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688B1 -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 Google Patents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688B1
KR102141688B1 KR1020200044688A KR20200044688A KR102141688B1 KR 102141688 B1 KR102141688 B1 KR 102141688B1 KR 1020200044688 A KR1020200044688 A KR 1020200044688A KR 20200044688 A KR20200044688 A KR 20200044688A KR 102141688 B1 KR102141688 B1 KR 102141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resin
filter screen
receiving space
washing water
resi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철
Original Assignee
동민산업 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민산업 협동조합 filed Critical 동민산업 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0004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29C48/691Arrangements for replacing filters, e.g. with two parallel filters for alternate use
    • B29C48/6912Arrangements for replacing filters, e.g. with two parallel filters for alternate use the filters being fitted on a single rectilinearly reciprocating s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5Flow control means, e.g. valves
    • B29C48/2554Flow control means, e.g. valves provided in or in the proximity of filt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29C48/2725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019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95Treatment of equipment, e.g. purging, cleaning, lubricating or filter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가 개시된다. 상기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바디의 저면부로 개방되는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의 내벽을 관통하여 소통되고 외부로부터 용융수지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상부바디; 바디의 평면부로 개방되는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 및 바디의 저면부로부터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바닥에 관통하여 소통되고 원형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부를 포함하는 하부바디;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가이드면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바; 제1 단부가 상기 상부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로드, 제1 단부가 상기 하부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로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로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로드 각각의 제2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린더장착부재;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로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로드의 반대편에서 상기 실린더장착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장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 방향으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작동실린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길이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 중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길이 내에 형성되는 제1 타공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길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길이에 이어지는 제2 길이 내에 형성되는 제2 타공부를 포함하는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 상기 제1 타공부 위로 적층되는 제1 필터스크린; 및 상기 제2 타공부 위로 적층되는 제2 필터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SLIDE TYPE FILTER SCREEN CHANGER FOR FILTERING FOREIGN OF SUBSTANCESYNTHETIC RESINS}
본 발명은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압출 재생 공정을 위한 압출기에 장착되어, 압출 공정 중 용융된 합성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과정에서 사용된 노후 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합성수지를 용융시킨 후, 하나 이상의 압출기를 통과시켜 소정의 합성수지 제품으로 압출 재생시키는 제조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은 합성수지의 압출 재생을 위한 압출 공정 설비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먼저, 합성수지재(폐합성수지재 등)를 분쇄기(1)에서 분쇄시킨 다음, 합성수지재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세척기(2-1,2-2,2-3)를 차례로 통과시켜 여러번 세척한 후, 세척된 합성수지재에 포함된 물기 등을 탈수기(3)에서 제거한다.
다음으로, 탈수된 합성수지재를 1차 압출기(4)의 호퍼부에 투입하여 스크류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히팅수단을 이용하여 용융시킨다.
이어서, 1단 압출기(4)에서 용융된 수지를 2단 압출기(5)를 통과시켜 다시 한 번 압출을 실시하되, 2단 압출기(5) 말단부에 장착된 스크린 체인저(10) 내의 스크린을 통과시켜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을 재차 여과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 체인저(10)내의 스크린에서 용융된 수지내의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줌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합성수지재로 재생시킬 수 있다.
이후 공정으로서, 냉각 수조(6)에서 2차 압출된 수지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커팅기(7)에서 냉각된 수지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는 단계와, 커팅된 수지를 원재료통(8)에 담아 저장시키는 단계가 진행되고, 원재료통(8)에 담긴 수지 재료는 추후에 소정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합성수지재 압출 공정에 있어서, 상기 2단 압출기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체인저의 종래 구조를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스크린 체인저(10)는 수지 여과용 하우징(11)내에 장착된 한 쌍의 원형 바디(12)와, 원형바디(12)를 전후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바디(1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2차 압출된 합성수지가 통과하는 스크린(14)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2단 압출기(5)에 의하여 압출된 합성수지가 스크린 체인저(10)의 원형바디(12)에 장착된 스크린(14)을 통과하여,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크린(14)에 의하여 여과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2단 압출기에서 압출된 합성수지가 중공형의 원형바디(12) 내부를 따라 흐른 다음, 원형바디(12)의 전체 둘레면에 걸쳐 원통형상으로 부착된 하나의 스크린(14)을 통과함으로써,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크린(14) 내면에 여과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14)에 여과되는 이물질 양이 소정 수준만큼 많아지면, 합성수지가 스크린을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스크린(14)을 교체해야 한다.
