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911B1 - 모발 이식용 베드 - Google Patents

모발 이식용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911B1
KR102140911B1 KR1020200053020A KR20200053020A KR102140911B1 KR 102140911 B1 KR102140911 B1 KR 102140911B1 KR 1020200053020 A KR1020200053020 A KR 1020200053020A KR 20200053020 A KR20200053020 A KR 20200053020A KR 102140911 B1 KR102140911 B1 KR 10214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eg
support unit
lin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호
Original Assignee
하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창호 filed Critical 하창호
Priority to KR102020005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05Portable, foldable or collapsible tables, e.g. for surgery o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1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6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specific supporting surface
    • A61G13/12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with specific supporting surface having inflat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02Foldable, portable or collapsible chairs, e.g. for surgery or dent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6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61G7/07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for the head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61G2200/325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p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드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대상자가 등을 기대어 눕거나 엎드린 상태로 누울 수 있고, 베드를 접으면, 엎드린 상태로 누워 있는 대상자를 엎드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앉은 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베드를 접고 펼치는 동작에서 대상자가 엎드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한 모발 이식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발 이식용 베드는 대상자의 몸통 부분을 지지하는 몸통지지유닛과,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팔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지지유닛과,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유닛과,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다리지지유닛과, 베이스를 기준으로 몸통지지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과, 높이조절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몸통지지유닛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발 이식용 베드{BED FOR HAIR TRANSPLANT}
본 발명은 모발 이식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드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대상자가 등을 기대어 눕거나 엎드린 상태로 누울 수 있고, 베드를 접으면, 엎드린 상태로 누워 있는 대상자를 엎드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앉은 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베드를 접고 펼치는 동작에서 대상자가 엎드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한 모발 이식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이식 수술은 공여부, 예컨대, 환자의 탈모가 아직 진행되지 않은 두피의 측면 및 후면 영역으로부터 모발을 획득하는 것과, 모발을 필요로 하는 이식부에 채취한 모발을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모발을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두피를 절개하여 스트립(strip)형태로 획득하는 절개식 방법과 모낭단위로 두피로부터 직접 추출하는 모낭 유닛 추출(FUE) 즉, 비절개 방법으로 나뉜다. 모낭 유닛 추출(FUE)법은 두피를 절개하는 과정 없이 1~4개 정도의 모발이 뭉쳐있는 형태의 모낭단위로 채취하는 법을 말하는데, 절개법은 수술시간이 30분 내외인 반면 모낭 유닛 추출(FUE)법은 적게는 1시간에서 길면 3시간이상 걸리기 때문에 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해야 하는 환자에게 있어서 매우 힘든 일이다. 모발이식을 하는 의사들마다 비절개식으로 모발을 채취할 때 선호하는 환자의 자세는 다양하지만 크게 엎드리는 자세와 앉아서 고개를 약간 숙이는 자세로 나눌 수 있다. 엎드리는 자세의 장점으로는 모낭을 채취하기 위한 펀치가 중력방향으로 이루어 져서 시술자의 손에 부담이 덜하지만 단점으로는 엎드린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기 힘들거나 모발의 센터를 채취용 펀치의 구멍 가운데 적확히 유지하는 센터링이 상대적으로 부정확 하여 모발 수득률이 낮아 질 수 있다. 앉는 자세의 장점으로는 환자의 자세가 엎드린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안함을 느껴 장시간 수술에 적합하지만 단점으로는 시술자가 중력에 거슬러서 수천회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시술자의 피로도가 심할 수 있다. 일반 수술용 베드에서 엎드려 수술을 하다가 환자가 가슴답답함이나 호흡곤란, 장시간 엎드린 자세에서 오는 피로감을 호소할 경우 수술을 쉬었다 하는데 그만큼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다시 자세를 잡을 경우 또다시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약 일반 수술용 베드에서 앉는 자세를 잡기위해 의자로 이동하는 경우 수술을 위한 세팅을 다시 해야 하는 문제와 수술도중 들어간 약물이나 장시간 엎드린 자세이후 자세변화로 인한 어지러움증 등으로 중간에 쓰러지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이에 환자의 동작변화 없이 엎드린 자세와 앉는 자세의 자유로운 변화가 가능한 모발이식용 베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2190호 (발명의 명칭 : 조절식 모발 이식 의자, 2014. 01. 1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드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대상자가 등을 기대어 눕거나 엎드린 상태로 누울 수 있고, 베드를 접으면, 엎드린 상태로 누워 있는 대상자를 엎드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앉은 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베드를 접고 펼치는 동작에서 대상자가 엎드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한 모발 이식용 베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는 대상자의 몸통 부분을 지지하는 몸통지지유닛;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팔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지지유닛;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유닛;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다리지지유닛;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몸통지지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몸통지지유닛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몸통지지유닛이 수평 상태를 이루면, 상기 팔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대상자가 눕는 자세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몸통지지유닛이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면, 상기 팔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대상자가 엎드려 앉는 자세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몸통지지유닛은, 대상자의 몸통 부분 중 배 부분 또는 엉덩이 부분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하부모듈; 및 상기 하부모듈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몸통 부분 중 가슴 부분 또는 등의 윗부분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부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통지지유닛은, 상기 하부모듈과 상기 상부모듈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되고,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되도록 하는 쿠션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모듈과 상기 상부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몸통슬라이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모듈과 상기 상부모듈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몸통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몸통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몸통지지유닛은, 대상자의 몸통 부분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몸통끼움홈부에서 상기 몸통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상기 몸통끼움홈부에서 상기 몸통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몸통고정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팔지지유닛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팔지지부재; 및 상기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팔지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팔링크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팔링크모듈은,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팔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팔링크부재; 및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팔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팔링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플라인결합부는, 상기 팔링크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팔실린더홈과, 상기 팔실린더홈의 입구에 구비되는 제1팔스플라인과,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팔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팔실린더홈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팔피스톤과, 상기 제1팔스플라인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상기 팔피스톤에 구비되는 제2팔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팔링크부재에 구비되는 제1팔스플라인과,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팔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팔스플라인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팔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팔링크모듈은,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팔지지부재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팔링크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머리지지유닛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에서 이격되어 대상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재; 및 일측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머리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지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머리지지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머리링크모듈; 상기 머리지지링크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지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머리링크모듈; 및 상기 머리지지링크의 길이를 조절하는 머리고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머리링크모듈은,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링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머리링크부재;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링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머리링크부재; 및 상기 제1머리링크부재와 상기 제2머리링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플라인결합부는, 상기 제1머리링크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머리실린더홈과, 상기 머리실린더홈의 입구 또는 상기 제1머리링크부재에 구비되는 제1머리스플라인과, 상기 머리실린더홈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머리피스톤과, 상기 제2머리링크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머리피스톤이 돌출 형성되는 머리고정부재와, 상기 제1머리스플라인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상기 머리피스톤 또는 상기 머리고정부재에 구비되는 제2머리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머리링크부재에 구비되는 제1머리스플라인과, 상기 제2머리링크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제1머리스플라인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머리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머리링크모듈은, 상기 머리지지부재와 상기 머리지지링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머리링크부재; 상기 머리지지부재와 상기 머리지지링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머리링크부재; 및 상기 제1머리링크부재와 상기 제2머리링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플라인결합부는, 상기 제1머리링크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머리실린더홈과, 상기 머리실린더홈의 입구 또는 상기 제1머리링크부재에 구비되는 제1머리스플라인과, 상기 머리실린더홈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머리피스톤과, 상기 제2머리링크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머리피스톤이 돌출 형성되는 머리고정부재와, 상기 제1머리스플라인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상기 머리피스톤 또는 상기 머리고정부재에 구비되는 제2머리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머리링크부재에 구비되는 제1머리스플라인과, 상기 제2머리링크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제1머리스플라인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머리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머리지지링크는,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머리슬라이더; 