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303B1 -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 - Google Patents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303B1
KR102141303B1 KR1020190028780A KR20190028780A KR102141303B1 KR 102141303 B1 KR102141303 B1 KR 102141303B1 KR 1020190028780 A KR1020190028780 A KR 1020190028780A KR 20190028780 A KR20190028780 A KR 20190028780A KR 102141303 B1 KR102141303 B1 KR 10214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syringe
shoulder cap
content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주
최옥희
Original Assignee
신은주
최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주, 최옥희 filed Critical 신은주
Priority to KR102019002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303B1/ko
Priority to CN201920383512.9U priority patent/CN210170594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앰플 용기에 보관된 내용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출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앰플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단 개구의 앰플 용기; 상기 앰플 용기의 상단 개구를 탈착가능하게 커버하며,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숄더 캡(shoulder cap); 일단부는 상기 앰플 용기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숄더 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상기 앰플 용기의 앰플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린저 수단(syringe means); 및 상기 숄더 캡 측에 구비되어 상기 숄더 캡과 실린저 수단 간을 기밀하게 패킹(packing)하기 위한 패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앰플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SYRINGE TYPE AMPOULE WHITH EASY DISCHARGE OF CONTENTS}
본 발명은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앰플 용기에 보관된 내용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출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의약품 등을 안전하게 유통 및 보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작은 유리병 형태의 앰플(ampul)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앰플은 목 부분이 잘록한 형태의 투명 유리재로 만들어져 있어 유리재의 특성상 다양한 내용물에 대한 화학적인 변화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밀봉 구조를 갖고 있어 공기와의 접촉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공기에 의한 변질이나 공기 중의 세균으로 인한 물성 변화를 차단할 수 있는 지극히 안전한 소형 밀폐 용기의 일종이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의약품에 주로 사용되던 앰플을 기능성 화장수 또는 모발 치료제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는 것인데, 상기의 기능성 화장수 등은 매우 고가인데다가 소량의 사용으로도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게 되므로 전기한 앰플이 가장 적합한 형태의 용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앰플은 드라이어에 의한 열상 또는 블리치나 펌으로 인해 약화되거나 손상된 모발을 치료하기 위한 모발 개선제 또는 민감성 피부나 홍조를 띤 피부 및 알러지성 피부를 개선하고 진정시키기 위한 화장수 또는 주름진 피부나 노화된 피부에 대한 세포 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 피부 개선제 등을 주된 내용물로 하여 제조된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 보관용 앰플을 도시한 것으로서, 유리재로 형성된 앰플본체(1)의 상부에 밀봉부(2)가 가는 직경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 앰플은 유리재로 형성된 앰플본체(1)의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을 충진한 후 앰플본체(1)의 상부를 녹여가면서 늘려서 밀봉부(2)를 형성하여 앰플본체(1) 내에 충진된 화장품을 밀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앰플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앰플의 잘록한 목 부분을 손가락으로 부러트려 앰플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앰플은 밀폐된 유리용기의 목 부분을 절단하여 배출공을 확보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내부가 밀폐된 상태의 유리용기는 내용물에 대한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유리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배출량에 해당하는 공기의 내부 유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인데, 가늘고 좁은 배출공을 통해 내용물의 배출과 동시에 공기의 내부 유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인데 내용물에 작용하는 배출압력보다 대기압이 높은 경우가 발생하여 상기의 앰플 자체의 자유 배출이 거의 이루어질 수 없는 수준이어서 사용자는 앰플 자체를 빠르고 강하게 흔들거나 화장솜 등에 톡톡 쳐가며 강제로 배출시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 과정에서 유리재인 앰플의 절단 단부로부터 날카로운 칼날부가 생성되므로 사용자는 자칫 부상을 당할 우려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앰플은 한번 절단하게 되면 그 밀봉부를 다시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밀봉부를 절단한 후 무조건 앰플본체 내에 충진된 화장품을 한번에 모두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종래기술은 앰플본체에 저장된 화장품을 여러번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앰플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스포이드 또는 주사기를 추가로 구매 및 구비하여 이들로부터 앰플 내부의 화장수 등을 강제로 흡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스포이드 또는 주사기를 이용한 앰플의 사용법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오염된 스포이드 및 주사기의 사용으로 인해 무균 보관 상태인 화장수가 오염된 상태로 쓰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합리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1736(2012.08.0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5005(2011.08.1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5396(2013.02.18.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01733(2018.09.14.