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264B1 -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264B1
KR102142264B1 KR1020190129514A KR20190129514A KR102142264B1 KR 102142264 B1 KR102142264 B1 KR 102142264B1 KR 1020190129514 A KR1020190129514 A KR 1020190129514A KR 20190129514 A KR20190129514 A KR 20190129514A KR 102142264 B1 KR102142264 B1 KR 10214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completeness
ima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임건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일 개시에 의하여 제품의 스펙 정보 및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제작 공정에 따른 스펙 정보가 표시된 가상 제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작이 완료된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품의 이미지에 수치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로 제작된 제품의 스펙을 반영한 실제 제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가상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제품 정보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여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완성도 정보가 제 1 완성도 이상인 경우 정상 출고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이상이고 제 1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의 수정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이하인 경우 제품 폐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Process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shipment of products by measuring the accuracy of data obtained during the process}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제품의 수치 데이터가 오차 범위 내인지 판단함으로써 데이터의 완성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제품을 출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구조체, 예를 들어 자동차와 같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는 각 부위별로 부품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생산되는데, 각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기 이전에 그 부품들이 정확한 치수와 형상으로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는 단위 부품에 대해서만 행해지는 것은 아니며, 몇 개의 부품이 결합된 어셈블리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즉, 자동차는 20,000 가지 이상의 부품이 조립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단위 부품 또는 단위 어셈블리들의 형상과 치수가 허용 오차를 약간만 벗어나더라도, 모든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엄청나게 큰 오차를 발생시켜 불량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조립 자체가 불가능하여 자동차를 제대로 완성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기존에는 각 부품, 예컨대 각종 패널, 트림, 프레밍 등의 형상과 치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특정 검사구들이 사용되었었다. 예컨대, 일정한 부분의 갭이 4mm로 형성되어야 한다면, 폭이 3mm, 4mm, 5mm로 형서된 측정기구가 구비되어, 측정기구들을 갭에 각각 삽입시켜 갭의 크기가 정확히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렇게 종래에는 제작된 부품들을 각 부품에 맞게 특별하게 제작된 검사구에 고정시킨 후, 홀이 정확한 크기와 위치에 뚫려 있는지, 갭이 정확한 치수로 형성되었는지, 형상이 정확하게 형성되었는지 등을 각종 측정기구를 통해 수작업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3차원 측정기와 각종 센서들을 사용하여 각 부품 또는 각 어셈블리들이 정확하게 제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전자시스템이 도입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검사구를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체는 특정 부품별로 별도로 제작되었는 바, 다른 부품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즉, 제품고정 및 전자장비 조립체로서의 호환성과 범용성이 완전히 결여되어 있었다. 이에 한 번 사용한 고정 및 조립체는 다시 재활용하기 곤란하며 폐기 처분되었으므로 경제적이지 않았다. 또한, 제작된 부품에 대한 검사 결과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10-2019-0009342호 (2019년 1월 28일 공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114097호 (2015월 10월 12일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제품의 완성도를 정밀하게 판단하고, 다양한 시험 방법을 통해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품의 스펙 정보 및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의 제작 공정에 따른 스펙 정보가 표시된 가상 제품 정보를 3차원 이미지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제작이 완료된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품의 이미지에 수치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로 제작된 제품의 스펙을 반영한 실제 제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가상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제품 정보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여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완성도 정보가 제 1 완성도 이상인 경우 정상 출고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이상이고 제 1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의 수정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 폐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완성도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를 실제 제품의 이미지에 투영하는 단계,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와 실제 제품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지점의 개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제품의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프로세서 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제품의 스펙 정보 및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의 제작 공정에 따른 스펙 정보가 표시된 가상 제품 정보를 3차원 이미지 정보로 생성하고, 제작이 완료된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획득하고, 제품의 이미지에 수치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로 제작된 제품의 스펙을 반영한 실제 제품 정보를 생성하고, 가상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제품 정보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여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1 완성도 이상인 경우 정상 출고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이상이고 제 1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의 수정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 폐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완성도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하고, 프로세서는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를 실제 제품의 이미지에 투영하고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와 실제 제품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검출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점의 개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제품의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 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제품의 완성도를 정밀하게 판단하고, 다양한 시험 방법을 통해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작업 공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스펙에 따른 제품의 가상의 이미지로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각 부분별로 검사가 필요한 수치를 측정하고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수로 두께 검사에 따른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압력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고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평면도를 측정함에 따라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외관을 판단함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100)는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로 축약하여 쓰기로 한다.
