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738B1 -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738B1
KR102141738B1 KR1020180146418A KR20180146418A KR102141738B1 KR 102141738 B1 KR102141738 B1 KR 102141738B1 KR 1020180146418 A KR1020180146418 A KR 1020180146418A KR 20180146418 A KR20180146418 A KR 20180146418A KR 102141738 B1 KR102141738 B1 KR 10214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ensor
signal
occurrenc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068A (ko
Inventor
김철희
Original Assignee
김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희 filed Critical 김철희
Priority to KR102018014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7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재감지기의 가용성 열감지 센서는 파라핀으로 본체를 성형한 다음 외면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제조함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70℃ 정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의 파라핀이 녹으면서 접점이 떨어져 전원신호가 변화되면서 화재가 발생하였는 가를 1분 내지 2분의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을 수행하는 송신모듈로 전달되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의 수신모듈을 구비한 건물 내의 다른 화재감지기의 수신모듈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모든 화재감지기는 상기의 경보신호에 의하여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세라믹판의 진동이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에서 증폭되는 중에 진동제어편이 스프링의 탄성을 받으면서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안내방송이 불연재 부품을 통하여 고음으로부터 저음에 이르기까지 양질의 음성신호로 출력됨은 물론, 화재 시의 고열이나 물기 등 외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확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라핀으로 성형한 작은 가용성 본체의 외면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하여 가용성 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 가를 1분 내지 2분의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화재를 감지하거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모듈에서 인근의 다른 화재감지기에 전달하여 경보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압전 스피커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재 시의 높은 온도나 물기 등의 외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확성 기능을 수행하며 저음과 중음 및 고음의 전체 대역에서 고르게 음을 재생하는 피에조 압전 스피커를 통하여 안정되게 안내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빌딩, 아파트 등에는 건물의 요소요소에 화재감지기가 설치되어 있고, 화재감지기는 화재감지시 화재감지 신호를 수신기로 송출하여 건물 전체에 화재감지경보벨이 출력되도록 하여 건물 내 사람들이 신속히 대비할 수 있도록 화재감지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이에 반해, 일반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고가의 수신기를 구비한 화재감지스템을 설치하기 어려우므로 단독형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고 있다.
단독형 화재감지기는 전원부, 화재감지부, 부저회로부, CPU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독립적인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화재 감지시 부저회로부가 소정의 화재경보음을 출력하여 사람들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단독형 화재감지기는 단독주택 가정 내의 침실, 거실, 서재, 화장실 등에 각각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독형 화재감지기는 통신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 단독형 화재감지기가 작동하더라도 다른 장소에 설치된 단독형 화재감지기는 전혀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화재가 발생된 장소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실내공간에서 잠을 자고 있는 사용자들은 화재감지기의 부저경고음을 듣지 못하여 미처 대피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화재감지기는 감지방법에 따라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및 불꽃감지기로 구분할 수 있다.