상기 스크린 교체 작업은 도 2에서 보듯이, 유압실린더(13)를 전진 구동시켜 원형바디(12)를 전진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원형 바디(12)가 수지 여과용 하우징(11)의 밖으로 인출시키는 단계와, 원형 바디(12)의 둘레면을 따라 부착된 기존 스크린(14)을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스크린(14)을 다시 부착하는 단계와, 다시 유압실린더(13)를 후진 구동시켜 새로운 스크린(14)이 부착된 원형바디(12)를 수지 여과용 하우징(11)내의 본래 위치로 삽입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크린 교체 작업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유압실린더를 전진 구동시키는 과정과, 스크린을 교체하는 과정과, 유압실린더를 후진 구동시키는 과정 등 스크린 교체를 위한 공정수가 많이 들어, 스크린 교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교체 작업에 따른 시간이 오래걸리는 등의 단점이 있다.
둘째, 스크린을 교체하는 작업 중에는 2차 압출된 합성수지를 스크린으로 여과시키는 작업이 전면 중단됨에 따라, 전체 합성수지재 압출 및 재생 공정도 중단되는 등, 공정의 불연속성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여과에 사용된 어느 하나의 필터스크린의 교체시 사용되지 않은 다음의 필터스크린을 즉시 용융수지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용융수지의 압출 이송 및 압출 이송되는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제거 과정이 중단되지 않을 수 있고, 압출 이송되는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여과 과정이 진행되는 중에도 사용된 필터스크린을 신속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 필터스크린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토출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더라도 용융수지의 토출이 중단되거나 늦어지는 일 없이 안정적인 용융수지의 토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바디의 저면부로 개방되는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의 내벽을 관통하여 소통되고 외부로부터 용융수지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상부바디; 바디의 평면부로 개방되는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 및 바디의 저면부로부터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바닥에 관통하여 소통되고 원형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부를 포함하는 하부바디;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가이드면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바; 제1 단부가 상기 상부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로드, 제1 단부가 상기 하부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로드,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로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로드 각각의 제2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장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린더장착부재;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로드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로드의 반대편에서 상기 실린더장착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장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 방향으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작동실린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길이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 중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길이 내에 형성되는 제1 타공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길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길이에 이어지는 제2 길이 내에 형성되는 제2 타공부를 포함하는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 상기 제1 타공부 위로 적층되는 제1 필터스크린; 및 상기 제2 타공부 위로 적층되는 제2 필터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과 소통되는 어큐뮬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 또는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 및 상기 압력측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압력값이 입력되고, 용융설비의 커팅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커팅기의 속도를 늦추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바닥의 상기 다수의 토출부의 안쪽에 위치하는 영역이 원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토출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토출가이드면; 상기 하부바디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내벽을 향해 관통되는 노즐설치구멍; 및 상기 노즐설치구멍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외측 방향으로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의 내측 방향으로는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상기 노즐설치구멍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토출단이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을 향하며, 상기 노즐설치구멍에서 상기 체크밸브의 후단에 위치하는 다수의 세척노즐; 상기 상부바디의 상면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수조; 일단은 상기 세척수수조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척노즐의 입구부에 결합되는 세척수공급관; 및 상기 세척수공급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수조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펌핑하여 세척수를 상기 세척노즐에 공급하여 상기 세척노즐(210)을 통해 세척수가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 내로 분사되도록 하며, 온/오프 스위치를 갖는 세척수공급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공급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측정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압력값이 제로(zero)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세척수공급펌프를 온시켜서 상기 세척수공급펌프를 통해 세척수가 상기 세척노즐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여과에 사용된 어느 하나의 필터스크린의 교체시 사용되지 않은 다음의 필터스크린을 즉시 용융수지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용융수지의 압출 이송 및 압출 이송되는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제거 과정이 중단되지 않을 수 있고, 압출 이송되는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여과 과정이 진행되는 중에도 사용된 필터스크린을 신속히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제1 필터스크린 및 제2 필터스크린을 수용하는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가 지면에 평행하도록 구비되므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제1 필터스크린 및 제2 필터스크린의 교체시 