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678B1 -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678B1
KR102140678B1 KR1020180168585A KR20180168585A KR102140678B1 KR 102140678 B1 KR102140678 B1 KR 102140678B1 KR 1020180168585 A KR1020180168585 A KR 1020180168585A KR 20180168585 A KR20180168585 A KR 20180168585A KR 102140678 B1 KR102140678 B1 KR 10214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unit
piece
val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072A (ko
Inventor
한창훈
김광태
신재환
정승규
김영택
한남수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8016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2Land-based bulk storag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5Facilitating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에 구비된 배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플랜지와, 교체대상 밸브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플랜지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볼트 및 너트(이하 완전취외 볼트너트)와,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이 일정 거리 이격될만큼 풀어놓은 볼트 및 너트(이하 불완전취외 볼트너트)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교체대상 밸브를 들어올려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부 면적 및 상기 배관의 개방된 상면 전체를 커버하는 제1 유닛;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닛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1 플랜지를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REMOVAL AND INSTALLATION APPARATUS FOR CUTOFF VALVE OF NOZZLE PORTION ON GAS STORAGE TANK AND THE REMOVAL AND INSTALLATION MEHTOD USING THIS}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저장탱크 내부에 압력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도 고장밸브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99532호의 "엘엔지 저장탱크의 플로트 레벨 게이지용 게이트 밸브"(이하 선행기술) 또는 계측장비나 루트밸브 등 차단밸브들이 가스저장탱크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선행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밸브류들은 고장시 가스저장탱크의 상부측 배관으로부터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새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때, 가스저장탱크를 운전하는 도중에 가스저장탱크의 내부에 내압이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밸브 연결부를 해체할 경우에는, 분출압력으로 인하여 인명피해는 물론 주변 시설물 및 탱크 자체의 파손 등 치명적인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가스저장탱크에 설치된 밸브류는 안전을 위하여 가스저장탱크 내부의 내용물을 전부 비우고 사용중지시킬 때 까지 장시간에 걸쳐 고장난 해당 밸브를 보수하지 못하고 방치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995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가스저장탱크 내부에 압력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도 고장밸브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에 구비된 배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플랜지와, 교체대상 밸브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플랜지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볼트 및 너트(이하 완전취외 볼트너트)와,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이 일정 거리 이격될만큼 풀어놓은 볼트 및 너트(이하 불완전취외 볼트너트)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교체대상 밸브를 들어올려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부 면적 및 상기 배관의 개방된 상면 전체를 커버하는 제1 유닛;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닛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1 플랜지를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배관의 상단부 면을 덮는 본체편과, 상기 본체편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격 공간으로 최초에 삽입되어 상기 이격 공간의 두께를 확보하는 삽입편과, 상기 본체편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플랜지가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과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 각각과 동시에 일정 크기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는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3 유닛을 통하여, 상기 완전취외 볼트너트가 배치되었던 자리에 배치된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장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입편의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제1 체결공과,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연장편의 원호 형상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체결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공과 상기 복수의 제2 체결공은 상기 완전취외 볼트너트가 배치되었던 자리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연장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어 배치되는 파지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배관의 일측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과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상면을 가진 제1 탈착편과, 상기 배관의 타측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2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과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상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탈착편의 제1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과 마주보는 제2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을 가지는 제2 탈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탈착편 및 상기 제2 탈착편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유닛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유닛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제3 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탈착편 및 상기 제2 탈착편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내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 및 상기 제1 탈착편의 상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 지지편과, 상기 제2 내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탈착편의 상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 지지편과, 상기 제1 연장 지지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 탈착 지지편과, 상기 제2 연장 지지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2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탈착 지지편과, 한 쌍의 상기 제1 탈착 지지편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1 