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162B1 - 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 Google Patents

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162B1
KR102141162B1 KR1020180062136A KR20180062136A KR102141162B1 KR 102141162 B1 KR102141162 B1 KR 102141162B1 KR 1020180062136 A KR1020180062136 A KR 1020180062136A KR 20180062136 A KR20180062136 A KR 20180062136A KR 102141162 B1 KR102141162 B1 KR 10214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ground
free surface
guide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6435A (en
Inventor
김대활
유옥자
Original Assignee
(주)지중공영
(주)엔에스비 나우이엔씨
유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중공영, (주)엔에스비 나우이엔씨, 유옥자 filed Critical (주)지중공영
Priority to KR102018006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162B1/en
Publication of KR2019013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4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1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2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53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for making a slit along the perimeter of the tunnel profile, the remaining core being removed subsequently, e.g. by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을 천공할 수 있는 굴착비트와, 상기 굴착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굴착비트와 연결된 안내 가이드를 포함하는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반에서 굴착이 필요한 굴착영역의 둘레에 연속자유면을 형성하는 제1자유면 형성단계; 상기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굴착이 필요한 굴착영역의 내부에 복수의 연속자유면을 형성함으로서 굴착영역을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시키는 제2자유면 형성단계; 및 상기 굴착영역을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시킨 각각의 굴착블록을 기계굴착, 발파굴착, 또는 기계굴착과 발파굴착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굴착하는 굴착단계;를 포함하는 지반 굴착공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excavation method of excavating a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and more specifically, an excavation bit capable of drilling the ground,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cavation bit, and connected by A first free surface forming step of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around the excavation area requiring excavation in the ground using a cloth mill including a guide guide connected to the excavation bit; Forming a second free surface by dividing the excavation area into a plurality of block shapes by forming a plurality of free surfaces inside the excavation area requiring excavation using the fabric mill; And an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each excavation block in which the excavation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 types by any one of mechanical excavation, blast excavation, or a combination of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 excavation. will be.

Figure R1020180062136
Figure R1020180062136

Description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본 발명은 지반 굴착공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수를 적게하면서도 굴착효율을 증대시키고 굴착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excav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nd excavation metho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to excavate the ground in order to increase the drilling efficiency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unctures and reduce vibrations that may be caused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터널 또는 지하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방법은 크게 기계굴착과 발파굴착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method of excavating the ground to form a tunnel or underground spa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ing excavation.

이 중 발파굴착은 지반에 다수의 천공을 한 후 화약을 이용하여 전단면 또는 소단면으로 분할하여 발파하는 방법을 통해 점진적으로 굴착하고 있다. 발파굴착으로는 장약량을 저감하기 위해 다자유면을 이용한 저공해 암반 굴착공법과 대구경 대용량 자유면을 이용한 암반 굴착방법이 있다.Among them, the blasting excavation is gradually excavated through a method of blasting by dividing it into shear or small sections using gunpowder after making a large number of perforations in the ground. In order to reduce the loading amount, there are a low-pollution rock excavation method using a multi-free surface and a rock excavation method using a large-diameter large-capacity free surface.

이와 같은 발파 굴착은 주변에 환경적인 영향을 받는 시설이 없거나 산악구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효과적인 굴착방법이나, 주변에 소음, 진동 등의 환경문제에 민감한 시설이 있거나 기존 중요 구조물 인근에서 근접시공이 필요한 경우, 도심지 굴착공사와 같이 민원과 구조물의 안전이 우선시 되는 경우에는 발파굴착을 적용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발파공법은 진동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구조물과 이격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되는 경우에만 적용되어야 하나, 구조물과의 이격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 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Such blasting excavation is an effective excavation method commonly used in mountainous areas where there are no facilitie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or there are facilitie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noise and vibration in the surroundings or require close construction in the vicinity of existing important structures. In the case, when the safety of civil complaints and structures is a priority, such as downtown excavation,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of applying blasting excavation. In addition, the blasting method should be applied only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tructure is sufficiently secured in order to satisfy the vibration standard, bu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tructure is not sufficiently sec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licability is poor.

발파굴착으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할암장비를 이용한 기계굴착이 수행되는 일이 있다. 기계굴착은 유압피스톤식 암반절개장치를 이용한 GNR 공법, 암반파쇄기용 브라켓 장치를 이용한 Super Wedge 공법 등이 있다. 이러한 기계굴착은 소음, 진동면에서 발파굴착에 비해서 유리한 면이 있으나 천공수를 과다하게 늘려야 하며, 설계굴착선 경계부의 과대한 여굴량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며, 할암에 의한 2차 브레이커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특히 우각부는 할암이 불가능하여 추가적인 브레이커 작업이 수반되므로 굴착효율 저하로 시공성이 저하되거나 공기 지연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형편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blasting excavation, mechanical excavation using halam equipment may be performed. The machine excavation includes the GNR method using a hydraulic piston type rock incision device, and the Super Wedge method using a bracket device for rock breakers. This machine excavation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noise and vibration compared to blasting excavation, but the number of perforations must be increased excessively, and there may be excessive excavation in the boundary of the design excavation line. have. Particularly, since the right angled portion is impossible to do, additional breaker work is involved, and thus the work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a decrease in excavation efficiency or a problem such as air delay is occurr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천공수를 적게하면서도 굴착효율을 증대시키고 굴착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uses a ground excavation method to excavate the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to increase the drilling efficiency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unctures and reduce vibrations that may be caused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Provided is for technical purpos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반 굴착공법은, 지반을 천공할 수 있는 굴착비트와, 상기 굴착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굴착비트와 연결된 안내 가이드를 포함하는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반에서 굴착이 필요한 굴착영역의 둘레에 연속자유면을 형성하는 제1자유면 형성단계;The ground excav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rilling factory that includes an excavation bit capable of drilling the ground, and a guiding guid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cavation bit and connected to the excavation bit by a connecting portion. A first free surface forming step of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around the excavation area requiring excavation on the ground;