및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머리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머리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제2머리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고정모듈은, 대상자의 머리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끼움홈부에서 상기 제1머리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상기 머리끼움홈부에서 상기 제1머리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다리지지유닛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에서 이격되어 대상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다리지지부재; 및 일측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다리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지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다리지지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다리링크모듈; 상기 다리지지링크를 기준으로 상기 다리지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다리링크모듈; 및 상기 다리지지링크의 길이를 조절하는 다리고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다리링크모듈은,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링크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다리링크부재; 및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링크 중 다른 하나와 상기 다리링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플라인결합부는, 상기 다리링크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다리실린더홈과, 상기 다리실린더홈의 입구에 구비되는 제1다리스플라인과,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링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상기 다리실린더홈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다리피스톤과, 상기 제1다리스플라인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상기 다리피스톤에 구비되는 제2다리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다리링크부재에 구비되는 제1다리스플라인과,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링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다리스플라인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다리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다리링크모듈은, 상기 다리지지부재와 상기 다리지지링크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다리링크부재; 및 상기 다리지지부재와 상기 다리지지링크 중 다른 하나와 상기 다리링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플라인결합부는, 상기 다리링크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다리실린더홈과, 상기 다리실린더홈의 입구에 구비되는 제1다리스플라인과, 상기 다리지지부재와 상기 다리지지링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다리실린더홈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다리피스톤과, 상기 제1다리스플라인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상기 다리피스톤에 구비되는 제2다리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다리링크부재에 구비되는 제1다리스플라인과, 상기 다리지지부재와 상기 다리지지링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다리스플라인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다리스플라인을 포함하는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지지링크는,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다리슬라이더; 및 상기 몸통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다리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다리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제2다리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고정모듈은, 대상자의 다리 부분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다리끼움홈부에서 상기 제1다리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상기 다리끼움홈부에서 상기 제1다리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거나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는 상기 높이조절유닛과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는 다리동작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는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가 엎드려 앉는 자세를 취할 때,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착석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몸통지지유닛이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면, 대상자가 상기 착석유닛에 착석하도록 상기 착석유닛이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팔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대상자가 엎드려 앉는 자세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착석유닛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돌출 형성되는 착석탈착부재; 상기 착석탈착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착석로드; 및 상기 착석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착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로드를 상기 착석탈착부재에 고정시키는 착석고정부재; 및 상기 착석로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착석고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착석로드는, 상기 착석탈착부재와 상기 착석부재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착석슬라이더; 및 상기 착석탈착부재와 상기 착석부재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제1착석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착석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제2착석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고정모듈은,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착석끼움홈부에서 상기 제1착석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상기 착석끼움홈부에서 상기 제1착석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에 따르면, 베드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대상자가 등을 기대어 눕거나 엎드린 상태로 누울 수 있고, 베드를 접으면, 엎드린 상태로 누워 있는 대상자를 엎드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앉은 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베드를 접고 펼치는 동작에서 대상자가 엎드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지지유닛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자의 몸통 크기에 대응하여 몸통지지유닛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쿠션모듈의 부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자가 몸통지지유닛에 엎드렸을 때, 대상자의 배 부분과 대상자의 가슴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상자가 엎드린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고정모듈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자의 몸통 크기에 대응하여 하부모듈과 상부모듈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 관계를 명확하게 하고, 몸통끼움홈부에서 몸통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함은 물론 몸통끼움홈부에서 몸통슬라이더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길이조절부를 통해 몸통편심캠부재의 회전 동작을 명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지지유닛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자의 팔 위치에 대응하여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의 위치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링크모듈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의 회전 및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경우, 몸통지지유닛에서 팔지지부재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의 회전 및 고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슬라이딩부가 더 포함되는 경우, 몸통지지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팔지지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대상자의 팔 위치에 대응하여 팔지지부재의 회전 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지지유닛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하여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머리지지부재의 위치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머리링크모듈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머리지지링크의 회전 및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머리링크모듈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머리지지링크를 기준으로 머리지지부재의 회전 및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므로, 제1머리링크부재와 제2머리링크부재의 링크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제1머리링크부재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의 회전 및 고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고정모듈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하여 제1머리슬라이더와 제2머리슬라이더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 관계를 명확하게 하고,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함은 물론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길이조절부를 통해 머리편심캠부재의 회전 동작을 명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지지유닛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자의 다리 위치에 대응하여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의 위치 및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다리링크모듈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의 회전 및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다리링크모듈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다리지지링크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의 회전 및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경우, 몸통지지유닛 또는 다리지지부재에서 다리지지링크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몸통지지유닛 또는 다리지지부재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의 회전 및 고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고정모듈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자의 다리 길이에 대응하여 제1다리슬라이더와 제2다리슬라이더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 관계를 명확하게 하고,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함은 물론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길이조절부를 통해 다리편심캠부재의 회전 동작을 명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유닛과 경사조절유닛과 다리동작유닛의 배치 구조를 통해 베이스를 기준으로 몸통지지유닛의 유동을 방지하여 베드에서 대상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몸통지지유닛을 기울여 대상자의 몸통 부분을 일으켜 세울 때, 대상장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여 대상자가 엎드려 앉는 자세를 간편하게 취할 수 있고, 대상자가 앉는 자세를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유닛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몸통지지유닛에서 착석유닛의 탈부차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고정모듈을 통해 착석로드의 길이를 조절하고, 대상자가 앉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가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에서 몸통지지유닛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에서 몸통지지유닛과 착석유닛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에서 길이조절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에서 몸통지지유닛과 팔지지유닛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a)는 몸통지지유닛에 팔지지유닛이 고정된 상태이고, (b)는 몸통지지유닛에서 팔지지유닛이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에서 몸통지지유닛과 머리지지유닛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a)는 몸통지지유닛에 머리지지유닛이 고정된 상태이고, (b)는 몸통지지유닛에서 머리지지유닛이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의 다리지지유닛에서 다리지지부재와 다리지지링크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a)는 다리지지링크에 다리지지부재가 고정된 상태이고, (b)는 다리지지링크에서 다리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는 몸통지지유닛(10)과, 한 쌍의 팔지지유닛(20)과, 머리지지유닛(30)과, 다리지지유닛(40)과, 높이조절유닛(50)과, 경사조절유닛(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를 기준으로 몸통지지유닛(10)이 수평 상태를 이루면, 팔지지유닛(20)과, 머리지지유닛(30)과, 다리지지유닛(40)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대상자가 눕는 자세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1)를 기준으로 몸통지지유닛(10)이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면, 팔지지유닛(20)과, 머리지지유닛(30)과, 다리지지유닛(40)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대상자가 엎드려 앉는 자세를 가능하게 한다.