체결 통공과, 한 쌍의 상기 제2 탈착 지지편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 통공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체결 통공과, 상기 제1 체결 통공 및 상기 제2 체결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탈착 지지편과 상기 제2 탈착 지지편에 동시 접촉 고정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탈착편의 상면에 복수로 관통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장공 형상의 제1 체결 슬롯과, 상기 제2 탈착편의 상면에 복수로 관통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장공 형상의 제2 체결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하단부는 복수의 상기 제1 체결 슬롯 및 복수의 상기 제2 체결 슬롯 중 일부에 관통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단부와, 상기 제2 유닛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스터드 볼트와, 상기 스터드 볼트의 상단부로부터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닛의 상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1 결속 너트와, 상기 스터드 볼트의 하단부로부터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유닛의 하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2 결속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탈착편과 제2 탈착편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접촉 고정시키는 제1 단계; 가스저장탱크에 구비된 배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플랜지와, 교체대상 밸브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플랜지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고, 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풀어놓는 제2 단계; 상기 교체대상 밸브를 들어올려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부 면적 및 상기 배관의 개방된 상면 전체를 덮도록, 본체편의 양측에 삽입편과 연장편이 연장 형성된 제1 유닛을 상기 이격 공간에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유닛의 상면과 상기 제2 유닛의 하면에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스터드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복수의 스터드 볼트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결속 너트 및 제2 결속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는 제4 단계; 제3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속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풀어놓은 볼트 및 너트를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상기 교체대상 밸브를 상기 제1 플랜지 상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새로운 교체 밸브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3 플랜지를 상기 제1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맞게 조준하여 상기 제1 유닛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일부를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제3 플랜지의 하면이 상기 일정 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이격될 수 있도록 체결해두는 제6 단계; 상기 제3 유닛을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고, 교체 밸브를 상기 일정 거리만큼 들어올려 상기 제1 유닛을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로부터 제거한후, 상기 제3 플랜지의 하면을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7 단계; 및 상기 일정 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이격될 수 있도록 체결한 볼트 및 너트를 완전히 체결하고, 미체결한 나머지 볼트 및 너트를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3 플랜지에 완전히 체결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삽입편과 상기 연장편의 가장자리를 가상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 형상의 안전보강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편과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장편의 상면에 안착시켜, 상기 스터드 볼트의 상단부에 상기 제1 결속 너트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결속 너트를 상기 안전보강 플레이트에 접촉 고정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교체 밸브가 상기 본체편과 삽입편 및 연장편의 상부측에 안착되기 전에 분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를 운영하는 상태에서도 밸브 보수 또는 교체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가스저장탱크에 내압이 발생하더라도 고장난 밸브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지닌다.
즉,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상태에서도 고장난 밸브를 가스저장탱크로부터 분리하고 보수하거나 새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설비 운영상의 안정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를 비우지 않고 고장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해당 밸브를 보수하거나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수와 작업 소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적절한 시기에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설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장치 및 방법을 해당 시설에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LNG탱크와 같이 사용중지에 따른 운영불가 상태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당시의 하역량이나 저장가능한 탱크 용량이나 운영 여건 등의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해야 하므로 정확한 산출은 어려우나, 20만 kl 용량의 LNG 탱크 1기당 약 1,000억원 내외가 소요되는 대규모 건설비용을 감안하면, 고장 밸브로 인한 사용불능 상태의 지속에 따른 기회비용 손실은 매우 클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기회비용 손실을 극소화 내지 제로화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지닌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보수작업을 위한 가스저장탱크 내부의 가스 처리, 구체적으로는 재액화에 따른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에 의하여 교체대상 밸브를 가스저장 탱크의 배관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를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에 의하여 교체대상 밸브(600, 이하 도 6 내지 도 12 참조)를 가스저장 탱크(400)의 배관(50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를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제1, 2 유닛(100, 200)이 고정됨으로써 교체대상 밸브(600)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복수의 볼트 및 너트들이 가스저장탱크(400)에 구비된 배관(5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플랜지(510)와, 교체대상 밸브(60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플랜지(5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플랜지(620)를 상호 체결 고정한다.
이러한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제1 플랜지(510)와 제2 플랜지(6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볼트 및 너트(이하, 도 7의 완전취외 볼트너트(710) 참조)와, 제1 플랜지(510)의 상면과 제2 플랜지(620)의 하면이 일정 거리 이격될만큼 풀어놓은 볼트 및 너트(이하, 도 7의 불완전취외 볼트너트(720) 참조)를 형성한 상태를 만든다.
