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885B1 - scaffold System - Google Patents
scaffold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9885B1 KR102139885B1 KR1020190057592A KR20190057592A KR102139885B1 KR 102139885 B1 KR102139885 B1 KR 102139885B1 KR 1020190057592 A KR1020190057592 A KR 1020190057592A KR 20190057592 A KR20190057592 A KR 20190057592A KR 102139885 B1 KR102139885 B1 KR 1021398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affold
- coupling frame
- cargo
- frame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 운반이 편리하며, 승강기의 설치 위치 변경이 용이하고,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affolding device having a cargo transport facility that is convenient for cargo transportation, easy to change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elevator, and prevents the elevator from falling.
각종 건축물을 시공하는 건설 현장에서 시공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벽에는 작업자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임시 작업대인 비계가 2층 이상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비계에는 작업자 및 각종 공구 및 자재의 상,하 방향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화물 운반 설비인 승강기가 설치되며, 상기 비계의 각 층에 형성된 통로로 작업자의 작업 또는 작업자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At the construction site where various buildings are constructed, scaffolding, which is a temporary work platform that enables workers to work, is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of two or more layers on the inside or outside walls of the construction building, and the scaffold carries the workers and various tools and material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 elevator, which is a cargo transport facility enabling the installation, is installed, and a worker's work or a worker's movement is made through a passage formed on each layer of the scaffold.
상기 비계에 설치되는 화물승강기는 비계발판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에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건축물의 상부에 설치된 권양기와 연결된 와이어 또는 체인과 연결되어 권양기의 작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The cargo lift installed on the scaffolding is installed to be able to elevate and descend at one end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ing plate, and is connected to a wire or chain connected to a hoisting machin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so that it i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Ascend in the direction.
상기한 종래 화물승강기는 비계의 측면, 즉 비계에 형성된 통로 일측 단부에 설치됨에 따라 화물승강기에 의해 이송된 화물이 비계의 통로 일측 단부에 하역되는 특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하역된 화물 이송을 위해 비계 통로의 타측 단부에 일측 단부까지 먼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As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argo lif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caffold, i.e., one end of the passage formed in the scaffold, the feature that cargo transferred by the cargo lift unloads at one end of the passage of the scaffold occurs, and accordingly, the worker transports the unloaded cargo. For the inconvenience, it is necessary to move a long distanc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caffolding passage.
또한, 상기 비계에 설치되는 종래 화물승강기는 건축물이 완공되면 철거를 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를 간단하게 설치하는 일이 빈번하여 일반 건축물에 시공되는 승강기에 비해 안전시설이 미비한 경우가 많아 과적재 등에 의한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argo elevator installed on the scaffolding needs to be demolished when the building is completed, the structure is often simply installed, and safety facilities are often inadequate compared to elevators installed on general structures, resulting in a fall due to overloading, etc. There is a problem that accidents occur frequently.
상기한 종래 화물승강기의 추락방지 기술인 등록번호 제10-0533583호를 살펴보면, 걸림공이 형성된 레일에 승강대의 롤러가 접속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승강대가 승강하고, 승강대의 상부에는 회전로드가 권취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로드에는 수평의 연결대와 그 연결대 양단에 힌지 고정된 연결로드가 하향 형성되며, 연결로드 하단에는 후크가 형성된 회전축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권취 와이어의 텐션이 제거되면 후크가 하강하여 레일의 걸림공에 걸려 승강대의 추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ooking at the registration number 10-0533583, which is the fall prevention technology of the conventional cargo lift, the platform is connected to the rail on which the locking hole is formed, and the platform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ng rod is woun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form.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rod hing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downward, respectively, forming a rotating shaft formed with a hook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ng rod, the hook is lowered when the tension of the winding wire is remov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platform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hole of the rail.