상기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굴착이 필요한 굴착영역의 내부에 복수의 연속자유면을 형성함으로서 굴착영역을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시키는 제2자유면 형성단계; 및Forming a second free surface by dividing the excavation area into a plurality of block shapes by forming a plurality of free surfaces inside the excavation area requiring excavation using the fabric mill; And

상기 굴착영역을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시킨 각각의 굴착블록을 기계굴착, 발파굴착, 또는 기계굴착과 발파굴착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굴착하는 굴착단계;를 포함한다.And an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each excavation block in which the excavation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 types by any one of mechanical excavation, blast excavation, or a combination of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 excavation.

상기 지반 굴착공법에서,In the above ground excavation method,

상기 천공장치에는,The perforation device,

상기 굴착비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갭 비트(gap drill bit)가 더 포함되며, The drill bit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es a gap bit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art,

상기 갭 비트는 상기 굴착비트에 의하여 천공되는 구멍과, 안내 가이드가 삽입된 구멍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The gap bit may communicate a hole drilled by the drilling bit and a hole into which a guide guide is inserted.

상기 지반 굴착공법에서, 상기 제1자유면 형성단계는,In the ground excavation method, the first free surface forming step,

제1 천공홀을 천공하는 제1천공단계;A first drilling step of drilling the first drilling hole;

상기 천공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천공장치의 상기 안내 가이드를 상기 제1 천공홀에 삽입하고 난 후에, 상기 캡 비트를 포함하는 상기 굴착비트를 통해 제1 천공홀과 인접하게 제2 천공홀을 천공하는 제2천공단계; 및After inserting the guide guide of the drilling device into the first drilling hole using the drilling factory, a second drilling hole is drilled adjacent to the first drilling hole through the drilling bit including the cap bit. A second drilling step; And

제2천공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굴착영역에 연속자유면을 형성하는 연속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erforation step may be repeated to include a continuous perforation step of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in the excavation area.

상기 지반 굴착공법에서,In the above ground excavation method,

상기 굴착비트와 상기 안내 가이드의 이격거리는 10mm ~ 30mm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xcavation bit and the guide guide may range from 10 mm to 30 mm.

상기 지반 굴착공법의 상기 굴착단계에서 상기 기계굴착은, The mechanical excavation in the excavation step of the ground excavation method,

블록형태로 구분된 각 굴착블록에 파쇄공을 천공하는 파쇄공 천공단계; 및A crushing hole puncturing step of puncturing each crushing block divided into blocks; And

선단에서 일정한 외경을 유지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로부터 외경이 확경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테이퍼 브레이커를 이용하여,By using a tapered breaker having a tip portion that maintains a constant outer diameter at the tip, and a tapered portion whose outer diameter is enlarged from the tip portion,

상기 테이퍼 브레이커를 상기 파쇄공에 삽입한 후 가압하여 블록형태로 구분된 각 굴착블록을 개별적으로 파쇄시키는 파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crushing step of inserting the tapered breaker into the crushing hole and pressing each crushing block divided into blocks individually by pressing.

상기 지반 굴착공법에서, In the above ground excavation method,

상기 테이퍼 브레이커의 테이퍼부는 15 ~ 23 °로 경사질 수 있다. The tapered portion of the taper breaker may be inclined to 15 ~ 23 °.

상기 지반 굴착공법에서,In the above ground excavation method,

상기 굴착영역은 3 ~ 5 개의 연속자유면에 의하여 구분되어 굴착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The excavation area may be divided by 3 to 5 continuous free surfaces to form excavation blocks.

상기 지반 굴착공법의 굴착단계에서 상기 발파굴착은,In the excavation step of the ground excavation method, the blasting excavation,

상기 굴착단계에서 상기 발파굴착은,In the excavation step, the blasting excavation,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무심발 또는 심발부 조정과 확대공에 의한 블록 분산발파로 수행될 수 있다.It can be performed by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and adjusting the core or the foot part and dispersing and blasting the block by an enlarged hole.

상기 지반 굴착공법에서,In the above ground excavation method,

굴착이 어려운 우각부 및 굴착경계에서는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기계굴착과 발파굴착을 조합하여 굴착을 수행할 수 있다.Excavation can be performed by combining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ing excavation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at the right angled part and excavation boundary where excavation is difficult.

본 발명은 연속자유면을 굴착 영역 전반에 걸쳐 자유롭게 형성한 후에, 기계굴착시 한 종류의 브레이커 장비와 최소한의 파쇄공 만으로도 굴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xcavation efficiency with only one type of breaker equipment and minimal crushing holes during mechanical excavation after freely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over the entire excavation area.

