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708B1 - 유량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 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1708B1 KR102141708B1 KR1020180148226A KR20180148226A KR102141708B1 KR 102141708 B1 KR102141708 B1 KR 102141708B1 KR 1020180148226 A KR1020180148226 A KR 1020180148226A KR 20180148226 A KR20180148226 A KR 20180148226A KR 102141708 B1 KR102141708 B1 KR 1021417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shaft
- inlet
- flow control
- he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경우 밸브의 개구부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와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1밸브바디, 상기 제1밸브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중공에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이너바디, 상기 이너바디를 관통하도록 상기 이너바디의 상기 중공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측 종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제1밸브부; 상기 샤프트의 승강 및 하강 방향인 제1방향의 연장선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하강시 폐쇄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승 정도에 따라 개방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가 끼움결합되고 분기배관과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제2밸브바디를 구비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1밸브바디, 상기 제1밸브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중공에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이너바디, 상기 이너바디를 관통하도록 상기 이너바디의 상기 중공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측 종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제1밸브부; 상기 샤프트의 승강 및 하강 방향인 제1방향의 연장선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하강시 폐쇄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승 정도에 따라 개방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가 끼움결합되고 분기배관과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제2밸브바디를 구비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경우 밸브의 개구부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와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물과 같은 유체를 이용하는 경우 주배관으로 유체를 공급하고 이를 분기배관을 통해 분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다. 이러한 분배 방식은 상수도, 온수배관과 같이 다양한 곳에 이용된다.
이를 위해, 주 배관에서는 분기배관과의 분기배관의 연결을 위한 분배관을 구비하고, 분배관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러한 밸브들은 통상적으로 핸들에 의해 개도를 조절하여 분배관 각각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핸들은 사용자가 직접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하고,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기도 한다.
이러한 밸브들은 분기배관과 분배관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경우도 있지만, 형태에 따라서는 분배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수단이 분배관 내부에 마련되도록 하는 현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들은 유량 조절이 원활하지 않거나, 유량 조절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분배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식의 밸브에서는 분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밸브부와 분기배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밸브부를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경우 밸브의 개구부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와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한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량 조절 밸브를 분배관에 설치할 때, 관통홀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되는 유량조절 실패를 방지하도록 축선이 불일치된 밸브의 개도 조절이 가능한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1밸브바디, 상기 제1밸브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중공에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이너바디, 상기 이너바디를 관통하도록 상기 이너바디의 상기 중공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측 종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제1밸브부; 상기 샤프트의 승강 및 하강 방향인 제1방향의 연장선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하강시 폐쇄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승 정도에 따라 개방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가 끼움결합되고 분기배관과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제2밸브바디를 구비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경우 밸브의 개구부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와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는 유량 조절 밸브를 분배관에 설치할 때, 관통홀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되는 유량조절 실패를 방지하도록 축선이 불일치된 밸브의 개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와 분배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의 단면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 조절 밸브에 사용되는 헤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의 단면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 조절 밸브에 사용되는 헤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와 분배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는 분배관(P)에 결합된다. 이러한 유량 조절밸브(100)는 제1밸브부(1)와 제2밸브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밸브부(1)는 분배관(P)의 일측에 관통결합되어, 제2밸브부(60)로의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한다.
제2밸브부(60)는 분배관(P)의 타측에 관통결합된다. 이 제2밸브부(60)는 분기배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유체가 분기배관으로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밸브부(60)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양의 제1밸브부(1)에 의해 조절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의 단면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는 제1밸브부(1)와 제2밸브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밸브부(1)는 샤프트(30)의 이동에 따라 샤프트(30)에 결합된 헤드부(40)가 제2밸브부(60)의 유입부(70)를 개폐함으로써 제2밸브부(60)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1밸브부(1)는 제1밸브바디(10), 이너바디(20), 샤프트(30), 헤드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밸브바디(10)는 제1밸브부(1)를 분배관(P)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제1밸브바디(10)는 내부에 중공(8)이 형성되어, 샤프트(30)가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샤프트(30)가 결합된 이너바디(2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밸브바디(10)는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밸브바디(10)는 분배관(P)의 일측에 분배관(P)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밸브바디(10)의 일부는 분배관(P) 내부에 배치되기 위해 외부에 남겨지는 부분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 제1밸브바디(10)는 분배관(P)과의 결합시 분배관(P)에 형성된 홀을 밀폐하기 위해 접촉부위에 개스킷 또는 오링(6)이 마련된다. 또한, 외주연에는 다른 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9)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나사산(9)에는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밸브바디(10)의 외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밸브바디(10)는 분배관(P)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밸브바디(10)의 내부에는 이너바디(20)와 샤프트(30)가 결합된다. 샤프트(30)는 헤드부(40) 및 이너바디(20)와 결합되어, 이너바디(20)에 의해 제1밸브바디(1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밸브바디(10)는 내부에 이너바디(2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산(7)은 견고하고 기밀한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기밀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다른 형태의 결합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밸브바디(10)는 내부에 단턱(4)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4)은 이너바디(20)의 결합깊이를 제한하며, 분배관(P)의 유체가 제1밸브부(1)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단턱(4)에는 디스크(25)가 이너바디(20)와 결합되어 안착된다.