제1 필터스크린 및 제2 필터스크린이 낙하되는 문제 없이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제1 필터스크린 및 제2 필터스크린의 교체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가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융수지가 통과되는 단면적의 변화 및 여과부의 빈 공간으로 인해 토출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더라도 커팅기의 속도를 늦추고, 어큐뮬레이터로부터 토출압력이 보상되므로 이물질 여과 후의 용융수지의 토출이 중단되거나 늦어지는 일 없이 안정적인 용융수지의 토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제1 필터스크린 및 제2 필터스크린의 교체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가 전진 이동하게 되어도 하부바디에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에 의해 용융수지 토출 직전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토출압력이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에 잔류하게 되어 용융수지의 끊김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합성수지의 압출 재생을 위한 압출 공정 설비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크린 체인저 구성 및 스크린 교체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C-C'선 단면도로서, 용융수지가 여과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가 전진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의 전진이 완료되어 제2 필터스크린으로 교체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과 같이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가 전진할 때 어큐뮬레이터의 피스톤이 전진되어 토출압력이 보상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형 파일 연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상부바디(110), 하부바디(120),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 실린더장착부재(140), 작동실린더(150),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 제1 필터스크린(171), 제2 필터스크린(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는 평면부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유입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수지가 수용되는 공간이며, 상부바디(110)의 저면부로 개방되고, 상부바디(110)의 저면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유입구(112)는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의 내벽을 관통하여 소통되고, 외부로부터 용융수지가 유입되는 개구이다.
하부바디(120)는 평면부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및 다수의 토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은 하부바디(120)의 평면부로 개방되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으로부터 제1 필터스크린(171) 및 후술하는 제1 타공부(161) 또는 제2 필터스크린(172) 및 후술하는 제2 타공부(162)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용융수지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다수의 토출부(122)는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바닥에 관통하여 소통되고, 원형 배열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는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부바디(110) 및 하부바디(120) 사이에 결합되고,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가이드면(131a, 132a)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장착부재(140)는 복수의 제1 연결로드(141), 복수의 제2 연결로드(142), 실린더장착플레이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로드(141)는 2개일 수 있고, 제1 단부가 상부바디(110)에 연결되고,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의 가이드면(131a, 132a)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연결로드(142)는 2개일 수 있고, 제1 단부가 하부바디(120)에 연결되고,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의 가이드면(131a, 132a)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장착플레이트(143)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제1 연결로드(141) 및 복수의 제2 연결로드(142) 각각의 제2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실린더(150)는 복수의 제1 연결로드(141) 및 복수의 제2 연결로드(142)의 반대편에서 실린더장착플레이트(143)에 장착되는 실린더부(151) 및 실린더장착플레이트(143)를 관통하여 상부바디(110) 및 하부바디(120) 방향으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는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 및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의 길이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는 제1 타공부(161) 및 제2 타공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공부(161)는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 중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길이(A) 내에 형성될 수 있고, 개구들이 벌집구조로 집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타공부(162)는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의 길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길이(A)에 이어지는 제2 길이(B) 내에 형성될 수 있고, 개구들이 벌집구조로 집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공부(161) 및 제2 타공부(162) 각각이 형성되는 범위는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폭 보다 작은 직경의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스크린(171)은 제1 타공부(161) 위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필터스크린(171)은 용융수지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필터스크린(172)은 제2 타공부(162) 위로 적층될 수 있다. 제2 필터스크린(172)은 용융수지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어큐뮬레이터(180), 압력측정센서(190)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180)는 하부바디(1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과 소통될 수 있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180)는 챔버(181), 피스톤(182), 스프링(183) 및 앤드캡(184)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181)는 하부바디(120)의 측면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과 소통되는 압력작용공간(181a)을 포함한다.
피스톤(182)은 챔버(181)의 압력작용공간(181a) 내에 수용되어 압력작용공간(18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스프링(183)은 피스톤(182)의 후단에 연결되고, 압력작용공간(181a) 내에서 수축 및 복원될 수 있다.
앤드캡(184)은 챔버(181)의 말단에 결합되어 챔버(181)의 말단을 밀폐한다.