하지만, 상기한 등록번호 제10-0533583호는 걸림공이 형성된 레일을 별도로 제작하고 설치해야 하는 설치비용 증가 및 설치의 번거로움이 있고, 회전로드, 연결대, 연결로드를 구성함에 있어 구성의 복잡함 및 상기 구성의 복잡함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사용상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However, the above registration number 10-0533583 has an increase in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hassle to separately manufacture and install a rail having a locking hole, and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in constructing a rotating rod, a connecting rod, and a connecting rod and the above I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in use due to the inevitable durability decrease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계에 설치되는 화물승강기를 비계의 측면 방향이 아닌 전면 방향에 설치할 수 있는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affolding device having a cargo transport facility that can be installed in a front direction rather than a lateral direction of the scaffold.
또한, 본 발명은 비계의 전면 방향에 설치된 화물승강기의 설치 위치를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affolding device having a cargo transport facility capable of conveniently mov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a cargo lift install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caffold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화물승강기를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affolding device having a cargo transport facility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 fall from falling in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는, 다층으로 구성되어 각 층에 통로를 가지는 비계와; 상기 비계의 전면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폴과; 상기 가이드폴을 비계에 연결 고정하고, 상기 비계를 구성하는 수직파이프의 수직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결합프레임 및 가이드폴브라켓에 연결되는 제2결합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결합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폴 사이에 승, 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화물승강기와; 상기 비계의 제1수평파이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결합프레임의 소정 위치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및 상기 제2결합프레임의 후면 방향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바의 하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scaffolding apparatus having a cargo transpor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caffold composed of multiple layers and having passages on each floor; Guide pol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caffold in the front direction; A coupling frame fixedly connecting the guide pole to the scaffold and integrally forming a first coupling frame coupled to the vertical bracket of the vertical pipe constituting the scaffold and a second coupling frame connected to the guide pole bracket; A cargo lift mounted between the guide pole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 rotating bar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pipe of the scaffold,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ing one end of the rotating ba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coupling frame, and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fety device consisting of a pedestal to limit the rot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otating bar.
본 발명은 비계의 전면 방향 소정 위치에 화물승강기를 설치할 수 있어, 화물승강기에 의해 이송 및 하역된 화물이 비계 통로의 끝이 아닌 중간 위치에 하역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하역된 화물의 운반 거리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go lift can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caffold, so that the cargo transported and unloaded by the cargo lift is unload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rather than at the end of the scaffolding passage, whereby the operator can increase the transport distance of the unloaded cargo.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또한,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비계의 수직파이프와 본 발명의 결합프레임을 분해, 결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화물승강기의 설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이동할 수 있어 화물 이송의 효율성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ov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rgo elevator as necessary by disassembling and combining the vertical pipe of the previously installed scaffold and the coupling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argo transport.