몸통지지유닛(10)은 대상자의 몸통 부분을 지지한다.
몸통지지유닛(10)은 대상자의 몸통 부분 중 배 부분 또는 엉덩이 부분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하부모듈(11)과, 하부모듈(11)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몸통 부분 중 가슴 부분 또는 등의 윗부분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부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지지유닛(10)은 하부모듈(11)과 상부모듈(12)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되고,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되도록 하는 쿠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하부모듈(11)에 쿠션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하부모듈(11)은 높이조절유닛(5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안착부재(111)와,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하도록 하부안착부재(111)에 적층 지지되는 하부쿠션(112)과, 하부쿠션(112)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는 하부조절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하부조절부(113)의 동작에 따라 하부쿠션(112)에 유체가 공급되면, 하부쿠션(112)이 팽창되고, 하부쿠션(112)의 유체가 배출되면, 하부쿠션(112)이 수축되므로, 쿠션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상부모듈(12)에 쿠션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상부모듈(12)은 경사조절유닛(6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안착부재(121)와,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하도록 상부안착부재(121)에 적층 지지되는 상부쿠션(122)과, 상부쿠션(122)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는 상부조절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부조절부(123)의 동작에 따라 상부쿠션(122)에 유체가 공급되면, 상부쿠션(122)이 팽창되고, 상부쿠션(122)의 유체가 배출되면, 상부쿠션(122)이 수축되므로, 쿠션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모듈(11)과 상부모듈(12) 중 어느 하나에는 몸통슬라이더(131)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모듈(11)과 상부모듈(12) 중 다른 하나에는 몸통슬라이더(13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몸통끼움홈부(132)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몸통지지유닛(10)은 하부모듈(11)을 기준으로 상부모듈(12)이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몸통고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몸통고정모듈은 대상자의 몸통 부분 크기에 대응하여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몸통고정모듈은 몸통변환모듈(13)과, 몸통조절모듈(14)과, 유체조절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몸통변환모듈(13)은 탄성력과, 몸통조절부재(133)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탄성력 조절 구조와, 슬라이드 이동된 몸통조절부재(133)의 탈부착을 통한 탄성력의 유지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몸통변환모듈(13)은 몸통슬라이더(131)에서 연장되어 몸통끼움홈부(132)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몸통조절부재(133)와, 외부로 노출된 몸통조절부재(133)를 해당 모듈에 고정시키는 몸통조절부재고정부(134)와,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를 탄성 지지하는 몸통탄성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조절부재고정부(134)가 동작되면,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몸통조절부재고정부(134)의 동작이 해제되면, 몸통탄성부재(135)의 탄성 가압 방향과 몸통조절부재(133)의 길이 조절을 통해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일예로, 디폴트 상태에서 몸통슬라이더(131)가 몸통끼움홈부(13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몸통탄성부재(135)는 몸통끼움홈부(132)의 외부로 몸통슬라이더(131)를 탄성 가압하므로, 몸통조절부재(133)를 조작하여 몸통슬라이더(131)를 몸통끼움홈부(132)에 삽입할 수 있고, 몸통조절부재(133)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몸통슬라이더(131)가 몸통끼움홈부(13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복귀한다.
다른 예로, 디폴트 상태에서 몸통슬라이더(131)가 몸통끼움홈부(13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몸통탄성부재(135)는 몸통끼움홈부(132)의 내부로 몸통슬라이더(131)를 탄성 가압하므로, 몸통조절부재(133)를 조작하여 몸통슬라이더(131)를 몸통끼움홈부(132)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고, 몸통조절부재(133)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몸통슬라이더(131)가 몸통끼움홈부(13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복귀한다.
둘째, 몸통조절모듈(14)은 외력을 통한 몸통슬라이더(131)의 슬라이딩 구조와, 몸통편심캠부재를 통한 몸통슬라이더(131)와의 탈부착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몸통조절모듈(14)은 몸통끼움홈부(132)와 연통되어 몸통슬라이더(131)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부모듈(11)과 상부모듈(12) 중 다른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몸통가압홀과, 몸통가압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몸통브라켓축과, 몸통브라켓축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통편심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편심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몸통편심캠부재가 몸통가압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몸통슬라이더(131)를 가압하면,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의 끼움 결합 상태가 유지되고, 몸통편심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몸통편심캠부재가 몸통가압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몸통슬라이더(131)와 이격되면,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몸통조절모듈(14)은 몸통편심캠부재를 회전시키는 몸통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므로, 몸통편심캠부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켜 몸통편심캠부재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몸통조절모듈(14)은 길이조절모듈(90)에 대응된다. 다시 말해, 몸통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91)에 대응되고, 몸통끼움홈부는 제2슬라이더의 끼움홈부(92)에 대응되며, 몸통가압홀은 가압홀(921)에 대응되고, 몸통브라켓축은 브라켓축(93)에 대응되며, 몸통편심캠부재는 편심캠부재(94)에 대응되고, 몸통길이조절부는 길이조절부(95)에 대응된다.
여기서, 몸통조절모듈(14)은 몸통변환모듈(13)의 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고, 외력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몸통조절모듈(14)은 몸통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몸통조절부재(133)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탄성력 조절 구조와, 슬라이드 이동된 몸통조절부재(133)의 탈부착을 통한 탄성력의 유지 구조를 부가할 수 있다.
셋째,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유압 조절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몸통끼움홈부(132)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의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몸통끼움홈부(132)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몸통끼움홈부(132)에서 몸통슬라이더(131)가 돌출되면, 대상자의 몸통 부분 크기에 대응하여 몸통지지유닛(10)의 길이가 길어지고,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몸통끼움홈부(132)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몸통끼움홈부(132)로 몸통슬라이더(131)가 삽입되면, 대상자의 몸통 부분 크기에 대응하여 몸통지지유닛(10)의 길이가 짧아진다.
여기서,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몸통변환모듈(13)의 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고, 유압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몸통조절모듈(14)의 구조와 같이 몸통편심캠부재를 통한 몸통슬라이더(131)와의 탈부착 구조를 부가하여 유압에 의한 몸통슬라이더(131)의 추가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팔지지유닛(2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몸통지지유닛(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팔지지유닛(20)은 대상자의 팔 부분을 지지한다.
팔지지유닛(20)은 몸통지지유닛(10)의 양측면에 각각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팔지지부재(21)와,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2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팔링크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팔링크모듈(22)은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21)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팔링크부재(221)와,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21) 중 다른 하나와 팔링크부재(221)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통지지유닛(10)은 상부모듈(12)에 해당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팔링크모듈(22)의 스플라인결합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는 팔링크부재(221)에 함몰 형성되는 팔실린더홈(222)과, 팔실린더홈(222)의 입구에 구비되는 제1팔스플라인(223)과,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21)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팔실린더홈(222)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팔피스톤(225)과, 제1팔스플라인(223)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팔피스톤(225)에 구비되는 제2팔스플라인(226)을 포함할 수 있다.
