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150B1 - 남성용 기능성 팬티 - Google Patents

남성용 기능성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150B1
KR102140150B1 KR1020190167571A KR20190167571A KR102140150B1 KR 102140150 B1 KR102140150 B1 KR 102140150B1 KR 1020190167571 A KR1020190167571 A KR 1020190167571A KR 20190167571 A KR20190167571 A KR 20190167571A KR 102140150 B1 KR102140150 B1 KR 102140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late
line
sewing
uni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선
Original Assignee
최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선 filed Critical 최희선
Priority to KR1020190167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7/00Selection of special materials for und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5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남성의 둔부의 형상 보정에 더하여, 성기 내의 습기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팬티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각 봉제 연결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적어도 남성의 성기가 접촉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구부; 및 소변구부 이외의 영역인 몸판부;를 포함하고, 소변구부 및 몸판부의 상측으로서 착용 시 허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재질의 허리밴드부재가 봉제 연결된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 소변구부는, 일면이 습기를 흡수하고 반대편 일면이 습기를 배출하는 원단으로 구성되는 안감 및 겉감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되 안감의 반대편 일면이 겉감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몸판부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구성되되, 허벅지가 접촉되는 하단부가 노라인(No-Line)처리되도록 구성되고, 소변구부를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이중 구조 부재의 봉제 연결선, 몸판부를 이루는 몸판 부재의 하단 봉제 연결선 및 소변구부와 상기 몸판부의 봉제 연결선은, 오드람프 봉제방식으로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중 구조 부재와 남성의 성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중 구조 부재의 안감에 봉제 연결되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측부 및 하단부가 안감에 봉제 연결되는 보조 속지;를 더 포함하여, 음경이 보조 속지의 상부 개방된 라인에 걸치도록 하고, 음낭이 보조 속지의 상부 개방된 라인 하단에 위치되도록 하여, 음경과 음낭을 분리하도록 하며, 음경과 음낭 사이의 습기를 보조 속지가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남성용 기능성 팬티{UNDERWEAR FOR MALE HAVING FUNCTIONAL IMPROVEMENT}
본 발명은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관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남성의 성기능 향상을 위한 성기 모양에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는 소변부를 갖도록 하고, 둔부의 형상 보정에 더하여, 성기 내의 습기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남성 성기 주변의 건강을 지킬 수 있고, 팬티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각 봉제 연결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무 형태, 스포츠, 여가 등의 활동에 따라서 남성들의 속옷에 있어서 남성의 건강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속옷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남성의 경우 성기가 외부로 돌출되는 등의 신체적 특징에 의하여, 남성의 성기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속옷에 대한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남성 개인들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다양한 속옷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남성의 경우 여성과 유사하게, 남성호르몬이 왕성해야 건강하다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는데, 기존의 팬티는 삼각, 드로즈 및 사각 팬티 등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를 올려 입거나 타이트하게 입는 경우, 성기 특히 음경이 고환을 감싸는 음낭과 접촉하게 되며, 성기와 다리 및 아랫배 등이 접촉하게 되는데, 활동에 따라서 해당 접촉 부위에 마찰이 발생하여 열이 발생하는 동시에 땀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열 및 땀에 의하여 병균 발생 또는 마찰에 의한 피부 손상 등에 의하여 악취 발생, 질환 발생 등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비단 남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여성에게 해당 질환 등이 전염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남성의 성기를 온전하게 보존하고, 발생되는 열 및 땀을 배출할 수 있는 흡한속건 기능을 갖춘 기능성 팬티에 