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화물승강기의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현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fall of the cargo elevator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at the work si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비계, 결합프레임 및 승강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결합프레임 및 승강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결합프레임과 가이드폴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결합프레임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결합프레임 및 안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승강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적재프레임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설치프레임 및 추락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추락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추락방지장치의 비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탄성스토퍼의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걸고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1 is an exemplary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affold, a coupling frame and an elevator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frame and the elevator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embodiment of the coupling frame and the guide pol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upling fram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upling frame and a safety devic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vator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ading fram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stallation frame and a fall prevention device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Figure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non-operational state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elastic stopper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ok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위해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을 과장하거나 축소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 방향은 가이드폴(3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외측 방향은 가이드폴(300)의 중심에서 양쪽 가이드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전,후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connected indirectly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the inclusion of any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not specifically ex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exaggerate, reduce, or omit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fo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ean direction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ner direction is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는 다층으로 구성되는 비계(100)와;1 to 4, a scaffolding device having a cargo transpor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비계(100)의 전면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폴(300)과;
상기 가이드폴(300)을 비계(100)에 연결 고정하는 결합프레임(200)과; A
상기 가이드폴(300) 사이에 승, 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화물승강기(400)로 구성하여 상기 화물승강기(400) 내의 화물을 비계(100) 각 층의 통로(LP)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omposed of a cargo lift (400) mounted between the guide poles (300) to enable lifting and lowering, so that cargo in the cargo lift (400) can be unloaded into the passage (LP) of each floor of the scaffold (100).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비계(10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된 수직브라켓(111)을 포함하는 수직파이프(110)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브라켓클램프(BC) 및 클램프핀(CP)을 통해 수직파이프(110)의 수직브라켓(111)과 연결되는 제1수평파이프(120)와, 폭 방향으로 배치되여 수직브라켓클램프(BC) 및 클램프핀(CP)을 통해 수직파이프(110)의 수직브라켓(111)과 연결되는 제2수평파이프(130)와, 상기 제2수평파이프(130)에 걸려 구성되는 비계발판(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성요소들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구성됨과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2층 이상 다층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비계(100)는 각 층 별로 통로(LP)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LP)는 하부 비계발판(140)과 상부 비계발판(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하부 비계발판(140)의 상면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비계(100)의 비계발판(140)이 폭 방향으로 하나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비계발판(140)의 갯수는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상기 화물승강기(400)는 공사 현장의 환경에 따라 비계(100)의 전면 방향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화물승강기(400)를 통해 이송 및 하역되는 화물은 비계(100) 각 층 통로(LP)의 끝지점이 아닌 통로(LP)의 중간과 가까운 지점에 하역된다. 따라서 화물승강기(400)에 의해 통로(LP)에 하역된 화물은 통로(LP) 유입 후 가상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90도 회전하여야 통로(LP)의 길이 방향으로 운반이 가능하다. The