이때, 제1 유닛(100)은 교체대상 밸브(600)를 들어올려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1 플랜지(510)의 일부 면적 및 배관(500)의 개방된 상면 전체를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배관(50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유닛(10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이 제1 플랜지(510)를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관(500)의 상단부 면을 덮는 본체편(110)과, 본체편(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단부를 형성하고 전술한 이격 공간으로 최초에 삽입되어 이격 공간의 두께를 확보하는 삽입편(120)과, 연장편(1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연장편(130)은 본체편(1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단부를 형성하고, 제2 플랜지(620)가 제1 플랜지(510)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제2 플랜지(620)의 하면과 제1 플랜지(510)의 상면 각각과 동시에 일정 크기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후술할 제2 유닛(200)은, 후술할 제3 유닛(300)을 통하여, 완전취외 볼트너트(710)가 배치되었던 자리에 배치된 삽입편(120) 및 연장편(130)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체편(11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배관(500)의 개방된 상단부 면을 형성하는 원의 반경보다 크거나 같도록 함으로써, 내부압력이 잔존하는 가스저장탱크(400)의 분출가스를 차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삽입편(120)의 단부에는 제1 체결공(121)이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제3 유닛(300)과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체결공(131, 132, 133)이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편(130)의 원호 형상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공(121)과 복수의 제2 체결공(131, 132, 133)은 완전취외 볼트너트(710)가 배치되었던 자리에 대응되게 배치될 것이다.
또한, 제1 체결공(121)과, 복수의 제2 체결공(131, 132, 133) 중 하나의 제2 체결공(132)은 제1 플랜지(510) 또는 제2 플랜지(620)의 중심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선(L, 이하 도 3(a) 참조) 상에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불완전취외 볼트너트(720)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통상 배관(500) 연결용 플랜지에 관통된 여덟개의 체결공들 중에서 전술한 가상선(L) 상에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전술한 제1 체결공(121)과 하나의 제2 체결공(132) 및 전술한 하나의 제2 체결공(132) 좌우 양측의 제2 체결공(131, 133)들에 각각 체결되었던 볼트 및 너트들을 제1 플랜지(510) 및 제2 플랜지(620)로부터 완전히 분리 제거한다.
그리고, 나머지 볼트 및 너트들이 불완전취외 볼트너트(720)가 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풀어놓으면 교체대상 밸브(600)의 분리 및 설치를 위한 준비 상태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불완전취외 볼트너트(720)들의 역할은 교체대상 밸브(600)를 리프팅(lifting)할 때 배관(500)으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압력으로 인하여 교체대상 밸브(600)가 과도하게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상승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불완전취외 볼트너트(720)들의 역할은 해당 교체대상 밸브(600)가 중심을 벗어나지 않고 최초 체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스차단 플레이트(101, 이하 도 9 이하의 도면들 참조)가 전술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때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도 겸하면서, 가스차단 플레이트(101)가 순간적으로 재빠르게 삽입되더라도 삽입 안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는 역할 또한 하게 된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연장편(130)의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어 배치되는 파지 바(140, 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 바(140, 14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편(130)의 원호 형상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두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파지 바(140, 140)는 제1 유닛(100)을 작업자가 파지하고 전술한 이격 공간으로 밀어넣을 수 있게 편의를 제공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제1, 2 탈착편(210, 220)을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탈착편(210)은 배관(500)의 일측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 내측면(211)을 가지며 제1 플랜지(510)의 하면과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상면을 가진 것이다.