열감지기는 다시 감지방식에 따라 차동식, 정온식, 보상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감지범위에 따라 스폿과 분포형으로, 감지소자에 따라 공기챔버식, 바이메탈식, 반도체식, 공기관식, 열전대식, 일반도체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연기감지기는 감지방식에 따라 이온화식, 광전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광전식감지기는 감지범위에 따라 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으로, 작동방식에 따라 산란광식, 감광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불꽃감지기는 감지방식에 따라 적외선식, 자외선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설치장소에 따라 옥내형과 옥외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주위온도가 일정 상승율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상기의 열감지기는 기준전압 발생부에서 기준 전압을 제공하여, 온도 감지부의 출력 전압과 비교할 때 전원 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함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오류없이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도록 하거나, 금속-절연체 상전이 현상을 기반으로 한 CTS는 온도가 70ㅁ2℃ 이상에서 절연체가 금속으로 상전이 되며, 이로 인해 저항의 크기가 급격히 감소하고, 감소된 저항의 값이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정확한 화재감지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화재감지를 위한 센서의 구성이 복잡하고 센서의 값을 인식하는 시간이 7분 이상으로 길어 화재가 발생하는 동시에 경보가 발해지지 않아 화재가 얼마간 확산된 후에야 피신할 수 있게 되어 연기에 의한 질식을 온전히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주위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한 구역의 연기에 의하여 광전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로 작동하는 상기의 연기감지기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검출하여 빨리 작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담배연기나 조리시에 발생하는 연기에 의해 불필요하게 작동하거나 특히 미세먼지 등에 의해 오염된 공기로 인해 수시로 경보를 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의 변화가 일정량 이상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한 구역의 자외선에 의하여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의 불꽃감지기는 전자파 또는 온열기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에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며 불꽃감지시 화재 초기의 적절한 대처를 위한 현장 상황 정보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화재감지기를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바, 밀폐된 상태의 용기 내부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자부품들의 오류가 발생하거나 연결부위에 오류가 발생하게 되어 정작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반 영구적인 특성을 가진 화재감지기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확성기(스피커)는 영구자석(자계)에 무빙코일(보이스코일)로 증폭기의 음성 출력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콘 페이퍼(진동판)에 조합하여 소리를 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확성기(스피커)는 화재 발생시 온도와 습기에 매우 취약하고, 특히 열에 보빈코일이 늘어나거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면 진동 저항에 따른 과전류 요인으로 비상방송장치인 앰프(증폭기)에 있는 퓨즈(FUSE)가 단락된다.
앰프의 퓨즈가 단락되면, 앰프에 연결된 건물 내부의 모든 스피커(보통 30~100개)의 작동이 중단되어 비상 방송을 할 수 없어 많은 인명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파라핀으로 성형한 작은 가용성 본체의 외면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하여 가용성 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 가를 1분 내지 2분의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화재를 감지하거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모듈에서 인근의 다른 화재감지기에 전달하여 경보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압전 스피커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재 시의 높은 온도나 물기 등의 외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확성 기능을 수행하며 저음과 중음 및 고음의 전체 대역에서 고르게 음을 재생하는 피에조 압전 스피커를 통하여 안정되게 안내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는,
하나의 건물에 다수의 화재감지기를 각각 설치하여 전원신호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화재감지기의 가용성 열감지 센서는 파라핀에 한계온도(임계 상태에 도달하는 온도) 조절을 위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하면서 작은 가용성 원통 또는 다각기둥으로 성형한 다음 외면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제조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접속된 상태(NC, normal close)를 유지하다가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70℃ 정도에 도달하게 되면 가용성 열감지 센서의 파라핀이 녹으면서 접점이 떨어진 상태(NO, normal open)로 되어 전원신호가 변화되면서 화재가 발생하였는 가를 1분 내지 2분의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모듈로 전달되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의 수신모듈을 구비한 건물 내의 다른 화재감지기의 수신모듈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모든 화재감지기는 상기의 경보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피에조 압전 스피커로 전달하고,