팔피스톤(225)이 팔실린더홈(222)에 삽입되면, 도 7의 (a)와 같이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21)의 회전이 제한되고, 팔피스톤(225)이 팔실린더홈에서 돌출되면, 도 7의 (b)와 같이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이 분리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21)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제1결합부는 팔피스톤(225)에서 연장되어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21) 중 다른 하나와 끼움 결합되는 팔고정부재(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팔고정부재(227)는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21) 중 다른 하나에서 회전되지 않지만, 팔피스톤(225)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제1결합부는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의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의 스플라인 결합을 해제시키는 팔링크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팔링크탈착부는 수동으로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팔링크탈착부는 대상자 또는 시술자가 파지하도록 팔지지부재(21) 또는 팔고정부재(227)에 돌출 형성되는 팔탈착레버(228)를 포함할 수 있다.
팔탈착레버(228)를 잡아당기면, 도 7의 (b)와 같이 팔실린더홈(222)에서 팔피스톤(225)이 돌출되면서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의 스플라인 결합이 해제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21)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팔탈착부를 밀어 넣으면, 도 7의 (a)와 같이 팔실린더홈(222)에서 팔피스톤(225)이 삽입되면서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21)의 회전이 제한된다.
둘째, 팔링크탈착부는 자동으로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팔링크탈착부는 팔실린더홈(222)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팔실린더홈(222)에서 팔피스톤(225)을 왕복 이동시키는 유체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조절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팔실린더홈(222)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팔실린더홈(222)에서 팔피스톤(225)이 돌출되면,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이 분리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21)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유체조절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팔실린더홈(222)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팔실린더홈(222)으로 팔피스톤(225)이 삽입되면,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팔지지부재(21)의 회전이 제한된다.
셋째, 팔링크탈착부는 탄성력이 부가되어 디폴트 상태에서 스플라인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팔링크탈착부는 팔실린더홈(222)에서 팔피스톤(225)을 탄성 지지하는 팔탄성부재(229)를 포함할 수 있다.
팔지지유닛(20)에서 디폴트 상태에서는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의 스플라이 결합을 유지시키는 것이 대상자를 시술할 때, 대상자의 팔 움직임을 지탱할 수 있으므로, 팔탄성부재(229)는 팔실린더홈(222)의 내부를 향해 팔피스톤(225)을 탄성 가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부(미도시)는 팔링크부재(221)에 구비되는 제1팔스플라인(223)과,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21)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제1팔스플라인(223)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팔스플라인(2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부(미도시)는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의 스플라인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팔스플라인(223)과 제2팔스플라인(226)이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팔링크모듈(22)은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21)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팔링크부재(22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슬라이딩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팔슬라이딩부(224)는 팔링크부재에 구비되는 팔슬라이더와, 몸통지지유닛(10)과 팔지지부재(21)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팔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링크끼움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자 또는 시술자가 팔지지부재(21)를 이동시키면, 팔지지부재(21)는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팔슬라이딩부(224)에 상술한 몸통고정모듈이 적용되면, 팔슬라이더는 몸통고정모듈에 의해 팔링크끼움홈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거나, 팔링크끼움홈부에서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머리지지유닛(30)은 몸통지지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머리지지유닛(30)은 대상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한다.
머리지지유닛(30)은 몸통지지유닛(10)에서 이격되어 대상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재(31)와, 일측은 몸통지지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머리지지부재(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지지링크(32)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지지부재(31)는 중심이 개구되어 대상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대상자의 머리 부분이 머리지지부재(31)에 안착되면, 머리지지부재(31)는 대상자의 얼굴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대상자의 호흡에 간섭되지 않는다.
머리지지유닛(30)은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머리지지링크(3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머리링크모듈과, 머리지지링크(32)를 기준으로 머리지지부재(3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머리링크모듈과, 머리지지링크(32)의 길이를 조절하는 머리고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머리링크모듈(33)은 제1머리링크모듈과 제2머리링크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머리링크모듈은 몸통지지유닛(10)과 머리지지링크(3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머리링크부재(331)와, 몸통지지유닛(10)과 머리지지링크(3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머리링크부재(334)와, 제1머리링크부재(331)와 제2머리링크부재(334)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라인결합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머리링크부재(331)에는 한 쌍의 날개부가 구비되고, 제2머리링크부재(334)는 한 쌍의 날개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제1결합부는 제1머리링크부재(331)에서 한 쌍의 날개부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머리실린더홈(332)과, 머리실린더홈(332)의 입구 또는 제1머리링크부재(331)에서 한 쌍의 날개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머리실린더홈(332)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머리피스톤(335)과, 제2머리링크부재(33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머리피스톤(335)이 돌출 형성되는 머리고정부재(337)와, 제1머리스플라인(333)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머리피스톤(335) 또는 머리고정부재(337)에 구비되는 제2머리스플라인(336)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피스톤(335)이 머리실린더홈(332)에 삽입되면, 도 8의 (a)와 같이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스플라인 결합되므로, 제1머리링크부재(331)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334)의 회전이 제한되고,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머리지지링크(32)가 고정된다. 또한, 머리피스톤(335)이 머리실린더홈(332)에서 돌출되면, 도 8의 (b)와 같이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분리되므로, 제1머리링크부재(331)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334)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머리지지링크(32)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머리고정부재(337)는 머리피스톤(335)에서 연장되어 제2머리링크부재(334)와 끼움 결합된다. 머리고정부재(337)는 제2머리링크부재(334)에서 회전되지 않지만, 머리피스톤(335)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제2머리링크부재(334)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제1결합부는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의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의 스플라인 결합을 해제시키는 머리링크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머리링크탈착부는 수동으로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머리링크탈착부는 대상자 또는 시술자가 파지하도록 제1머리링크부재(331) 또는 머리고정부재(337)에 돌출 형성되는 머리탈착레버(338)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탈착레버(338)를 잡아당기면, 도 8의 (b)와 같이 머리실린더홈(332)에서 머리피스톤(335)이 돌출되면서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의 스플라인 결합이 해제되어 제1머리링크부재(331)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334)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머리탈착레버(338)를 밀어 넣으면, 도 8의 (a)와 같이 머리실린더홈(332)에서 머리피스톤(335)이 삽입되면서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제1머리링크부재(331)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334)의 회전이 제한된다.
둘째, 머리링크탈착부는 자동으로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머리링크탈착부는 머리실린더홈(332)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머리실린더홈(332)에서 머리피스톤(335)을 왕복 이동시키는 유체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조절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머리실린더홈(332)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머리실린더홈(332)에서 머리피스톤(335)이 돌출되면,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분리되어 제1머리링크부재(331)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334)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유체조절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머리실린더홈(332)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머리실린더홈(332)으로 머리피스톤(335)이 삽입되면,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제1머리링크부재(331)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334)의 회전이 제한된다.