또한, 본 발명은 연속자유면을 굴착 영역 전반에 걸쳐 자유롭게 형성한 후에, 발파굴착을 수행할 수 있어서 발파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차단시킬 수 있어서 주변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reely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over the entire excavation area, and thus can perform blasting excavation, thereby blocking vibrations generated during the blasting process, thereby minimizing surrounding civil complaints.

또한 본 발명은 연속자유면을 굴착 영역 전반에 걸쳐 자유롭게 형성한 후에, 기계굴착과 발파굴착을 조합하여 형성함으로서 진공저감이 필요한 구간을 효율적으로 굴착할 수 있으며, 시공이 어려운 우각부도 손쉽게 굴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form a continuous free surface over the entire excavation area, and then by combining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ing excava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excavate a section requiring vacuum reduc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excavate a right angled part that is difficult to construct. It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천공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천공단계 이후의 터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장치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천공홀을 가지는 천공홀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굴착을 위해 자유면을 형성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 브레이커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테이퍼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지반을 파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굴착을 위해 자유면을 형성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굴착과 기계굴착을 조합하기 위해 자유면을 형성한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cond drill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unnel after the continuous drill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dril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erforated hole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forming a free surface for excavating a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tapered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rushing the ground using the tapered breaker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forming a free surface for blasting exca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forming a free surface in order to combine blasting excavation and mechanical exca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굴착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round excav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연속자유면을 굴착 영역 전반에 걸쳐 자유롭게 형성한 후에, 기계굴착, 발파굴착, 기계굴착 및 발파굴착의 조합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공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xcavating the ground by a combination of mechanical excavation, blast excavation,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 excavation after freely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over the entire excavation area.

구체적으로, 지반을 천공할 수 있는 굴착비트와, 상기 굴착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부에 의하여 굴착비트와 연결된 안내 가이드를 포함하는 천공장치를 사용하여, 지반에서 굴착이 필요한 굴착영역의 둘레에 연속자유면을 형성하는 제1자유면 형성단계와, 상기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굴착이 필요한 영역의 내부에 복수의 연속자유면을 형성하여 굴착영역을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시키는 제2자유면 형성단계; 및 상기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된 굴착영역을 기계굴착, 발파 또는 기계굴착과 발파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굴착하는 굴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using a fabric mill including an excavation bit capable of drilling the ground and a guiding guid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cavation bit and connected to the excavation bit by a connecting portion, around the excavation area requiring excavation in the ground A first free surface forming step of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and a second free surface forming a plurality of continuous free surfaces inside a region in which excavation is requir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fabric mill to divide the excavation region into a plurality of block types step; And an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the excavation area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block forms by any one of mechanical excavation, blasting, or a combination of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ing.

굴착 영역 전반에 연속자유면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장치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굴착비트(110), 상기 연결부(130),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fabric mill for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over the entire excavation region is formed by including the excavation bit 110, the connection part 130, and the guide guide 120.

상기 굴착비트(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끝단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 등을 통해 지반을 굴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굴착비트(110)에는 아답터(11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아답터(111)를 통해 상기 굴착비트(110)의 끝단을 회전시켜 지반을 굴착할 수 있게 된다.The excavation bit 110 is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apable of excavating the ground through protrusions provided at the end. An adapter 111 may be included i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end of the excavation bit 110 may be rotated through the adapter 111 to excavate the ground.

상기 굴착비트(110)의 후단에는 롯드(112)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롯드(112)는 상기 굴착비트(110)와 일반적인 굴착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천공장치(100)는 종래에 사용하는 굴착장비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롯드(112)를 통해 일반적인 굴착장비에 연결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보드릴, 드리프터, 가이드 쉘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A rod 112 may be further included at a rear end of the digging bit 110, and the rod 112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digging bit 110 and general digging equipment. The perfo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a conventional drilling equipment, and can be used universally by being connected to a general drilling equipment through the rod 112. (You can use the commonly used dot board reel, drifter, guide shell, etc.)

상기 안내 가이드(120)는 상기 굴착비트(1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 가이드(1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내 가이드(120)는 상기 굴착비트(110)에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 가이드(120)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굴착비트(110)에 이격되어 결합된다. The guide guide 120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guide 120 is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is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xcavation bit 110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0.

상기 안내 가이드(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에 상기 안내 가이드(12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절개홈(121)이 마련될 수도 있다. The guide guide 12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cision groove 121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uide 120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안내 가이드(120)와 상기 굴착비트(110)를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은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안내 가이드(1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절개홈(12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타측은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굴착비트(110)가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부(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이격시키면서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0 is to connect the guide guide 120 and the excavation bit 110.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uide 12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cision groove 121, and the other side has an inside The excavation bit 110 may be inserted into an empty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can be combined while being spaced apart.

상기 천공장치(100)는 안내가이드 브라켓(12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안내가이드 브라켓(122)은 굴착장비의 붐에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장착 및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 가이드(120)의 각도 조절(유압 또는 수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안내 가이드 브라켓(122)을 통해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수평, 수직, 경사 등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이 가능하다.The perforatio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uide bracket 122. The guide guide bracket 122 is to mount and fix the guide guide 120 on the boom of the drilling rig,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hydraulic or manual) of the guide guide 120. Through the guide guide bracket 122, the guide guide 120 can be moved in any direction, such as horizontal, vertical, or inclined.