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앰플 용기에 보관된 내용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출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앰플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단 개구의 앰플 용기; 상기 앰플 용기의 상단 개구를 탈착가능하게 커버하며,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숄더 캡(shoulder cap); 일단부는 상기 앰플 용기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숄더 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상기 앰플 용기의 앰플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린저 수단(syringe means); 및 상기 숄더 캡 측에 구비되어 상기 숄더 캡과 실린저 수단 간을 기밀하게 패킹(packing)하기 위한 패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앰플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앰플 용기는 앰플 내용물을 수용 저장하는 바디부, 및 상기 숄더 캡이 탈착가능하며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넥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수단은 하단부에 미세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숄더 캡에 결합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연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패킹 머리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단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숄더 캡의 관통구멍의 상단 가장자리에 한 쌍의 결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저 수단의 손가락받침대의 하면에는 상기 결착홈에 탄성 결합되는 성되는 탄성 결합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받치는 손가락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엄지 누름대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수단은 상기 스프링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벨로우즈 타입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킹 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앰플 용기의 넥 결합부와 숄더 캡의 하면에 개재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단부 외연에 밀착되는 제1 패킹 부재; 및 상기 숄더 캡의 상면과 손가락 받침대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패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앰플 용기와 실린저 하우징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에 의하면, 앰플 용기에 보관된 내용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밀봉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한 배출과 함께,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 보관용 앰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구성하는 실린저 수단이 앰플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구성하는 실린저 수단이 앰플 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은, 크기 앰플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단 개구의 앰플 용기; 및 상기 앰플 용기의 상단 개구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밀대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앰플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린저 수단(syringe means);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구성하는 실린저 수단이 앰플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구성하는 실린저 수단이 앰플 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은,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앰플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단 개구의 앰플 용기(100); 상기 앰플 용기(100)의 상단 개구를 탈착가능하게 커버하며, 중앙부에 관통구멍(111)이 형성되는 숄더 캡(shoulder cap)(110); 일단부는 상기 앰플 용기(100)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숄더 캡(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앰플 용기(100)의 앰플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린저 수단(syringe means)(200); 및 상기 숄더 캡(110) 측에 구비되어 상기 숄더 캡(110)과 실린저 수단(200) 간을 기밀하게 패킹(packing)하기 위한 패킹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앰플 용기(100)는 내부에 앰플 내용물을 수용 저장하는 바디부(101), 및 상기 숄더 캡(110)이 탈착가능하고 상기 바디부(10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넥 결합부(10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넥 결합부(102)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숄더 캡(110)은 상기 넥 결합부(102)의 외연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나사산 결합될 수 있게 내연에 나사산부가 형성되는 캡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숄더 캡(110)의 관통구멍(111)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결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1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린저 수단(200)의 손가락받침대(211)의 기단부 하부에 형성된 탄성 결합편(212)이 탄성 결합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실린더 수단(200)은 하단부에 미세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숄더 캡(110)에 결합되는 실린더 하우징(210)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내연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패킹 머리부(221)가 일단부에 형성된 피스톤 로드(220)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상단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2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은 원형 단면의 내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검지와 중지)을 받치는 손가락 받침대(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손가락 받침대(211)의 하면에는, 즉 손가락 받침대(211)의 기저부에는 상기 숄더 캡(110)의 관통구멍(111)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결착홈(112)으로 탄성 결합되는 탄성 결합편(212)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피스톤 로드(220)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면, 엄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엄지 누름대(221)가 형성된다. 