셋째, 머리링크탈착부는 탄성력이 부가되어 디폴트 상태에서 스플라인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머리링크탈착부는 머리실린더홈(332)에서 머리피스톤(335)을 탄성 지지하는 머리탄성부재(339)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지지유닛(30)에서 디폴트 상태에서는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의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는 것이 대상자를 시술할 때, 대상자의 머리 움직임을 지탱할 수 있으므로, 머리탄성부재(339)는 머리실린더홈(332)의 내부를 향해 머리피스톤(335)을 탄성 가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머리링크부재(331)와 제2머리링크부재(334)는 싱글 브라켓 형태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결합부(미도시)는 제1머리링크부재(331)에 구비되는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링크부재(334)에 구비되고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머리스플라인(3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부(미도시)는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의 스플라인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머리링크모듈은 머리지지부재(31)와 머리지지링크(3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머리링크부재(331)와, 머리지지부재(31)와 머리지지링크(3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머리링크부재(334)와, 제1머리링크부재(331)와 제2머리링크부재(334)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라인결합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머리링크모듈의 제1결합부는 제1머리링크모듈의 제1결합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머리피스톤(335)이 머리실린더홈(332)에 삽입되면, 도 8의 (a)와 같이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스플라인 결합되므로, 제1머리링크부재(331)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334)의 회전이 제한되고, 머리지지링크(32)를 기준으로 머리지지부재(31)가 고정된다. 또한, 머리피스톤(335)이 머리실린더홈(332)에서 돌출되면, 도 8의 (b)와 같이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분리되므로, 제1머리링크부재(331)를 기준으로 제2머리링크부재(334)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머리지지링크(32)를 기준으로 머리지지부재(31)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제1결합부는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의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의 스플라인 결합을 해제시키는 머리링크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머리링크모듈의 머리링크탈착부는 제1머리링크모듈의 머리링크탈착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머리링크부재(331)와 제2머리링크부재(334)는 싱글 브라켓 형태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결합부(미도시)는 제1머리링크부재(331)에 구비되는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링크부재(334)에 구비되고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머리스플라인(3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부(미도시)는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의 스플라인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머리스플라인(333)과 제2머리스플라인(336)이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머리지지링크(32)는 몸통지지유닛(10)과 머리지지부재(31)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머리슬라이더와, 몸통지지유닛(10)과 머리지지부재(31)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머리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머리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제2머리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머리고정모듈은 머리지지링크(3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머리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머리고정모듈은 머리변환모듈과, 머리조절모듈(34)과, 유체조절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머리변환모듈은 탄성력과, 조절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탄성력 조절 구조와, 슬라이드 이동된 조절부재의 탈부착을 통한 탄성력의 유지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머리변환모듈은 몸통변환모듈(13)과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좀더 자세하게, 머리변환모듈은 제1머리슬라이더에서 연장되어 머리끼움홈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부재와, 외부로 노출된 조절부재를 제2머리슬라이더에 고정시키는 조절부재고정부와,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머리링크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고정부가 동작되면,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조절부재고정부의 동작이 해제되면, 머리링크탄성부재의 탄성 가압 방향과 조절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해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일예로, 디폴트 상태에서 제1머리슬라이더가 머리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머리링크탄성부재는 머리끼움홈부의 외부로 제1머리슬라이더를 탄성 가압하므로, 조절부재를 조작하여 제1머리슬라이더를 머리끼움홈부에 삽입할 수 있고, 조절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제1머리슬라이더가 머리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복귀한다.
다른 예로, 디폴트 상태에서 제1머리슬라이더가 머리끼움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머리링크탄성부재는 머리끼움홈부의 내부로 제1머리슬라이더를 탄성 가압하므로, 조절부재를 조작하여 제1머리슬라이더를 머리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고, 조절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제1머리슬라이더가 머리끼움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복귀한다.
둘째, 머리조절모듈(34)은 외력을 통한 제1머리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구조와, 머리편심캠부재를 통한 제1머리슬라이더와의 탈부착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머리조절모듈(34)은 머리끼움홈부와 연통되어 제1머리슬라이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1머리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는 머리가압홀과, 머리가압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머리브라켓축과, 머리브라켓축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편심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편심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머리편심캠부재가 머리가압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제1머리슬라이더를 가압하면,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의 끼움 결합 상태가 유지되고, 머리편심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머리편심캠부재가 머리가압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제1머리슬라이더와 이격되면,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머리조절모듈(34)은 머리편심캠부재를 회전시키는 머리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므로, 머리편심캠부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켜 머리편심캠부재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머리조절모듈(34)은 길이조절모듈(90)에 대응된다. 다시 말해, 제1머리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91)에 대응되고, 제2머리슬라이더 및 머리끼움홈부는 제2슬라이더 및 끼움홈부(92)에 대응되며, 머리가압홀은 가압홀(921)에 대응되고, 머리브라켓축은 브라켓축(93)에 대응되며, 머리편심캠부재는 편심캠부재(94)에 대응되고, 머리길이조절부는 길이조절부(95)에 대응된다.
여기서, 머리조절모듈(34)은 머리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고, 외력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머리조절모듈(34)은 머리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조절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탄성력 조절 구조와, 슬라이드 이동된 조절부재의 탈부착을 통한 탄성력의 유지 구조를 부가할 수 있다.
셋째,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유압 조절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머리끼움홈부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머리끼움홈부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머리끼움홈부에서 제1머리슬라이더가 돌출되면, 대상자의 머리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지지링크(32)의 길이가 길어지고,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머리끼움홈부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머리끼움홈부로 제1머리슬라이더가 삽입되면, 대상자의 머리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머리지지링크(32)의 길이가 짧아진다.
여기서,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머리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고, 유압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머리조절모듈(34)의 구조와 같이 머리편심캠부재를 통한 제1머리슬라이더와의 탈부착 구조를 부가하여 유압에 의한 제1머리슬라이더의 추가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리지지유닛(40)은 몸통지지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리지지유닛(40)은 대상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리지지유닛(40)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몸통지지유닛(10)에서 이격되어 하나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유닛(40)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후술하는 착석유닛(80)의 결합을 위한 착석결합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지지유닛(40)은 몸통지지유닛(10)에서 이격되어 대상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다리지지부재(41)와, 일측은 몸통지지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다리지지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지지링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지지유닛(40)은 다리지지링크(42)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4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다리링크모듈(43)과,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4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다리링크모듈과, 다리지지링크(42)의 길이를 조절하는 다리고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다리링크모듈(43)은 다리지지부재(41)와 다리지지링크(42)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다리링크부재(431)와, 다리지지부재(41)와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와 다리링크부재(431)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라인결합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는 다리링크부재(431)에 함몰 형성되는 다리실린더홈(432)과, 다리실린더홈(432)의 입구에 구비되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다리지지부재(41)와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다리실린더홈(432)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다리피스톤(435)과, 제1다리스플라인(433)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다리피스톤(435)에 구비되는 제2다리스플라인(43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피스톤(435)이 다리실린더홈(432)에 삽입되면, 도 9의 (a)와 같이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스플라인 결합되므로, 다리지지링크(42)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41)가 고정되고, 다리피스톤(435)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돌출되면, 도 9의 (b)와 같이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분리되므로, 다리지지링크(42)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41)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제1결합부는 다리피스톤(435)에서 연장되어 다리지지부재(41)와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다리고정부재(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고정부재(437)는 다리지지부재(41)와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에서 회전되지 않지만, 다리피스톤(435)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다리지지부재(41)와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제1결합부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을 해제시키는 다리링크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다리링크탈착부는 수동으로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다리링크탈착부는 대상자 또는 시술자가 파지하도록 다리지지부재(41) 또는 다리지지링크(42) 또는 다리고정부재(437)에 돌출 형성되는 다리탈착레버(43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탈착레버(438)를 잡아당기면, 도 9의 (b)와 같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이 돌출되면서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이 해제되어 다리지지링크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다리탈착레버를 밀어 넣으면, 도 9의 (a)와 같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이 삽입되면서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다리지지링크(42)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41)의 회전이 제한된다.
