거나, 측정값 또는 변환된 결과값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값들을 통신 인터페이스(84)를 통해 외부 장치측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배터리(60)는, 충전식으로서 마이컴을 통해 측정 장치의 각부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6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가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84)는, 이동통신망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한 통신모뎀을 구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와, 소정의 외부 제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컴(40)은, 메모리에 저장된 압력 측정값 및/또는 운동 에너지 산출값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외부 제어 컴퓨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이컴(40)은, 문닫힘이 시작되어 자동문이 스프링(10)을 누르고 누른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시 열려지는 모든 순간마다 압력센서(30)에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측정값을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외부 제어 컴퓨터(200)는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체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춘 케이스(7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7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70)의 상부측으로 스프링(10)이 노출되어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0)의 노출된 단부(타측 단부)에는 스프링이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헤드(12)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0)은 고무 부트와 같은 유연한 부재로 싸여져 보호될 수 있다.
케이스(7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8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70)에는, 유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84)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전원 인터페이스(8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로 단면도이다. 케이스(70)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스프링 베이스(20)에는 스프링(10)이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 베이스(20)의 단부에는 헤드(12)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12)는 고무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고무 패드는, 스프링(10)에 갑자기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며, 자동문의 표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스프링(10)의 단부에서 자동문이 미끄러짐으로써 측정이 실패하는 상황을 방지한다.
케이스(70)의 내부에서 스프링 베이스(20)와 대향하는 반대쪽에는 압력센서(30)가 배치된다. 스프링 베이스(20)는 압력센서(30)에 직접 접촉하여 압력센서에 눌리는 힘을 전달할 수도 있고, 별도의 커넥터(22)를 구비하여 커넥터를 통해 압력센서를 누를 수도 있다.
압력센서(30)가 배치된 케이스(70)의 뒷면에는, 스프링(10)의 헤드(12)와 마찬가지로 고무 패드가 부착되어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작부(80)의 형태에 대한 예시를 보여준다.
"TEST" 버튼은 측정 장치(100)의 전원을 온시키고 측정을 시작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사용된다.
"STOP" 버튼은 측정을 종료하고 측정 장치(100)를 전원 오프하기 위해 사용된다.
"RESET" 버튼은 메모리에 저장된 기측정된 결과값들을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USB"는 LED에 의한 표시등으로서, 통신 인터페이스(84)가 USB 유선 통신 방식이고, 여기에 외부 제어 컴퓨터(20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USB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녹색 LED가 점등된다. 만일, USB 케이블이 연결되었으나,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라면, LED가 점멸되거나 다른 색깔의 LED가 점등되는 방식으로 통신 불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측정 장치(100)에 구비된 배터리(60)를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이 입력될 수 있는 전원 인터페이스(82)를 표시하는 "CHARGE" 표시와, USB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84)를 표시하는 "USB" 표시가 추가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의 사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자동으로 닫혀지는 문 사이에 끼워져서 자동문이 닫혀질 때 작용하는 힘과 그 운동 에너지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별도의 연결된 외부 장치 없이도, 단독으로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 회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되어 저장된 결과값을 추후 연결되는 외부 제어 컴퓨터(20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외부 제어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분석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예를 들면, USB 방식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84)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제어 컴퓨터(200)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이 확립되면, 외부 제어 컴퓨터(200)는 측정 장치로부터, 저장된 결과값들을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결과값들을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가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 장치(100)는, 외부 제어 컴퓨터(200)와 USB 케이블로 연결된 상태에서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측정되는 결과값, 즉, 압력은 실시간으로 외부 제어 컴퓨터(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외부 제어 컴퓨터(200)는 전송되는 압력을 실시간 그래프 또는 수치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제어 컴퓨터(200)는 전송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또다른 컴퓨터 또는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로써, 원격에서 자동문에 대한 측정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예를 들면, 외부 제어 컴퓨터에서,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결과값들을 이용하여 자동문의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분석하여 보여주는 상황을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이고 세로축은 압력을 나타낸다.
최초에 자동문이 닫히면서 압력센서(30)가 눌려질 때에는, 문의 충격에 의해 매우 큰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어서 안정된 힘으로 유지되다가, 문이 다시 열리면서 압력이 해제된다.