상기 엄지 누름대(221)는 그 양단부가 상방향을 지향하는 날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부재(230)는 피스톤 로드(220)의 누름 작용 후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인가하며, 예를 들면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 수단(200)은 상기 스프링 부재(23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230)의 외측을 감싸는 벨로우즈 타입 커버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다음으로, 상기 패킹 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앰플 용기(100)의 넥 결합부(102)과 숄더 캡(110)의 하면에 개재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상단부 외연에 밀착되는 제1 패킹 부재(310), 및 상기 숄더 캡(210)의 상면과 손가락 받침대(211)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패킹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킹 부재(310)는 상단 플랜지부를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원통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패킹 부재(320)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판상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은, 실린저 수단(200)을 이용하여 앰플 용기(100) 내의 앰플 내용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앰플 용기(100)와 실린더 수단(200)의 실린저 하우징(210)을 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앰플 내용물의 흡입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의 차이점으로서 실린저 수단에 더하여 앰플 내용물을 보조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보조 흡입-배출 수단이 더 구비되는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앰플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단 개구의 앰플 용기(100); 상기 앰플 용기(100)의 상단 개구를 탈착가능하게 커버하며, 중앙부에 관통구멍(111)이 형성되는 숄더 캡(shoulder cap)(110); 일단부는 상기 앰플 용기(100)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숄더 캡(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앰플 용기(100)의 앰플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린저 수단(syringe means)(200); 상기 숄더 캡(110) 측에 구비되어 상기 숄더 캡(110)과 실린저 수단(200) 간을 기밀하게 패킹(packing)하기 위한 패킹 수단; 및 상기 실린더 수단(200)을 관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앰플 용기 내에 수용된 앰플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흡입-배출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앰플 용기(100)는 내부에 앰플 내용물을 수용 저장하는 바디부(101), 및 상기 숄더 캡(110)이 탈착가능하면서 개구가 형성되는 넥 결합부(101)가 상기 바디부(10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넥 결합부(10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넥 결합부(102)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숄더 캡(110)은 상기 넥 결합부(102)의 외연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나사산 결합될 수 있게 내연에 나사산부가 형성되는 캡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숄더 캡(110)의 관통구멍(111)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결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1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린저 수단(200)의 손가락받침대(211)의 기단부 하부에 형성된 탄성 결합편(212)이 탄성 결합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실린더 수단(200)은 하단부에 미세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숄더 캡(110)에 결합되는 실린더 하우징(210)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내연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패킹 머리부(221)가 일단부에 형성된 피스톤 로드(220)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상단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2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은 원형 단면의 내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검지와 중지)을 받치는 손가락 받침대(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손가락 받침대(211)의 하면에는, 즉 손가락 받침대(211)의 기저부에는 상기 숄더 캡(110)의 관통구멍(111)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결착홈(112)으로 탄성 결합되는 탄성 결합편(212)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피스톤 로드(220)의 상단부에는 그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면, 엄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엄지 누름대(222)가 형성된다. 상기 엄지 누름대(221)는 그 양단부가 상방향을 지향하는 날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부재(230)는 피스톤 로드(220)의 누름 작용 후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인가하며, 예를 들면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 수단(200)은 상기 스프링 부재(23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230)의 외측을 감싸는 벨로우즈 타입 커버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킹 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앰플 용기(100)의 넥 결합부(102)과 숄더 캡(110)의 하면에 개재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의 상단부 외연에 밀착되는 제1 패킹 부재(310), 및 상기 숄더 캡(210)의 상면과 손가락 받침대(211)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패킹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킹 부재(310)는 상단 플랜지부를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원통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패킹 부재(320)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판상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 흡입-배출 수단(400)은 상기 실린저 수단(200)의 피스톤 로드(220)를 관통하하여 구비되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하단부는 피스톤 로드(220)의 패킹 머리부(221)로부터 노출되며, 상단부는 엄지 누름대(222)의 상부로 노출되는 관형 튜브(410)와, 상기 관형 