둘째, 다리링크탈착부는 자동으로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다리링크탈착부는 다리실린더홈(432)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을 왕복 이동시키는 유체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조절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다리실린더홈(432)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이 돌출되면,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분리되어 다리지지링크(42)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41)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유체조절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다리실린더홈(432)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실린더홈(432)으로 다리피스톤(435)이 삽입되면,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다리지지링크(42)를 기준으로 다리지지부재(41)의 회전이 제한된다.
셋째, 다리링크탈착부는 탄성력이 부가되어 디폴트 상태에서 스플라인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리링크탈착부는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을 탄성 지지하는 다리탄성부재(439)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지지유닛(40)에서 디폴트 상태에서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는 것이 대상자를 시술할 때, 대상자의 다리 움직임을 지탱할 수 있으므로, 다리탄성부재(439)는 다리실린더홈(432)의 내부로 다리피스톤(435)을 탄성 가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부는(미도시) 다리링크부재(431)에 구비되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다리지지부재(41)와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다리스플라인(4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부(미도시)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다리링크모듈은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링크(42)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다리링크부재(431)와,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와 다리링크부재(431)를 회전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시키는 스플라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라인결합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는 다리링크부재(431)에 함몰 형성되는 다리실린더홈(432)과, 다리실린더홈(432)의 입구에 구비되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다리실린더홈(432)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다리피스톤(435)과, 제1다리스플라인(433)과의 스플라인 결합을 위해 다리피스톤(435)에 구비되는 제2다리스플라인(43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피스톤(435)이 다리실린더홈(432)에 삽입되면,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스플라인 결합되므로,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42)가 고정되고, 다리피스톤(435)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돌출되면,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분리되므로,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42)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제1결합부는 다리피스톤(435)에서 연장되어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다리고정부재(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고정부재(437)는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에서 회전되지 않지만, 다리피스톤(435)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링크(42) 중 다른 하나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제1결합부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을 해제시키는 다리링크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다리링크탈착부는 수동으로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다리링크탈착부는 대상자 또는 시술자가 파지하도록 다리지지링크(42) 또는 다리고정부재(437)에 돌출 형성되는 다리탈착레버(43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탈착레버(438)를 잡아당기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이 돌출되면서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이 해제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42)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다리탈착레버(438)를 밀어 넣으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이 삽입되면서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42)의 회전이 제한된다.
둘째, 다리링크탈착부는 자동으로 스플라인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다리링크탈착부는 다리실린더홈(432)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을 왕복 이동시키는 유체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조절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다리실린더홈(432)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이 돌출되면,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분리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42)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유체조절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다리실린더홈(432)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실린더홈(432)으로 다리피스톤(435)이 삽입되면,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몸통지지유닛(10)을 기준으로 다리지지링크(42)의 회전이 제한된다.
셋째, 다리링크탈착부는 탄성력이 부가되어 디폴트 상태에서 스플라인 결합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리링크탈착부는 다리실린더홈(432)에서 다리피스톤(435)을 탄성 지지하는 다리탄성부재(4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지지유닛(40)에서 디폴트 상태에서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이 결합을 유지시키는 것이 대상자를 시술할 때, 대상자의 다리 움직임을 지탱할 수 있으므로, 다리탄성부재(439)는 다리실린더홈(432)의 내부를 향해 다리피스톤(435)을 탄성 가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부(미도시)는 다리링크부재(431)에 구비되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링크(42) 중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탈부착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다리스플라인(4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부(미도시)는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의 스플라인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다리스플라인(433)과 제2다리스플라인(436)이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자석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리지지링크(42)는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부재(41)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다리슬라이더와, 몸통지지유닛(10)과 다리지지부재(41)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다리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다리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제2다리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다리고정모듈은 다리지지링크(4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다리 부분 길이에 대응하여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리고정모듈은 다리변환모듈과, 다리조절모듈(44)과, 유체조절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다리변환모듈은 탄성력과, 조절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탄성력 조절 구조와, 슬라이드 이동된 조절부재의 탈부착을 통한 탄성력의 유지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리변환모듈은 몸통변환모듈(13)과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좀더 자세하게, 다리변환모듈은 제1다리슬라이더에서 연장되어 다리끼움홈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부재와, 외부로 노출된 조절부재를 제2다리슬라이더에 고정시키는 조절부재고정부와,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다리링크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고정부가 동작되면,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조절부재고정부의 동작이 해제되면, 다리링크탄성부재의 탄성 가압 방향과 조절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해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일예로, 디폴트 상태에서 제1다리슬라이더가 다리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다리링크탄성부재는 다리끼움홈부의 외부로 제1다리슬라이더를 탄성 가압하므로, 조절부재를 조작하여 제1다리슬라이더를 다리끼움홈부에 삽입할 수 있고, 조절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제1다리슬라이더가 다리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복귀한다.
다른 예로, 디폴트 상태에서 제1다리슬라이더가 다리끼움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다리링크탄성부재는 다리끼움홈부의 내부로 제1다리슬라이더를 탄성 가압하므로, 조절부재를 조작하여 제1다리슬라이더를 다리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고, 조절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제1다리슬라이더가 다리끼움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복귀한다.
둘째, 다리조절모듈(44)은 외력을 통한 제1다리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구조와, 다리편심캠부재를 통한 제1다리슬라이더와의 탈부착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리조절모듈(44)은 다리끼움홈부와 연통되어 제1다리슬라이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다리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는 다리가압홀과, 다리가압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다리브라켓축과, 다리브라켓축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편심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편심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다리편심캠부재가 다리가압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제1다리슬라이더를 가압하면,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의 끼움 결합 상태가 유지되고, 다리편심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다리편심캠부재가 다리가압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제1다리슬라이더와 이격되면, 다리낑ㅁ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다리조절모듈(44)은 다리편심캠부재를 회전시키는 다리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므로, 다리편심캠부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켜 다리편심캠부재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다리조절모듈(44)은 길이조절모듈(90)에 대응된다. 다시 말해, 제1다리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91)에 대응되고, 제2다리슬라이더 및 다리끼움홈부는 제2슬라이더 및 끼움홈부(92)에 대응되며, 다리가압홀은 가압홀(921)에 대응되고, 다리브라켓축은 브라켓축(93)에 대응되며, 다리편심캠부재는 편심캠부재(94)에 대응되고, 다리길이조절부는 길이조절부(95)에 대응된다.
여기서, 다리조절모듈(44)은 다리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고, 외력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리조절모듈(44)은 다리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조절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탄성력 조절 구조와, 슬라이드 이동된 조절부재의 탈부착을 통한 탄성력의 유지 구조를 부가할 수 있다.
셋째,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유압 조절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다리끼움홈부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다리끼움홈부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끼움홈부에서 제1다리슬라이더가 돌출되면, 대상자의 다리 부분 길이에 대응하여 다리지지링크(42)의 길이가 길어지고,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다리끼움홈부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리끼움홈부로 제1다리슬라이더가 삽입되면, 대상자의 다리 부분 길이에 대응하여 다리지지링크(42)의 길이가 짧아진다.
