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775B1 -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775B1
KR102139775B1 KR1020180080916A KR20180080916A KR102139775B1 KR 102139775 B1 KR102139775 B1 KR 102139775B1 KR 1020180080916 A KR1020180080916 A KR 1020180080916A KR 20180080916 A KR20180080916 A KR 20180080916A KR 102139775 B1 KR102139775 B1 KR 10213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mission
reward
t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152A (ko
Inventor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Priority to KR1020180080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775B1/ko
Priority to JP2018217155A priority patent/JP2020013531A/ja
Priority to US16/221,898 priority patent/US20200020197A1/en
Priority to CN201811586794.9A priority patent/CN110711379A/zh
Publication of KR2020000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63F13/23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infrared or pico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2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payment purposes, e.g. monthly subscrip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23Architectural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internal configuration, master/slave,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G07F17/3232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wherein the operator is informed
    • G07F17/3237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wherein the operator is informed about the players, e.g. profiling, responsible gaming, strategy/behavior of players, location of players
    • G07F17/3239Tracking of individual play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게임 기기가 설치된 매장 별로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게임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기 위한 임무 및 보상 설정부, 상기 게임 기기를 탑승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게임 이용에 따른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수집한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무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판단한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Intelligent method and system for mission reward service}
본 발명은 복수의 게임 기기가 설치된 매장의 운용 지원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게임 기기들을 이용한 임무 설정 및 설정된 임무의 성공 여부에 따른 보상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션 시뮬레이터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가상 환경에 맞도록 동적 변화를 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의 움직임을 현실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시뮬레이션 화면, 조작 레버, 참가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2차원 또는 3차원에서 이동하는 의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터는 시뮬레이터의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을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전후 방향(Z축), 좌우 방향(X축) 및 상하 방향(Y축)으로의 직선운동과, Z축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롤링(Rolling), X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피칭(Pitching) 및 Y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요잉(Yawing) 회전운동의 조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참가자가 시뮬레이터에서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시뮬레이터는 참가자의 조작에 따라 움직일 수 있어서, 시뮬레이터를 통해 동작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참가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에 기인하여, 모션 시뮬레이터는 비행 시뮬레이션이나 운전 시뮬레이션 등에 적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3차원을 체감할 수 있도록 게임용이나 극장용 시뮬레이터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술한 모션 시뮬레이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가상 현실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매장이 늘고 있다. 예컨대, 모션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가상 현실 바이킹, 가상 현실 롤러코스터, 가상 현실 슈팅 게임, 가상 현실 운전 게임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가상 현실 게임들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무관심에 따라 잘 이용되지 않고, 특정 가상 현실 게임만이 이용되고 있어, 가상 현실 게임의 시장이 잘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48584호, “가상 현실 체감용 모션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매장에 설치된 복수의 게임 기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게임 기기를 이용한 임무 및 임무 성공에 따른 보상의 설정을 지원하는 임수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게임 기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임무 및 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게임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기 위한 임무 및 보상 설정부; 상기 게임 기기를 탑승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게임 이용에 따른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수집한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무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판단한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임무 수행과 관련된 조언 정보를 더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무는, 