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576B1 - 탄소섬유 코팅장치 - Google Patents

탄소섬유 코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576B1
KR102141576B1 KR1020190004431A KR20190004431A KR102141576B1 KR 102141576 B1 KR102141576 B1 KR 102141576B1 KR 1020190004431 A KR1020190004431 A KR 1020190004431A KR 20190004431 A KR20190004431 A KR 20190004431A KR 102141576 B1 KR102141576 B1 KR 102141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coating
contact
carbon
coat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993A (ko
Inventor
김기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Priority to KR102019000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5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by rubbing contact, e.g. with brushes or p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섬유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팅액이 양면에 함침된 탄소섬유(10)의 코팅층을 가공하는 탄소섬유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1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접촉 블레이드(100) 및 상기 탄소섬유(10)의 타면에 배치되는 롤러(200)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섬유(10)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 및 롤러(200) 사이를 통과하여 코팅층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코팅장치이다.

Description

탄소섬유 코팅장치{CARBON FIBER COATING DEVICE}
본 발명은 탄소섬유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섬유에 함침된 코팅층을 균일한 두께로 형성하는 탄소섬유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소 섬유는 비금속 발열체로, 최근 발열제품에 포함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열을 발생하도록 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제품은 발열매트, 발열의자, 발열방석 및 발열담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발열제품에 사용되는 탄소 섬유는 크게 3가지 방법을 통해 선상 또는 면상 발열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3가지 방법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실과 같은 탄소사를 직접 이용하여 직조하거나, 원사에 탄소혼합액을 함침하여 탄소 섬유사를 제조한 후에 직조하거나, 탄소혼합액을 잉크로 제품에 인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존에는 위와 같이 탄소를 이용하여 발열제품을 구성함으로써 종래 구리선 또는 니크롬선을 저항선으로 사용하던 발열제품의 단점을 해결하였다. 다만, 탄소가 함유된 섬유는 쉽게 균열 및 파단이 발생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에는 탄소섬유에 코팅된 탄소의 항복능력을 향상시키고 균열이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코팅을 공정이 포함되었다. 이때 종래의 실로콘 코팅 공정은 실리콘이 균일하게 코팅이 되지 않아 열효율이 체크 포인트별로 다르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생산되는 탄소 섬유 발열체는 유연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코팅을 하고 있지만, 실리콘 코팅의 균일성을 해결하지 못하여 부위별 온도차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현재 탄소섬유에 실리콘을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는 장치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1849호("탄소섬유 코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시스템", 2018.11.07.)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해당 문헌 설명하자면, 상기한 문헌의 탄소섬유 코팅시스템은 공급부(1), 실리콘 저장부(2), 코팅장치(3), 건조부(4) 및 회수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팅장치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섬유(10)의 양면에 배치되어 코팅을 균일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접촉 블레이드(20)를 포함한다.
상기한 문헌은 위와 같은 접촉 블레이드를 통해 탄소섬유에 코팅액을 원하는 두께로 정밀하게 코팅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코팅액이 하측 내면으로 흐르지 않고 상부에 응집되어 상부의 외측으로 넘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은 응집된 코팅액으로 인하여 접촉 블레이드에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접촉 블레이의 텐션 기능이 저하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KR 10-1901849 B1 ("탄소섬유 코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시스템") 2018.11.07. 공고 KR 10-0948243 B1 ("면상발열체용 탄소코팅섬유 제조방법") 2010.03.18.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소 섬유의 양면에 코팅액이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탈리된 코팅액이 장치 상에서 잔여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탄소섬유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팅액이 양면에 함침된 탄소섬유의 코팅층을 가공하는 탄소섬유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의 일면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탄소섬유 일면에 함침된 코팅액과 접촉되는 접촉 블레이드; 및 상기 탄소섬유의 타면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탄소섬유 타면에 함침된 코팅액과 접촉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블레이드는, 상기 탄소섬유 일면에 함침된 코팅액과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1밴딩부; 및 상기 접촉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경사진 제2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블레이드가 상기 탄소섬유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접촉부가 상기 탄소섬유의 너비방향 대비 소정각도 기울어져, 상기 제2밴딩부에 누적된 코팅액이 기울어진 한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 블레이드는, 상기 제1밴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촉부의 이격거리가 상기 롤러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소섬유 코팅시스템은, 탄소섬유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탄소섬유에 코팅액을 함침하는 코팅액 저장장치; 상기 코팅액 저장장치로부터 이송된 탄소섬유의 코팅층을 설정된 두께로 가공하는 본 발명의 탄소섬유 코팅장치; 상기 탄소섬유 코팅장치를 경유한 탄소섬유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및 상기 건조장치를 통과한 탄소섬유를 회수하는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탄소섬유 코팅장치는, 탄소섬유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된 접촉 블레이드와 롤러의 결합을 통해 접촉 블레이드의 텐션 값이 유지됨과 더불어 장치의 수명이 보다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면에 배치된 접촉 블레이드의 텐션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양면의 코팅층을 모두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가공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블레이드가 이송되는 탄소섬유와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접촉부의 상측에 코팅액이 누적되어도, 기울어진 한 측으로 코팅액이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누적된 