또한, 제2 탈착편(220)은 배관(500)의 타측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2 내측면(221)을 가지며 제1 플랜지(510)의 하면과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상면을 가지고, 제1 탈착편(210)의 제1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212)과 마주보는 제2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222)을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제1 탈착편(210) 및 제2 탈착편(220)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관(500)의 외주면상에 고정되고, 후술할 제3 유닛(300)의 상단부는 제1 유닛(100)에 탈착 결합되며 제3 유닛(300)의 하단부는 제1 탈착편(210) 및 제2 탈착편(220)에 탈착 결합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2 유닛(200)은, 제1 내측면(211)의 상단부 가장자리 및 제1 탈착편(210)의 상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 지지편(230)과, 제2 내측면(221)의 상단부 가장자리 및 제2 탈착편(220)의 상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 지지편(2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연장 지지편(23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제1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212)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 탈착 지지편(231, 231)과, 제2 연장 지지편(24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제2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탈착 지지편(241, 24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한 쌍의 제1 탈착 지지편(231, 231)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1 체결 통공(232, 232)과, 한 쌍의 제2 탈착 지지편(241, 241)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제1 체결 통공(232, 232)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체결 통공(242, 24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 유닛(200)은, 제1 체결 통공(232, 232) 및 제2 체결 통공(242, 242)을 관통하여 제1 탈착 지지편(231, 231)과 제2 탈착 지지편(241, 241)에 동시 접촉 고정되는, 탈착 볼트(251) 및 탈착 너트(252)를 포함하는 체결구(2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탈착편(210)의 상면에 복수로 관통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장공 형상의 제1 체결 슬롯(213)과, 제2 탈착편(220)의 상면에 복수로 관통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장공 형상의 제2 체결 슬롯(2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3 유닛(300)의 하단부는 복수의 제1 체결 슬롯(213) 및 복수의 제2 체결 슬롯(223) 중 일부에 관통 고정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터드 볼트(330)에 제1, 2 결속 너트(310, 320)가 나사 결합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스터드 볼트(330)는 제1 유닛(10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단부와, 제2 유닛(20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부재이다.
그리고, 제1 결속 너트(310)는 스터드 볼트(330)의 상단부로부터 나사 결합되어 제1 유닛(100)의 상면에 접촉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결속 너트(320)는 스터드 볼트(330)의 하단부로부터 나사 결합되어 제2 유닛(200)의 하면에 접촉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스터드 볼트(330) 각각의 상단부는, 제1 체결공(121) 및 복수의 제2 체결공(131, 132, 133)을 통하여 삽입편(120) 및 연장편(130) 각각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제1 결속 너트(310)는 삽입편(120) 및 연장편(130) 각각의 상면에 접촉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스터드 볼트(330) 각각의 하단부는, 복수의 제1 체결 슬롯(213) 및 복수의 제2 체결 슬롯(223) 중 일부를 통하여 제1 탈착편(210) 및 제2 탈착편(220) 각각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제2 결속 너트(320)는 제1 탈착편(210) 및 제2 탈착편(220) 각각의 하면에 접촉 고정되는 것도 파악 가능하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5와 같이 삽입편(120)과 연장편(130)의 가장자리를 가상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편(110)과 삽입편(120) 및 연장편(130)의 상면을 덮으며, 제3 유닛(300)의 상단부가 관통 체결되는 원판 형상의 안전보강 플레이트(1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안전보강 플레이트(150)는 본체편(110)과 삽입편(120) 및 연장편(130)으로 이루어진 가스차단 플레이트(101)의 차단 및 기밀 성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 예를 들면 가스저장탱크(400) 내부의 압력이 매우 큰 경우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를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에 관하여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15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우선, 작업자는 도 6과 같이 가스저장탱크(400)에 구비된 배관(500)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탈착편(210)과 제2 탈착편(220)을 포함하는 제2 유닛(200)을 접촉 고정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S1: 제1 단계).
이후, 작업자는 도 7과 같이 제1 플랜지(510)와 제2 플랜지(620)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일부는 제1 플랜지(510)와 제2 플랜지(62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고(좌측의 완전취외 볼트너트(710) 참조), 일부는 제1 플랜지(510)의 상면과 제2 플랜지(620)의 하면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풀어놓는(우측의 불완전취외 볼트너트(720) 참조) 작업을 실시한다(S2: 제2 단계).