튜브(4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누름 주머니(420), 및 상기 누름 주머니(420)을 커버하며 상기 엄지 누름대(2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캡(430)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 주머니(420)는 상부 측으로 갈수록 또는 하부 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누름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캡(430)은 상면이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조 흡입-배출 수단(4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 캡(430)은 관형 튜브(410)가 노출되는 그 상단부의 둘레로 형성된 나사산형성 결합홈에 그 하단부가 나사산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 캡(430)과 엄지 누름대(222) 간은 나사산 결합 방식 이외에도, 예를 들면 베이오넷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 캡(430)과 엄지 누름대(222) 중 일측은 암(female) 베이오넷 결합부구조 형성되고, 타측은 수(male) 베이오넷 결합구조가 형성된다. 암 베이오넷 결합구조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암(female) 베이오넷 바디부와, 상기 암 베이오넷 바디부의 외면에 종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종방향 결합홈과, 상기 한 쌍의 종방향 결합홈의 하측 끝단 각각에서 암 베이오넷 바디부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횡방향 체결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 베이오넷 결합구조는 상기 암 베이오넷 바디부의 외면이나 내면 측으로 끼워지는 수(female) 베어오넷 환형 링, 및 상기 수 베이오넷 환형 링의 내측 또는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종방향 결합홈을 따라 끼운 다음, 좌측 또는 우측(상기 횡방향 체결홈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횡방향 체결홈에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은, 실린저 수단(200)을 이용하여 앰플 용기(100) 내의 앰플 내용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린저 수단(200)을 통한 앰플 내용물의 인출보다 상대적으로 미량의 앰플 내용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실린저 수단(200)이 앰플 용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 캡(430)을 열고 누름 주머니(420)를 눌러 소정량 흡입하고, 소정량 흡입한 상태에서 관형 튜브(410)를 피스톤 로드(220)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실시 예도 마찬가지로, 앰플 용기(100)와 실린더 수단(200)의 실린저 하우징(210) 그리고 관형 튜브(410)를 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앰플 내용물의 흡입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에 의하면, 앰플 용기에 보관된 내용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고, 밀봉 보관이 용이하며, 용이한 배출과 함께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앰플 용기 101: 바디부
102: 넥 결합부 111: 관통구멍
112: 결착홈 110: 숄더 캡
200: 실린저 수단(syringe means) 210: 실린더 하우징
211: 손가락 받침대 212: 탄성 결합편
220: 피스톤 로드 221: 패킹 머리부
222: 엄지 누름대 230: 스프링 부재
240: 벨로우즈타입 커버부재 310: 제1 패킹 부재
320: 제2 패킹 부재 400: 보조 흡입-배출 수단
410: 관형 튜브 420: 누름 주머니
430: 커버 캡

Claims (6)

  1. 앰플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단 개구의 앰플 용기;
    상기 앰플 용기의 상단 개구를 탈착가능하게 커버하며,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숄더 캡(shoulder cap);
    일단부는 상기 앰플 용기 내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숄더 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상기 앰플 용기의 앰플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린저 수단(syringe means);
    상기 숄더 캡 측에 구비되어 상기 숄더 캡과 실린저 수단 간을 기밀하게 패킹(packing)하기 위한 패킹 수단; 및
    상기 실린저 수단을 관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앰플 용기 내에 수용된 앰플 내용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흡입-배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앰플 용기는, 앰플 내용물을 수용 저장하는 바디부, 및 상기 숄더 캡이 탈착가능하며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넥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저 수단은, 하단부에 미세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숄더 캡에 결합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연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패킹 머리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피스톤 로드,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단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흡입 배출 수단은, 상기 실린저 수단의 피스톤 로드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하단부가 상기 피스톤 로드의 패킹 머리부로부터 노출되며, 상단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에서 노출되는 관형 튜브와, 상기 관형 튜브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누름 주머니, 및 상기 누름 주머니을 커버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앰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캡의 관통구멍의 상단 가장자리에 한 쌍의 결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저 수단의 손가락받침대의 하면에는 상기 결착홈에 탄성 결합되는 성되는 탄성 결합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앰플.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받치는 손가락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엄지 누름대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저 수단은 상기 스프링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벨로우즈 타입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앰플.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앰플 용기의 넥 결합부와 숄더 캡의 하면에 개재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단부 외연에 밀착되는 제1 패킹 부재; 및
    상기 숄더 캡의 상면과 손가락 받침대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패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앰플.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용기와 실린더 하우징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앰플.
