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254B1 - scaffold System - Google Patents
scaffold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2254B1 KR102262254B1 KR1020190102801A KR20190102801A KR102262254B1 KR 102262254 B1 KR102262254 B1 KR 102262254B1 KR 1020190102801 A KR1020190102801 A KR 1020190102801A KR 20190102801 A KR20190102801 A KR 20190102801A KR 102262254 B1 KR102262254 B1 KR 102262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argo
- handrail
- scaffold
- carri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4—Storage and transport racks for scaffolding compon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로에 하역된 화물의 운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설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수시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하역하지 않을 때 하역공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층으로 구현되고, 각 층 통로 전면 방향에 하역공간을 가지는 비계와; 상기 비계의 하역공간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비계에 연결고정하는 연결구와; 상기 양측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어 상승 또는 하강이 상기 지지대에 안내되고, 전, 후방에 문을 가진 사각 함 형태의 운반체로 구성하여 화물을 비계의 각 층 통로 전면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하역공간(12)에 안전장치(50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ransport distance of cargo unloaded in the passage, to move the installation location as needed,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unloading space when unloading is not perform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multi-layered scaffolding having an unloading spa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passage on each floor; Suppor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nloading space of the scaffold;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 to the scaffold; It is mounted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support to guide the ascent or descent to the support, and it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box-shaped carrier with doors in the front and rear so that cargo can be unloaded from the front of the passage on each floor of the scaffolding, along with the unloading space (12) is characterized in that a safety device (50A) is instal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운반 설비와 비계장치의 결합을 통하여 비계장치의 고층 통로로 화물운반, 하역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안전성과 화물적재의 안정성도 확보되는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scaffolding system equipped with a cargo transport facility that can conveniently transport, unload, and move cargo through a high-rise passage of the scaffolding system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cargo transport facility and the scaffolding device, and secure safety and stability of cargo loading. it's about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시공하는 건설 현장에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벽의 작업을 위해, 다층(2층 이상)의 비계와 상기 비계의 각 층에 형성되는 통로에 작업자의 작업, 작업자의 보행 및 각종 자재(공구 포함)의 이동을 위한 발판으로 구성되는 비계장치가 구축된다. In general, in construction sites where various buildings are constructed, for the work of the inner or outer walls of the building, the work of the worker, the walking of the worker, and various materials ( A scaffolding device consisting of a scaffold for the movement of tools) is constructed.
그런데 근래까지는 상기 각 층의 통로로 각종 자재들을 운반할 때 그 운반을 작업자가 직접 하였기 때문에 그 운반작업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체력이 상당히 소모되어 본래의 작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However, until recently, when transporting various materials through the passages of each floor, the transport was done directly by the operator, so the transport operation was very inconvenient, and the physical strength was considerably consumed, which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iginal operation.
이러한 문제들을 회피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비계장치의 제일 꼭대기에 장착되는 권양기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양측의 지지파이프를 따라 승, 하강하는 비계용 화물승강기를 본원 출원인이 특허등록 제10-1954325호(이하 '선행특허'라 함)로 등록한 바 있다. In order to avoid these problem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lifter mounted on the top of the scaffolding device and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support pipes on both sides. referred to as a 'prior patent').
그런데 선행특허는 화물 운반설비를 비계장치의 길이 방향 끝 부분 즉, 통로 끝에 설치됨은 물론 그 구성도 통로 끝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므로 그 설치위치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고, 위 문제는 비계장치의 통로가 길 경우 화물승강기에 의해 운반된 화물을 비계장치의 통로 끝에서 하역한 다음 통로를 따라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야 할 때 그 이동거리가 길어지는 문제를 야기하였으므로 하역한 화물이동의 시간적 낭비는 물론 불편도 있었다.However, the prior pat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limited because the cargo transport facility is not only install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caffolding device, that is, at the end of the passage, but also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installed only at the end of the passage. If the passage is long, it cause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distance becomes longer when the cargo transported by the cargo elevator has to be unloaded at the end of the passage of the scaffolding device and then moved to the required place along the passage. There was also discomfort.