해당 게임 기기의 이용 중에 나타나는 사용자 반응을 점수화하는 리액션 포인트, 게임 내용에 따라서 획득 가능한 게임 스코어, 게임 수행 시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임무 항목 및 해당 임무 항목에 대한 목표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리액션 포인트는 해당 게임 기기에서, 게임 수행 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얼굴 분석, 움직임 분석 또는 오디오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산출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는 각 게임기기별로 또는 둘 이상의 게임기기를 조합하여 상기 임무 및 임무 성공에 따라 제공될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성향, 선호도, 및 능력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별로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게임 기기에 장착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기 등 근거리통신 리더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NFC 단말 장치와 같은 근거리통신 단말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근거리통신단말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보상 제공부는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 성공한 임무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임무 및 보상 설정부가 하나 이상의 게임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게임 기기에 탑승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단계;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게임 및 임무 수행에 따른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수집한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무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보상 제공부가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하여, 상기 방법은,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NFC 단말 장치에 매칭되어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 또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 임무 정보 및 임무 성공에 따라 제공될 보상 정보를 사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성향, 선호도, 및 능력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별로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게임과 같은 게임 기기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운용하는 매장에서의 게임 기기의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게임 기기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게임 기기를 이용한 임무 및 그에 따른 보상을 설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매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카드형 혹은 밴드형 등 다양한 형태의 NFC, BLE(Bluetooth Low Energy) 등 근거리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들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사용자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임무의 설정된 임무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 후, 해당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 보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임무 수행과 관련된 조언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고객의 게임기기 탑승율 향상과 매장의 매출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임무 제공이 아닌, 적합한 임무 및 보상 제공을 통해 매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에 의한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은, 매장에 설치된 복수의 게임 기기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임무 및 임무 성공에 따른 보상 제공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게임 기기는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 이와 유사한 기술이 적용되는 장치가 될 수 도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VR시뮬레이터 장치를 대표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컨대, 상기 게임 기기들은 VR 장치와, 조작 장치, 탑승부 및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 등을 포함하는 탑승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게임 기기들은 사용자가 탑승부에 탑승한 후, VR 장치를 장착하고, 조작 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특정 게임을 수행하는 동안 필요에 따라 구동부가 탑승부의 변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게임 기기들은 예컨대, 가상 현실 바이킹, 가상 현실 롤러코스터, 가상 현실 슈팅 게임, 가상 현실 스포츠 게임 등 다양한 종류의 가상 현실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의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게임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임무 및 임무 수행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임무 및 보상 설정부(110)와, 사용자 인식부(120)와, 데이터 수집부(130)와, 데이터 분석부(140) 및 보상 제공부(1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을 위해 필요한 필수 구성만을 간략히 기술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요소들의 지원을 위해서, 관리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 관리자에게 정보 출력을 위한 출력 장치, 복수의 게임 기기 및 외부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통신 장치, 데이터 및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저장을 위한 저장 장치 등, 컴퓨팅 시스템의 통상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도 1의 구성은 이러한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각 구성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110)는, 게임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임무 및 임무 성공에 따른 보상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임무는, 게임 이용과 관련하여 더 구체적으로는 게임 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게임 중 사용자의 행동 혹은 목표를 정의한 것으로서, 게임 기기의 수행 중에 나타나는 사용자 반응을 점수화하는 리액션 포인트, 게임 내용에 따라서 획득 가능한 게임 스코어, 게임 수행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임무 