상기 제2천공 단계는 소정의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제1천공홀을 형성하는 제1천공단계 이후에 행해지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제2천공홀(141)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천공장치(100)의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상기 제1천공홀(140)에 삽입하고, 상기 굴착비트(110)를 통해 상기 제2천공홀(141)을 천공하는 것이다. The second perforation step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perforation step of forming the first perforation hole using a predetermined milling point, specifically, perforating the second perforation hole 141 using the perforation device 100. It is a step. Referring to FIG. 3 in more detail, the guide guide 120 of the drilling device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drilling hole 140, and the second drilling hole 141 is inserted through the drilling bit 110. ).

이때, 도 2와 같이 막장(170)에는 터널 설계단면(171)이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천공 단계는 상기 설계단면(171)을 따라 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천공 단계에서 천공된 상기 제1천공홀(140)도 상기 설계단면(171) 중 한 지점에 형성된 것이다.)At this time, a tunnel design section 171 may be provided at the curtain wall 170 as shown in FIG. 2, and the second drilling step may be perforated along the design section 171. (The first perforation hole 140 perforated in the first perforation step is also formed at one point of the design section 171.)

종래의 일반적인 굴착장치는 굴착비트의 교정이 어렵기 때문에 터널 설계단면(171)의 형상에 따라 천공을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이미 천공되어 있는 상기 제1천공홀(140)에 삽입함에 따라 두 번째 천공홀인 상기 제2천공홀(141)을 상기 굴착비트(110)로 형성할 때, 위치의 교정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Conventional conventional drilling apparatus has difficulty in drill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unnel design section 171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drilling bit.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guide guide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erforated hole 140 that is already perforated, the second perforated hole 141, the second perforated hole 141, is the drill bit 110 ),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correct the position.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 가이드(120)가 상기 제1천공홀(140)에 끼워지면, 상기 제1천공홀(140)에 끼워져 있는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중심으로 상기 굴착비트(11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교정된 상기 굴착비트(110)를 통해 상기 제2천공홀(141)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천공 단계는 이와 같이 상기 제1천공홀(140)과 상기 천공장치(100)의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이용하여 두 번째 천공홀인 상기 제2천공홀(141)을 천공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when the guide guide 120 is fitted into the first perforation hole 140, the position of the excavation bit 110 is centered around the guide guide 120 inserted into the first perforation hole 140. The second drilling hole 141 can be formed through the drilling bit 110 calibrat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rilling step is to drill the second drilling hole 141, which is the second drilling hole, using the first drilling hole 140 and the guide guide 120 of the drilling device 100.

여기서, 상기 천공장치(100)의 상기 안내 가이드(120)는 상기 굴착비트(110)보다 더 돌출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과 같이 상기 안내 가이드(120)가 상기 굴착비트(110) 보다 더 돌출되어야(상기 막장(170)에 먼저 접촉해야), 상기 안내 가이드(120)가 상기 제1천공홀(140)에 먼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굴착비트(11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uide 120 of the drilling device 100 protrudes and extends more than the excavation bit 110. 1 and 2, the guide guide 120 should protrude more than the excavation bit 110 (must first contact the anchor 170), the guide guide 120 is the first perforation hole 140 ) Can be inserted and fixed first, thereby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excavation bit 110.

상기 제1자유면 형성단계 및 제2자유면 형성단계는 상기 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제2천공 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 천공을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속 천공 단계는 상기 천공장치(100)의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인접한 천공홀에 삽입하고, 상기 굴착비트(110)를 통해 천공홀(150)을 연속해서 천공하는 단계이다. The first free surface forming step and the second free surface forming step are steps of continuously drilling while repeating the same process as the second drilling step using the drilling device 100. Specifically, the continuous drilling step is a step of inserting the guide guide 120 of the drilling device 100 into an adjacent drilling hole, and continuously drilling the drilling hole 150 through the drilling bit 110.