이때, 최초 작용하는 힘의 고점은 최대 닫는 힘으로서 Fmax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후 안정된 힘은 정적 닫는 힘으로서 Fkin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Fkin은 자동문의 문닫힘 운동 에너지를 측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압력의 측정은, 그래프에서 녹색으로 표시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이 수준은 예를 들면, 25N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하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측정 장치(100)의 "START" 버튼을 눌러 장치를 기동시킨 후 자동문에 위치를 맞추어 놓고, 자동문이 동작하여 측정 장치(100)의 스프링(10)을 누르는 시점으로부터 측정이 시작되게 된다.
그래프에서 노란색 표시는, Fkin의 허용 한계를 표시하는 수준으로서, 예를 들면, 150N일 수 있다. 즉, Fkin이 150N을 초과한다면, 고객의 안전을 고려하여, 자동문의 압력을 조정하여 낮출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압력센서(30)에서 측정한 압력, 즉, Fkin을 이용하여 자동문의 문닫힘 운동 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
운동 에너지(E)는, 질량(m)과 제곱된 속도(v)의 곱으로써 산출된다.
E=1/2 mv2.
하지만, 자동문에 대한 압력 측정값만으로는 상기 식의 변수들에 대입할 수 없다. 따라서, 다음의 방법으로 운동 에너지를 산출하도록 한다.
일(W)은, 힘(F)과 이동거리(S)의 곱으로 산출된다.
W= F×S(J).
이때, 속도(v)는 가속도(a)와 시간(t)의 곱이므로,
v=at,
운동 에너지(E)= 1/2mv2 = 1/2 ma2t2 = (ma)×(1/2 at2),
이때, ma는 힘(F)이며, 1/2 at2은 등가속도 운동의 이동거리이므로,
운동 에너지(E)는, 힘(F)과 이동거리(S)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E= F×S
따라서, 자동문에 작용하는 닫는힘(F)과 그 힘에 의한 변위(S)를 산출함으로써, 자동문의 운동 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자동문의 닫는힘(F)은, 압력센서(30)의 측정값이고, 그 힘에 의한 변위(S)는, 측정된 닫는힘을 역연산하여 산출한 스프링(10)의 변위이다.
스프링(10)의 변위는, 예를 들면, 압축 방향으로의 25N의 힘에 대해 1mm씩 변형되는 변형율을 갖도록 선택된 스프링의 경우에, 압력센서에서 125N의 힘이 측정되었다면, 스프링은 5mm 변형된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예시로서, 빨간 실선의 최고점에서 최대 닫는 힘(Fmax)이 294.98N으로 측정되었고, 정적 닫는 힘(Fkin)은 81.38N으로 측정되었고, 이때의 스프링의 변위를 역연산하여 최종으로 산출된 운동 에너지(E)는 1.740J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산출된 에너지(E)는, 변형률을 50N/mm 인 것으로 하고 Fmax를 이용하여 산출된 것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값을 이용하여 스프링이 변형된 변위를 역연산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눌려지는 스프링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가 설치되는 위치는, 예를 들면, 스프링 베이스나 커넥터에 연결되 있거나, 압력센서의 전 또는 후면일 수 있다.