대한 연구 개발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다양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의 예로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0916707호 등이 있는데, 해당 제품의 경우, 남성의 성기가 접촉되는 전면부에 일정한 굴곡을 추도록 만곡부 및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음경주머니와 음낭주머니를 각각 생성함으로써, 음경과 음낭이 분리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해당 제품의 경우, 음낭 주머니와 음경 주머니가 각각 겉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하나, 봉제의 특성 상 안으로 말려 들어간 상태로 유지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전면부의 안감과 겉감의 이중 구조가 분리되어, 겉감의 경우 겉으로 돌출되나, 안감이 원단들의 상대적 인장력에 의하여 안으로 말려 들어가, 오히려 착용 시 음낭 및 음경을 일정부분 압박하게 되어, 구현하고자 하는 음경 및 음낭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해당 발명의 경우에도, 착용 시 남성의 허벅지에 위치되는 하단부에 라인 봉제가 된 상태임에 따라서 착용 시 하단부가 말려 올라가 착용감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각 원단의 연결부가 사용에 따라서 뜯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남성의 허벅지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원단이 손상되어 팬티의 기능성 저하 및 안정적인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이에 따라서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있어서, 상술한 안정적인 사용, 흡한속건 기능의 향상 및 실질적인 음경과 음낭의 분리가 가능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대한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 및 요구에 대해서, 허벅지 부분의 팬티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봉제 연결 부위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팬티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엉덩이 부분이 효과적으로 돌출되어 끼임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남성의 성기에 대한 흡한속건의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음경과 음낭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남성의 둔부에 효율적인 압력을 부여하여, 남성 둔부의 형상을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팬티 착용 시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적어도 남성의 성기가 접촉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구부; 및 상기 소변구부 이외의 영역인 몸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구부 및 몸판부의 상측으로서 착용 시 허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재질의 허리밴드부재가 봉제 연결된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변구부는, 일면이 습기를 흡수하고 반대편 일면이 습기를 배출하는 원단으로 구성되는 안감 및 겉감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되 안감의 상기 반대편 일면이 겉감의 상기 일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판부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구성되되, 허벅지가 접촉되는 하단부가 노라인(No-Line)처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변구부를 이루는 좌측 이중 구조 부재와 우측 이중 구조부재가 서로 접하는 부분 및 좌우 이중 구조 부재의 외측에 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좌우 한쌍의 이중 구조 부재의 봉제 연결선, 상기 몸판부를 이루는 몸판 부재가 팬티 제조를 위한 봉제 시 서로 연결됨에 따라서 접촉되는 영역 중 하단부 측의 하단 봉제 연결선 및 상기 소변구부와 상기 몸판부의 봉제 연결선은, 오드람프 봉제방식으로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중 구조 부재와 상기 남성의 성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중 구조 부재의 안감에 봉제 연결되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측부 및 하단부가 상기 안감에 봉제 연결되는 보조 속지;를 더 포함하여, 음경이 상기 보조 속지의 상부 개방된 라인에 걸치도록 하고, 음낭이 상기 보조 속지의 상부 개방된 라인 하단에 위치되도록 하여, 음경과 음낭을 분리하도록 하며, 음경과 음낭 사이의 습기를 상기 보조 속지가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구부는, 남성의 음경 및 음낭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상기 이중 구조 부재의 봉제 연결선인 상기 소변구부의 중심 라인이 패턴화되도록 구성되며, 봉제시 상기 소변구부를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이중 구조 부재 사이를 선 봉제하여 상기 소변구부의 중심 라인을 연결한 뒤, 상기 소변구부와 상기 몸판부를 후 봉제하여 상기 소변구부와 상기 몸판부를 연결하도록 봉제 순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판 부재는 몸판 부재의 연결 영역 중 착용 시 사용자의 양 엉덩이 사이가 이루는 중심의 선 영역인 둔부의 중심 라인의 영역을 후방 봉제 연결선으로 하여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몸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봉제 연결선에 인접한 영역에 있어서 상기 