여기서, 인접한 천공홀은 이미 천공이 되어 있는 천공홀을 의미하며, 상기 제1천공홀(140) 또는 상기 제2천공홀(141)일 수도 있으며, 이미 천공되어 있는 다른 천공홀일 수도 있다. 상기 제2천공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연속적인 천공홀(150)을 형성해 나가고, 연속 천공홀(150)로 이루어진 자유면(151)을 형성하게 된다. Here, the adjacent perforated hole means a perforated hole that has already been perforated, and may be the first perforated hole 140 or the second perforated hole 141, or another perforated hole that has already been perforated. As the second drilling step is repeatedly performed, a continuous drilling hole 150 is formed, and a free surface 151 formed of the continuous drilling hole 150 is form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자유면(151)은 터널의 설계단면(17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통해 상기 굴착비트(110)의 위치를 정확하게 교정하면서 상기 연속 천공 단계를 진행함에 따라 상기 설계단면(171)과 거의 동일한 상기 자유면(151)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유면(171)은 도 3와 같이 상기 제1천공 단계, 상기 제2천공 단계, 상기 연속 천공 단계를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천공홀(150)들이 모여서 형성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3, the free surface 151 may be formed along the design cross-section 171 of the tunnel, an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excavation bit 110 may be accurately determined through the guide guide 120. As the continuous drilling step is performed while calibrating, the free surface 151 almost identical to the design cross-section 171 can be formed. (The free surface 171 is formed by gather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150 formed through the first perforation step, the second perforation step, and the continuous perforation step, as shown in FIG. 3)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굴착비트(110)에 이격되어 있는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통해 복수 개의 천공홀(150)로 이루어진 상기 자유면(151)을 형성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천공홀(150)은 간극이 있는 천공홀 형상, 구체적으로 땅콩과 같은 형상으로 천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천공홀(150) 사이의 간극은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가 이격되어 있는 거리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ree surface 151 made of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150 is formed through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spaced apart from the excavation bit 110, a plurality of The dog's perforation hole 150 may have a perforated hole shape with a gap, specifically, a perforated hole in a shape such as peanut. Here, the gap between adjacent perforation holes 150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이와 같이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로 천공하여 땅콩과 같은 형상의 복수 개의 상기 천공홀(150)을 형성할 때,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에는 상기 굴착비트(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갭 비트(gap drill bit; 1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갭 비트는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drilling holes 150 having a peanut-like shape are formed by drilling with the drilling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the drilling bits 110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30. A gap drill bit (131) protru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is extended may be further included. At this time, the gap b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por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갭 비트(131)는 상기 연결부(130)에서 상기 굴착비트(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굴착비트(110)가 천공할 때 이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천공 단계(S200) 및 상기 연속 천공 단계(S300)에서는 상기 안내 가이드(120)가 상기 천공홀(150)(또는 상기 제1천공홀(140))에 삽입된 채로, 상기 굴착비트(110)가 천공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130)도 지반을 천공하면서 들어가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연결부(130)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에 돌출되어 마련된 갭 비트(131)를 사용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gap bit 131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excavation bit 110 extends from the connection part 130, and helps when the excavation bit 110 is drilled. The Lord plays a role. Specifically, in the second perforation step (S200) and the continuous perforation step (S300), while the guide guide 12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50 (or the first perforation hole 140), the The drilling bit 110 is drille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130 connecting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must also enter while drilling the ground. At this time,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gap bit 131 provided to protrude is used.

즉,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 사이의 이격된 간극은 상기 갭 비트(131)를 통해 천공될 수 있다. 즉, 갭 비트는 제1천공홀(140)과 제2천공홀(150) 사이에 부분을 서로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천공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천공홀(150)은 땅콩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의 간극, 즉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의 이격거리는 10mm 내지 30mm일 수 있다. That is, the spaced apart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may be drilled through the gap bit 131. That is, the gap bit perform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portions between the first perforation hole 140 and the second perforation hole 150. Through this perforation, the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150 can form a peanut shape. Here, referring to FIG. 5, a gap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that i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may be 10 mm to 30 mm.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 사이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 사이의 간극이 너무 멀리 이격되면(30mm 이상이면), 상기 연결부(130)의 저항이 심해져 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갭 비트(131)가 마련되어도,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 사이의 간극이 너무 멀어지면 상기 연결부(130)의 저항이 커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0, if the gap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is too far apart (If it is 30 mm or more), the connection 130 may become severely resistant, which may cause a difficulty in drilling. (Even if the gap bit 131 is provided, if the gap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becomes too far, the resistance of the connection part 130 may be increased.)

또한,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 사이의 간극이 너무 좁으면(10mm 이하), 천공의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120) 사이의 간극(이격거리)은 15mm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복수 개의 상기 천공홀(150) 사이의 거리를 15mm 내지 30mm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기 굴착비트(110)와 상기 안내 가이드 사이의 간극과 동일한 것이다.)In addition, if the gap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is too narrow (10 mm or l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 efficiency decreases as the number of drilling increas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120 is 15 mm to 30 mm. (FIG. 6 shows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150 to 15mm to 30mm, which is the same as the gap between the excavation bit 110 and the guide guide.)

도 6에서는 제1자유면 형성단계와, 제2자유면 형성단계를 통해서 굴착영역이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되어 형태를 나타낸다. 즉 굴착영역은 복수의 굴착영역으로 나눠져서 복수의 굴착블록(16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3 개 이상의 자유면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암반의 구속력이 감소하게 되고 적은 압력으로도 굴착이 용이해지게 된다. 즉 굴착영역의 둘레를 구성하는 제1자유면(S1)과 굴착영역의 내부에 마련된 제2자유면(S2)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서는 기계굴착을 위하여 각각의 굴착블록(160)에 복수의 파쇄공(1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나타난다. In FIG. 6, the excavation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 shapes through a first free surface forming step and a second free surface forming step to show a shape. That is, the excavation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xcavation areas to constitute a plurality of excavation blocks 160. As three or more free surfaces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binding force of the rock is reduced and excavation is easy even with a small pressure. That is, the first free surface S1 constitu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cavation area and the second free surface S2 provided inside the excavation area are provided. Meanwhile, in FIG. 6, it is shown that a plurality of crushing holes 161 are formed in each of the excavation blocks 160 for mechanical excavation.