압력측정센서(190)는 하부바디(1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측정센서(190)에서 측정되는 측정압력값은 제어부로 입력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압력측정센서(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측정센서(190)로부터 측정된 측정압력값이 입력되고, 용융설비의 커팅기(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커팅기(7)의 속도를 늦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내부로의 용융수지의 유입 및 용융수지의 여과 과정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5의 C-C'선 단면도로서, 용융수지가 여과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가 전진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의 전진이 완료되어 제2 필터스크린으로 교체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과 같이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가 전진할 때 어큐뮬레이터의 피스톤이 전진되어 토출압력이 보상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압출 공정 설비의 2단 압출기를 통해 압출 이송되는 용융수지는 상부바디(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내로 유입된다. 이때,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에는 용융수지의 공급에 의한 압력이 유입된다.
이어서,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된 용융수지는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1 타공부(161)를 통과하여,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이 여과된 후,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에 유입된 압력은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1 타공부(161) 방향으로 작용하여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 압력이 유입된다.
이어서,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여과된 용융수지는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 압력이 유입되어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 작용하는 토출압력에 의해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 유입된 용융수지는 토출부(122)을 통해 하부바디(120)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이 반복되면 제1 필터스크린(171)이 이물질로 막히게 되고, 이때 제1 필터스크린(171)은 제2 필터스크린(172)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작동실린더(150)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152)가 상부바디(110) 및 하부바디(120)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때, 피스톤로드(152)의 신장 길이는 제2 타공부(162)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이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신장된다. 이러한 길이로 피스톤로드(152)가 신장되면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가 도 9와 같이 전진하여, 제1 필터스크린(171)은 상부바디(110) 및 하부바디(120)의 외부로 인출시키고, 도 10과 같이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의 제2 타공부(162)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이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2 필터스크린(172) 및 제2 타공부(162)로 교체되면, 앞서 설명한 용융수지의 이물질 여과 과정과 같이, 2단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수지는 제2 필터스크린(172) 및 제2 타공부(162)를 통해 이물질의 여과 과정이 진행된다.
한편, 제2 필터스크린(172)으로 교체되는 과정에서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 작용하는 토출압력은 용융수지가 통과되는 단면적의 변화 및 여과부의 빈 공간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내의 낮아진 토출압력이 압력측정센서(190)에 의해 측정되며, 측정된 측정압력값은 제어부로 입력된다.
제어부는 압력측정센서(190)를 통해 입력되는 압력값이 낮아진 경우 커팅기(7)의 작동 속도, 즉 냉각 되어 공급되는 용융수지의 컷팅 작동의 속도가 낮아지도록 커팅기(7)를 제어한다. 즉, 도 1의 냉각 수조(6)에서 냉각된 용융수지를 당기는 커팅기(7)의 롤러의 회전속도를 늦추어서 컷팅 작동의 속도가 낮아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토출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용융수지가 느리게 토출되어도 커팅기(7)를 향해 긴 길이로 공급되는 용융수지의 끊김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보호박스 및 보호박스 내에 구비되는 제어보드로 구성될 수 있고, 상부바디(110) 또는 하부바디(12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서의 토출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 어큐뮬레이터(180)의 피스톤(182) 및 수축된 스프링(183)을 가압하는 압력이 낮아지므로 수축된 스프링(183)은 복원되면서 도 11과 같이 피스톤(182)을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방향으로 전전시키게 되고, 이때 챔버(181)의 압력작용공간(181a) 내의 압력이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내의 토출압력이 정상 범위 또는 정상에 근접한 범위로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터스크린(171)을 제2 필터스크린(172)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토출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더라도 커팅기(7)의 속도를 늦추고, 어큐뮬레이터(180)로부터 토출압력이 보상되므로 이물질 여과 후의 용융수지의 토출이 중단되거나 늦어지는 일 없이 안정적인 용융수지의 토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된 제1 필터스크린(171)은 새로운 것으로 