가이드폴(300)은 폭 방향으로 비계(100)의 수직파이프(110)와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화물승강기(400)의 외측 방향 양쪽으로 배치되고, 결합프레임(200)은 상기 가이드폴(300)과 비계(100)의 수직파이프(110)를 결합하여 가이드폴(3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The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결합프레임(200) 및 가이드폴(300)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결합프레임(20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측 방향 단부가 수직파이프(110)의 수직브라켓(111)과 결합되는 제1결합프레임(210)과, 상기 제1결합프레임(210)의 내측 방향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면 방향 단부가 가이드폴(300)의 가이드폴브라켓(310)과 결합되는 제2결합프레임(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결합2프레임(22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너비는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승강기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너비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5 to 8, an embodiment of the
상기 제2결합프레임(220)은 수직파이프(110)와 가이드폴(300) 사이에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화물승강기(400)가 설치될 공간을 확보하고, 제1결합프레임(210)은 제2결합프레임(220)을 수직파이프(110)와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첨부된 도면에는 제1결합프레임(210) 및 제2결합프레임(220)이 수직브라켓클램프(BC)와 클램프핀(CP)에 의해 수직파이프(110) 및 가이드폴(300)과 결합되어 있으나, 제1결합프레임(210), 제2결합프레임(220)과 수직파이프(110) 및 가이드폴(300)의 결합 방식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결합프레임(220)의 후면 방향 단부에는 파이프클램프(PC)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클램프(PC)는 제2결합프레임(220)의 후면 방향 단부와 비계(100)의 제1수평파이프(120)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상기 파이프클램프(PC)의 형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6 and 7, a pipe clamp PC may be configured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결합프레임(220)의 후면 방향 단부에는 화물승강기(400)를 통한 비계(100) 통로(LP) 유입을 개폐하는 안전장치(24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240)는 비계(100)의 제1수평파이프(1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바(241)와, 상기 회전바(241)의 일측 단부와 제1결합프레임(210)의 소정 위치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242)과, 제2결합프레임(220)의 후면 방향 저면에 'ㄴ' 형상으로 부착되어 상기 회전바(241)의 하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받침대(243)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a
상기 안전장치(240)의 회전바(241)는 평상시에는 가이드폴(30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통로(LP)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폭 방향으로 통로(LP)를 벗어나는 사고를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 회전바(241)가 회전축(242)을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면, 화물승강기(400)를 통해 이송된 화물이 비계(100)의 통로(LP)로 하역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The
상기 안전장치(240)는 비계(100)의 상,하 방향 비계발판(140)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하 방향으로 비계발판 사이에 배치되는 양쪽 결합프레임(200)에 안전장치(240)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파이프클램프(PC)는 비계(100)의 비계발판(140)과 수평 방향 동일선 상에 배치된 결합프레임(200)에 배치된다. The
따라서, 안전장치(240)를 포함하는 결합프레임(200)은 상,하 방향으로 비계발판(140)과 비계발판(140) 사이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파이프클램프(PC)를 포함하는 결합프레임(200)은 수평 방향으로 비계발판(140)과 동일선에 배치되어 가이드폴(300), 결합프레임(200), 비계(1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Therefore, the
결합프레임(200)은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2결합프레임(220)을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제3결합프레임(23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프레임(230)은 제1결합프레임(210) 및 제2결합프레임(220)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The
가이드폴(300)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파이프로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가이드폴브라켓(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폴브라켓(31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소정 두께의 반원형 원판과 유사한 형상으로서, 가이드폴(300)의 외측 방향에 배치된다. 이는 가이드폴(300)의 내측 방향에는 화물승강기(400)의 가이드롤러(421)가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폴브라켓(310)의 후면부는 화물승강기(400) 추락시 화물승강기(400)이 스톱레버(434)를 멈추도록 작용하여 화물승강기(400)의 추락을 방지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화물승강기(400)에서 다루도록 한다. The
상기 가이드폴브라켓(310)의 외측 방향에는 결합프레임(200)의 전면 단부가 결합되는데, 이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가이드폴브라켓(310)에는 제2결합프레임(220)과의 결합을 위한 클램프핀(CP)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2결합프레임(220)의 일측 단부가 수직브라켓클램프(BC) 및 클램프핀(CP)을 통해 결합된다. The front end of the