몸판 부재를 이루는 원단의 결 방향이, 상기 둔부의 중심 라인에 대응되는 상기 후방 봉제 연결선과 이루는 각도가 기설정된 제1 각도 범위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원단의 신축 특성 및 상기 둔부의 중심 라인이 이루는 각도에 의하여 둔부에 상부 방향으로의 외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측면의 무봉제 및 하단부의 햄라인에 의하여 상기 몸판부의 하단의 말림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판 부재의 사용자의 양 엉덩이 사이가 이루는 중심의 선 영역인 둔부의 중심 라인의 영역 중 하단의 일 영역은, 상기 둔부의 중심 라인이 이루는 선보다 기설정된 최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판 부재가 엉덩이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변구부는, 리오셀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거나, 리오셀,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편물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판부는,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거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햄 원단으로 구성되며, 허벅지가 접촉되는 하단부는 햄라인으로 구성되어 노라인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변구부의 원단을 자연 섬유를 갖는 편물 원단으로 구성하되, 습기 배출 방향이 일 방향으로 나열된 안감과 겉감의 이중 구조를 갖도록 하여 성기 부위의 흡한속건 기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그 외의 몸판부의 경우 나일론 및 폴리 우레탄을 포함하는 햄 원단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하단부가 햄라인으로 구성되어 노라인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착용 시 하단부의 봉제 라인에 의하여 착용 시 팬티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어 착용감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변구부와 몸판부의 각 원단 봉제 순서를 설정하여, 소변구부의 한 쌍의 이중 구조 부재 사이를 봉제 연결한 뒤 몸판부와 봉제하도록 하여, 소변구부가 완전하게 겉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음경과 음낭에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음경과 음낭을 그 형상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속지에 의하여 음경이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봉제 라인을 모두 오드람프 봉제로 구현함으로써, 봉제 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몸판부의 경우 원단의 결 방향을 일정하게 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둔부에 상부 방향의 힘을 가하도록 하여 둔부 형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며, 몸판부재의 엉덩이 부분이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엉덩이에 팬티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 및 3은 도 1의 A 영역을 구체화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서 몸판부의 원단을 제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B 영역을 구체화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둔부 영역의 몸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원단이 봉제 연결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 따라 실제 봉제된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 및 3은 도 1의 A 영역을 구체화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서 몸판부의 원단을 제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B 영역을 구체화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둔부 영역의 몸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원단이 봉제 연결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 따라 실제 봉제된 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상술한 도면을 선택적으로 모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소변구부(10) 및 몸판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변구부(10) 및 몸판부(20)의 상측에 존재함으로써, 착용 시 남성의 허리에 접촉되어 팬티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허리밴드부재(30)가 소변구부(10) 및 몸판부(20)에 봉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소변구부(10)는, 착용 시 적어도 남성의 음경(40) 및 음낭(41)을 포함하는 성기가 접촉되는 영역을 포함하여, 남성의 성기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며, 몸판부(20)는 소변구부(10) 이외의 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도 2와 같이, 소변구부(10)는 일면의 습기를 흡수하고 반대편 일면이 습기를 배출하는 원단, 예를 들어 편물 원단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안감(110) 및 겉감(111)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안감(110)의 상술한 반대편 일면, 즉 습기가 배출되는 방향의 겉쪽이 겉감(111)의 일면, 즉 습기를 흡수하는 방향의 속쪽이 