또한, 선행특허는 화물 운반설비가 설치되는 비계장치의 각 층 통로 끝 부분에 구조적으로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 없어 화물 운반설비의 화물승강기를 운행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하역공간(화물승강기의 정지위치)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In addition, the prior patent describes the loading space (stop position of the cargo elevator) that occurs when the cargo elevator of the cargo transportation facility is not operating because it is structurally impossible to install a safety device at the end of the passage on each floor of the scaffolding system where the cargo transportation facility is installed There was a high risk of accidents caused by
한편, 선행특허는 화물을 적재하는 운반체가 여러 개의 사각골조를 연결한 적재대와 지지대를 'L'자 형태로 구현하고, 지지대에는 화물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 운반체는 결국 전방은 개방되고 후방은 막힌 구성을 취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위 운반체는 적재대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대 방향에서 하역할 때 지지프레임으로 인하여 하역작업에 방해를 받았으며, 이러한 방해는 안전사고의 위험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위 운반체는 적재대의 상, 좌, 우가 개방되는 형태이어서 화물 적재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낮은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patent, the carrier for loading the cargo implements the loading stand and the support in which several square frames are connected in an 'L' shape, and the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cargo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In the end, the carrier has no choice but to adop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ont is open and the rear is closed. Therefore, the carrier was interrupted by the support frame when unloading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platform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and such obstruction is pointed out a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n addition, since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rier are open, the safety and stability of cargo loading are low.
본 발명은 선행특허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계장치의 길이가 길더라도 필요에 따라 화물운반 설비를 여러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층 통로로 운반된 화물을 필요한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presented in the prior pate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cargo transport facilities to be installed in several places as needed, even if the length of the scaffolding device is long, so that the cargo transported through the high-rise passage can be transported to the required place. It is meant to be moved quick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운반 설비에 대한 화물의 적재와 하역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화물운반 설비의 운반체를 가동하지 않을 때 발생되는 하역공간에 안전이 담보되도록 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conveniently load and unload cargo on a cargo transport facility, and to ensure safety in an unloading space generated when the carrier of the cargo transport facility is not in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반설비를 갖춘 비계장치는, 다층으로 구현되고, 각 층 통로 전면 방향에 하역공간을 가지는 비계와; 상기 비계의 하역공간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비계에 연결고정하는 연결구와; 상기 양측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어 상승 또는 하강이 상기 지지대에 안내되고, 전, 후방에 문을 가진 사각 함 형태의 운반체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화물을 비계의 각 층 통로 전면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scaffolding device equipped with a cargo transpor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caffold having a loading and unloading spac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passage on each floor; Suppor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space of the scaffold;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 to the scaffold; It is mounted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support to guide the ascent or descent to the support, and includes a rectangular box-shaped carrier with doors at the front and rear so that the cargo can be unloaded in front of the passage on each floor of the scaffold will do it with
본 발명은 비계 전면에 화물운반 설비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통로의 길이에 따라 화물운반 설비를 하나 또는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위 효과는 화물운반 설비의 운반체 의해 이송 및 하역된 화물을 비계 통로의 끝이 아닌 중간 위치에 하역할 수 있어 하역된 화물의 운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one or more cargo transport facilities can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assage because the cargo transport facility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caffolding, and the above effect is to transport the cargo transported and unloaded by the carrier of the cargo transport facility to the scaffolding passage It can be unload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rather than at the end of the vehicle, which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transport distance of unloaded cargo.