도 9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화물승강기(400)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화물승강기(400)는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프레임(410)과, 상기 적재프레임(410)의 둘레를 감싸는 액자 형상의 설치프레임(420)과, 상기 설치프레임(4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화물승강기(400)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장치(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 embodiment of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410)은 액자형상으로서 외측 방향으로 2개 형성된 적제프레임(410)의 폭 방향 너비를 형성하는 폭방향프레임(411)과 상기 폭방향프레임(411)의 전면 단부 및 후면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길이방향프레임(4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방향프레임(412)은 내측 방향 중앙이 분리되어 여닫이문 방식으로 개폐된다. 따라서 화물승강기(400)의 출입문인 2개의 길이방향프레임(412)을 개방하면 비계(100)의 각 층 통로(LP)로 화물 하역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0, the
상기 길이방향프레임(412)은 상부길이방향프레임(413)과 하부길이방향프레임(414)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길이방향프레임(413) 및 하부길이방향프레임(414)은 분리 개폐가 가능토록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폭방향프레임(411) 및 길이방향프레임(412)은 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망은 액자 형상인 폭방향프레임(411) 및 길이방향프레임(412)의 테두리 안쪽 방향으로 화물이 빠져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한다. The
상부길이방향프레임(413)에는 시건장치(415)가 배치된다. 상기 시건장치(415)는 화물승강기(40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중 상부길이방향프레임(413) 또는 길이방향프레임(412)이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시건장치(415)는, 일측 상부길이방향프레임(413)에 힌지 연결된 자물쇠와, 타측 상부길이방향프레임(413)에 'ㄴ' 형상으로 부착된 걸고리로 구성된다. A
상부길이방향프레임(413) 하단과 하부길이방향프레임(414) 상단에는 상하부고정장치(416)가 배치된다. 상하부고정장치(416)는, 상부길이방향프레임(413) 하단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 수직 방향 승강이 가능하게 형성된 걸고리와, 하부길이방향프레임(414) 상단에 상기 걸고리의 하단부가 접속 가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 자물쇠로 구성된다. Upper and
상기 상하부고정장치(416)는 시건장치(415)가 잠금 상태일 때 하부길이방향프레임(414)만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는 화물의 하부가 화물승강기(400)의 전,부 방향 너비 보다 길게 형성된 화물을 화물승강기(400) 내부에 안전하게 적재하기 위함이다. The upper and
도 11을 참조하면, 설치프레임(420)은 화물승강기(400)의 외부 둘레를 감싸듯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프레임(420)의 외측 방향에는 가이드롤러(421)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421)는 외측 방향이 가이드폴(300)의 내측 방향과 접촉하며 화물승강기(400)의 안정적인 승강 및 하강을 안내한다. Referring to Figure 11, the
도 11내 14를 참조하면, 추락방지장치(430)는 상부에 형성되어 상단부는 권양기(미도시)의 와이어(미도시)와 연결되고 하부 외측 방향은 각각의 스톱레버(434)와 연결되는 승강플레이트(431)와, 상단부는 승강플레이트(431)와 힌지 결합되고, 중앙부는 고정핀에 의해 스톱레버가이드브라켓(435)에 연결되는 2개의 스톱레버(434)와, 설치프레임(420)의 상부 외측 방향 양쪽으로 형성되어 스톱레버(434)와 고정핀에 의해 연결된 스톱레버가이드브라켓(4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14 in FIG. 11, the
승강플레이트(431)는 소정 두께의 판체로서, 상부는 권양기(미도시)의 와이어(미도시)와 연결되고, 외측 방향 양측은 스톱레버(434)와 연결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431)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봉(432)과 상기 보강봉(432)이 관통 접속되는 보강봉가이드(433)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보강봉(432)의 하단은 설치프레임(42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권양기 및 와이어는 화물승강기의 공지 기술이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ifting
상기 보강봉(423)과 보강봉가이드(433)는 승강플레이트(431)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고, 스톱레버(434)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그 충격이 승강플레이트(431)로 전달될 때, 승강플레이트(431) 및 스톱레버(434) 상단부의 위치를 고정시켜 추락방지장치(430)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The reinforcing rod 423 and the reinforcing
스톱레버가이드브라켓(435)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소정 두께의 판체로서 장공 형상의 슬라이드홀(436)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홀(436)은 내측 방향 단부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외측 방향 단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슬라이드홀(436)은 승강플레이트(431)의 승강에 따라 양쪽 스톱레버(434)의 외측 아래 방향 단부가 형성하는 너비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작용한다. The stop
스톱레버(434)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서, 가이드폴(300)과 승강플레이트(431) 사이에 배치되며, 승강플레이트(431)의 외측 방향 양쪽으로 배치된다. 스톱레버(434)의 상단부는 승강플레이트(431)와 힌지 결합되고, 스톱레버(434)의 중간 부분은 결합핀에 의해 스톱레버가이드브라켓(435)의 슬라이드홀(436)과 연결된다. 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양기의 와이어가 끊어져 화물승강기(400)가 추락하게 되면 승강플레이트(431)는 하강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홀(436)에 접속된 결합핀은 슬라이드홀(436)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톱레버(434)의 하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벌어진다. 상기한 상황에서 화물승강기(400)는 추락을 계속 하고 스톱레버(434)의 외측 방향 단부의 저면이 가이드폴브라켓(310)과 접촉하면 화물승강기(400)의 추락은 멈춰진다. 즉, 가이드폴브라켓(310)이 스톱레버(434)의 스토퍼가 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2, when the wire of the hoisting machine is broken and the