항목 및 해당 임무 항목에 대한 목표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리액션 포인트는 게임 기기에 탑승하여 게임 수행 중에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얼굴 분석, 움직임 분석, 오디오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임무는, 각 게임 기기 별로 설정될 수 도 있고, 둘 이상의 게임 기기에서 지원하는 임무들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체험형 게임 기기인 제1 게임 기기에서 소정의 리액션 포인트 획득 및 레이싱형 게임 기기인 제2 게임 기기에서의 4개의 코스 돌파”가 하나의 임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임무 설정을 통해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게임 기기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무는, 매장내 복수 게임기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인공지능의 강화학습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학습 후 분석함으로써, 게임 매장의 현 상황에 적합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무는, 복수 게임기기에 대한 탑승 이력, 탑승 빈도, 사용자 반응, 사용자 관심도, 학습도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매장에서, 제1 게임 기기에 대한 탑승 빈도가 높고, 제2 게임 기기의 탑승 빈도가 낮은 경우, 제1 게임 기기에서 수행하는 임무와 제2 게임 기기에서 수행하는 임무를 이를 모두 성공한 경우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도록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게임 기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학습 속도 또는 임무 달성 속도가 빠른 경우, 제1 게임 기기에 설정된 임무의 목표값을 더 높이거나, 제1 게임 기기의 임무 성공 횟수가 높은 경우, 제1 게임 기기를 경험해본 사용자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게임 기기와 관련된 임무를 삭제하고, 임무 성공 횟수가 낮은 게임 기기에 관련된 임무를 추가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임무 수행에 따른 보상은, 게임 비용의 적어도 일부를 지불 또는 할인하거나, 특정 상품을 제공하거나, 멤버쉽 포인트와 같은 소정 포인트를 누적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게임 기기가 제공하는 게임을 수행한 후, 제1 게임 기기의 지정된 임무 수행 결과(즉,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 게임 이용권 형태의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고, 이렇게 제공된 보상을 통해서 제1 게임기기 또는 다른 게임 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110)는 임무 및 보상이 설정되면,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 혹은 후술하는 사용자 인식부(12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게임 시작 전에, 상기 설정한 임무 및 보상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임무 및 보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임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및 흥미를 유도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는, 각 게임 기기를 탑승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는 사용자간을 구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인식함에 의해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 또는 RFID(RF Identification)와 같은 비접촉 또는 접촉방식의 인식 기술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특정 매체(예를 들어, NFC 카드 또는 스마트 밴드 또는 RFID 태그 등)에 기록된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는 NFC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NFC 리더기는 게임 기기에 장착되어, 게임 기기별로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NFC 단말 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는 복수의 게임 기기(1000)를 이용하기 위해 방문한 사용자들을 구분하는 행태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도 있으며,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이동전화번호 등)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개인을 인식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이동전화번호)를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회원등록 혹은 회원가입과정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는, 임무 및 보상 제공을 위한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의 게임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에 의해서 인식된 사용자의 게임 이용에 따른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에 의해 수집된 게임 수행 데이터는 사용자별로 혹은 게임 기기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수행 데이터는, 임무 수행에 대한 결과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는 매장 데이터, 장비 데이터, 사용자 데이터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는 게임 기기로부터 수집할 수 도 있고, 매장 관리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도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가 수집한 데이터, 특히, 게임 기기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의 게임 및 임무 수행과 관련된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임무에 대한 임무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해당 매장에는 하나 이상의 임무 및 그에 대한 보상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는 설정된 하나 이상의 임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성공한 임무를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30)에 의해 수집되어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에서 인식한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의 과거 게임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기 설정된 임무의 수행과 관련된 조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언 정보는, 예를 들어, 과거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사용자의 게임 수행 능력에 기초한 임무 성공 가능성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는 상기 조언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도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는, 복수의 게임 기기별 다수 사용자의 게임 수행 정보를 분석한 상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해당 