피에조 압전 스피커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세라믹판의 진동이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에서 1차 증폭된 후 다시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에서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진동판의 진동이 진행되는 중에 지지판에 지지된 진동제어편이 스프링의 탄성을 받으면서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안내방송이 불연재인 세라믹판과 제1 및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을 통하여 고음으로부터 저음에 이르기까지 양질의 음성신호로 출력됨은 물론, 소재의 특성에 의하여 화재 시의 높은 온도나 물기 등의 외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확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에 의하여서는 상기 화재감지기의 가용성 열감지 센서는 파라핀에 한계온도(임계 상태에 도달하는 온도) 조절을 위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하면서 작은 가용성 원통 또는 다각기둥으로 성형한 다음 외면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제조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접속된 상태(NC, normal close)를 유지하다가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가 70℃ 정도에 도달하게 되면 가용성 열감지 센서의 파라핀이 녹으면서 접점이 떨어진 상태(NO, normal open)로 되어 전원신호가 변화되면서 화재가 발생하였는 가를 1분 내지 2분의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모듈로 전달되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의 수신모듈을 구비한 건물 내의 다른 화재감지기의 수신모듈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모든 화재감지기는 상기의 경보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피에조 압전 스피커로 전달하여 세라믹판의 진동이 제1 및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에서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진동판의 진동이 진행되는 중에 지지판에 지지된 진동제어편이 스프링의 탄성을 받으면서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안내방송이 불연재인 세라믹판과 제1 및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을 통하여 고음으로부터 저음에 이르기까지 양질의 음성신호로 출력됨은 물론, 소재의 특성에 의하여 화재 시의 높은 온도나 물기 등의 외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확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재감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컨트롤러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피에조 압전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피에조 압전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건물(100)에 다수의 화재감지기(1)...(1n)를 각각 설치하여 전원신호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각 화재감지기(1)의 내부에는 가용성 열감지 센서(10)를 내장하여 케이스(2)에 형성한 다수의 구멍(3)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통해 실내의 온도가 70℃에 도달하게 되는 가의 여부로 화재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용성 열감지 센서(10)로 전원신호를 공급하면서 접속된 상태가 NC(normal close)에서 NO(normal open)로 변환되는 가의 여부로 컨트롤러(20)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하도록 하고,
화재의 발생을 인식한 상기의 컨트롤러(20)는 경보신호를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30)의 송신모듈(31)로 경보신호를 어드레스신호와 같이 출력하여 건물(100) 내의 다른 화재감지기(1n)의 무선 데이터 통신부(30)의 수신모듈(32)을 통해 화재의 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모든 화재감지기(1)...(1n)의 컨트롤러(20)는 상기의 경보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메모리(21)에 저장된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피에조 압전 스피커(40)에서 확성된 음성을 들으면서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가용성 열감지 센서(10)의 두 접점(11)(12) 사이에는 센서(13)를 삽입하여 접속된 상태(NC, normal close)에서 전원신호가 흐르도록 하고,
저면의 알루미늄 재질의 케이스(2)의 구멍(3)을 통하여 실내의 온도를 전달받으면서 직접 전달되는 열과 내부 공기의 팽창하는 열에 의하여 화재감지기(1)의 내부 온도가 70℃ 정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센서(13)가 녹으면서 접점(11)(12)이 떨어진 상태(NO, normal open)로 변화되어 전원신호가 흐르지 않아 화재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의 센서(13)는 파라핀에 임계온도 조절을 위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하면서 작은 가용성 원통 또는 다각기둥으로 성형한 다음 외면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가용성 원통 또는 다각기둥(14)의 외면에 도전체(15)를 구비한 구조로 제조하고,
상기 컨트롤러(20)의 전원신호가 센서(13)를 거쳐 분할저항(R1)(R2)을 통하여 PNP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동시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PNP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와 콜렉터를 통해 흐르는 전원신호가 "H"인 가의 여부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인식하도록 하고,
가용성 열감지 센서(10)의 내부 온도가 70℃ 정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센서(13)가 녹아 센서(13)의 접점(11)(12)으로 전원신호가 흐르지 않아 화재감지기(1)...(1n)...의 접점이 접속된 상태(NC, normal close)에서 떨어진 상태(NO, normal open)로 변화하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도록 하고,