일 개시에 의한 블록 101에서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스펙 정보 및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작을 요청한 제품의 제품명, 용도, 제작 공정, 제품의 사이즈, 제품의 두께, 제품의 강도 등의 모든 스펙을 포함한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정보는 수차례 제작 및 시험을 통해 정해진 제품의 정상범위의 스펙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블록 102에서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제작 공정에 따른 스펙 정보가 표시된 가상 제품 정보를 3차원 이미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상품의 제작 공정에 대응하는 스펙 정보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외관의 사이즈, 두께, 소재 등의 스펙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가상 제품 정보는 상품이 최종적으로 완성되어야 하는 최종적인 상품 정보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블록 103에서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작이 완료된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작이 완료된 제품은, 제품의 기능에 따라 정해진 공정을 거쳐 완성된 제품으로서, 최종적으로 제품이 완성되었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단계만 남은 제품을 의미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완성도 여부를 시험하는 사용자 시점에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블록 104에서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이미지에 수치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로 제작된 제품의 스펙을 반영한 실제 제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에 제품의 실제 사이즈를 융합하여, 사이즈가 표시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압력을 시험하는 공정을 촬영한 사진에 제품이 견디는 압력을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블록 105에서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가상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제품 정보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여 완성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개시에 의하여 실제 제품 정보가 가상 제품 정보와 유사도가 높을수록 제작된 제품은 완성도가 높은 제품에 해당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품의 길이, 폭, 두께 및 경도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는 치수 검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접합부에 대한 누수 여부에 대한 오차 범위를 판단하는 누수 검사 단계,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압력 및 시간에 대한 오차 범위를 판단하는 압력 검사 단계 및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수압에 대한 오차 범위를 판단하는 수압 검사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 단계는 제품의 특성, 제품의 기능, 제품의 수량, 제품의 사이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한 블록 106에서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완성도 정보가 제 1 완성도 이상인 경우 정상 출고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이상이고 제 1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의 수정 정보를 생성하고,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이하인 경우 제품 폐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완성도의 범위는 정상 제품 정보에 해당할 수 있는 오차 범위 여부에 따라 정해지는 완성도의 범위로서, 제품이 제품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제작 상태가 정상적으로 제작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1 완성도 이상으로 판단하고, 제품의 식별정보, 길이, 폭, 규격, 두께, 강도, 경도, 파열 강도, He 시험 결과를 포함하는 정상 출고 정보를 제 1 전자 태그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태그는 극소형 칩에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로서, RFID, 바코드, QR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품의 시험 결과 제 1 전자 태그가 발급되는 경우, 제품의 생산자는 제품의 전자 태그를 태깅함으로써, 제품이 정상적으로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제작 상태가 제 1 완성도 이하이나 재공정을 통해 수정가능한 범위인 경우, 제 2 완성도 이상으로 판단하고, 제품의 식별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 공정 정보를 제 2 전자 태그로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제작 상태가 제 2 완성도 이하인 경우, 제품의 식별 정보, 오차 범위를 벗어난 제품의 스펙 정보 및 폐기 정보를 제 3 전자 태그로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작된 전자 태그를 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완성도를 시험한 결과를 전자 태그로 생성하여 제품에 부착함으로써, 손쉽게 제품의 출고 여부를 정리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블록 107에서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생성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완성도가 소정의 기준 이하에 해당하는 제품은 불량품으로 간주하고 출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소정의 기준을 이상에 해당하는 제품은 정상품으로 간주하고 출하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일정 공정을 다시 거치는 경우 정상 제품 범위로 들어갈 수 있는 제품에 대하여는 재공정을 통해 불량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작이 완료된 제품의 완성도를 시험하는 과정을 이미지와 수치로 표현하고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제품의 출하여부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를 실제 제품의 이미지에 투영하는 단계,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와 실제 제품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지점의 개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제품의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부분적으로 높이가 다른 제품에 라인스캔 LED를 조사하면, 조사 각도 및 부품의 상대적 위치에 의해 부품의 요철 부분에 조사되는 LED 라인이 꺾이면서 변곡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품의 부분별 치수 측정을 위해 변곡점과 변곡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정확한 치수 측정이 가능하며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가공 부품은 경우에 따라 난반사 회절 및 간섭을 유발할 수 있는 정제 되지 않은 메탈 재질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LED 스캔 라인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카메라 촬영 시 노출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제어하여 센터라인의 강한 빛 위주로 노출되면서, 선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형태로 조사한다. 조사 및 촬영한 컬러 원영상의 LED 스캔라인을 관찰하면 라인 자체에는 단색광 특유의 가간섭 성에 의해 반짝이는 모래알처럼 스페클(speckle)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전처리 단계에서 모폴로지 기법과 채널분리와 같은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LED 스캔라인을 측정할 수 있는 흑백(Gray level)영상을 얻는다.