코팅액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팅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탄소섬유 코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코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블레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코팅장치가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코팅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코팅장치의 우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 코팅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탄소섬유 코팅장치를, 도 4는 접촉 블레이드를 도시하고 일부를 확대한 것을, 도 5는 탄소섬유 코팅장치가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탄소섬유 코팅장치는, 탄소섬유(1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접촉 블레이드(100) 및 상기 탄소섬유의 타면에 배치되는 롤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하나의 접촉 블레이드(100)와 하나의 롤러(200)가 서로 이격되어 탄소섬유 코팅장치를 구성하되, 해당 탄소섬유 코팅장치가 상기 탄소섬유(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10)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와 롤러(200) 사이를 통과하여 외면에 코팅된 코팅액이 일정한 두께를 가진 코팅층으로 구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는, 상기 탄소섬유(10)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블레이드 몸체(110) 및 상기 블레이드 몸체(1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탄소섬유(10)로 절곡되어 일부가 접촉되는 밴딩부(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200)는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소섬유(10)가 상측으로 이송되면, 도 3에서 도시된 상기 롤러(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밴딩부(120,130)는, 일단이 상기 블레이드 몸체(110)의 일단과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탄소섬유(10)의 일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1밴딩부(120) 및 일단이 상기 제1밴딩부(120)의 타단과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탄소섬유(10)의 일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밴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 몸체(110), 제1밴딩부(120) 및 제2밴딩부(1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밴딩부(120) 및 제2밴딩부(130)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탄소섬유(10)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밴딩부(120) 및 제2밴딩부(130)의 연결부분에는 접촉부(140)가 형성되어 상기 탄소섬유(10)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접촉부(140)와 탄소섬유(10)의 외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탄소섬유(10)의 외면에 코팅된 코팅층은 이 간격을 통해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텐션 수치를 조절하여 두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 수치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상하 양단을 당기거나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접촉 블레이드의 텐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 및 롤러(200)를 탄소섬유(10)의 양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되,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이격거리(t1)와 상기 롤러(200)의 이격거리(t2)를 조절하여 코팅층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이격거리(t1)가 상기 롤러(200)의 이격거리(t2) 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접촉부분에서 발생되는 코팅층과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탄소섬유(10)의 타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양면의 두께가 균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코팅액의 점성에 따라 달라지는 최초 두께수준에 따라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간격을 조절하여 생산되는 코팅층의 두께가 양면 모두 균일하도록 가공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처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탄소섬유(10)가 탄소가 인쇄된 면상섬유로 이루어지거나, 탄소사 또는 탄소섬유사를 이용하여 직조된 면상의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섬유(10)는 탄소사 또는 탄소섬유사와 일반사를 조합한 직물이나 편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탄소섬유(10)의 생산형태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탄소섬유 코팅장치의 사시도를, 도 7은 탄소섬유 코팅장치의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촉 블레이드(100)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탄소섬유(10)의 너비보다 큰 너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는 상기 탄소섬유(10)의 너비방향 대비 소정각도(
Figure 112019004109244-pat00001
) 기울어진 형태로 전후방향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너비 방향이 상기 탄소섬유(10)의 너비방향과 소정각도(
Figure 112019004109244-pat00002
)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각도(
Figure 112019004109244-pat00003
)는 0° ~ 90° 사이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10)의 너비방향은, 상기 탄소섬유(10)가 직조된 경우 도면 상의 좌측 변과 우측 변 사이의 최단거리에서 연장된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너비방향은 상기 제1밴딩부(120)와 제2밴딩부(130)가 연결되는 부분인 접촉부(140)가 연장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밴딩부(120)와 제2밴딩부(130)가 연결된 부분의 상측인 제2밴딩부(130)의 내면 상에 코팅액이 누적되어도, 중력에 의해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의 전체가 기울어지거나, 상기 접촉부(140)만이 기울어져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롤러(200)의 폭이나 롤러(200)의 회전 축이 또한 상기 접촉부(140)와 대응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능은 유지되면서, 코팅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소섬유(10)가 경사 및 위사를 구성하는 직물이고, 상기 탄소섬유(10)가 위사로 배치된 경우, 상기 탄소섬유(10)의 너비방향은 상기 탄소사(C)가 전후방향(도면 상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사방향인 폭 방향이 상기 탄소섬유(10)의 너비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 블레이드(100)는 소정각도 기울어진(
Figure 112019004109244-pat00004
)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섬유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탄소섬유에 코팅액을 함침하는 코팅액 저장장치, 상기 코팅액 저장부로부터 이송된 탄소섬유의 코팅층을 설정된 두께로 가공하는 상술한 본 발명의 탄소섬유 코팅장치, 상기 탄소섬유 코팅장치를 경유한 탄소섬유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및 상기 건조부를 통과한 탄소섬유를 회수하는 회수장치를 포함하여 탄소섬유 코팅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액상의 물질로 구성되거나, 탄소섬유의 외면에 함침되는 다양한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 : 탄소사
10 : 탄소섬유
100 : 접촉 블레이드
110 : 블레이드몸체 120 : 제1밴딩부
130 : 제2밴딩부 140 : 접촉부
200 : 롤러