구체적으로 굴착단계에서 기계굴착은 블록형태로 구분된 각 굴착블록에 파쇄공을 천공하는 파쇄공 천공단계; 및 테이퍼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퍼 브레이커를 상기 파쇄공에 삽입한 후 가압하여 블록형태로 구분된 각 굴착블록을 개별적으로 파쇄시키는 파쇄단계;를 포함한다.Specifically, in the excavation step, the machine excavation includes a crushing hole drilling step of drilling crushing holes in each excavation block divided into blocks; And a crushing step of inserting the tapered breaker into the crushing hole and pressing the tapered breaker to individually crush each excavation block divided into blocks.

이때, 기계굴착을 위한 테이퍼 브레이커(200)는, 암반 굴착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공(161)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한 선단부(201)와, 상기 선단부(201)로부터 외경이 확경되는 테이퍼부(202) 및 소정의 착암기구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tapered breaker 200 for mechanical excavation maximizes the rock excavation efficiency, and as shown in FIG. 7, the tip portion 201 for easy insertion into the crushing hole 161 and the tip portion 20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apered portion 202 whose outer diameter is enlarged and a coupling portion 203 that can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rock drilling mechanism.

도 7(a)는 일반형 테이퍼 브레이커를 나타내며, 이때 선단부(201)는 일정한 외경을 가지고 있어서 파쇄공(161)에 삽입되었을 때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7(a) shows a general type taper breaker, wherein the tip portion 201 has a constant outer diameter so that it can perform a guide function when inserted into the crushing hole 161.

또한, 선단부(201)와 연결된 테이퍼부(202)는 15 ~ 23 °도 정도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파쇄공(161) 내부에 진입하면서 파쇄공(161) 주변의 지반을 개별적으로 파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선단부(201) 근처에서 1차 파괴를 유도하고 추가 진입에 따라서 2차 파괴를 동시에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퍼부(202)에 의하여 1차 파괴 및 2차 파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굴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pered portion 202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201 has an inclined shape of about 15 to 23 degrees, so as to enter the inside of the crushing hole 161, the function of individually crushing the ground around the crushing hole 161 is provided. Perform. Specifically, the primary destruction is induced in the vicinity of the tip portion 201, and the secondary destruction is simultaneously induce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entr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primary and secondary destruction by the tapered portion 202, thereby maximizing excavation efficiency.

도 7(b)는 일반형 테이퍼 브레이커(210)이며, 도 7(a)에 비해서 테이퍼부(212)가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고 있어서 파괴를 점진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7(b) is a general type taper breaker 210, and the tapered portion 212 has a gentle inclination angle as compared to FIG. 7(a), and is configured to gradually induce destruction.

도 7(c)는 지압형 테이퍼 브레이커(220)이며, 도 7(d)는 커플러가 마련된 커플러형 테이퍼 브레이커(230)이다.Fig. 7 (c) is an acupressure type taper breaker 220, and Fig. 7 (d) is a coupler type taper breaker 230 provided with a coupler.

도 8은 도 7(a)의 테이퍼 브레이커(200)를 이용하여 파쇄공(161)을 파괴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것으로서, 선단부(201)가 파쇄공(16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하면서 테이퍼 브레이커(200)를 추가로 삽입하게 되면 테이퍼부(202)가 파쇄공(161)에 삽입되면서 파쇄공(161) 주변 지반을 파괴할 수 있게 된다.FIG.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rushing hole 161 is destroyed by using the taper breaker 200 of FIG. 7A, while the tip portion 201 is pressed into the crushing hole 161 while pressing the taper breaker. When 200 is additionally inserted, the tapered portion 202 may be inserted into the crushing hole 161 to destroy the ground around the crushing hole 16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반 굴착공법은, 종전의 기계굴착에 비해서 연속자유면(S1, S2)에 의하여 복수개로 분할된 굴착블록(160)에 파쇄공(161)을 각각 형성시키고 그 파쇄공(161)에 테이퍼 브레이커(200)를 삽입함으로서 암반의 구속력이 약화된 굴착블록(160)을 작은 압력으로도 쉽게 파괴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테이퍼 브레이커(200)는 암반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극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굴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주변 지반의 강도를 고려한다면 복수개로 일반 브레이커를 사용하여 굴착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round exca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shing holes 161 are formed in the excavation blocks 16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by the continuous free surfaces S1 and S2, respectively, and the crushing holes ( By inserting the tapered breaker 200 in 161) has a feature that can be easily destroyed even with a small pressure of the excavation block 160, the binding force of the rock is weakened. In particular, the tapered breaker 200 is to maximize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rock,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drilling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if the strength of the surrounding ground is considere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excavation using a plurality of ordinary breakers.

도 9는 발파굴착을 위하여 굴착영역을 복수개의 굴착블록(160)으로 구분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발파굴착을 위하여 심발부를 마련함이 없이 무심발 발파굴착이 가능하다. 즉, 심발부가 없이 확대공에 의한 무심발 블록 분산발파를 통하여 발파굴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연속자유면(S1, S2)은 다중 방진효과로 발파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당할 수 있게 되어 미진동 발파 굴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9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cavation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xcavation blocks 160 for blasting excav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 foot blast without providing a core part for blasting. That is, blasting excavation is possible through non-footed block dispersion blasting by an enlarged hole without a core portion. At this time, the continuous free surfaces (S1, S2)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compensate for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blasting due to the multiple anti-vibration effect, thereby enabling excavation of un-vibrated blasting.