일 개시에 따라 LED 스캔라인을 확대해서 보면 엣지 부분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거나, 균일하지 않은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변곡점 간 거리의 측정을 위해서 LED 스캔라인의 중심점 라인을 추출하여 거리를 측정한 후 이를 기준 치수와 비교하여 허용 오차를 초과하지 않으면 정상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을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치수 측정을 반복하고, 허용 오차를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작업 공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시계,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1)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제품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품을 검사하는 과정 및 작업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품의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센서, 기압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촬영한 이미지 및 센싱한 주변 환경 정보를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이미지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의 출하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출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공정을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환경 이미지를 매핑하여 검사 공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이 비정상적으로 제작되어 폐기되는 경우, 폐기되는 제품의 검사 공정 정보로부터 제품 폐기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복수의 폐기 원인 중 빈도가 높은 폐기 원인을 불량품 생산의 원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 폐기 원인이 제작 공정 중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품의 제작 공정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외형의 길이를 판단하는 중, 지속적으로 가로의 길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 측정되는 경우, 제품을 재단하는 공정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재단 공정에 포함된 공정 기계들을 점검할 것을 요청하는 경고 알림 및 경고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생성한 모니터링 정보를 서버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품의 수를 줄이고, 제품을 출고하기 위한 정확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모니터링 정보의 열람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모니터링 정보에 설정된 인증 권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정보는 생체 정보, ID/PASSWARD, 임시 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증 정보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외부 장치로 제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미리 등록된 서버, 단말,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스펙에 따른 제품의 가상의 이미지로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한 도 3은 제품의 출하검사성적서 중 1차 소재 검사를 수행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이 갖추어야할 스펙 및 오차 범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제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가상의 제품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실제 측정한 제품의 길이, 폭, 두께 및 경도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실제로 측정한 제품의 수치가 오차 범위내에 해당하는 경우, 해상 검사에 합격하였다는 인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가 생성한 출하검사성적서는 제품의 이름, 도면번호, 품명, 협력회사, 테스트 장소, 시험 측정일, 검사 장비명, 검사자 및 시험 검사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각 부분별로 검사가 필요한 수치를 측정하고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치수가 스펙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품의 수치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결과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실제 제품의 수치를 측정하는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출하검사성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품을 검사하는 과정을 촬영한 이미지를 첨부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를 시험한 결과에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수로 두께 검사에 따른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의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두께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품의 단면도, 투시도 등의 도면에 측정된 수치를 융합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압력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고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품이 견딜 수 있는 파열 압력은 공기압 및 수압이 있으며 각각의 시험기구를 이용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압력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압력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제품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면을 촬영한 이미지를 첨부함으로써, 제품의 시험 방식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실제 측정한 날의 환경 정보 등을 기록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를 시험한 결과 데이터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He 테스트기를 이용한 He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 데이터 및 수행 과정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한 과정을 첨부함으로써, He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평면도를 측정함에 따라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큰 사이즈의 제품을 부분적으로 검사하는 경우, 제품의 부분부분을 검사하는 이미지를 종합하여 검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7과 같은 데이터 결과값을 통해, 제품의 각 부분이 평면도 검사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업로드 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신뢰도 높은 결과 데이터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일 개시에 의한 제품의 외관을 판단함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검사해야하는 외관에 대한 검사 결과 신뢰값을 높이기 위하여, 제품의 사진을 촬영한 데이터를 서버로 업로드한 후,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외관으로부터 하자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일 개시에 의하여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한 외관의 정상 여부를 1차적으로 이용하고, 업로드 된 제품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외관의 정상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 검사에 대한 합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작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
101: 제품의 스펙 정보 및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102: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제작 공정에 따른 스펙 정보가 표시된 가상 제품 정보를 3차원 이미지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103: 제작이 완료된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104: 제품의 이미지에 수치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로 제작된 제품의 스펙을 반영한 실제 제품 정보를 생산하는 단계
105: 가상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제품 정보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여 정확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106: 정확도 정보가 제 1 정확도 이상인 경우 정상 출고 정보를 생성하고, 정확도 정보가 제 2 정확도 이상이고 제 1 정확도 미만인 경우 제품의 수정 정보를 생성하고, 정확도 정보가 제 2 정확도 이하인 경우 제품 폐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107: 생성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laims (8)