교체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여과에 사용된 어느 하나의 필터스크린의 교체시 사용되지 않은 다음의 필터스크린을 즉시 용융수지의 이송 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용융수지의 압출 이송 및 압출 이송되는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제거 과정이 중단되지 않을 수 있고, 압출 이송되는 용융수지 내의 이물질 여과 과정이 진행되는 중에도 사용된 필터스크린을 신속히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을 수용하는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가 지면에 평행하도록 구비되므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서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의 교체시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이 낙하되는 문제 없이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의 교체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가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융수지가 통과되는 단면적의 변화 및 여과부의 빈 공간으로 인해 토출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더라도 커팅기(7)의 속도를 늦추고, 어큐뮬레이터(180)로부터 토출압력이 보상되므로 이물질 여과 후의 용융수지의 토출이 중단되거나 늦어지는 일 없이 안정적인 용융수지의 토출 과정이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의 교체시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가 전진 이동하게 되어도 하부바디(120)에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 의해 용융수지 토출 직전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토출압력이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 잔류하게 되어 용융수지의 끊김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용융수지의 연속적 생산은 용융수지가 토출되기 직전의 공간의 내부의 압력을 통해 토출이 이루어지므로 내부압력이 잔류되면 수지의 끊김이 완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를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하부바디(120)가 토출가이드면(123), 노즐설치구멍(124) 및 체크밸브(125)를 더 포함하고,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가 다수의 세척노즐(210), 세척수수조(220), 세척수공급관(230) 및 세척수공급펌프(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토출가이드면(123), 노즐설치구멍(124), 체크밸브(125), 세척노즐(210), 세척수수조(220), 세척수공급관(230) 및 세척수공급펌프(24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토출가이드면(123)은 하부바디(120)의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바닥의 다수의 토출부(122)의 안쪽에 위치하는 영역이 원뿔 형태로 돌출되어 토출부(12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설치구멍(124)은 하부바디(120)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내벽을 향해 관통될 수 있다.
체크밸브(125)는 노즐설치구멍(124) 내에 설치되고,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외측 방향으로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고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내측 방향으로는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크밸브(125)는 용융수지가 여과되는 과정에서는 폐쇄되어서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내의 토출압력이 노즐설치구멍(124) 방향으로는 유출되지 않게 된다.
세척노즐(210)은 노즐설치구멍(124)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토출단이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을 향하며, 노즐설치구멍(124)에서 체크밸브(125)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세척수수조(220)는 상부바디(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다.
세척수공급관(230)은 일단은 세척수수조(2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세척노즐(210)의 입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세척수공급관(230)의 결합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나사결합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세척수공급펌프(240)는 세척수공급관(230) 상에 설치되어 세척수수조(220)로부터 세척수를 펌핑하여 세척수를 세척노즐(210)에 공급하여 세척노즐(210)을 통해 세척수가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내로 분사되도록 하며, 온(on)/오프(off)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세척수공급펌프(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력측정센서(19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압력값이 제로(zero)로 입력되는 경우 세척수공급펌프(240)를 온(on)시켜서 세척수공급펌프(240)를 통해 세척수가 상기 세척노즐(21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에서 하부바디(120)의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이 세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용융수지를 여과하는 과정이 완료된 후 하부바디(120)의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서는 압력이 제거되므로 압력측정센서(190)에서 측정되는 압력값은 제로(zero)값이 된다.
압력측정센서(190)에서 측정된 제로값을 갖는 측정압력값은 제어부로 입력된다.
제어부는 제로값이 입력되면 세척수공급펌프(240)를 온(on)시켜서 세척수공급펌프(240)가 작동되도록 한다.
세척수공급펌프(240)는 세척수수조(220) 내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세척수공급관(230), 노즐설치구멍(124)을 통해 세척노즐(210)로 공급되도록 한다.