계속하여, 작업자는 크레인과 같은 인상 장비를 이용하여 도 8과 같이 교체대상 밸브(600)를 들어올려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제1 플랜지(510)와 제2 플랜지(620)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한 다음, 도 9 및 도 10과 같이 본체편(110)의 양측에 삽입편(120)과 연장편(130)이 연장 형성된 제1 유닛(100), 즉 가스차단 플레이트(101)를 이격 공간에 삽입하는 작업을 실시한다(S3: 제3 단계).
여기서, 가스차단 플레이트(101)를 이격 공간에 삽입하는 것은, 제1 플랜지(510)의 일부 면적 및 배관(500)의 개방된 상면 전체를 덮도록 하기 위함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1과 같이 제1 유닛(100)의 상면과 제2 유닛(200)의 하면에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스터드 볼트(330)를 삽입하고, 복수의 스터드 볼트(330)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결속 너트(310) 및 제2 결속 너트(320)를 나사 결합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S4: 제4 단계).
이후, 작업자는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이 결속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풀어놓은 볼트 및 너트, 즉 불완전취외 볼트너트(720)들을 도 11의 곡선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1 플랜지(510) 및 제2 플랜지(6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도 12와 같이 교체대상 밸브(600)를 제1 플랜지(510) 상에 안착된 가스차단 플레이트(101)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S5: 제5 단계).
계속하여, 작업자는 도 13과 같이 새로운 교체 밸브(80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3 플랜지(830)를 제1 플랜지(510)의 가장자리에 맞게 조준하여 제1 유닛(100), 즉 가스차단 플레이트(101)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제1 플랜지(510)와 제3 플랜지(830)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일부를 제1 플랜지(510)의 상면과 제3 플랜지(830)의 하면이 일정 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이격될 수 있도록 체결해두는 작업을 실시한다(S6: 제6 단계).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4와 같이 제3 유닛(300)을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으로부터 분리하고, 교체 밸브(800)를 일정 거리만큼 들어올려 제1 유닛(100), 즉 가스차단 플레이트(101)를 제1 플랜지(510)와 제3 플랜지(830) 사이로부터 제거한후, 도 15와 같이 제3 플랜지(830)의 하면을 제1 플랜지(51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S7: 제7 단계).
이후, 작업자는 도 15와 같이 불완전취외 볼트너트(720)들을 완전히 체결하고, 미체결한 나머지 볼트 및 너트를 제1 플랜지(510) 및 제3 플랜지(830)에 완전히 체결함으로써 교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S8: 제8 단계).
여기서 제4 단계(S4)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보강 플레이트(150, 도 5 참조)를, 가스차단 플레이트(101)의 상면에 안착시켜, 스터드 볼트(330)의 상단부에 제1 결속 너트(310)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1 결속 너트(310)를 안전보강 플레이트(150)에 접촉 고정시키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안전보강 플레이트(150)는 교체 밸브(800)가 본체편(110)과 삽입편(120) 및 연장편(130)의 상부측에 안착되기 전에 분리 제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 내부에 압력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도 고장밸브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가스차단 플레이트
110...본체편
120...삽입편
121...제1 체결공
130...연장편
131, 132, 133...제2 체결공
140, 140...파지 바
150...안전보강 플레이트
200...제2 유닛
210...제1 탈착편
211...제1 내측면
212...제1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
213...제1 체결 슬롯
220...제2 탈착편
221...제2 내측면
222...제2 내측 가장자리 면
223...제2 체결 슬롯
230...제1 연장 지지편
231, 231...제1 탈착 지지편
232, 232...제1 체결 통공
240...제2 연장 지지편
241, 241...제2 탈착 지지편
242, 242...제2 체결 통공
250...체결구
251...탈착 볼트
252...탈착 너트
300...제3 유닛
310...제1 결속 너트
320...제2 결속 너트
330...스터드 볼트
400...가스저장탱크
500...배관
510...제1 플랜지
600...교체대상 밸브
620...제2 플랜지
710...완전취외 볼트너트
720...불완전취외 볼트너트
800...교체 밸브
830...제3 플랜지
L...가상선
S1...제1 단계
S2...제2 단계
S3...제3 단계
S4...제4 단계
S5...제5 단계
S6...제6 단계
S7...제7 단계
S8...제8 단계

Claims (10)

  1. 가스저장탱크에 구비된 배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플랜지와, 교체대상 밸브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플랜지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볼트 및 너트(이하 완전취외 볼트너트)와,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이 일정 거리 이격될만큼 풀어놓은 볼트 및 너트(이하 불완전취외 볼트너트)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교체대상 밸브를 들어올려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부 면적 및 상기 배관의 개방된 상면 전체를 커버하는 제1 유닛;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닛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유닛이 상기 제1 플랜지를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배관의 상단부 면을 덮는 본체편과,
    상기 본체편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격 공간으로 최초에 삽입되어 상기 이격 공간의 두께를 확보하는 삽입편과,
    상기 본체편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플랜지가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과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 각각과 동시에 일정 크기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는 연장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3 유닛을 통하여, 상기 완전취외 볼트너트가 배치되었던 자리에 배치된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장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의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제1 체결공과,
    부채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연장편의 원호 형상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체결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공과 상기 복수의 제2 체결공은 상기 완전취외 볼트너트가 배치되었던 자리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연장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어 배치되는 파지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배관의 일측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과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상면을 가진 제1 탈착편과,