그리고, 마이컴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변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프링의 변위와,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곱하는 방식으로 조합하여, 자동문의 문닫힘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압축 방향으로 소정의 변형율을 갖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일측단과 연결된 스프링베이스,
    상기 스프링베이스를 상기 압축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베이스에 의해 눌려지며, 눌려지는 압력측정하는 압력센서,
    닫히는 자동문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베이스를 유동시켜 상기 압력센서를 누르면,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기초하여 자동문의 운동 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압력 및 산출된 에너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스프링의 변형율과 상기 압력센서 자체의 탄성계수를 조합하여 문닫힘 압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문닫힘 압력을 상기 스프링의 변형율로 나눔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문닫힘 압력과 상기 스프링의 변위를 곱하여 문닫힘 운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타측단에 배치되어 닫히는 문과 접촉하게 되는 헤드 또는 상기 케이스의 일부에, 닫히는 문에 의해 작용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고무패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한 통신모뎀을 구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특정의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외부 제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압력 및 운동 에너지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제어 컴퓨터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6. 삭제
KR1020140031731A 2014-03-18 2014-03-18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KR10214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31A KR102142626B1 (ko) 2014-03-18 2014-03-18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31A KR102142626B1 (ko) 2014-03-18 2014-03-18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59A KR20150108659A (ko) 2015-09-30
KR102142626B1 true KR102142626B1 (ko) 2020-08-07

Family

ID=5424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31A KR102142626B1 (ko) 2014-03-18 2014-03-18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081B1 (ko) 2021-08-09 2022-01-24 이용민 다채널 발판균일눌림 압력변화량을 통한 자동문 개폐시그널 송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8557B (zh) * 2017-01-10 2022-12-13 优立科轨道交通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电动门闭合作用力大小及方向的装置
CN111855054A (zh) * 2019-04-30 2020-10-30 福建省莆田市衡力传感器有限公司 一种可实时显示受力的多向监测装置
CN113758722B (zh) * 2021-08-23 2024-01-1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关门能量的分析和控制方法
CN114993658A (zh) * 2022-06-16 2022-09-02 国能黄骅港务有限责任公司 车厢压靠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063A (ja) * 2001-05-01 2002-11-15 East Japan Railway Co パンタグラフ接触力測定装置
KR100887365B1 (ko) 2006-12-26 2009-03-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문의 작용력 측정장치
CN203178014U (zh) 2013-04-02 2013-09-04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门小距离防挤压测力仪
KR101412182B1 (ko) 2014-02-05 2014-06-25 (재)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 도어 운동에너지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047A (ko) * 1997-12-19 1999-07-05 양재신 버스용 도어의 폐쇄력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063A (ja) * 2001-05-01 2002-11-15 East Japan Railway Co パンタグラフ接触力測定装置
KR100887365B1 (ko) 2006-12-26 2009-03-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문의 작용력 측정장치
CN203178014U (zh) 2013-04-02 2013-09-04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门小距离防挤压测力仪
KR101412182B1 (ko) 2014-02-05 2014-06-25 (재)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 도어 운동에너지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081B1 (ko) 2021-08-09 2022-01-24 이용민 다채널 발판균일눌림 압력변화량을 통한 자동문 개폐시그널 송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59A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626B1 (ko)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US10106002B2 (en) Hitch receiver
CN105415221B (zh) 手钳
KR101536304B1 (ko) 축압식 소화기의 상시 압력 감지장치
CN107049272B (zh) 移动功能装置
CN102351120A (zh) 电梯轿厢载荷称重装置
EP2995252A1 (en) Balance 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balance ability measur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balance ability measurement program
CN203178014U (zh) 一种自动门小距离防挤压测力仪
CN103867618A (zh) 一种具有闸瓦和碟簧检测功能的盘式制动器
CN202252811U (zh) 橡胶膜煤气柜活塞调平装置检测机构
KR20200117028A (ko) 가스압 스프링을 무선으로 배기하기 위한 안전 기능을 갖는 모니터링 센서
KR101487752B1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안전모를 이용한 리프트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3857865B (zh) 用于使可运动的家具部件运动的装置和家具
GB2603320A (en) System including grip assembly and hip sensing assembly for rollator configured to provide feedback to user
CN202265278U (zh) 电梯轿厢载荷称重装置
CN107588935B (zh) 一种钢板弹簧疲劳测试系统
US20210397205A1 (en) Dome-Loaded Pressure Regulator
CN213021849U (zh) 一种s形吊钩秤称重传感器
CN207689257U (zh) 一种玩具机器人用压力测试装置
KR101595248B1 (ko) 실 교환주기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한 건설중장비의 어태치먼트용 유압실린더 시스템
CN202255817U (zh) 一种手提式灭火器冲击性能试验装置
GB201101527D0 (en)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forces applied to a telescopic boom to be displayed as a measurement of weight
CN206927407U (zh) 电梯鼓式制动器弹簧力的测量装置
KR20070111876A (ko) 무선 송수신을 이용한 구조물 누적 피로손상의 실시간 현시및 평가 장치
CN215402444U (zh) 电梯上行超速保护速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