또한,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화물운반 설비의 분해와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설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수시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화물의 운반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of the already installed cargo transport equipment,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moved at any time as nee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he cargo.
한편, 본 발명은 화물 하역을 위해 운반체가 상승하여 목적한 통로의 하역공간에 위치할 때 상승하는 운반체의 의해 난간이 개방되고, 하역작업 완료 운반체가 하역공간에서 이탈하면 난간이 스스로 닫히므로 하역공간으로부터 염려되는 위험성(추락사고 등)이 불식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rail is opened by the ascending carrier when the carrier rises and is located in the unloading space of the desired passage for cargo unloading, and the handrail closes by itself when the carrier leaves the unloading space after the unloading operation is completed. It has the effect of dispelling the risk (fall accident, etc.)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표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요부분 발췌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난간 정면 예시도
(나)는 (가)의 작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방기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에 포함되는 개방기구를 이용한 난간 개방 예시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개방기구 측면 예시로서, 운반체가 상승할 때 개방기구가 작용하는 상태 예시도
(나)는 본 발명의 운반체가 하강할 때 개방기구가 작용하는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 부분의 난간에 대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3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front view of the han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opening the handrail using the opening mechanism included in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n illustration of the side of the open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llust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mechanism acts when the carrier rises
(B) is an example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mechanism acts when th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ends
8 is another exemplary view of the handrail of the safety devic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nd,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위해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을 과장, 축소 또는 생략한 부분도 있음을 밝힌다. The drawings accompanying the present invention reveal that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다층으로 되는 비계(10), 지지대(40)(41), 연결구(42) 및 운반체(30)로 구성된다.1 to 3, a scaffolding device having a cargo transpor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상기 비계(10)는 여러 개의 가로, 세로골조를 이용하여 2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현되고, 각 층에는 통로(11)가 형성된다.The
상기 지지대(40)(41)는 일정간격을 두고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구(42)는 상기 지지대(40)(41)를 비계(10)에 연결하여 지지대(40)(41)가 비계(10)에 의해 기립 고정되도록 한다. The
상기 운반체(30)는 사각 함 형태로서, 상기 지지대(40)(41) 사이에 설치되어 최상의 비계에 설치된 권양기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권양기의 정, 역 가동에 의해 지지대(40)(41) 사이에서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상승 혹은 하강하고, 측면에는 지지대(40)(41)의 외면에 접속되는 여러 개의 롤러(31)가 부착되어 있어 운반체(30)의 상승 및 하강이 지지대(40)(41)에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에는 상승된 운반체(30)가 추락할 경우 그 추락을 방지하는 비상정지장치(35)가 구현되는데, 위 비상정지장치(35)는 선행특허에도 존재하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그리고 상기 운반체(30)는 전, 후방에 문(32)(33)이 설치되어 있어 전방 문(32)을 통해 화물을 적재하고, 후방 문(33)을 통하여서는 화물을 비계(10)의 통로(11)로 하역할 수 있어 화물의 적재와 하역을 신속하면서도 편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문(32)(33)은 양측 여닫이 문으로 하고, 일 측 단위 문 상단에 빗장(34)을 설치하여 상기 빗장(34)이 타 측 단위 문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측 여닫이 문의 자유 또는 갑작스러운 개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체(30)를 가동하거나 적재 및 하역할 때 전방 문(32) 또는 후방 문(33)의 예상치 못한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nd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비계장치의 각 층 통로(11)에 형성되는 하역공간(12)에 안전장치(35A)를 설치하는데, 위 안전장치(35A)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safety device 35A is installed in the unloading