이너바디(20)는 샤프트(30)가 제1밸브부(10) 및 분배관(P)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밸브바디(10)에 샤프트(30)를 결합시키고, 분배관(P)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이너바디(20)도 중공(29)이 형성되고, 중공(29)에는 샤프트(3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이너바디(20)의 중공(29)은 샤프트(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중공(29)의 일 부분에는 립(23)이 형성된다. 립(23)은 중공(29)에 비해 작은 직경의 중공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 중공(29)과 샤프트(30)의 외주연 사이에는 부싱(24)이 배치된다. 이러한 립(23)은 부싱(24)을 지지함과 아울러, 단턱을 형성하여 스프링(26)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싱(24)은 샤프트(30)의 승강 또는 하강시 승강 또는 하강 방향에 마진을 두기 위해 마려된다. 구체적으로 밸브는 샤프트(30)가 하강하여 헤드부(40)가 제2밸브부(60)에 결합됨으로써 유량을 조절하는데 이러한 제1밸브부(1)와 제2밸브부(60)의 위치가 정렬되지 않고 어긋난 상태로 분배관(P)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샤프트(30)의 승강 또는 하강 축선에 어긋나게 제2밸브부(60)가 분배관(P)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긋나게 배치된 제2밸브부(60)와 헤드부(40)가 결합될 수 있도로, 샤프트(30)의 승가 또는 하강이 사선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부싱(24)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부싱(24)은 합성수지, 천연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부싱(24)은 디스크(25)와 샤프트(30)의 접촉부위도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너바디(20)의 외면에는 제1밸브바디(10)의 나사산(7)과 결합을 위한 나사산(21)이 현성될 수 있다. 또한, 이너바디(20)와 제1밸브바디(10)의 결합부위에는 밀폐를 위한 오링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밸브바디(30)의 단턱(28)에 배치되어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이너바디(20)에 의해 가압되어, 단턱(28) 및 이너바디(20)의 표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25)의 중앙에는 샤프트(3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샤프트(30)는 헤드부(40)와 결합하여 핸들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써 헤드부(40)를 제2밸브바디(60)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샤프트(30)는 이너바디(20)에 형성되는 중공(29)을 관통하도록 이너바디(20)에 결합된다.
샤프트(30)는 외부로 돌출된 일측 종단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헤드부(40)를 제1밸브바디(10)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승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샤프트(30)는 스프링(26)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샤프트(30)의 일측 종단에는 제1스냅링(27a)과의 결합을 위한 홈(31)이 마련되며, 홈(31)에 제1스냅링(27a)이 끼움결합된다. 스프링(26)은 제1스냅링(27a)과 립(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샤프트(30)의 하강 즉, 헤드부(40)가 제2밸브바디(6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되고, 반대의 경우 복원되어 샤프트(30)를 상승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스냅링(27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바디(20)의 중공 입구(22) 부분에 배치된다. 한편, 샤프트(30)에는 제2스냅링(27b)이 결합될 수 있다. 이 제2스냅링(27b)은 샤프트(30)의 상승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스냅링(27b)은 샤프트(30)의 최대 상승높이에서 디스크(25)와 접촉하도록 디스크(25)와 헤드부(40) 사이에서 샤프트(30)에 결합된다.
한편, 샤프트(30)의 타측 종단에는 헤드부(4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샤프트(30)의 타측 종단은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30)가 헤드부(4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헤드부(40)은 샤프트(3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직경의 변화를 통해 샤프트(30)의 타측 종단에는 단턱(33)이 형성된다. 이 단턱(33)은 헤드부(40)가 제2밸브바디(60)와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되는 경우 샤프트(30)를 따라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부(40)는 샤프트(30)의 타측 종단에 결합되어 샤프트(30)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한다. 이러한 헤드부(40)는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제2밸브부(60)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유량의 분배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헤드부(4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한다.