도 13을 참조하면, 권양기의 작동에 따라 외이어가 상부 방향으로 당겨지면 승강플레이트(431)는 상승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홀(436)에 접속된 결합핀은 슬라이드홀(436)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톱레버(434)의 하단부는 내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스톱레버(434)의 하단부는 외측 방향 양쪽에 배치된 가이드폴(300)의 가이드폴브라켓(310) 보다 내측 방향에 위치하여 추락 방지 작용이 해제되고 화물승강기(400)의 승강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13, when the outer ear is pulled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the lifting
본 발명에 따른 화물승강기(400)는 탄성스토퍼(44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탄성스토퍼(440)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탄성스토퍼(440)는 설치프레임(420)의 외측 방향 상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돌출 형성된 스토퍼브라켓(441)과, 상기 스토퍼브라켓(441)의 후면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돌출 형성된 스토퍼스프링(443)과, 상기 스토퍼스프링(443)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관(4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상기 스토퍼브라켓(441)에는 상단부에서 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블록(442)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블록(442)에는 가이드관(444)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관(444)은 대구경관체의 내부로 소구경관체가 출입 가능하게 구성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형성되며, 가이드관(444)의 하단에는 스톱레버(434)와 접촉되는 접촉구(44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록(442)의 저면과 접촉구(445) 사이에는 스토퍼스프링(443)이 배치된다. The stopper bracket 441 is formed with a
탄성스토퍼(440)는 화물승강기(400) 추락에 의해 스톱레버(434)가 가이드폴브라켓(310)과 급격하게 출돌하며 화물승강기(400)의 추락을 방지할 때, 스톱레버(434)에 가해지는 충격을 절감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스톱레버(434)가 펼쳐진 다음 스톱레버(434)와 가이드폴브라켓(310)이 충돌하기 직전에 스톱레버(434)와 접촉구(445)는 접촉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톱레버(434)와 가이드폴브라켓(310)이 충돌할 때에 스토퍼스프링(443)이 수축하며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화물승강기(400)는 설치프레임(420)의 외측 방향 양쪽으로 구성되는 걸고리장치(45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장치(450)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된 2개의 걸고리바(4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걸고리바(451)의 외측 방향 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고리스토퍼(452)가 형성된다.The
상기 걸고리장치(450)는 다수의 수직파이프(110) 등과 같은 화물을 걸고리바(451)에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걸고리스토퍼(452)는 걸고리바(451)에 걸린 화물이 걸고리바(4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only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0:비계 110:수직파이프
111:수직브라켓 120:제1수평파이프
BC:수직브라켓클램프 CP:클램프핀
130:제2수평파이프 140:비계발판
200:결합프레임 210:제1결합프레임
211:수직브라켓클램프 212:클램프핀
220:제2결합프레임 230:제3결합프레임
240:안전장치 241:회전바
242:회전축 243:받침대
PC:파이프클램프 300:가이드폴
310:가이드폴브라켓 400:승강기
410:적재프레임 411:폭방향프레임
412:길이방향프레임 413:상부길이방향프레임
414:하부길이방향프레임 415:시건장치
416:상하부고정장치 420:설치프레임
421:가이드롤러 430:추락방지장치
431:승강플레이트 432:보강봉
433:보강봉가이드 434:스톱레버
435:스톱레버가이드브라켓 436:슬라이드홀
440:탄성스토퍼 441:스토퍼브라켓
442:지지블록 443:스토퍼스프링
444:가이드관 445:접촉구
450:걸고리장치 451:걸고리바
452:걸고리스토퍼 LP:통로100: scaffolding 110: vertical pipe
111: vertical bracket 120: first horizontal pipe
BC: Vertical bracket clamp CP: Clamp pin
130: second horizontal pipe 140: scaffolding
200: combining frame 210: first combining frame
211: Vertical bracket clamp 212: Clamp pin
220: second coupling frame 230: third coupling frame
240: safety device 241: rotating bar
242: rotating shaft 243: support
PC: Pipe clamp 300: Guide pole
310: guide pole bracket 400: elevator
410: loading frame 411: width direction frame
412: longitudinal frame 413: upper longitudinal frame
414: lower longitudinal frame 415: locking device
416: upper and lower fixing device 420: installation frame
421: Guide roller 430: Fall prevention device
431: lifting plate 432: reinforcement rod
433: Reinforcement rod guide 434: Stop lever
435: Stop lever guide bracket 436: Slide hole
440: elastic stopper 441: stopper bracket
442: Support block 443: Stopper spring
444: Guide tube 445: Contact
450: hook device 451: hook bar
452: Girl Stopper LP: Passage
Claims (3)
상기 비계의 전면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폴(300)과;
상기 가이드폴(300)을 비계(100)에 연결 고정하고, 상기 비계(100)를 구성하는 수직파이프(110)의 수직브라켓(111)에 결합되는 제1결합프레임(210) 및 가이드폴브라켓(310)에 연결되는 제2결합프레임(220)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결합프레임(200)과;