매장의 상황에 적합한 임무 및 보상에 대한 추천 정보를 추출하여 매장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매장 관리자는 상기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임무 및 임무 성공에 따른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고, 인공지능의 학습 알고리즘 이외의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적용 가능한 대표적인 학습 알고리즘으로는 의사결정규칙(Decision Rule)을 나무구조로 도표화하여 분류와 예측을 수행하는 분석방법인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다수의 변수들 사이의 확률적 관계(조건부독립성:conditional independence)를 그래프 구조로 표현하는 모델인 베이지안 망(Bayesian network), 패턴인식과 자료분석을 위한 지도(감독/교사) 학습(supervised learning)의 모델인 서포트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생물학적 뉴런의 동작원리와 뉴런간의 연결 관계를 모델링한 것으로 node 또는 processing element라고 하는 다수의 뉴런들이 층(層, Layer) 구조의 형태로 연결된 정보처리 시스템인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군집화하거나 분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인 딥러닝(Deep Learning)이 알려져 있다. 기계학습과 인지과학에서의 인공신경망은 생물학의 신경망(동물의 중추신경계, 특히 뇌)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알고리즘이다. 인공신경망은 시냅스(synapse)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뉴런(node)이 학습을 통해 시냅스의 결합세기를 변화시켜, 문제해결 능력을 가지는 모델전반을 가리킨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하는 딥러닝의 핵심은 분류를 통한 예측이다.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발견해 인간이 사물을 구분하듯 컴퓨터가 데이터를 분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임무 및 임무 수행에 따른 보상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는 각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성향, 선호도, 및 능력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110)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별로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게임 능력, 성향, 선호도 등에 따라서 사용자별 맞춤형 임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의 게임 능력, 성향,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게 할 수도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및 흥미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매장 관리자는 매장에 방문한 다양한 사용자들 중 일부 사용자를 선별하여 임무 및 보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다양한 마케팅을 수행하여 매장 이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상 제공부(150)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140)에서의 판단 결과, 즉,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가 인식한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상 제공부(150)는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 성공한 임무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은, 게임 매장에 설치된 복수의 게임 기기의 종류 및 그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용 상태에 대응하여 해당 매장에 적합한 임무 설정 및 보상 제공을 지원하고, 아울러, 임무 수행과 관련된 조언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임무 수행에 대한 욕구 및 흥미를 높이고, 이를 통해 게임 기기의 이용율 및 사용자의 게임 이용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임무 및 보상 설정부(110), 사용자 인식부(120)와, 데이터 수집부(130), 데이터 분석부(140) 및 보상 제공부(150)는,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인식부(120)는 각 게임기기에 장착되는 독립된 장치 형태로 구현되고, 나머지 임무 및 보상 설정부(110), 데이터 수집부(130), 데이터 분석부(140) 및 보상 제공부(150)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된 후 컴퓨터 시스템에 탑재되어 하나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비접촉 또는 접촉방식의 인식 기술, 블루투스 기술, RFID 등 다양한 근거리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게임 기기(1000)와, 상기 게임 기기(1000)에 장착된 NFC리더기(1100)와, 서버 장치(1200)와, 이동 단말 장치(1300)와, NFC 단말 장치(14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2의 예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게임기기(1000)는 하나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게임기기(10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게임기기(1000)는 각각 NFC 리더기(1100)를 장착하고, 상기 서버 장치(1200)에 로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병렬로 혹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버 장치(1200)는 인터넷과 같은 외부의 통신망(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망(10)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1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망(10)은 기 공지된 유무선 통신망 및 이동통신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 장치(1300)가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된 휴대 전화인 경우, 상기 통신망(10)은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은, NFC 기능을 갖는 카드 혹은 밴드 형태의 NFC 단말 장치(140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기 NFC 단말 장치(1400)를 이용하여 게임 기기(1000)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NFC 단말 장치(1400)는 카드나 밴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NFC 단말 장치(1400)는,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서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NFC 단말 장치(1400)는 게임 이용에 대한 정보(구매 금액, 사용 금액, 잔액, 자유이용권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때, 각 게임기기(1000)는 NFC 리더기(1100)를 통해 사용자가 손목에 장착하거나 소지하고 있는 상기 NFC 단말 장치(1400)를 인식하여, NFC 단말 장치(1400)에 기록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탑승한 사용자를 인식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NFC 리더기(1100)가 사용자 인식부(120)의 일부 구성으로서 동작한다.