상기 안전장치(35A)는, 각 층 통로(11)의 하역공간(12)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의 분리경계부분(55) 양측으로 제1단위난간(51) 및 제2단위난간(52)으로 분리 구분되는 바(bar) 형태의 난간(50)과, 상기 단위난간(51)(52)들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받침구(60)와, 상기 받침구(60)가 고정되고, 상기 단위난간(51)(52)들의 외측 끝단이 회전 가능케 지지되며, 비계(10)에 연결고정되는 연결구(42)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가능'은 상기 단위난간(51)(52)들의 외측 끝단과 받침구(60)를 회전축(53)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The safety device 35A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이러한 안전장치(35A)는 화물운반 설비(20)의 운반체(30)가 상승하면 상승하는 운반체(30) 상면이 단위난간(51)(52)들의 분리경계부분(55)에 위치하는 내측 끝단을 밀고 올라가면서 단위난간(51)(52)들을 서로 상대 측으로 상 방향 회전시킨다(도 4의 (나) 참조). 이렇게 단위난간(51)(52)들이 상 방향 회전하면 각 층 통로(11)의 하역공간(12)은 개방되므로 운반체(30) 내부의 화물을 통로(11)로 하역할 수 있다. 이때 단위난간(51)(52)들은 운반체(30)에 의해 상 방향 회전 위치가 유지되게 되고, 단위난간(51)(52)들의 회전은 외측 끝단의 회전축(53)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This safety device (35A) is the inn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화물의 하역을 완료한 후 운반체(30)를 하역공간(12)에서 이탈시키면 난간(50)의 단위난간(51)(52)들은 자중으로 원상복귀하면서 수평상태로 되어 하역공간(12)을 폐쇄한다(도 4의 (가) 참조). 상기에서 수평상태는 외측 끝단이 받침구(60)에 지지됨으로써 이루어진다. And when the
다음으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화물운반 설비(20)의 운반체(30) 후면 양측에 개방기구(70)를 설치하여 운반체(30)가 상승할 때 상기 개방기구(70)가 난간(5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체(30)와 난간(5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운반체(30)가 직접 난간(50)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한다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S. 6 and 7 , when the
상기 개방기구(70)는, 운반체(3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난간(50)과 접촉하는 개방편(71)과, 상기 개방편(71)의 직각 방향에 마련되어 운반체(30)에 고정되는 지지편(72)과. 상기 개방편(71) 및 지지편(72)을 일체로 연결 결합하는 힌지(73)와, 상기 힌지(73)의 상, 하측에 형성되는 제1, 2스토퍼(74)(75)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74)는 개방편(71)이 수평에서 상 방향 직각까지만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힌지(73)의 지지관(731)상면에 형성되고, 제2스토퍼(75)는 개방편(71)이 수평에서 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힌지(73)의 회전관(732)에 형성된다. The
위 개방기구(70)는, 운반체(30)가 상승하면 개방편(71)이 제2스토퍼(75)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난간(50)의 단위난간(50)들을 밀어서 개방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개방기구(70)를 채용하는 것은, 비계방치의 하층 통로(11)에 운반체(30) 내의 화물 일부를 하역한 다음 그 상층에 잔여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운반체(30)를 상층으로 이동시키면 하층 통로의 하역공간이 단위난간들의 원상복귀(자중에 의한 수평 복귀)가 되는데, 이 경우 상층에 위치하는 운반체(30)가 난간(50)에 의해 하층으로의 이동이 제약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dopting such an
이를 위한 작용은, 비계장치의 상층에 위치하는 운반체(30)를 하층으로 이동시키면 개방편(71)이 난간(50)에 접촉되긴 하나, 개방편(71)이 난간(50)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 방향으로 직각 회전하고, 이 상태에서 운반체(30)를 계속 하강시키면 개방편(71) 끝이 난간(50)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강하므로 개방편(71)이 난간(50)에 걸림으로써 운반체(30)의 하강을 방해하거나 혹은 불능하게 하는 것을 상쇄된다. 이때 개방편(71)의 제2스토퍼(75)는 도 7의 (나)와 같이 개방편(71)과 동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 방향 회전한 개방편(71)은, 운반체(30)의 하강이 계속됨으로써 난간(50)의 전면에서 벗어나면 제2스토퍼(75)의 무게를 포함하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이 되고, 이 수평상태는 제2스토퍼(75)가 힌지(73)의 지지편(72)에 밀착되므로 유지된다. 결국 개방편(71)은 일 방향(상 방향)으로 직각 회전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The action for this is to move the
따라서 난간(50)이 수평으로 되어 하층 통로의 하역공간(12)을 폐쇄하고 있더라도 운반체(30)의 하강은 아무런 방해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개방기구(70)가 운반체(30)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개방편(71)이 회전하면 운반체(30)가 난간(50)의 전방에 위치하는 형태가 되므로 운반체(30)의 하강 작동이 문제없다는 것이다. Therefore, even if the
한편, 하역공간(12)의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난간(50) 하측에 난간(50)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또 다른 보조난간(5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위난간(51)(52)들의 내측 끝단 상면에 밀대(54)를 형성하여 운반체(30)가 상승하면서 보조난간(50')을 개방하면 보조난간(50')의 밀대(54)가 상측의 난간(5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urther secure the safety of the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비계 11 : 통로
12 : 하역공간 20 : 화물운반 설비
30 : 운반체 31 : 롤러
32, 33 : 문 34 : 빗장
35 : 비상정지장치 40, 41 : 지지대
42 : 연결구 50A : 안전장치
50 : 난간 50' : 보조난간
51, 52 : 제1,2단위난간 53 : 회전축
54 : 밀대 55 : 분리경계부분
60 : 받침구 70 : 개방기구
71 : 개방편 72 : 지지편
73 : 힌지 731 : 지지관
732 : 회전관 74, 75 : 제1,2스토퍼10: scaffolding 11: passage
12: unloading space 20: cargo transport facility
30: carrier 31: roller
32, 33: door 34: latch
35:
42:
50: handrail 50': auxiliary handrail
51, 52: the first and second unit handrails 53: the axis of rotation
54: push bar 55: separation boundary part
60: support sphere 70: opening mechanism
71: open piece 72: support piece
73: hinge 731: support pipe
732: rotating
Claims (3)
상기 비계(10)의 하역공간(12)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40)(41)와;
상기 지지대(40)(41)를 비계에 연결고정하는 연결구(42)와;
상기 양측 지지대(40)(41) 사이에 장착되어 상승 또는 하강이 상기 지지대에 안내되고, 전, 후방에 문(32)(33)을 가진 사각 함 형태의 운반체(30)와;
중앙의 분리경계부분(55) 양측으로 제1단위난간(51) 및 제2단위난간(52)으로 분리 구분되는 난간(50), 상기 단위난간(51)(52)들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받침구(60)) 및 상기 받침구(60)가 고정되고, 상기 단위난간(51)(52)들의 외측 끝단이 회전 가능케 지지되며, 상기 비계(10)에 연결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역공간(12)에 설치되는 연결구(42)로 이루어진 안전장치(50A)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비계장치.