접촉되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편물 원단의 이중 구조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감(110)의 속지에서 겉지 방향(d1)으로 열 및 습기를 배출하고, 이를 겉감(111)에서 다시 속지에서 겉지 방향(d2)으로 배출하여, 햄 원단의 땀 및 습기의 배출의 한계를 소변구부(10)의 편물 원단의 이중 구조를 통해 보완하고, 음경(40)의 최적 온도인 33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흡한속건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편물 원단은, 자연 섬유인 리오셀, 폴리 우레탄 또는 강도 확보 및 나염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리오셀, 폴리 우레탄 이외에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리오셀 및 폴리 우레탄만을 포함 시 리오셀 90 내지 97%, 폴리 우레탄 10 내지 3%로 중량비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 리오셀 57 내지 63%, 폴리에스테르 28 내지 32%, 폴리우레탄 5 내지 15로 중량비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몸판부(20)는 적어도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원단으로서, 예를 들어 나일론 및 폴리 우레탄 재질을 포함하는 햄 원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여, 허벅지가 접촉되는 하단부가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햄라인(23)이 형성되도록 원단의 두께 및 재질이 구성되어, 햄라인(23)에 의하여 팬티 하단부가 노라인(No-Line)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라인이라 함은 보통 단측을 마감하기 위해서 원단을 접은 뒤 봉제 처리하여 라인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햄라인(23)에 의하여 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단측을 마감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때 햄 원단 이외의 원단이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노라인으로 지칭되는 라인 형성 방식이 햄라인(23) 대신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자메스 및 납바(랍빠)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노라인에 유사한 방식의 마감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의 노라인으로 형성하는 라인 형성 방식에 대해서 햄라인으로 통칭하여 지칭될 것이나, 해당 기재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햄라인의 기재는 상술한 라인 형성 방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몸판부(20)가 햄 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햄 원단의 신축성 및 착용감 등의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 우레탄 또는 강도 확보 및 나염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나일론, 폴리 우레탄 이외에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나일론 및 폴리 우레탄만을 포함 시 나일론 67 내지 73%, 폴리 우레탄 27 내지 33%로 중량비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나일론 33 내지 37%, 폴리에스테르 33 내지 37% 및 폴리 우레탄 26 내지 34%로 중량비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팬티의 제작을 위해서 원단을 재단 시, 소변구부(10)의 원단으로서 해당 소변구부(10)를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이중 구조 부재(11, 12)가 각각 구성되고, 몸판부(20)를 이루는 좌우 한 쌍의 몸판 부재(21, 22)를 재단한 뒤, 서로 봉제 연결한 뒤 상술한 허리밴드부재(30)를 봉제 연결함으로써 팬티의 제작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좌우 한 쌍의 이중 구조 부재(11, 12) 각각은 상술한 안감(110) 및 겉감(111)을 각각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이중 구조 부재(11(12))에 안감(110) 및 겉감(111)이 각각 이중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술한 한 쌍의 이중 구조 부재(11, 12) 및 해당 이중 구조 부재(11, 12)에 포함된 안감(110) 및 겉감(111) 각각을 연결하는 봉제 연결선, 몸판부(20)의 한 쌍의 몸판 부재(21, 22)를 연결하는 둔부 중앙 라인 상의 후방 봉제 연결선 및 하단의 봉제 연결선, 그리고 소변구부(10)와 몸판부(20)의 두 단측의 봉제 연결선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드람프 봉제방식(O1)을 통해 봉제될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원단 사이의 연결을 위한 봉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봉제 연결선에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봉제선이 뜯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오드람프 봉제를 통해 이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이용 시의 유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소변구부(10)의 이중 구조 부재(11, 12) 사이의 연결선인 중심 라인은 남성 음경의 형상을 패턴화하여, 큰 각도의 라인(U1)을 통해서 남성의 음경이 음낭 쪽 아래 방향으로 눌리고 꺽이는 것을 방지하고, 남성의 성기 모양처럼 앞쪽으로 자연스럽게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팬티를 뉘어 놓는 경우, 위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소변구부(10)는 남성의 음경(40) 