한편, MFC 리더기(1100)를 통해서 탑승한 사용자의 인식이 이루어지면, 해당 게임 기기(1000)는,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동작하여 기 설정된 게임 기능,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바이킹, 가상 현실 롤러코스터, 가상 현실 슈팅 게임, 가상 현실 운전 게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조작에 따른 게임 수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수행 데이터는, 해당 게임을 실행 중에 해당 사용자가 도달한 게임 스코어, 게임 수행 시간 및 게임 수행 중에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반응의 분석을 통해 추출된 리액션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수행 데이터는, 게임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바이킹이나 가상 현실 롤러코스터와 같은 체험 게임의 경우, 사용자 탑승 중에 촬영한 영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기기(1000)는 해당 게임의 이용 종료 후 혹은 게임의 수행 중에, 상기 사용자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서버 장치(1200)로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NFC 단말 장치(1400)로부터 판독한 고유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1200)는 본 발명의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의 임무 및 보상 설정부(110), 데이터 수집부(130), 데이터 분석부(140), 및 보상 제공부(150)를 구현한 장치로서,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110), 데이터 수집부(130), 데이터 분석부(140), 및 보상 제공부(15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프로그램 모듈을 탑재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 장치(1200)는 게임기기(1000)로부터 전송된 게임 수행 데이터를 상기 NFC 단말 장치(1400)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NFC 단말 장치(1400)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각 사용자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서버 장치(1200)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13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NFC 단말 장치(1400)의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게임 기기(1000)는, 게임 종류에 따라서 사용자가 수행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임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코스터, 바이킹 등과 같은 가상 현실 체험형 게임 기기의 경우, 탑승 중 리액션에 관련된 임무, 탑승 중 보이는 물체에 대한 개수 확인 혹은 캐치하기 등의 임무가 있을 수 있고, 레이싱 형 게임의 경우, 지정된 시간 내에 n개의 코스 돌파하기, 특정 코스를 목표시간내에 돌파하기 등의 임무가 있을 수 있고, 대전형 게임의 경우에는 상대에 대한 격파 정도를 임무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 단말 장치(1300)는 매장에 방문하여 게임 기기(1000)를 탑승하거나, 탑승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PC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갖는 모바일형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이동 단말 장치(1300)를 통해서 임무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향후 제공될 임무 및 그 보상 정보 및, 자신의 게임 수행에 따른 임무 성공 여부 및 임무 성공 시 받는 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서버 장치(1200)는 게임 기기(1000) 및/또는 이동 단말 장치(1300)와의 연동을 위하여, 상기 게임 기기(1000) 및 이동 단말 장치(1300)와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장치(1200)는 상기 게임기기(1000)와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해서 직접 연결되거나, 유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버 장치(1200)는 상기 이동 단말 장치(1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거나,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기기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게임 기기(1000)는 탑승 기체(1010), 제어기(1020), HMD(Head Mounted device) 장치(1030), 통신장치(1040), 오디오 장치(1050), 카메라(10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NFC 리더기(1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NFC 리더기(1100)는 내장형 혹은 외장형으로 해당 게임기기(10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NFC 리더기(1100), NFC 단말 장치(1400)는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한 BLE(Bluetooth Low Energy), RFID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탑승 기체(1010)는 게임 기기(1000)에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물리적으로 구동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탑승 기체(1010)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탑승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탑승부 또는 탑승체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 게임 수행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 기체(1010)는 제어기(1020)의 제어에 따라, 게임 운용과 관련하여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020)는 게임 기기(1000)의 동작 및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게임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탑승기체(10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VR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기(1020)는 실행된 게임 프로그램의 게임 화면 출력과 관련한 HMD 장치(1030) 제어, 게임 정보 수집 및 사용자의 리액션 정보(예: 사용자의 영상 정보 또는 사용자 음성 정보 등)의 수집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020)는 NFC 리더기(1100)를 통해서 탑승한 사용자가 인식되면, 사용자의 게임 선택 또는 게임 실행 등에 따라, 게임의 종류, 사용자 설정 게임 난이도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따라서 게임을 진행하면서 게임 진행에 따라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020)는 게임 완료 후,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기(1020)는 지정된 임무를 제공하고, 임무 수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1020)는 게임의 수행 중에 혹은 게임 종료 후에, 상기 수집한 게임 수행 데이터를 상기 NFC 리더기(1100)로 판독한 NFC 단말 장치(1400)의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 장치(1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통신 장치(1040)는 상기 게임 기기(1000)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장치(1040)는 서버 장치(12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 게임 이용 요금(예; 자유 이용권, 개별이용권, 패키지 요금 등), 게임 수행 데이터(예: 게임의 종류, 사용자 설정 게임 난이도, 게임 수행 능력, 사용자의 게임 이력 등), 지원 가능한 임무 정보 등을 제어기(1020)의 제어에 따라 서버 장치(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1010)는 유선 통신 장치 또는 무선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MD 장치(1030)는 사용자의 