KR1020190028780A 2019-03-13 2019-03-13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 KR10214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80A KR102141303B1 (ko) 2019-03-13 2019-03-13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
CN201920383512.9U CN210170594U (zh) 2019-03-13 2019-03-25 易排出的注射器式安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780A KR102141303B1 (ko) 2019-03-13 2019-03-13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303B1 true KR102141303B1 (ko) 2020-08-04

Family

ID=6982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780A KR102141303B1 (ko) 2019-03-13 2019-03-13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1303B1 (ko)
CN (1) CN21017059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768B1 (ko) * 2023-07-03 2023-11-17 빅벨 주식회사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646U (ja) * 1983-06-14 1984-12-26 東芝機器株式会社 タイマ−装置
KR20110042632A (ko) * 2009-10-19 2011-04-27 (주)연우 정량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의약품 용기
KR200455005Y1 (ko) 2009-12-11 2011-08-1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에 대한 용이 배출을 위한 주사기형 앰플
KR101083262B1 (ko) * 2009-10-19 2011-11-17 (주)연우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120044765A (ko) * 2010-10-28 2012-05-08 정훈철 시린지를 갖는 용기
KR200461736Y1 (ko) 2012-01-19 2012-08-03 임성준 화장품 보관용 앰플
KR200465396Y1 (ko) 2012-08-03 2013-02-18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주사기형 배출용기
CN203042955U (zh) * 2013-01-31 2013-07-10 丁雷 防污染配药器
KR20160016271A (ko) * 2014-08-04 2016-0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스포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KR20180101733A (ko) 2017-03-06 2018-09-14 박윤규 이종 내용물 혼합식 앰플 용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646U (ja) * 1983-06-14 1984-12-26 東芝機器株式会社 タイマ−装置
KR20110042632A (ko) * 2009-10-19 2011-04-27 (주)연우 정량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의약품 용기
KR101083262B1 (ko) * 2009-10-19 2011-11-17 (주)연우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55005Y1 (ko) 2009-12-11 2011-08-1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에 대한 용이 배출을 위한 주사기형 앰플
KR20120044765A (ko) * 2010-10-28 2012-05-08 정훈철 시린지를 갖는 용기
KR200461736Y1 (ko) 2012-01-19 2012-08-03 임성준 화장품 보관용 앰플
KR200465396Y1 (ko) 2012-08-03 2013-02-18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주사기형 배출용기
CN203042955U (zh) * 2013-01-31 2013-07-10 丁雷 防污染配药器
KR20160016271A (ko) * 2014-08-04 2016-0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스포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KR20180101733A (ko) 2017-03-06 2018-09-14 박윤규 이종 내용물 혼합식 앰플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768B1 (ko) * 2023-07-03 2023-11-17 빅벨 주식회사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170594U (zh)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4944736A (en) Adaptor cap for centering, sealing, and holding a syringe to a bottle
KR101083262B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CA2170160C (en) Syringe device for mixing two compounds
US3107785A (en) Syringe-container structure
KR101889340B1 (ko) 약제 용기의 뚜껑 커버
US95560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an ampoule
TW201238617A (en) Ergonomic hand-operable fluid-dispensing device
KR20200136054A (ko) 의료용 주입기용 캡
US2554352A (en) Disposable syringe
KR102141303B1 (ko)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
KR101646751B1 (ko)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KR20180116295A (ko) 사전-충전 용기를 위한 개봉 및 공급 시스템, 각각의 충전 용기, 및 이들의 구현을 위한 방법
JP2019509134A (ja) フィルター注射器
KR200474796Y1 (ko)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KR200455005Y1 (ko) 내용물에 대한 용이 배출을 위한 주사기형 앰플
KR102181488B1 (ko) 의료용 주입기용 t자 형상의 캡
KR102235831B1 (ko) 약액 디스펜서
EP3498126A1 (en) Ampoule for storing cosmetic liquid
KR20180037391A (ko) 콘택트렌즈 착용장치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102205730B1 (ko) 스포이트형 액체 보관 용기
CN112930157B (zh) 用于单剂量包装中的眼科溶液的涂抹器和包括涂抹器的套件
KR101761570B1 (ko) 플라스틱 앰플
EP0316284B1 (en) Ampoule-syr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