제2밸브부(60)는 분배관(P)의 타측에 결합되어 분배관(P)과 분기배관(미도시)를 연결한다. 이 제2밸브부(60)는 제1밸브부(1)의 헤드부(40)의 하강 및 승강에 따라 유입되는 유량이 조절된다.
이를 위해 제2밸브부(60)는 헤드부(40)가 하강했을 때 제2밸브부(60)의 유입구(71)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제1밸브부(1)와 축선이 일치되게 분배관(P)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밸브부(60)는 밸브바디(61)와 유입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밸브부(60)의 밸브바디(61)는 분배관(P)에 제2밸브부(60)를 고정하면서, 분기배관과의 연결을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밸브바디(61)는 일측에서 유입부(7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에 분기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밸브바디(61)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중공이 마련된다. 이러한 밸브바디(61)의 일측 중공에는 내부 나사산(67)이 형성되며, 이 내부 나사산(67)에 의해 유입부(70)와 결합된다. 이 내부나사산(67)이 마련된 밸브바디(61)의 일측 종단에는 오링(73)과 같은 가스킷의 결합을 위한 단턱부가 마련되면, 밸브바디(61)와 유입부(70)가 결합된 후 이 단턱에 오링(73)이 삽입되어 연결부위의 기밀성을 보정하게 된다.
밸브바디(61)의 타측 종단에는 유체가 분기배관으로 배출되는 노즐(63)이 마련된다. 노즐(63)은 분기배관과의 결합시 분기배관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노즐(63)의 종단에는 분기배관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을 제공하는 걸림턱(65)이 마련된다.
또한, 밸브바디(61)의 타측 종단에는 노즐(63)과의 사이에 분기배관이 끼워지도록 삽입부(64)가 마련된다. 이 삽입부(64)는 노즐(63)로부터 분기배관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단면 형태가 노즐(63)과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64)의 외부에는 외부 나사산(62)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분기배관을 가압하여, 분기배관과 밸브바디(61)를 결합시키게 된다.
유입부(70)는 밸브바디(61)의 내측에 결합되어 분배관(P)에 결합된다. 이 유입부(70)는 헤드부(40)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유입부(70)도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중공이 마련되며, 외부에 밸브바디(61)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구(71)의 입구에 해당하는 유입구에는 헤드부(4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를 통해, 유입구(71)를 헤드부(40)가 폐쇄하거나 개방하여 유체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량 조절 밸브는 제1 및 제2밸브부(1, 60)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을 분배관(P)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 및 제2밸브부(1, 60)의 축선이 불일치되더라도, 헤드부(40)가 제2밸브부(60)에 접촉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낟. 이는 샤프트(30)가 부싱(24)에 의해 승강 및 하강 방향에 대해 유격을 가지게 됨으로써 가능해지게 된다. 때문에, 작업과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분배관(P)을 폐기하지 않고 이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유량 조절을 정확히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밸브(100)는 제1밸브부(101)와 제2밸브부(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밸브부(101)는 제1밸브바디(110)와 이너바디(120), 샤프트(130) 및 헤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밸브부(160)는 밸브바디(161)과 유입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밸브(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유입부(170)가 제1밸브바디(110)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점이 차이점이다.