머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얼굴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HMD 장치(1030)는 제어기(1020)의 제어에 따라서 게임 수행과 관련된 VR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장치(1050)는 게임 기기(1000)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50)는 제어기(1020)의 제어에 따라, 게임 운용에 필요한 나래이션 정보 또는, 게임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효과음이나 설명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장치(1050)는 게임 이용 중에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기(1020) 제어에 따라 수집된 사용자 음성 정보를 통신 장치(1010)를 통해 서버 장치(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60)는 게임 기기(10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신체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60)는 게임 기기(1000)에 사용자가 탑승한 후, 게임을 이용하는 동안 일정 주기로 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기(1020)의 제어에 따라서 획득된 사용자 영상 정보를 통신 장치(1010)를 통하여 시스템(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1060)에 촬영된 영상은, 게임기기(1000)내에서, 탑승한 사용자의 웃는 모습, 비명을 지르는 모습, 놀란 표정 등과 같은 게임기기 주변 사람들에게 이목을 집중시키고, 이를 통해 게임기 탑승을 유도할 수 얼굴 인식, 제스처 인식, 모션인식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제어기(1020)는 상기 카메라(106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장치(1050)로부터 수집한 사용자 음성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사용자 반응을 예측 혹은 추측하고, 이에 따라서 리액션 포인트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본 발명의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401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기기(1000)에 소정의 사용자가 탑승하면, 402 단계는 게임 기기(1000)는 NFC 리더기(110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NFC 단말 장치(1400)를 인식하고, 해당 NFC 단말 장치(1400)로부터 고유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즉, 상기 NFC 단말 장치(1400)로부터 추출한 식별 정보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로 인식하여, 사용자를 구분한다. 여기서 NFC 리더기(1100), NFC 단말 장치(1400)는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한 BLE(Bluetooth Low Energy), RFID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이 이루어진 후 게임 기기(1000)는 403 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 및/또는 기 설정된 게임 알고리즘에 따라서 게임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을 이용하여 소정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게임 기기(1000)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임무(및 보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임무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게임이 수행되면, 404단계에서 상기 게임기기(1000)는 사용자의 게임 수행 결과로서, 게임 수행 데이터를 서버 장치(1200)로 전송한다. 상기 404 단계는, 게임 수행 중에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게임 종료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임기기(1000)는 게임 수행 데이터의 전송 시, 상기 NFC 단말 장치(14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로서 상기 게임 수행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거나, 게임 수정 전에 미리 서버 장치(1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405 단계에서, 상기 서버 장치(1200)는 사용자의 게임 이용 전에, 상기 게임기기(1000)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수행할 임무 및 그 성공에 따라 제공될 보상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서버 장치(1200)는 기 설정된 임무 및 보상 정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게임 기기(1200)를 이용하는 혹은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13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관심 및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매장 방문시 혹은 매장 관리자의 요청 혹은 설정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임무 및 보상 정보를 제공할 때, 서버 장치(1200)는 해당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출한 조언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405 단계에서, 상기 서버 장치(1200)는 사용자별로 임무 및 임무 수행에 따른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 장치(1200)는 각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성향, 선호도, 및 능력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별로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의 게임능력, 성향,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406 단계에서, 상기 서버 장치(1200)는, 게임기기(1000)로부터 탑승한 사용자들에 의해 수행된 게임과 관련된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406 단계는 게임 수행 중에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이루어지거나 게임 종료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사용자별로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406 단계는 임무 및 보상이 설정된 사용자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406 단계에서는, 수집한 게임 수행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에게 임무 및 보상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확인은 사용자가 소지한 NFC 단말 장치(1400)의 식별 정보 및 이에 매칭된 이동 단말 장치(13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 장치(1200)는, 407 단계에서 수집한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고, 408 단계에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무 수행 결과, 즉, 기 설정된 임무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임무는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장치(1200)는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기 설정된 임무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임무 및 그의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409 단계에서, 서버 장치(1200)는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보상을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 설정된 임무 및 보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상은, 게임 이용권, 쿠폰, 할인권, 포인트, 상품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409 단계에서, 서버 장치(1200)는 임무 성공 여부 및 보상 정보를 포함하는 보상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1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 장치(1200)는 인식된 사용자가 소지한 NFC 단말 