여기서,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다리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고, 유압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다리조절모듈(44)의 구조와 같이 다리편심캠부재를 통한 제1다리슬라이더와의 탈부착 구조를 부가하여 유압에 의한 제1다리슬라이더의 추가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높이조절유닛(50)은 베이스(1)를 기준으로 몸통지지유닛(10)의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조절유닛(50)은 양단부가 각각 베이스(1)와 몸통지지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높이조절유닛(50)의 일측은 베이스(1)에 고정되고 높이조절유닛(50)의 타측은 몸통지지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통지지유닛(10)의 기울기 조절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높이조절유닛(50)은 실린더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경사조절유닛(60)은 높이조절유닛(50)으로부터 이격되어 몸통지지유닛(1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경사조절유닛(60)은 양단부가 각각 베이스(1)와 몸통지지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몸통지지유닛(10)의 기울기 조절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경사조절유닛(60)은 실린더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는 다리동작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다리동작유닛(70)은 높이조절유닛(50)과 경사조절유닛(60)의 동작에 대응하여 다리지지유닛(40)의 위치를 조절한다. 다리조절유닛(44)은 양단부가 각각 베이스(1)와 다리지지유닛(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다리지지유닛(40)의 위치 조절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리동작유닛(70)은 실린더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는 착석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석유닛(80)은 몸통지지유닛(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석유닛(80)은 대상자가 엎드려 앉는 자세를 취할 때,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한다.
베이스(1)를 기준으로 몸통지지유닛(10)이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면, 대상자가 착석유닛(80)에 착석하도록 착석유닛(80)이 몸통지지유닛(10)에 결합되고, 팔지지유닛(20)과, 머리지지유닛(30)과, 다리지지유닛(40)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대상자가 엎드려 앉는 자세를 가능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착석유닛(80)은 몸통지지유닛(10)에 돌출 형성되는 착석탈착부재(81)와, 착석탈착부재(8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착석로드(82)와, 착석로드(82)에 결합되어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착석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탈착부재(81)에는 착석로드(82)가 끼움 결합되는 링크결합홀(8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착석로드(82)는 대상자가 앉는 자세에 대응하여 2회 이상 절곡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착석로드(82)에서 절곡된 부분에서는 상술한 머리링크모듈과 같은 구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착석유닛(80)은 착석로드(82)를 착석탈착부재(81)에 고정시키는 착석고정부재(84)와, 착석로드(82)의 길이를 조절하는 착석고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석고정부재(84)는 착석탈착부재(81)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착석로드(82)를 가압하여 착석탈착부재(81)에서 착석로드(8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착석로드(82)는 착석탈착부재(81)와 착석부재(83)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착석슬라이더와, 착석탈착부재(81)와 착석부재(83)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고 제1착석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착석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제2착석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착석고정모듈은 착석로드(8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착석고정모듈은 착석변환모듈과, 착석조절모듈(85)과, 유체조절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착석변환모듈은 탄성력과, 조절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탄성력 조절 구조와, 슬라이드 이동된 조절부재의 탈부착을 통한 탄성력의 유지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착석변환모듈은 몸통변환모듈과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좀더 자세하게, 착석변환모듈은 제1착석슬라이더에서 연장되어 착석끼움홈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부재와, 외부로 노출된 조절부재를 제2착석슬라이더에 고정시키는 조절부재고정부와,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착석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고정부가 동작되면,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조절부재고정부의 동작이 해제되면, 착석탄성부재의 탄성 가압 방향과 조절부재의 길이 조절을 통해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일예로, 디폴트 상태에서 제1착석슬라이더가 착석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착석탄성부재는 착석끼움홈부의 외부로 제1착석슬라이더를 탄성 가압하므로, 조절부재를 조작하여 착석슬라이더를 착석끼움홈부에 삽입할 수 있고, 조절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제1착석슬라이더가 착석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복귀한다.
다른 예로, 디폴트 상태에서 제1착석슬라이더가 착석끼움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착석탄성부재는 착석끼움홈부의 내부로 제1착석슬라이더를 탄성 가압하므로, 조절부재를 조작하여 제1착석슬라이더를 착석끼움홈부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고, 조절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제착석슬라이더가 착석끼움홈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복귀한다.
둘째, 착석조절모듈(85)은 외력을 통한 제1착석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구조와, 착석편심캠부재를 통한 제1착석슬라이더와의 탈부착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착석조절모듈(85)은 착석끼움홈부와 연통되어 제1착석슬라이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착석슬라이더에 관통 형성되는 착석가압홀과, 착석가압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착석브라켓축과, 착석브라켓축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석편심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편심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착석편심캠부재가 착석가압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제1착석슬라이더를 가압하면,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의 끼움 결합 상태가 유지되고, 착석편심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착석편심캠부재가 착석가압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제1착석슬라이더와 이격되면,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착석조절모듈(85)은 착석편심캠부재를 회전시키는 착석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므로, 착석편심캠부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켜 착석편심캠부재의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착석조절모듈(85)은 길이조절모듈(90)에 대응된다. 다시 말해, 제1착석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91)에 대응되고, 제2착석슬라이더 및 착석끼움홈부는 제2슬라이더 및 끼움홈부(92)에 대응되며, 착석가압홀은 가압홀(921)에 대응되고, 착석브라켓축은 브라켓축(93)에 대응되며, 착석편심캠부재는 편심캠부재(94)에 대응되고, 착석길이조절부는 길이조절부(95)에 대응된다.
여기서, 착석조절모듈(85)은 착석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고, 외력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착석조절모듈(85)은 착석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조절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탄성력 조절 구조와, 슬라이드 이동된 조절부재의 탈부착을 통한 탄성력의 유지 구조를 부가할 수 있다.
셋째,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유압 조절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착석끼움홈부에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착석끼움홈부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착석끼움홈부에서 제1착석슬라이더가 돌출되면,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착석로드(82)의 길이가 길어지고,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착석끼움홈부의 유체가 배출되거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착석끼움홈부로 제1착석슬라이더가 삽입되면, 대상자의 엉덩이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착석로드(82)의 길이가 짧아진다.