세척노즐(21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세척노즐(210)을 통해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을 향해 분사한다. 이때, 체크밸브(125)는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내측 방향으로는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므로 세척노즐(21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때 체크밸브(125)는 개방되어 분사되는 세척수가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으로 분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내의 이물질 또는 용융수지의 잔여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척과정에서 하부바디(120)의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에는 토출가이드면(123)이 형성되므로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토출가이드면(123)을 따라 토출부(122)를 향해 가이드되어서 세척수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토출가이드면(12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척수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용융수지가 여과되어 토출되는 과정에서는 용융수지를 토출부(122)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용융수지의 원활한 토출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를 이용하면, 용융수지의 여과 과정이 완료된 후 토출압력이 제로값이 될 때 세척수공급펌프(240)를 작동시켜서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용융수지의 여과과정이 완료된 후 하부바디(120)의 내부의 세척 과정이 자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용융수지의 여과 과정이 완료된 후 항시 하부바디(120)의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이 세척되므로 이물질이 여과된 후의 용융수지를 수용하는 공간 내부를 항시 청결히 유지하여 이물질 여과된 후의 용융수지에 또 다시 이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딩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상부바디(110), 하부바디(120) 및 어큐뮬레이터(180)의 챔버(181) 표면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벤즈트리아졸 15중량%,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25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15중량%,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 1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벤즈트리아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딩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0.1 몰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딩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의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의 표면에는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코스터스 오일(Costus oil) 50중량%, 카시이 오일(Cassie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코스터스 오일(Costus oil)은 신경통, 근육통, 항울증,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카시이 오일(Cassie oil)은 해독 작용, 피부 질환 치료, 살균, 가려움증 완화, 머리를 맑게 하고,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2 필터스크린(172)에 코팅됨에 따라,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제2 필터스크린(172)을 교체할 때 작업자에게 신경통, 근육통, 항울증, 스트레스 완화 등의 이로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 성분 및 비율은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상부바디 111 :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
112 : 유입구 120 : 하부바디
121 :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 122 : 토출부
131, 132 : 한 쌍의 가이드바 140 : 실린더장착부재
150 : 작동실린더 160 :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
171 : 제1 필터스크린 172 : 제2 필터스크린

Claims (3)

  1. 하측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의 내벽을 관통하여 소통되고 외부로부터 용융수지가 유입되는 유입구(112)를 포함하는 상부바디(110);
    상측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및 바디의 저면부로부터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바닥에 관통하여 소통되고 원형 배열되는 다수의 토출부(122)를 포함하는 하부바디(120);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바디(110) 및 상기 하부바디(12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및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가이드면(131a, 132a)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
    제1 단부가 상기 상부바디(110)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면(131a, 132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로드(141), 제1 단부가 상기 하부바디(120)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면(131a, 132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로드(142),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로드(141)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로드(142) 각각의 제2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장착플레이트(143)를 포함하는 실린더장착부재(140);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로드(141)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로드(142)의 반대편에서 상기 실린더장착플레이트(143)에 장착되는 실린더부(151) 및 상기 실린더장착플레이트(143)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바디(110) 및 상기 하부바디(120) 방향으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152)를 포함하는 작동실린더(150);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131, 132)의 길이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작동실린더(150)의 피스톤로드(152)가 실린더부(151)로 인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 중 상부바디(110) 및 하부바디(120) 내에 위치되도록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타공부(161)와, 작동실린더(150)의 피스톤로드(152)가 실린더부(151)로 인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 중 상부바디(110) 및 하부바디(120)를 벗어난 위치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2 타공부(162)를 포함하는 필터스크린 수용플레이트(160);
    상기 제1 타공부(161) 위로 적층되는 제1 필터스크린(171); 및