및 음낭(4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이중 구조 부재(11, 12)의 봉제 연결선인 소변구부(10)의 중심 라인이 패턴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기존의 봉제 방식으로서 소변구부(10)와 몸판부(20)를 선봉제하는 경우, 상술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으로서, 상술한 돌출된 구성이 오히려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음경(40) 및 음낭(41)의 분리 및 자유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 시, 소변구부(10)를 이루는 이중 구조 부재(11, 12) 사이를 선 봉제(P1)하여 소변구부(10)의 중심 라인을 연결한 뒤, 소변구부(10)와 몸판부(20)를 이루는 한 쌍의 몸판 부재(21, 22)를 각각 후 봉제(P2, P3)하도록 봉제 순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봉제 순서에 따르면, 소변구부(10)의 안감(110) 및 겉감(111)이 완전하게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선봉제된 뒤, 몸판부(20)와 연결됨으로써 자연 상태에서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음경(40) 및 음낭(41)의 분리 및 자유 이동이 완전하게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보조 속지(112)가 안감(110)에 추가적으로 봉제될 수 있다. 보조 속지(112)는, 이중 구조 부재(11, 12)와 남성의 성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이중 구조 부재(11, 12)의 안감(110)에 봉제 연결되되, 도 3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측부 및 하단부가 안감(110)에 봉제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보조 속지(112)는 도 7에 있어서 후 봉제(P2, P3) 시 봉제 연결되도록 봉제 순서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속지(112)에 의하면, 음경(40)이 보조 속지(112)의 상부 개방된 라인(113)에 걸치도록 하고, 음낭(41)이 보조 속지(112)의 라인(113) 하단에 위치되도록 자연스럽게 그 착용 위치가 결정된다. 즉, 라인(113)이 착용 시 자연스럽게 말림으로써 매우 좋은 착용감으로 음경(40)과 음낭(41)이 분리된다. 이러한 착용감 이외에, 보조 속지(112)가 음경(40)과 음낭(41) 사이의 습기를 자연스럽게 흡수하도록 하여, 흡한속건의 기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경(40)과 음낭(41)이 보조 속지(112)에 의하여 분리됨은 음경(40)이 라인(113)을 기준으로 위로 올라가도록 위치되거나, 음경의(40)의 크기에 따라서, 보조 속지(112)의 라인(113)을 중심으로 음경(40)이 보조 속지(112)를 기준으로 앞으로 향하고, 보조 속지(112)의 라인(113)이 음경(40)의 끝부분을 걸치는 형태로 될 수 있을 것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몸판부(20)는 원단의 재단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 대상이 되는 원단(100)의 양측에 햄라인(101)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패턴에 따라서 재단 시, 도 4와 같이 중앙 라인(30)을 중심으로 양 측에 패턴에 따라서 재단을 함으로써 몸판 부재(210)를 각각 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방 봉제 연결선(214), 소변구부(10)와의 연결선(216) 및 하단 연결선(215)가 각각 형성되며, 하단에 햄라인(213)이 형성되도록 하여 몸판 부재(210)가 제작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몸판 부재(210)는 상술한 한 쌍이 아닌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원단(100)에 관계없이, 후방 봉제 연결선(214)이 없고, 소변구부(10)와의 연결선(216) 및 하단 연결선(215) 등만 존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판 부재(210)가 두 쌍인 것으로 설명될 것이나, 상술한 하나의 몸판 부재에 대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햄라인(213)을 제외한 몸판 부재(210)에 있어서 원단(100) 제작 시 중앙 라인을 중심으로 각 영역(103, 102, 101)이 햄라인 영역(101), 저밀도 영역(103) 및 고밀도 영역(102)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원단(100) 제작 시 각 원사의 투입을 영역마다 다르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성분비에 있어서 고밀도 영역(102)이 폴리에스테르를 더 많이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고밀도 영역(102)은 몸판 부재(210) 재단 시 중단 영역(212)을 구성하도록 하고, 저밀도 영역은 몸판 부재(210)의 상단 영역(211)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햄라인(213)을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 중단 영역(212)에 대응되는 영역은 팬티 완성 시, 허벅지 등의 접촉 영역에 해당하여, 마찰에 의한 쓸림 현상에 의하여 손상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보다 내구성이 좋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단 영역(211)에 대응되는 영역은 팬티 완성 시 둔부에 접촉되며, 마찰 방지 보다는 착용감이 중요하기 때문에, 두께를 중단 영역(212)에 비하여 얇게하거나, 상술한 폴리에스테르의 성분비를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몸판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남성의 둔부에 접촉되는 영역으로서, 둔부의 형태를 보정 시 심미감이 더욱 좋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몸판 부재(21, 22)의 후방 봉제 연결선이 양 둔부 사이를 이루는 둔부 중심 라인이 되도록 구성되어 