여기서,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착석변환모듈의 구조와 같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고, 유압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체조절모듈(미도시)은 착석조절모듈(85)의 구조와 같이 착석편심캠부재를 통한 제1착석슬라이더와의 탈부착 구조를 부가하여 유압에 의한 제1착석슬라이더의 추가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모발 이식용 베드에 따르면,베드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대상자가 등을 기대어 눕거나 엎드린 상태로 누울 수 있고, 베드를 접으면, 엎드린 상태로 누워 있는 대상자를 엎드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앉은 자세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베드를 접고 펼치는 동작에서 대상자가 엎드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발 이식용 베드는 상술한 발명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 베이스
10: 몸통지지유닛 11: 하부모듈 111: 하부안착부재
112: 하부쿠션 113: 하부조절부 12: 상부모듈
121: 상부안착부재 122: 상부쿠션 123: 상부조절부
13: 몸통변환모듈 131: 몸통슬라이더 132: 몸통끼움홈부
133: 몸통조절부재 134: 몸통조절부재고정부 135: 몸통탄성부재
14: 몸통조절모듈
20: 팔지지유닛 21: 팔지지부재 22: 팔링크모듈
221: 팔링크부재 222: 팔실린더홈 223: 제1팔스플라인
224: 팔슬라이딩부 225: 팔피스톤 226: 제2팔스플라인
227: 팔고정부재 228: 팔탈착레버 229: 팔탄성부재
30: 머리지지유닛 31: 머리지지부재 32: 머리지지링크
33: 머리링크모듈 331: 제1머리링크부재 332: 머리실린더홈
333: 제1머리스플라인 334: 제2머리링크부재 335: 머리피스톤
336: 제2머리스플라인 337: 머리고정부재 338: 머리탈착레버
339: 머리탄성부재 34: 머리조절모듈
40: 다리지지유닛 41: 다리지지부재 42: 다리지지링크
43: 다리링크모듈 431: 다리링크부재 432: 다리실린더홈
433: 제1다리스플라인 435: 다리피스톤 436: 제2다리스플라인
437: 다리고정부재 438: 다리탈착레버 439: 다리탄성부재
44: 다리조절모듈
50: 높이조절유닛 60: 경사조절유닛 70: 다리동작유닛
80: 착석유닛 81: 착석탈착부재 811: 링크결합홀
82: 착석로드 83: 착석부재 84: 착석고정부재
85: 착석조절모듈 90: 길이조절모듈 91: 제1슬라이더
92: 끼움홈부 921: 가압홀 93: 브라켓축
94: 편심캠부재 95: 길이조절부

Claims (6)

  1. 대상자의 몸통 부분을 지지하는 몸통지지유닛;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팔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지지유닛;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유닛;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다리지지유닛;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몸통지지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몸통지지유닛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몸통지지유닛이 수평 상태를 이루면, 상기 팔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대상자가 눕는 자세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몸통지지유닛이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면, 상기 팔지지유닛과, 상기 머리지지유닛과, 상기 다리지지유닛의 위치와 기울기를 조절하여 대상자가 엎드려 앉는 자세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몸통지지유닛은,
    대상자의 몸통 부분 중 배 부분 또는 엉덩이 부분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하부모듈; 및
    상기 하부모듈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자의 몸통 부분 중 가슴 부분 또는 등의 윗부분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상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베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지지유닛은,
    상기 하부모듈과 상기 상부모듈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되고,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되도록 하는 쿠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과 상기 상부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몸통슬라이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모듈과 상기 상부모듈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몸통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몸통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몸통지지유닛은,
    대상자의 몸통 부분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몸통끼움홈부에서 상기 몸통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상기 몸통끼움홈부에서 상기 몸통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몸통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지지유닛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팔지지부재; 및
    상기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팔지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팔링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유닛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에서 이격되어 대상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재; 및
    일측은 상기 몸통지지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머리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머리지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지지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머리지지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머리링크모듈;
    상기 머리지지링크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지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머리링크모듈; 및
    상기 머리지지링크의 길이를 조절하는 머리고정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용 베드.
KR1020200053020A 2020-05-01 2020-05-01 모발 이식용 베드 KR10214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20A KR102140911B1 (ko) 2020-05-01 2020-05-01 모발 이식용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20A KR102140911B1 (ko) 2020-05-01 2020-05-01 모발 이식용 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911B1 true KR102140911B1 (ko) 2020-08-04

Family

ID=7204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020A KR102140911B1 (ko) 2020-05-01 2020-05-01 모발 이식용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9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0459A (zh) * 2022-07-07 2022-09-30 安徽省立医院(中国科学技术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便于固定的便捷式医疗u型固定枕
CN115154161A (zh) * 2022-06-22 2022-10-11 龚竹林 一种妇科检查用下肢定位装置
CN115553811A (zh) * 2022-10-08 2023-01-03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经食管超声心动图专用检查床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95A (ja) * 1991-06-28 1993-01-14 Shimadzu Corp 手術台
US20050035644A1 (en) * 2001-12-14 2005-02-17 Lloyd John T. Portable massage chair
JP2005124796A (ja) * 2003-10-23 2005-05-19 Sml Ltd ヘッドレス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医療用椅子並びに医療用ベッド
JP2006102445A (ja) * 2004-10-06 2006-04-20 J Morita Tokyo Mfg Corp 歯科用チェアのマット状シート、及び歯科用チェアのマット状シートを被装した歯科用チェアユニット
JP2008093187A (ja) * 2006-10-12 2008-04-24 Kanda Seisakusho:Kk 精神疾患患者治療用ベッド
KR101352190B1 (ko) 2010-12-20 2014-01-15 레스토레이션 로보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절식 모발 이식 의자
KR20190041205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소화 팔걸이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95A (ja) * 1991-06-28 1993-01-14 Shimadzu Corp 手術台
US20050035644A1 (en) * 2001-12-14 2005-02-17 Lloyd John T. Portable massage chair
JP2005124796A (ja) * 2003-10-23 2005-05-19 Sml Ltd ヘッドレス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医療用椅子並びに医療用ベッド
JP2006102445A (ja) * 2004-10-06 2006-04-20 J Morita Tokyo Mfg Corp 歯科用チェアのマット状シート、及び歯科用チェアのマット状シートを被装した歯科用チェアユニット
JP2008093187A (ja) * 2006-10-12 2008-04-24 Kanda Seisakusho:Kk 精神疾患患者治療用ベッド
KR101352190B1 (ko) 2010-12-20 2014-01-15 레스토레이션 로보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절식 모발 이식 의자
KR20190041205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소화 팔걸이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4161A (zh) * 2022-06-22 2022-10-11 龚竹林 一种妇科检查用下肢定位装置
CN115120459A (zh) * 2022-07-07 2022-09-30 安徽省立医院(中国科学技术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便于固定的便捷式医疗u型固定枕
CN115120459B (zh) * 2022-07-07 2023-08-11 安徽省立医院(中国科学技术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便于固定的便捷式医疗u型固定枕
CN115553811A (zh) * 2022-10-08 2023-01-03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经食管超声心动图专用检查床
CN115553811B (zh) * 2022-10-08 2024-05-24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经食管超声心动图专用检查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911B1 (ko) 모발 이식용 베드
US8556809B2 (en) Surgical tissue retractor
CN103237534B (zh) 可调毛发移植椅
US6368271B1 (en) Method for humerus retraction
CA3192502A1 (en) Medical device stabilizing systems
DE69829689T2 (de) Operationstischvorrichtung
US4403357A (en) Reclining furniture
EP2745742A1 (en) Supporting frame of folding chair and folding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JPS5834138B2 (ja) 人工膝関節
JP2016529074A (ja) 折り畳み車いす用の折り畳み機構、車いす用の背もたれ支柱、および車いす
JP2016529074A5 (ko)
JP6667019B2 (ja) 車いすのレッグレストのための装着デバイス
JP2002537882A (ja) ベッドおよびその他のリクライニング家具のための機構
KR101453069B1 (ko) 정형용 교정장치
JPWO2021040996A5 (ko)
CN209236661U (zh) 一种眼底病患者术后用支撑架
US5127705A (en) Multifunction and multiposition chair
JP5912449B2 (ja) 立位体位保持器具
IT201800009691A1 (it) Poltrona odontoiatrica
EP3593765A1 (en) Prosthetic socket for a connection to a lower limb prosthesis
US10376358B2 (en) Temporary disposable scaffold stand and tools to facilitate reconstructive valve surgery
JP6445564B2 (ja) 車いすの取外し可能な結合バー
JP2008073420A (ja) 椅子兼用ベッド
TW200417345A (en) Armrest assembly for a chair
CN210644503U (zh) 脊柱外科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