화재의 발생을 인식한 화재감지기(1)...(1n)의 컨트롤러(20)는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30)로 전송하여 송신모듈(31)을 통하여 건물(100) 내의 다른 화재감지기(1)...(1n)로 전달되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30)의 수신모듈(32)로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에조 압전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인가된 전류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양면에 은(Ag)을 도금한 압전소자인 세라믹판(41)은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의 한면에 도전성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의 외주연이 절곡된 접합면(43)을 통하여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4)의 내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4)의 내면 외주연에 금속 프레임(45)의 끝단에 절곡 형성한 접합면(46)을 통하여 접합에 의해 부착하고,
상기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에 부착한 상기 세라믹판(41) 상에 전극판(47)을 부착하여 양(+)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세라믹판(41)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45)의 후면부 중앙에는 지지판(48)을 부착하여 진동제어편(50)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상기 세라믹판(41)의 전극판(47)에 끝단이 접촉하는 중에 스프링(51)에 의한 탄성력을 갖도록 볼트(52)(53)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모든 화재감지기(1)...(1n)의 컨트롤러(20)는 상기의 경보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메모리(21)에 저장된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앰프(22)를 통하여 피에조 압전 스피커(40)의 상기 세라믹판(41)의 전극판(47)에는 양(+)의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면서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에는 음(-)의 전기적 신호를 각각 공급하여 고음에서 저음까지 양질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는,
하나의 건물(100)에 다수의 화재감지기(1)...(1n)를 각각 설치하여 전원신호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각 화재감지기(1)의 내부에는 가용성 열감지 센서(10)를 내장하여 케이스(2)에 형성한 다수의 구멍(3)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통해 실내의 온도가 70℃에 도달하게 되는 가의 여부로 화재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가용성 열감지 센서(10)의 두 접점(11)(12) 사이에는 센서(13)를 삽입하여 접속된 상태(NC, normal close)에서 전원신호가 흐르도록 한다.
저면의 알루미늄 재질의 케이스(2)의 구멍(3)을 통하여 실내의 온도를 전달받으면서 직접 전달되는 열과 내부 공기의 팽창하는 열에 의하여 화재감지기(1)의 내부 온도가 70℃ 정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센서(13)가 녹으면서 접점(11)(12)이 떨어진 상태(NO, normal open)로 변화되어 전원신호가 흐르지 않아 화재의 발생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센서(13)는 파라핀에 임계온도 조절을 위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하면서 작은 가용성 원통 또는 다각기둥으로 성형한 다음 외면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가용성 원통 또는 다각기둥(14)의 외면에 도전체(15)를 구비한 구조로 제조한다.
그러므로 상기 컨트롤러(20)의 전원신호가 센서(13)를 거쳐 분할저항(R1)(R2)을 통하여 PNP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동시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PNP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와 콜렉터를 통해 흐르는 전원신호가 "H"인 가의 여부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 가용성 열감지 센서(10)의 내부 온도가 70℃ 정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센서(13)가 녹아 센서(13)의 접점(11)(12)으로 전원신호가 흐르지 않아 화재감지기(1)...(1n)...의 접점이 접속된 상태(NC, normal close)에서 떨어진 상태(NO, normal open)로 변화하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화재의 발생을 인식한 화재감지기(1)...(1n)의 컨트롤러(20)는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30)로 전송하여 송신모듈(31)을 통하여 건물(100) 내의 다른 화재감지기(1)...(1n)로 전달되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30)의 수신모듈(32)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모든 화재감지기(1)...(1n)의 컨트롤러(20)는 상기의 경보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메모리(21)에 저장된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앰프(22)를 통하여 피에조 압전 스피커(40)의 상기 세라믹판(41)의 전극판(47)에는 양(+)의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면서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에는 음(-)의 전기적 신호를 각각 공급하여 고음에서 저음까지 양질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인가된 전류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양면에 은(Ag)을 도금한 압전소자인 세라믹판(41)은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의 한 면에 도전성 접착제로 부착하여 세라믹판(41)의 진동이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에서 1차 증폭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의 외주연이 절곡된 접합면(43)을 통하여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4)의 내면에 부착하여 다시 세라믹판(41)의 진동이 2차 증폭되도록 한다.