측면이 무봉제되도록 하며, 좌우 한 쌍의 몸판 부재(21, 22)를 이루는 햄 원단의 결 방향이, 후방 봉제 연결선으로부터 하단을 향하도록 하되 상기 결과 상기 후방 봉제 연결선이 이루는 각도(D)가 기설정된 제1 각도 범위, 예를 들어 30도에서 45도를 이루도록 하여, 햄 원단의 신축 특성 및 후방 봉제 연결선의 각도에 의하여 둔부에 상부 방향으로의 외력(f)을 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도(D)는 그 형성 방식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몸판 부재(21, 22)를 상술한 후방 봉제 연결선을 따라서 아래에서 위로 봉제함에 따라서 그 결이 자연스럽에 위로 말려 올라가면서 형성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는 직선으로 결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각도(D)를 표현하기 위해서 과장되게 도시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원래의 결은 후방 봉제 연결선과 직각을 이루도록 평행한 라인을 이루다가 후방 봉제 연결선에 인접될수록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의 각도(D)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몸판부(20)가 하나의 몸판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의 결과 둔부 중심 라인의 이루는 각도는 존재하지 않을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엉덩이에 팬티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착용감이 더욱 좋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판 부재(21, 22)의 봉제 연결선에 대응되는 각 몸판 부재(21, 22)의 단부(214) 중 일 단측은, 상기 둔부 중심 라인이 이루는 선보다 기설정된 최대 높이(h)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좌우 한 쌍의 몸판 부재(21, 22)의 후방 봉제 시 엉덩이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적어도 남성의 성기가 접촉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구부; 및
    상기 소변구부 이외의 영역인 몸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구부 및 몸판부의 상측으로서 착용 시 허리에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재질의 허리밴드부재가 봉제 연결된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변구부는,
    일면이 습기를 흡수하고 반대편 일면이 습기를 배출하는 원단으로 구성되는 안감 및 겉감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되 안감의 상기 반대편 일면이 겉감의 상기 일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판부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원단으로 구성되되, 허벅지가 접촉되는 하단부가 노라인(No-Line)처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변구부를 이루는 좌측 이중 구조 부재와 우측 이중 구조부재가 서로 접하는 부분 및 좌우 이중 구조 부재의 외측에 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좌우 한쌍의 이중 구조 부재의 봉제 연결선, 상기 몸판부를 이루는 몸판 부재가 팬티 제조를 위한 봉제 시 서로 연결됨에 따라서 접촉되는 영역 중 하단부 측의 하단 봉제 연결선 및 상기 소변구부와 상기 몸판부의 봉제 연결선은, 오드람프 봉제방식으로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중 구조 부재와 상기 남성의 성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중 구조 부재의 안감에 봉제 연결되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측부 및 하단부가 상기 안감에 봉제 연결되는 보조 속지;를 더 포함하여,
    음경이 상기 보조 속지의 상부 개방된 라인에 걸치도록 하고, 음낭이 상기 보조 속지의 상부 개방된 라인 하단에 위치되도록 하여, 음경과 음낭을 분리하도록 하며, 음경과 음낭 사이의 습기를 상기 보조 속지가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구부는,
    남성의 음경 및 음낭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상기 이중 구조 부재의 봉제 연결선인 상기 소변구부의 중심 라인이 패턴화되도록 구성되며,
    봉제시 상기 소변구부를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이중 구조 부재 사이를 선 봉제하여 상기 소변구부의 중심 라인을 연결한 뒤, 상기 소변구부와 상기 몸판부를 후 봉제하여 상기 소변구부와 상기 몸판부를 연결하도록 봉제 순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판 부재는 몸판 부재의 연결 영역 중 착용 시 사용자의 양 엉덩이 사이가 이루는 중심의 선 영역인 둔부의 중심 라인의 영역을 후방 봉제 연결선으로 하여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몸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봉제 연결선에 인접한 영역에 있어서 상기 몸판 부재를 이루는 원단의 결 방향이, 상기 둔부의 중심 라인에 대응되는 상기 후방 봉제 연결선과 이루는 각도가 기설정된 제1 각도 범위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원단의 신축 특성 및 상기 둔부의 중심 라인이 이루는 각도에 의하여 둔부에 상부 방향으로의 외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측면의 무봉제 및 하단부의 햄라인에 의하여 상기 몸판부의 하단의 말림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판 부재의 사용자의 양 엉덩이 사이가 이루는 중심의 선 영역인 둔부의 중심 라인의 영역 중 하단의 일 영역은, 상기 둔부의 중심 라인이 이루는 선보다 기설정된 최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판 부재가 엉덩이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구부는,