도 10은 기계굴착과 발파굴착을 조합하여 굴착하기 위하여 굴착영역을 복수개의 굴착블록(160)으로 구분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각부까지 연속자유면(S1, S2)을 형성시킨 후에 우각부를 제외한 구간은 기계굴착으로 선굴착하고 우각부는 3자유면 이상의 상태에서 발파굴착을 수행함으로서 굴착효율 및 시공성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기존과 달리 굴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cavation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xcavation blocks 160 in order to excavate by combining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ing excav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inuous free surfaces (S1, S2) are formed up to the right corner, the excavation of the sections except the right corner is performed by mechanical excavation, and the right corner is subjected to blasting excavation in a state of three or more free surfaces to ensure excavation efficiency and constructability. Unlike the existing one, i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xcavation efficiency.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연속자유면(S1, S2)을 굴착 영역 전반에 걸쳐 현장 조건에 맞게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3~5 자유면을 확보할 수 있어 기계굴착 시 블록내 최소한의 파쇄공(161) 만으로도 굴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파쇄공 천공수를 최소화하여 천공 비용 절감과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freely configure the continuous free surfaces (S1, S2) to meet the site conditions throughout the excavation area, and can secure 3 to 5 free surfaces, thus minimizing the block in the machine excavation. The crushing hole 161 alone can improve the excavation efficiency and minimize the number of puncture holes,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drilling and shortening the air.

또한, 무진동 암파쇄굴착 시공이 불가능한 우각부도 연속자유면을 형성하여 블록별로 효과적으로 굴착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현장에서의 적용성 다변화를 통해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ight angled part, which is impossible to construct a vibration-free rock crushing excavation, forms a continuous free surface to effectively excavate block by block,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through diversification of applicability in the field.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심발부 조정과 확대공에 의한 블록 분산발파에 의하여 지반 굴착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ground excavation by adjusting the core and dispersing and blasting the block by an enlarged hole.

본 발명은 진동저감이 필요한 구간에서 연속자유면을 다중으로 형성하여 심발부 및 확대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에 의한 민원 문제을 해결하고 근접시공시 주요 구조물의 안전성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inuous free surface is formed in multiple sections in a region where vibration reduction is required, vibration generated in the heart and enlarged portions can be blocked, thereby solving complaints caused by vibration and easily securing the safety of major structures during close construction. It has an effect.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thing that can be reasonably interpret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지반을 천공할 수 있는 굴착비트와, 상기 굴착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굴착비트와 연결된 안내 가이드와, 안내가이드의 일단에 마련되고 안내 가이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안내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반에서 굴착이 필요한 굴착영역의 둘레에 연속자유면을 형성하는 제1자유면 형성단계;
상기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굴착이 필요한 굴착영역의 내부에 복수의 연속자유면을 형성함으로서 굴착영역을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시키는 제2자유면 형성단계; 및
상기 굴착영역을 복수의 블록형태로 구분시킨 각각의 굴착블록을 기계굴착 방식으로 굴착하는 굴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가이드는, 천공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타단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되 일측에는 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굴착단계에서 상기 기계굴착은,
블록형태로 구분된 각 굴착블록에 파쇄공을 천공하는 파쇄공 천공단계; 및
선단에서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며 삽입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로부터 외경이 확경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테이퍼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퍼 브레이커를 상기 파쇄공에 삽입한 후 가압하여 블록형태로 구분된 각 굴착블록을 개별적으로 파쇄시키는 파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
An excavation bit capable of drilling the ground, a guide guid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cavation bit and connected to the excavation bit by a connection portion, and a guide guide brack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guide guid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guide guide A first free surface forming step of form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around the excavation area requiring excavation from the ground using a cloth factory value including;
Forming a second free surface by dividing the excavation area into a plurality of block shapes by forming a plurality of free surfaces inside the excavation area requiring excavation using the fabric mill; And
Includes; an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each of the excavation block by dividing the excavation area into a plurality of block types by a mechanical excavation method;
The guide guide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hole, but an incision is provided on one side.
The mechanical excavation in the excavation step,
A crushing hole puncturing step of puncturing each crushing block divided into blocks; And
Maintaining the same outer diameter at the tip, using a tapered breaker having a tip portion for guiding the inserted position and a tapered portion whose outer diameter is enlarged from the tip portion, inserting the tapered breaker into the crushing hole and pressing it to be divided into block shapes A crushing step of crushing each of the excavated blocks individually; a ground excavation method of excavating the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for vibration redu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장치에는,
상기 굴착비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갭 비트(gap drill bit)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갭 비트는 상기 굴착비트에 의하여 천공되는 구멍과, 안내 가이드가 삽입된 구멍 사이의 부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erforation device,
The drill bit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and further includes a gap drill bit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on part.
The gap bit is a ground excavation method of excavating the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between the hole drilled by the excavation bit and the hole in which the guide guide is inserte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유면 형성단계 또는제2자유면 형성단계는,
제1 천공홀을 천공하는 제1천공단계;
상기 천공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천공장치의 상기 안내 가이드를 상기 제1 천공홀에 삽입하고 난 후에, 상기 갭 비트를 포함하는 상기 굴착비트를 통해 제1 천공홀과 인접하게 제2 천공홀을 천공하는 제2천공단계; 및
제2천공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굴착영역에 연속자유면을 형성하는 연속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free surface forming step or the second free surface forming step,
A first drilling step of drilling the first drilling hole;
After inserting the guide guide of the puncture device into the first puncture hole by using the puncture factory, a second puncture hole is drilled adjacent to the first puncture hole through the excavation bit including the gap bit. A second drilling step; And
A ground excavation method of excavating the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inuous perforation step of repeatedly performing a second drilling step to form a continuous free surface in the excavatio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비트와 상기 안내 가이드의 이격거리는 10mm ~ 30mm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
According to claim 1,
A ground excavation method of excavating the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xcavation bit and the guide guide has a range of 10 mm to 30 m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브레이커에서, 상기 테이퍼부는 15 ~ 23 °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aper breaker, the ground excavation method for excavating the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for vibration re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red portion is inclined to 15 ~ 2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영역은 3 ~ 5 개의 연속자유면에 의하여 구분되어 굴착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xcavation area is divided by 3 to 5 continuous free surfaces to form an excavation block, so that a ground excavation method is used to excavate the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to reduce vibr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굴착이 어려운 우각부 및 굴착경계에서는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기계굴착과 발파굴착을 조합하여 굴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을 위하여 연속자유면을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지반 굴착공법.
According to claim 1,
A ground excavation method of excavating the ground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to reduce vibration, characterized in that excavation is performed by combining mechanical excavation and blasting excavation using a continuous free surface at the right angled portion and excavation boundary that are difficult to excavate.
KR1020180062136A 2018-05-30 2018-05-30 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KR1021411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36A KR102141162B1 (en) 2018-05-30 2018-05-30 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36A KR102141162B1 (en) 2018-05-30 2018-05-30 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435A KR20190136435A (en) 2019-12-10
KR102141162B1 true KR102141162B1 (en) 2020-08-04