상기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4)의 내면 외주연에 금속 프레임(45)의 끝단에 절곡 형성한 접합면(46)을 통하여 접합에 의해 부착하고, 상기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에 부착한 상기 세라믹판(41) 상에 전극판(47)을 부착하여 양(+)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세라믹판(41)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 금속 프레임(45)의 후면부 중앙에는 지지판(48)을 부착하여 진동제어편(50)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상기 세라믹판(41)의 전극판(47)에 끝단이 접촉하는 중에 스프링(51)에 의한 탄성력을 갖도록 볼트(52)(53)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에는 불연재인 상기 세라믹판(41)과 상기 제1 및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44)을 통하여 고음으로부터 저음에 이르기까지 양질의 음성신호로 출력되게 되는데, 상기 진동제어편(50)에서 상기 세라믹판(41)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귀에 거슬리는 고역대역의 주파수는 제어하는 반면에 저역대역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개선시켜 고음에서 저음까지 양질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모든 화재감지기(1)...(1n)의 컨트롤러(20)는 상기의 경보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메모리(21)에 저장된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앰프(22)를 통하여 피에조 압전 스피커(40)의 상기 세라믹판(41)의 전극판(47)에는 양(+)의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면서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에는 음(-)의 전기적 신호를 각각 공급하여 고음에서 저음까지 양질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1n : 화재감지기 2 : 케이스
3 : 구멍 10 : 가용성 열감지 센서
20 : 컨트롤러 21 : 메모리
22 : 앰프 30 :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
31 : 송신모듈 32 : 수신모듈
40 : 피에조 압전 스피커

Claims (3)

  1. 삭제
  2. 하나의 건물(100)에 다수의 화재감지기(1)...(1n)를 각각 설치하여 전원신호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각 화재감지기(1)의 내부에 내장한 가용성 열감지 센서(10)를 통하여 화재의 발생을 인식한 컨트롤러(20)는 경보신호를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30)의 송신모듈(31)로 경보신호를 어드레스신호와 같이 출력하여 건물(100) 내의 다른 화재감지기(1n)의 무선 데이터 통신부(30)의 수신모듈(32)을 통해 화재의 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의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모든 화재감지기(1)...(1n)의 컨트롤러(20)는 상기의 경보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메모리(21)에 저장된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의 음성안내 방송메시지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피에조 압전 스피커(40)에서 확성된 음성을 들으면서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한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열감지 센서(10)의 두 접점(11)(12) 사이에는 센서(13)를 삽입하여 접속된 상태(NC, normal close)에서 전원신호가 흐르도록 하고,
    저면의 알루미늄 재질의 케이스(2)의 구멍(3)을 통하여 실내의 온도를 전달받으면서 직접 전달되는 열과 내부 공기의 팽창하는 열에 의하여 화재감지기(1)의 내부 온도가 70℃ 정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센서(13)가 녹으면서 접점(11)(12)이 떨어진 상태(NO, normal open)로 변화되어 전원신호가 흐르지 않아 화재를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의 센서(13)는 파라핀에 임계온도 조절을 위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하면서 작은 가용성 원통 또는 다각기둥으로 성형한 외면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작은 가용성 원통 또는 다각기둥(14)의 외면에 도전체(15)를 제조하고,
    상기 컨트롤러(20)의 전원신호가 센서(13)를 거쳐 분할저항(R1)(R2)을 통하여 PNP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동시에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PNP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와 콜렉터를 통해 흐르는 전원신호가 "H"인 가의 여부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인식하도록 하고,
    가용성 열감지 센서(10)의 내부 온도가 70℃ 정도까지 도달하게 되면, 센서(13)가 녹아 센서(13)의 접점(11)(12)으로 전원신호가 흐르지 않아 화재감지기(1)(1n)...의 접점이 접속된 상태(NC, normal close)에서 떨어진 상태(NO, normal open)로 변화하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도록 하고,
    화재의 발생을 인식한 화재감지기(1)...(1n)의 컨트롤러(20)는 화재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30)로 전송하여 송신모듈(31)을 통하여 건물(100) 내의 다른 화재감지기(1)...(1n)로 전달되어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부(30)의 수신모듈(32)로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의 피에조 압전 스피커는,