    상기 배관의 타측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2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과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상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탈착편의 제1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과 마주보는 제2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을 가지는 제2 탈착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탈착편 및 상기 제2 탈착편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3 유닛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유닛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제3 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제1 탈착편 및 상기 제2 탈착편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내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 및 상기 제1 탈착편의 상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 지지편과,
    상기 제2 내측면의 상단부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탈착편의 상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 지지편과,
    상기 제1 연장 지지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 탈착 지지편과,
    상기 제2 연장 지지편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2 직선형 내측 가장자리 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탈착 지지편과,
    한 쌍의 상기 제1 탈착 지지편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1 체결 통공과,
    한 쌍의 상기 제2 탈착 지지편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 통공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체결 통공과,
    상기 제1 체결 통공 및 상기 제2 체결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탈착 지지편과 상기 제2 탈착 지지편에 동시 접촉 고정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탈착편의 상면에 복수로 관통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장공 형상의 제1 체결 슬롯과,
    상기 제2 탈착편의 상면에 복수로 관통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장공 형상의 제2 체결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의 하단부는 복수의 상기 제1 체결 슬롯 및 복수의 상기 제2 체결 슬롯 중 일부에 관통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단부와, 상기 제2 유닛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스터드 볼트와,
    상기 스터드 볼트의 상단부로부터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닛의 상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1 결속 너트와,
    상기 스터드 볼트의 하단부로부터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유닛의 하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2 결속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9. 배관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탈착편과 제2 탈착편을 포함하는 제2 유닛을 접촉 고정시키는 제1 단계;
    가스저장탱크에 구비된 배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플랜지와, 교체대상 밸브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플랜지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고, 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풀어놓는 제2 단계;
    상기 교체대상 밸브를 들어올려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플랜지의 일부 면적 및 상기 배관의 개방된 상면 전체를 덮도록, 본체편의 양측에 삽입편과 연장편이 연장 형성된 제1 유닛을 상기 이격 공간에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유닛의 상면과 상기 제2 유닛의 하면에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스터드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복수의 스터드 볼트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결속 너트 및 제2 결속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는 제4 단계;
    제3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이 결속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풀어놓은 볼트 및 너트를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상기 교체대상 밸브를 상기 제1 플랜지 상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분리하는 제5 단계;
    새로운 교체 밸브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3 플랜지를 상기 제1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맞게 조준하여 상기 제1 유닛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를 상호 체결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 중 일부를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제3 플랜지의 하면이 상기 일정 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이격될 수 있도록 체결해두는 제6 단계;
    상기 제3 유닛을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고, 교체 밸브를 상기 일정 거리만큼 들어올려 상기 제1 유닛을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로부터 제거한후, 상기 제3 플랜지의 하면을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7 단계; 및
    상기 일정 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이격될 수 있도록 체결한 볼트 및 너트를 완전히 체결하고, 미체결한 나머지 볼트 및 너트를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3 플랜지에 완전히 체결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삽입편과 상기 연장편의 가장자리를 가상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 형상의 안전보강 플레이트를, 상기 본체편과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장편의 상면에 안착시켜, 상기 스터드 볼트의 상단부에 상기 제1 결속 너트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결속 너트를 상기 안전보강 플레이트에 접촉 고정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교체 밸브가 상기 본체편과 삽입편 및 연장편의 상부측에 안착되기 전에 분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방법.