a scaffold 10 that is implemented in multiple layers and has an unloading space 12 capable of loading and unloading cargo in the front direction of each floor passage 11;
Supports 40 and 4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nloading space 12 of the scaffold 10;
a connector 42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upports 40 and 41 to the scaffold;
It is mounted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support (40, 41), the rise or fall is guided to the support, the front and rear doors (32) and (33) a square box-shaped carrier 30 and;
The handrail 50 divided into a first unit handrail 51 and a second unit handrail 52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eparation boundary part 55, and a support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unit handrails 51 and 52 (60)) and the support sphere 60 are fixed, the outer ends of the unit handrails 51 and 52 are rotatably supported, and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scaffold 10 to be installed in the unloading space 12 Scaffolding equipment equipped with a cargo transpor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afety device (50A) consisting of a connector (42).
개방편(71)과;
상기 개방편(71)의 직각 방향에 마련되어 운반체(30)에 고정되는 지지편(72)과;
상기 개방편(71) 및 지지편(72)을 일체로 연결 결합하는 힌지(73)와;
상기 힌지(73)의 상, 하측에 형성되는 제1, 2스토퍼(74)(75)로 구성되는 개방기구(70)를 화물운반 설비(20)의 운반체(30) 후면 양측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비계장치.According to claim 1,
an open piece 71;
a support piece 72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piece 71 and fixed to the carrier body 30;
a hinge 73 integrally connecting and coupling the open piece 71 and the support piece 72;
The opening mechanism 70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stoppers 74 and 75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inge 73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30 of the cargo transport facility 20 Scaffolding equipment equipped with cargo transport faciliti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2801A KR102262254B1 (en) | 2019-08-22 | 2019-08-22 | scaffold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2801A KR102262254B1 (en) | 2019-08-22 | 2019-08-22 | scaffold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3098A KR20210023098A (en) | 2021-03-04 |
KR102262254B1 true KR102262254B1 (en) | 2021-06-07 |
Family
ID=7517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2801A KR102262254B1 (en) | 2019-08-22 | 2019-08-22 | scaffold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225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8316B1 (en) | 2022-05-26 | 2023-05-31 | 박희석 |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scaffol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5325B1 (en) * | 2018-08-09 | 2019-02-07 | 장윤근 | Freight Elevators For scaffold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7864A (en) * | 2010-06-18 | 2011-12-26 | 양종덕 | Lift for construction work |
MY176583A (en) | 2014-06-16 | 2020-08-17 | Unigen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aging or improving bone disorders, cartilage disorders, or both |
-
2019
- 2019-08-22 KR KR1020190102801A patent/KR10226225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5325B1 (en) * | 2018-08-09 | 2019-02-07 | 장윤근 | Freight Elevators For scaffold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8316B1 (en) | 2022-05-26 | 2023-05-31 | 박희석 | Getting on and off apparatus for scaffol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3098A (en) | 2021-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77436B2 (en)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KR20140003277U (en) | A lift for a high place work | |
CN109153541B (en) | Transport device and container for transporting objects in a building | |
KR102262254B1 (en) | scaffold System | |
JP2008144544A (en) | Working device in mechanical parking device and its working method | |
JP4586756B2 (en) | Conveyor equipment | |
US7128186B2 (en) | Airport bridge people lift | |
KR200487593Y1 (en) | Safety apparatus for cargo elevator | |
JP6342238B2 (en) | Elevator-type parking facility entrance / exit deck device, elevator-type parking facility equipped with the same | |
JP2015016957A (en) | Safety device for elevator | |
KR101384204B1 (en) | Safety De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 |
JP4837488B2 (en) | Elevator stage for construction elevators | |
WO2007132272A1 (en) | Combination loft ladder & lift | |
KR102471610B1 (en) | Cargo carrying aids in elevators | |
JP2005179051A (en) | Transfer lifting truck | |
CN116635322A (en) | Structure device of elevator | |
JP2017208437A (en) | Article carrier facility | |
GB2423977A (en) | A barrier for a platform lift | |
JP6069739B2 (en) | Lifting conveyor | |
CN114531871B (en) | Elevator installation | |
US2780373A (en) | Hoists for building materials | |
JPH06146600A (en) | Unload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terial | |
JPS63300100A (en) | Heavy article conveyor | |
JPH06219515A (en) | In/out device with cab | |
JP6970552B2 (en) | Work prot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