  1. 제품의 스펙 정보 및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제작 공정에 따른 스펙 정보가 표시된 가상 제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작이 완료된 상기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품의 이미지에 상기 수치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로 제작된 제품의 스펙을 반영한 실제 제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제 제품 정보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여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완성도 정보가 제 1 완성도 이상인 경우 정상 출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이상이고 제 1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의 수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 폐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생성된 완성도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를 상기 실제 제품의 이미지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와 상기 실제 제품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점의 개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의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품의 이미지 및 상기 제품의 수치를 측정하는 작업 환경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및
    상기 촬영한 이미지 및 센싱한 주변 환경 정보를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의 길이, 폭, 두께 및 경도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는 치수 검사 단계;
    상기 제품의 접합부에 대한 누수 여부에 대한 오차 범위를 판단하는 누수 검사 단계;
    상기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압력 및 시간에 대한 오차 범위를 판단하는 압력 검사 단계;및
    상기 제품이 견딜 수 있는 수압에 대한 오차 범위를 판단하는 수압 검사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프로세서;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제품의 스펙 정보 및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제작 공정에 따른 스펙 정보가 표시된 가상 제품 정보를 생성하고,
    제작이 완료된 상기 제품의 이미지 및 수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품의 이미지에 상기 수치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로 제작된 제품의 스펙을 반영한 실제 제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제 제품 정보의 오차 범위를 판단하여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완성도 정보가 제 1 완성도 이상인 경우 정상 출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이상이고 제 1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의 수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완성도 정보가 제 2 완성도 미만인 경우 제품 폐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완성도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품의 출하 여부를 결정하ㄱ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를 상기 실제 제품의 이미지에 투영하고 상기 가상 제품 정보의 이미지와 상기 실제 제품의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검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점의 개수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의 완성도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KR1020190129514A 2019-10-18 2019-10-18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4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514A KR102142264B1 (ko) 2019-10-18 2019-10-18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514A KR102142264B1 (ko) 2019-10-18 2019-10-18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264B1 true KR102142264B1 (ko) 2020-08-07

Family

ID=7204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514A KR102142264B1 (ko) 2019-10-18 2019-10-18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2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1353A (ja) * 2002-11-21 2004-06-17 Mazda Motor Corp 組立生産のための生産支援プログラム、生産支援方法及び生産支援システム
KR20150114097A (ko)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실시간 증착두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실시간 증착두께 모니터링 방법
KR20180120454A (ko) * 2017-04-27 2018-1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팩토리용 데이터 모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09342A (ko) 2016-06-15 2019-01-28 세미컨덕터 테크놀로지스 앤드 인스트루먼츠 피티이 엘티디 부품 픽업 작업 중에 픽업 헤드의 위치 및 힘을 자동으로 세팅, 교정 및 모니터링 또는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1353A (ja) * 2002-11-21 2004-06-17 Mazda Motor Corp 組立生産のための生産支援プログラム、生産支援方法及び生産支援システム
KR20150114097A (ko)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실시간 증착두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실시간 증착두께 모니터링 방법
KR20190009342A (ko) 2016-06-15 2019-01-28 세미컨덕터 테크놀로지스 앤드 인스트루먼츠 피티이 엘티디 부품 픽업 작업 중에 픽업 헤드의 위치 및 힘을 자동으로 세팅, 교정 및 모니터링 또는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20454A (ko) * 2017-04-27 2018-1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팩토리용 데이터 모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35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 coating thickness
JP4728822B2 (ja) 画像検査方法、画像検査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検査装置
KR20160054543A (ko) 표면 결함의 검출을 위한 검사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012500B2 (en) Storing data for re-measurement of objects using a recording machine vision system
TW201417002A (zh) 行動化建置產品履歷系統及產線作業之管控方法
de Araujo et al. Computer vision system for workpiece referencing in three-axis machining centers
CN102121907A (zh) 自动检测晶圆缺陷的方法和系统
Olu-lawal et al. The role of precision metrology in enhancing manufacturing quality: a comprehensive review
KR20060127532A (ko) 반도체 패키지의 마킹 검사 방법 및 그 검사 장치
US60263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imensions of sheet metal parts, and a sheet metal processing system which utilizes such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JP5218084B2 (ja) 検査方法
Domröse et al. Identification of process phenomena in DMLS by optical in-process monitoring
JP6802921B2 (ja) 加工物の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検査のためのシステムの機能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
KR102142264B1 (ko) 작업 공정에서 획득한 데이터의 완성도를 측정하여 제품의 출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20164937A1 (en) Manufacturing management method
CN101701792B (zh) 量块自动检定系统及检定方法
KR20080028278A (ko) 전기 회로 소자의 광학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2005283267A (ja) 貫通穴計測装置及び方法並びに貫通穴計測用プログラム
US20020131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vision inspection through platen
Tiscareño et al. Measurement procedure for application of white light scanner in the automotive sector
JP6767786B2 (ja) 測定支援システム及び測定支援方法
D’Emilia et al. Measurement uncertainty estimation of gap and profile in the automotive sector
CN112601634B (zh) 用于检验接合连接部的方法和设备
KR101523512B1 (ko) 자동 광학 검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Turner et al. Surface and Geometrical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s in Additive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