KR1020180168585A 2018-12-24 2018-12-24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KR10214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585A KR102140678B1 (ko) 2018-12-24 2018-12-24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585A KR102140678B1 (ko) 2018-12-24 2018-12-24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072A KR20200079072A (ko) 2020-07-02
KR102140678B1 true KR102140678B1 (ko) 2020-08-04

Family

ID=7159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585A KR102140678B1 (ko) 2018-12-24 2018-12-24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969B1 (ko) * 2020-09-10 2022-05-04 한국가스공사 가스저장탱크 밸브 유지관리를 위한 안전장치
KR102482659B1 (ko) * 2022-05-25 2022-12-29 ㈜한국진공야금 플라즈마 용해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1861A (ja) * 1998-08-26 2000-02-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付き弁の取外し工法及びその治具
JP2007113766A (ja) 2005-10-24 2007-05-10 Maezawa Ind Inc 膜処理装置の配管接続構造及びフランジ用パッキン
JP2008051230A (ja) 2006-08-24 2008-03-06 Cosmo Koki Co Ltd 管接続部材の脱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70B1 (ko) * 2010-06-11 2013-07-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량 조절 장치
KR101299532B1 (ko) 2010-10-29 2013-08-23 비아이 이엠티 주식회사 엘엔지 저장탱크의 플로트 레벨 게이지용 게이트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1861A (ja) * 1998-08-26 2000-02-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付き弁の取外し工法及びその治具
JP2007113766A (ja) 2005-10-24 2007-05-10 Maezawa Ind Inc 膜処理装置の配管接続構造及びフランジ用パッキン
JP2008051230A (ja) 2006-08-24 2008-03-06 Cosmo Koki Co Ltd 管接続部材の脱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072A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678B1 (ko)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US8561941B2 (en) Pin system for the connection assembly of an engine pylon underneath a wing of an aircraft
US10018077B2 (en) Gas turbine engine mounting arrangement
WO20120755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pressure relief valves
US8413672B2 (en) Valve flushing kit
RU2688088C2 (ru) Аварийны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20120001768U (ko) 안전밸브 디스크 가이드 분해 장치
US4966200A (en) Tie bolt accumulator with safety valve
EP3546371B1 (en) Installation tool and method
EP3048272B1 (en) V-band clamp with integral mount plate
US20220154858A1 (en) Hot bolt clamp
DE4316249C2 (de) Flüssiggas-Schnellkupplung
KR20060088500A (ko) 안경형 배관파이프 개폐 분리구
US8677585B2 (en) Alignment mechanism for assembly of a diffuser inside a pressure reducing and conditioning valve
US20160318161A1 (en) Tool for the removal and installation of polar end caps of freshwater tanks on board airplanes in the built-in state
US11098814B2 (en) Stem coupling
JPH032775Y2 (ko)
EP2757300A1 (de) Kupplung
US20140082911A1 (en)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for use in making repairs
JP6262534B2 (ja) 管内流路遮断装置
CN115076424A (zh) 带机械联锁的压力泄放系统、切换方法及拆除检修方法
GB2210139A (en) Separable valve assembly
US20190219212A1 (en) Blind flang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for isolating hazardous energy within a facility
CN102996972A (zh) 一种密封锁扣
KR200330850Y1 (ko) 원자력발전소의 출입구 배관 공기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