즉, 제1밸브바디(110)가 연장되어 유입부(170)를 형성하고, 이 유입부(170)가 제2밸브바디(60)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밸브바디(110)에는 유입부(170)와 제1밸브바디(110)를 연결하기 위해 신장되는 연결부(110b)가 마련된다. 또한, 유입부(170)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181)이 마련된다. 이러한 통공(181)은 유입부(170)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충분하 유량이 유입부(170)를 통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 조절 밸브에 사용되는 헤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헤드부의 사시도이고, (b)는 헤드부를 절개하여 펼친 형태를 도시한 평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헤드부(40, 140)는 샤프트(30, 130)의 종단에 결합되어, 샤프트(30, 130)에 의해 제2밸브부(60, 160)로 하강하거나, 제2밸브부(60, 160)로부터 상승에 의해 이격된다. 이를 통해, 헤드부(40, 140)가 제2밸브부(60, 160)의 유입구(71, 171)를 개방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분기배관으로 흐르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헤드부(40, 14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헤드부(40, 140)는 샤프트(30, 130)와의 결합을 위한 샤프트 삽입부(45)가 형성된다. 이 샤프트 삽입부(45)에는 헤드부(40, 140)의 상부(도면에서 윗부분)로 부터 하부를 잇도록 헤드부(40, 140)의 헤드바디(44)를 관통하여 중앙에 홀(46)이 형성된다. 이 홀(46)에 샤프트(30, 130)의 종단이 끼움결합되어 샤프트(30, 130)와 헤드부(40, 140)가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바디(44)의 상부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43)는 헤드바디(44)의 직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고, 유입구(71, 171)의 직경에 비해서도 크게 형성된다. 이 돌출부(43)는 헤드부(40, 140)와 제2밸브부(60, 160)가 밀착하는 경우 유입구(71, 171) 밀폐하는 뚜껑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돌출부(43)의 아래에는 돌출부(43)를 따라 안착부(42)가 마련된다. 이 안착부(42)는 오링이 끼워지는 곳으로, 돌출부(43)에 의해 유입구(71, 171)가 폐쇄되는 경우 오링(41)에 의해 기밀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한편, 헤드바디(44)의 측면에는 복수의 조절홈(47)이 마련된다.
이 조절홈(47)은 헤드부(40, 140)와 유입부(70, 170)의 결합 깊에 따라 유체가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조절홈(47)은 첨두부(47a)와 밑부(47b)로 구성된다. 첨두부(47a)는 대략 일정한 폭으로 짧게 형성되고, 첨두부(47a)의 하단에서 밑부(47b)가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게 밑부(47b)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폐쇄상태에서 헤드부(40, 140)가 상승하게 되면 돌출부(43)가 유입구(71, 171)와 떨어지게 되고, 헤드부(40, 140)의 첨두부(47a)가 노출된다. 이를 통해 유체가 첨두부(47a)를 통해 소량 유입되면서 헤드부(40, 140)가 상승을 지속하는 경우 점차 밑부(47b)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밑부(47b)가 점직적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체의 유입 유량 헤드부(40, 140)의 상승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홈(47)은 복수로 형성된다. 도 4의 (b)에서와 같이 각 조절홈(47)의 첨두 높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40, 140)가 상승하면서 제1조절홈(A)의 첨두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더라독 다른 조절홈(B, C, D)의 첨두(47a)는 여전히 유입부(7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조절홈(B, C, D)의 형성위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의 유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고, 유체의 유입량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유입되는 유량의 조절을 위해 헤드부(40, 140)를 유입구(71, 171)로부터 상승시키는 경우 조절홈(A 내지 D)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조절홈(A 내지 D)이 동시에 개방되어 각 조절홈(A 내지 D)를 통해 유체가 동시에 유입된다. 이러한 유체의 유입은 헤드부(40, 140) 및 분기배관 내부에서 충돌과 진동에 의해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조절홈(A 내지 D)의 첨두(47a)의 위치와 밑부(47b)의 위치를 조절홈(A 내지 D) 별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조절홈(47)이 순차적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유량이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유체의 부딪침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와 분배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분배관에 설치되어 분배관(P)과 분기배관을 연결하면서, 분기배관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분배관(P)에 유량조절밸브의 설치를 위한 홀이 형성되고, 홀을 통해 분배관(P)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때문에 밸브바디(97)의 표면이 원통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분배관(P)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밸브바디(97)가 회전을 하게 되어 누수, 분기배관과의 분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밸브바디(97)와 분배관(P)의 결합부위에 결합부(99)가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99)는 밸브바디(97)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둘레가 크게 형성된다. 즉 밸브바디(97)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밸브바디(97)와 동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이 결합부(99)의 일부는 절삭되어 절삭면(9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삭면(98)은 결합부(99)가 분배관(P)의 홀에 끼워지는 경우 회전이 되지않도록 하여 유량 조절밸브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분배관(P)은 이 결합부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101: 제1밸브부 6, 106: 오링