    리오셀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거나, 리오셀,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편물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판부는,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거나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햄 원단으로 구성되며, 허벅지가 접촉되는 하단부는 햄라인으로 구성되어 노라인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0190167571A 2019-12-16 2019-12-16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2140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71A KR102140150B1 (ko) 2019-12-16 2019-12-16 남성용 기능성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71A KR102140150B1 (ko) 2019-12-16 2019-12-16 남성용 기능성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150B1 true KR102140150B1 (ko) 2020-07-31

Family

ID=7183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571A KR102140150B1 (ko) 2019-12-16 2019-12-16 남성용 기능성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03Y1 (ko) * 2020-08-07 2021-08-03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KR102536421B1 (ko) 2022-04-15 2023-05-30 주식회사 아이에스이랩 에어 스페이스가 포함된 팬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502A (ja) * 1993-11-16 1995-06-06 Intelpro Corp 湿気処理吊下パネルを有する衣類
KR200333787Y1 (ko) * 2003-08-16 2003-11-17 장광수 남성용 팬티
KR101448427B1 (ko) * 2014-04-28 2014-10-10 백경수 항문주위에 팬티 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남성팬티
JP5620468B2 (ja) * 2009-04-13 2014-11-05 ベク,ギョン−ス 男性用の機能性パンツ
KR200483462Y1 (ko) * 2016-09-05 2017-05-18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US20170290374A1 (en) * 2016-04-06 2017-10-12 Nike, Inc. Lower Torso Garment
KR20180009209A (ko) * 2016-07-18 2018-01-26 주식회사 듀얼라인 남성용 기능성 속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502A (ja) * 1993-11-16 1995-06-06 Intelpro Corp 湿気処理吊下パネルを有する衣類
KR200333787Y1 (ko) * 2003-08-16 2003-11-17 장광수 남성용 팬티
JP5620468B2 (ja) * 2009-04-13 2014-11-05 ベク,ギョン−ス 男性用の機能性パンツ
KR101448427B1 (ko) * 2014-04-28 2014-10-10 백경수 항문주위에 팬티 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남성팬티
US20170290374A1 (en) * 2016-04-06 2017-10-12 Nike, Inc. Lower Torso Garment
KR20180009209A (ko) * 2016-07-18 2018-01-26 주식회사 듀얼라인 남성용 기능성 속옷
KR200483462Y1 (ko) * 2016-09-05 2017-05-18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03Y1 (ko) * 2020-08-07 2021-08-03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KR102536421B1 (ko) 2022-04-15 2023-05-30 주식회사 아이에스이랩 에어 스페이스가 포함된 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550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tension in garments and method of use
US8601616B2 (en) Mens support nethergarment
KR101938443B1 (ko) 의복
US5023957A (en) Panty hose for wearing under an abbreviated outer garment
KR102140150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60085056A (ko) 남성용 팬티 겸용 거들
KR20010033523A (ko) 개선된 호지어리
US2401457A (en) Lady's undergarment
JP2005120516A (ja) 下着
US5363511A (en) Panties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473136Y1 (ko) 남성용 팬티
KR100734557B1 (ko) 팬티
JP2011256507A (ja)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JP6277078B2 (ja) 肌着
US2772419A (en) Ladies' undergarment
KR101826019B1 (ko) 하복부 보정 거들 팬티
KR200483462Y1 (ko) 남성용 팬티
KR101977246B1 (ko) 남성용 속옷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40122271A1 (en) Garment waistband system and method
JP2018204170A (ja) ショーツ等の衣料
TWM561422U (zh) 平口內褲之改良結構
KR102241155B1 (ko) 리버스 팬티
RU191847U1 (ru) Физиологическое нижнее белье для женщин
KR102003603B1 (ko) 체형 교정 복대 구조의 속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속옷
JP6811832B1 (ja) スポーツ用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