Claims (6)

  1. 코팅액이 양면에 함침된 탄소섬유의 코팅층을 가공하는 탄소섬유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코팅장치는,
    상기 탄소섬유의 일면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탄소섬유 일면에 함침된 코팅액과 접촉되는 접촉 블레이드; 및
    상기 탄소섬유의 타면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탄소섬유 타면에 함침된 코팅액과 접촉되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블레이드는,
    상기 탄소섬유 일면에 함침된 코팅액과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1밴딩부; 및 상기 접촉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경사진 제2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블레이드가 상기 탄소섬유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접촉부가 상기 탄소섬유의 너비방향 대비 소정각도 기울어져, 상기 제2밴딩부에 누적된 코팅액이 기울어진 한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코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블레이드는
    상기 제1밴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코팅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이격거리가 상기 롤러의 이격거리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코팅장치.
  6. 탄소섬유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탄소섬유에 코팅액을 함침하는 코팅액 저장장치;
    상기 코팅액 저장장치로부터 이송된 탄소섬유의 코팅층을 설정된 두께로 가공하는 제1항의 탄소섬유 코팅장치;
    상기 탄소섬유 코팅장치를 경유한 탄소섬유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및
    상기 건조장치를 통과한 탄소섬유를 회수하는 회수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코팅시스템.
KR1020190004431A 2019-01-14 2019-01-14 탄소섬유 코팅장치 KR102141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31A KR102141576B1 (ko) 2019-01-14 2019-01-14 탄소섬유 코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31A KR102141576B1 (ko) 2019-01-14 2019-01-14 탄소섬유 코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993A KR20200087993A (ko) 2020-07-22
KR102141576B1 true KR102141576B1 (ko) 2020-08-05

Family

ID=7189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431A KR102141576B1 (ko) 2019-01-14 2019-01-14 탄소섬유 코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501B1 (ko) 2022-07-04 2022-09-02 주식회사 세미안 카본 코팅 장치용 카본 파이버 자동공급 장치
KR102520250B1 (ko) 2021-11-23 2023-04-10 이경원 탄소섬유 코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293Y1 (ko) 2006-10-16 2007-01-16 최철수 카본블랙수지 코팅층을 갖는 전도성 섬유
KR100787614B1 (ko) 2007-04-30 2007-12-21 한국기계연구원 크레핑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1849B1 (ko) 2017-07-04 2018-11-07 최상기 탄소섬유 코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43B1 (ko) 2009-07-23 2010-03-18 윤병수 면상발열체용 탄소코팅섬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293Y1 (ko) 2006-10-16 2007-01-16 최철수 카본블랙수지 코팅층을 갖는 전도성 섬유
KR100787614B1 (ko) 2007-04-30 2007-12-21 한국기계연구원 크레핑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1849B1 (ko) 2017-07-04 2018-11-07 최상기 탄소섬유 코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250B1 (ko) 2021-11-23 2023-04-10 이경원 탄소섬유 코팅장치
KR102439501B1 (ko) 2022-07-04 2022-09-02 주식회사 세미안 카본 코팅 장치용 카본 파이버 자동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993A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576B1 (ko) 탄소섬유 코팅장치
KR101813637B1 (ko) 발열 복합체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와 정착장치
US10550496B2 (en) Method for producing yarns separated from reinforcing fiber strands
CN102947496A (zh) 用于伸展纤维束以供预浸料的连续生产的设备及方法
JP2005163223A (ja) 強化繊維束の開繊方法および開繊装置
JP5519791B2 (ja) 回転紡糸電極
KR102008565B1 (ko) 토우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방법
JP5347241B2 (ja) 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20150240397A1 (en) Mesh member, method of producing mesh member, and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CN107991848B (zh) 滑动片及其制备方法
JP2012001855A (ja) ガラス繊維織物の製造方法、ガラス繊維織物及びプリプレグ
JP2005335296A (ja) トウ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KR100754322B1 (ko) 탄소코팅용액을 이용한 발열 탄소사 제조장치, 그리고 상기 장치를 이용한 탄소사 제조방법
JP7007774B1 (ja) 昇華転写装置及びベルトの製造方法
EP0792213B1 (en) Transfer printing and laminating blanket
TW457177B (en) Transfer fabric
JP5539197B2 (ja) エラストマーをシースに塗布する方法、パッド印刷装置及び保護シース
ITPD20070200A1 (it) Rinforzo fibroso del tipo rinforzo per materiale composito
CN112639188B (zh) 部分分纤纤维束及其制造方法
WO2020189029A1 (ja) 耐炎化熱処理炉、耐炎化繊維束および炭素繊維束の製造方法
KR101554967B1 (ko) 금속사 장력 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직조방법
IT201800010377A1 (it) Tamburo perforato per essiccatori ad aria passante con dispositivo distribuzione dell'aria incorporato
JP5026035B2 (ja) Ptc面状発熱体用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0185A (ja) 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たて糸供給装置
US20020033198A1 (en) Modified loo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wide strips in weaving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