상기 가이드폴(300) 사이에 승, 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화물승강기(400)와;
상기 비계(100)의 제1수평파이프(1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회전바(241), 상기 회전바(241)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결합프레임(210)의 소정 위치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242) 및 상기 제2결합프레임(220)의 후면 방향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바(241)의 하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받침대(243)로 구성되는 안전장치(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A scaffold 100 composed of multiple layers and having passages LP in each layer;
Guide poles 3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scaffold;
The guide pole 300 is connected to the scaffold 100 and fixed, and the first coupling frame 210 and the guide pole bracket coupled to the vertical bracket 111 of the vertical pipe 110 constituting the scaffold 100 ( A coupling frame 200 formed integrally with a second coupling frame 220 connected to 310;
A cargo lift 400 mounted between the guide poles 300 to be elevated and lowered;
A rotating bar 241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pipe 120 of the scaffold 100, one end of the rotating bar 241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coupling frame 210 are rotatably coupled It comprises a safety device 240 consisting of a rotating shaft 242 and a pedestal 243 that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frame 220 to limit the rot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otating bar 241 Features scaffolding device with cargo transport equip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7592A KR102139885B1 (en) | 2019-05-16 | 2019-05-16 | scaffold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7592A KR102139885B1 (en) | 2019-05-16 | 2019-05-16 | scaffold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9885B1 true KR102139885B1 (en) | 2020-07-30 |
Family
ID=7183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7592A KR102139885B1 (en) | 2019-05-16 | 2019-05-16 | scaffold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988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0275U (en) * | 2022-08-05 | 2024-02-14 | 신승섭 | Freight Lifting System Using Scaffol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3583B1 (en) | 2004-02-26 | 2005-12-05 | 채찬복 | System preventing elevators for use in construction site from falling |
KR101945325B1 (en) * | 2018-08-09 | 2019-02-07 | 장윤근 | Freight Elevators For scaffolding |
-
2019
- 2019-05-16 KR KR1020190057592A patent/KR1021398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3583B1 (en) | 2004-02-26 | 2005-12-05 | 채찬복 | System preventing elevators for use in construction site from falling |
KR101945325B1 (en) * | 2018-08-09 | 2019-02-07 | 장윤근 | Freight Elevators For scaffold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0275U (en) * | 2022-08-05 | 2024-02-14 | 신승섭 | Freight Lifting System Using Scaffold |
KR200498101Y1 (en) | 2022-08-05 | 2024-06-26 | 신승섭 | Freight Lifting System Using Scaffol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28536B2 (en) | Scaffold system | |
JP4742591B2 (en) | Elevator terminal safety device | |
JP6366847B2 (en) | Elevator car handrail device | |
KR102139885B1 (en) | scaffold System | |
KR101501899B1 (en) | Hatch of work scaffold | |
JP5259379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1945325B1 (en) | Freight Elevators For scaffolding | |
JP2002020062A (en) | Elevator cage device | |
JP5572131B2 (en) | Elevator equipment | |
CN116249668A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846209B1 (en) | Trolley for tower crane | |
KR102262254B1 (en) | scaffold System | |
JP5077014B2 (en) | Elevator rope steady rest | |
JP5169604B2 (en) | Elevator installation work floor apparatus and its assembly method | |
JP2005104653A (en) | Elevator | |
KR102178504B1 (en) | Elevator door safety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 | |
JP5968162B2 (en) | Elevator toe guard | |
KR102446299B1 (en) | Work boarding device | |
JP6300715B2 (en) | Elevator scaffolding equipment | |
JP2019189401A (en) | Car of elevator | |
JPWO2002022487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19123610A (en) | Elevator device | |
JP6973162B2 (en) | Elevator scale device protection device | |
JP5460077B2 (en) | Pit ladder device and pit ladder installation method | |
JP2006248630A (en) | Elevator ca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