Family

ID=6900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136A KR102141162B1 (en) 2018-05-30 2018-05-30 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1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173B1 (en) 2021-12-01 2022-10-14 오송건설산업 주식회사 No-vibration rock crushing method to maintain the verticality of the excavation su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9909A (en) * 2020-02-21 2020-05-0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Tunnel excava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777A (en) * 2005-05-26 2006-12-07 Kumagai Gumi Co Ltd Drilling method and coupling member used for the same
KR100780916B1 (en) * 2007-01-10 2007-11-30 계림하이텍(주) Digging a method of construction base rock environmental pollution using many free face
JP2014224387A (en) * 2013-05-16 2014-12-04 株式会社神島組 Wedge type chisel, crushing method, and crus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777A (en) * 2005-05-26 2006-12-07 Kumagai Gumi Co Ltd Drilling method and coupling member used for the same
KR100780916B1 (en) * 2007-01-10 2007-11-30 계림하이텍(주) Digging a method of construction base rock environmental pollution using many free face
JP2014224387A (en) * 2013-05-16 2014-12-04 株式会社神島組 Wedge type chisel, crushing method, and cru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173B1 (en) 2021-12-01 2022-10-14 오송건설산업 주식회사 No-vibration rock crushing method to maintain the verticality of the excavation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435A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0803B (en) Tunnel construction method by utilizing pipe curtain grouting
KR102141162B1 (en) The excavation method using continuous free surface for reducing vibration
KR101582068B1 (en) Ground anchor construction method for anchoring area extended improvement using extended excavation agitator
CN103016027B (en) Tunnel or roadway excavating method under weak and broken complicated geological conditions
KR101723512B1 (en) Pile construction apparatus for drilling and piling
US70806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illing a hole and for securing an anchorage in a bore hole
KR100852724B1 (en) Supporting tube assembly for tunnel grouting including plastic extension tube with cutting grooove and friction resistance enriched surface and tunnel supporting method of using thereof
KR20090054192A (en) Hammer bit for digging
KR100870410B1 (en) Soilr nailing device for slope reinforcement use
CN110454164B (en) Hydraulic presetting method for buffering energy-absorbing belt of impact mine pressure roadway
KR102638925B1 (en) Apparatus for cutting penetrated pile with drilling fuction and Oprating Method thereof
JP2015183439A (en) Steel pipe sheet pile and installation auxiliary implement of steel pipe sheet pile
KR20150005054A (en) Tunnel grouting reinforcement method
KR101951745B1 (en) Boring machine having Gear-Box of two rod
KR10232562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KR101735816B1 (en) Soil-nail for reinforcing a slope
KR100997117B1 (en) Excavator used in excavation method using wire saw
JP2001323461A (en) Drill bit and method of installing rod steel member or anchor tension steel
KR20190108780A (en) Sd nailing method
JP2001073674A (en) Joining method for shield tunnel
KR100721605B1 (en) Bearing plate of soil nail for pull-out test
KR102669178B1 (en) Connection apparatus of steel pipe to ring bit, reinforcement apparatus of direct boring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20230036610A (en) Connection apparatus of steel pipe to ring bit, reinforcement apparatus of direct boring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H05171654A (en) Execution construction of landslid protection pile and execution method
KR100438688B1 (en) Method of excavating tunnel using free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