    상기 제2 타공부(162) 위로 적층되는 제2 필터스크린(172)을 포함하는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1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과 소통되는 어큐뮬레이터(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용융수지수용공간(111) 또는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190); 및
    상기 압력측정센서(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측정센서(190)로부터 측정된 측정압력값이 입력되고, 용융설비의 커팅기(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커팅기(7)의 속도를 늦추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바디(120)는,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바닥의 상기 다수의 토출부(122)의 안쪽에 위치하는 영역이 원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토출부(12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토출가이드면(123);
    상기 하부바디(120)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내벽을 향해 관통되는 노즐설치구멍(124); 및
    상기 노즐설치구멍(12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외측 방향으로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의 내측 방향으로는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체크밸브(1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는,
    상기 노즐설치구멍(124)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토출단이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을 향하며, 상기 노즐설치구멍(124)에서 상기 체크밸브(125)의 후단에 위치하는 다수의 세척노즐(210);
    상기 상부바디(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수조(220);
    일단은 상기 세척수수조(2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척노즐(210)의 입구부에 결합되는 세척수공급관(230); 및
    상기 세척수공급관(2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수조(220)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펌핑하여 세척수를 상기 세척노즐(210)에 공급하여 상기 세척노즐(210)을 통해 세척수가 상기 제2 용융수지수용공간(121) 내로 분사되도록 하며, 온/오프 스위치를 갖는 세척수공급펌프(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공급펌프(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측정센서(19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압력값이 제로(zero)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세척수공급펌프(240)를 온시켜서 상기 세척수공급펌프(240)를 통해 세척수가 상기 세척노즐(21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2. 삭제
  3. 삭제
KR1020200044688A 2020-04-13 2020-04-13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KR102141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88A KR102141688B1 (ko) 2020-04-13 2020-04-13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88A KR102141688B1 (ko) 2020-04-13 2020-04-13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688B1 true KR102141688B1 (ko) 2020-08-05

Family

ID=7204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688A KR102141688B1 (ko) 2020-04-13 2020-04-13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6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038Y1 (ko) * 1999-12-24 2000-06-01 주식회사삼영기계공업 압출기의 압출원료중 불순물 제거장치
JP2001030335A (ja) * 1999-07-26 2001-02-06 Toyo Sekkei:Kk 押出成形機のスクリーン交換装置
CN2567024Y (zh) * 2002-11-23 2003-08-20 汕头市奇佳机械厂有限公司 片材挤出机的快速换网装置
KR101746754B1 (ko) * 2015-12-15 2017-07-10 박철우 합성수지 압출기용 스크린 교체장치
JP6312203B2 (ja) * 2014-04-17 2018-04-18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2軸押出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335A (ja) * 1999-07-26 2001-02-06 Toyo Sekkei:Kk 押出成形機のスクリーン交換装置
KR200184038Y1 (ko) * 1999-12-24 2000-06-01 주식회사삼영기계공업 압출기의 압출원료중 불순물 제거장치
CN2567024Y (zh) * 2002-11-23 2003-08-20 汕头市奇佳机械厂有限公司 片材挤出机的快速换网装置
JP6312203B2 (ja) * 2014-04-17 2018-04-18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2軸押出機
KR101746754B1 (ko) * 2015-12-15 2017-07-10 박철우 합성수지 압출기용 스크린 교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2997B1 (de) Extruder zum entgasen und filtern von kunststoffschmelzen
EP2943325B1 (de) Vorrichtung zum entgasen von polymerschmelzen
EP0672443B1 (de) Steuer- und Filtriereinrichtung für mindestens zwei Fluidteilströme
AT397043B (de) Filtriervorrichtung für verunreinigte fluide und verfahren zu ihrem betrieb
DE19956859A1 (de) Rückspülfiltervorrichtung
EP1183087B1 (de) Rückspülbares flüssigkeitsfilter
WO2016131072A2 (de) Bandfilter
DE2821768C3 (de) Filtrierverfahren und Vorrichtung
DE2558447A1 (de) Filtervorrichtung fuer ein fluid
CN116966735B (zh) 一种脱硫除尘塔
KR102141688B1 (ko)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슬라이드 방식의 필터 스크린 체인저
DE19803083A1 (de) Rückspülbares Filter für Verunreinigungen enthaltende Flüssigkeiten
KR20190056596A (ko) 재생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압출 다이스
DE19916539A1 (de) Reinigungsvorrichtung für viskose Materialien
DE102015226348A1 (de) Bandfilter
EP1245258A2 (de) Einrichtung zur Reinigung, insbesondere zur Filterung von Flüssigkeiten
KR102141687B1 (ko) 압출기의 수지 이물질 여과용 사면 스크린 체인저
DE102004004121B4 (de) Lakebehälter mit Filtersystem
JP2005041015A (ja) 溶融プラスチックの濾過装置
DE4236581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Primär- und ungereinigten Kunststoffen
DE4306426C2 (de) Variable Anlage zur Wasserbehandlung mit zentraler Regenerierstation
WO2008009033A1 (de) Spritzgiessverfahren und spritzgiesswerkzeug
DE69112049T2 (de) Tragbares wasserreinigungssystem.
AT407361B (de) Rückspülbare vorrichtung zum filtrieren von verunreinigtem, flüssigem bzw. plastifiziertem material
DE102021128195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iltervorrichtung und Filter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