10, 110: 밸브바디 20, 120: 이너바디
21, 121: 나사산 22, 122: 중공 입구
23, 123: 립 24, 124: 부싱
25, 125: 디스크 26, 126: 스프링
27, 127: 스냅링 28, 128: 단턱
30, 130: 샤프트 40, 140: 해드부
60, 160: 제2밸브부 61, 161: 밸브바디
64, 164: 삽입부 70, 170: 유입부
10, 110: 밸브바디 20, 120: 이너바디
21, 121: 나사산 22, 122: 중공 입구
23, 123: 립 24, 124: 부싱
25, 125: 디스크 26, 126: 스프링
27, 127: 스냅링 28, 128: 단턱
30, 130: 샤프트 40, 140: 해드부
60, 160: 제2밸브부 61, 161: 밸브바디
64, 164: 삽입부 70, 170: 유입부
Claims (5)
-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1밸브바디, 상기 제1밸브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중공에 결합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이너바디, 상기 이너바디를 관통하도록 상기 이너바디의 상기 중공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측 종단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제1밸브부;
상기 샤프트의 승강 및 하강 방향인 제1방향의 연장선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하강시 폐쇄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승 정도에 따라 개방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가 끼움결합되고 분기배관과 상기 유입부를 연결하는 제2밸브바디를 구비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바디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바디의 연장부위에는 유체의 유통을 위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밸브부는 상기 유입부가 결합되는 방향에 오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헤드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바디에는
상기 샤프트와의 결합을 위한 샤프트 삽입부;
상기 헤드바디의 일측 종단에 마련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이웃하여 마련되는 안착부; 및
상기 헤드바디의 외주연을 따라 하나 이상의 조절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조절홈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조절홈과 생성 위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첨두와
상기 첨두의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첨두와 멀어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8226A KR102141708B1 (ko) | 2018-11-27 | 2018-11-27 | 유량 조절 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8226A KR102141708B1 (ko) | 2018-11-27 | 2018-11-27 | 유량 조절 밸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618A KR20200062618A (ko) | 2020-06-04 |
KR102141708B1 true KR102141708B1 (ko) | 2020-08-05 |
Family
ID=7108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8226A KR102141708B1 (ko) | 2018-11-27 | 2018-11-27 | 유량 조절 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170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8973B1 (ko) * | 2007-01-05 | 2007-07-12 | 김호성 | 미세유량조절밸브 |
KR101395839B1 (ko) * | 2012-11-23 | 2014-05-15 | 주식회사 다에스 | 보일러 회수관용 개폐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466114B (sv) * | 1990-05-14 | 1991-12-16 | Tetra Pak Holdings Sa | Reglerkaegla |
-
2018
- 2018-11-27 KR KR1020180148226A patent/KR1021417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8973B1 (ko) * | 2007-01-05 | 2007-07-12 | 김호성 | 미세유량조절밸브 |
KR101395839B1 (ko) * | 2012-11-23 | 2014-05-15 | 주식회사 다에스 | 보일러 회수관용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618A (ko) | 2020-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96369B1 (en) | Valve with integral balancing passage | |
EA022273B1 (ru) | Втулка для уплотнения шиберного клапана | |
DK3234302T3 (en) | A DEVICE TO ENSURE CONTINUOUS CIRCULATION IN BILLING | |
KR102189454B1 (ko) | 조절 가능한 디스크 가이드 구조를 가지는 캐비테이션 및 맥동 완화 감압 컨트롤밸브 | |
JP2012516982A (ja) | Δp機能及び流量制限機能を有する弁 | |
KR102080603B1 (ko) | 스템용 가이드부를 구비한 리플레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 |
KR102225407B1 (ko) | 유량조절 및 개폐 기능을 가지는 고압용 밸브 | |
KR102141708B1 (ko) | 유량 조절 밸브 | |
US11391392B2 (en) | Valve with reinforcement ports and manually removable scrubber | |
US9539674B2 (en) | Clog resistant valve port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 |
US10907443B2 (en) | Oilfield choke with teardrop shaped flow orifices | |
KR101453353B1 (ko) | 정유량 밸브 | |
KR100738973B1 (ko) | 미세유량조절밸브 | |
US9631351B2 (en) | Hydraulic valve adapter | |
KR100891102B1 (ko) | 유량조절카트리지 | |
KR101946618B1 (ko) | 소프트실 게이트밸브 | |
WO2020042479A1 (zh) | 出水阀组件及包括其的加湿器 | |
KR20170086866A (ko) | 감압밸브 | |
JP6066456B2 (ja) | 流路開閉装置 | |
KR200482138Y1 (ko) | 릴리프 밸브 | |
US9896829B2 (en) | Flush valve diaphragm | |
CN215371056U (zh) | 一种多档定时出流的阀芯 | |
KR200348821Y1 (ko) | 니들 밸브 | |
KR102693512B1 (ko) | 앵글 밸브 | |
KR200252479Y1 (ko) | 수도용 감압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