    인가된 전류에 대응하여 진동하며 양면에 은(Ag)을 도금한 압전소자인 세라믹판(41)은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의 한면에 도전성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의 외주연이 절곡된 접합면(43)을 통하여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4)의 내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4)의 내면 외주연에 금속 프레임(45)의 끝단에 절곡 형성한 접합면(46)을 통하여 접합에 의해 부착하고,
    상기 제1 금속 다이아프램 진동판(42)에 부착한 상기 세라믹판(41) 상에 전극판(47)을 부착하여 양(+)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세라믹판(41)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45)의 후면부 중앙에는 지지판(48)을 부착하여 진동제어편(50)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상기 세라믹판(41)의 전극판(47)에 끝단이 접촉하는 중에 스프링(51)에 의한 탄성력을 갖도록 볼트(52)(53)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KR1020180146418A 2018-11-23 2018-11-23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KR10214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18A KR102141738B1 (ko) 2018-11-23 2018-11-23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18A KR102141738B1 (ko) 2018-11-23 2018-11-23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68A KR20200061068A (ko) 2020-06-02
KR102141738B1 true KR102141738B1 (ko) 2020-08-05

Family

ID=7109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418A KR102141738B1 (ko) 2018-11-23 2018-11-23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6853A (zh) * 2021-12-22 2022-04-12 江苏英格菲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调节机构的温控器
KR102401785B1 (ko) * 2021-12-27 2022-05-26 태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제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365A (ja) * 1998-09-09 2000-03-31 Nippon Signal Co Ltd:The 火災検知装置
JP2009205593A (ja) * 2008-02-29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警報器
KR101790303B1 (ko) * 2017-03-22 2017-10-26 주식회사 로제타텍 무선 화재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365A (ja) * 1998-09-09 2000-03-31 Nippon Signal Co Ltd:The 火災検知装置
JP2009205593A (ja) * 2008-02-29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警報器
KR101790303B1 (ko) * 2017-03-22 2017-10-26 주식회사 로제타텍 무선 화재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68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738B1 (ko) 양방향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한 음성경보용 화재감지기
US7994928B2 (en) Multifunction smoke alarm unit
US20120106128A1 (en) Audio lamp
WO2019051294A1 (en) DYNAMIC CALCUL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CN108305430B (zh) 一种火灾预警系统
KR100532452B1 (ko) 음성신호 재생 시스템 및 음성신호 재생방법
JP5474361B2 (ja) 警報装置
TW201501544A (zh) 耳機音頻輸出控制電路
Ottoy et al. A low-power MEMS microphone array for wireless acoustic sensors
KR102363478B1 (ko) 공기오염 측정 센서와 공기조화 장치를 이용한 스피커 시스템
JP2016052049A (ja) 音環境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環境制御システム
US2017008559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same
KR102387394B1 (ko) 환경 센서 모니터링을 이용한 스피커 매트릭스 시스템을 구비한 학교 방송 장비와 연동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CN108347288B (zh) 一种灾害预警广播的故障检测方法及检测系统
WO2021255095A1 (en) A sound output unit and a method of operating it
KR101807701B1 (ko) 스피커 제어 시스템
US20210185445A1 (en) Method for Balancing Audio Channels Using UWB Geolocation
Mapp Potential audibility of ultrasonic signal monitoring of Public Address and Life Safety Sound Systems
JP5225712B2 (ja) 警報器
JP5075898B2 (ja) 警報器
JP2002312866A (ja) 音量調整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端末装置
EP4009298A1 (en) Sounder dynamic volume adjustment
KR102045183B1 (ko) 엠프 보호시스템.
US20070041598A1 (en) System for location-sensitive reproduction of audio signals
US7245226B1 (en) Integrated microprocessor controlled al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