장치(1400)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1300)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게임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임무 리워드 정보를 제공하고, 게임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게임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임무 성공 여부를 판단하여, 보상 메시지를 단말 장치(1300)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흥미 및 관심을 증가시켜 게임 기기 탑승을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과는 별도로,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장치(1200)는, 소정 시간 동안 누적된 게임 수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장내 복수 게임기기(1000)에 대한 사용자들의 탑승 이력, 탑승 빈도, 사용자 반응, 사용자 관심도, 학습도 등을 인공지능의 강화학습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게임 매장의 현 상황에 적합한 임무 및 보상을 추출할 수 있고, 강화학습 알고리즘에 의한 사용자별로 과거 이력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난이도와 임무를 추천하는 맞춤형 임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1200)는 상기 추출한 정보를 추천 정보로서 매장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매장 관리자의 임무 및 보상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게임과 같은 게임 기기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운용하는 매장에서의 게임 기기의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게임 기기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게임 기기를 이용한 임무 및 그에 따른 보상을 설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매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카드형 혹은 밴드형 등 다양한 형태의 NFC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기기에 탑승하는 사용자들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사용자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임무의 설정된 임무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상기 NFC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 후, 해당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 보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임무 수행과 관련된 조언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고객의 게임기기 탑승율 향상과 매장의 매출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임무 제공이 아닌, 적합한 임무 및 보상 제공을 통해 매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110: 임무 및 보상 설정부
120: 사용자 인식부
130: 데이터 수집부
140: 데이터 분석부
150: 보상 제공부
1000: 게임 기기
1100: NFC 리더기
1200: 서버 장치
1300: 이동 단말 장치
1400: NFC 단말 장치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게임 기기가 설치된 매장 별로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게임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기 위한 임무 및 보상 설정부;
    상기 게임 기기를 탑승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게임 이용에 따른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수집한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무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판단한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는
    상기 매장 내 복수 게임기기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인공지능의 강화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 후 분석하여 상기 매장 내 복수 게임기기 별로 임무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임무 수행과 관련된 조언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는, 해당 게임 기기의 이용 중에 나타나는 사용자 반응을 점수화하는 리액션 포인트, 게임 내용에 따라서 획득 가능한 게임 스코어, 게임 수행 시간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임무 항목 및 해당 임무 항목에 대한 목표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션 포인트는
    해당 게임 기기에서, 게임 수행 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얼굴 분석, 움직임 분석 또는 오디오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산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는
    각 게임 기기 별, 아이템 별 또는 둘 이상의 게임 기기를 조합하여 상기 임무 및 임무 성공에 따른 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성향, 선호도, 및 능력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별로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게임 기기에 장착된 근거리통신 리더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통신 단말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근거리통신 단말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제공부는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 성공한 임무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9. 하나 이상의 게임 기기가 설치된 매장 별로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임무 및 보상 설정부가 하나 이상의 게임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인식부가 상기 게임 기기에 탑승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단계;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게임 및 임무 수행에 따른 게임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게임 기기로부터 수집한 게임 수행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임무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보상 제공부가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임무 및 보상 설정부가 상기 매장 내 복수 게임기기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게임 수행 데이터를 인공지능의 강화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 후 분석하여 상기 매장 내 복수 게임기기 별로 임무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근거리통신 단말 장치에 매칭되어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 또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장치로, 임무 정보 및 임무 성공에 따라 제공될 보상 정보를 사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게임 수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성향, 선호도, 및 능력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별로 임무 및 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방법.
KR1020180080916A 2018-07-12 2018-07-12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3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916A KR102139775B1 (ko) 2018-07-12 2018-07-12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217155A JP2020013531A (ja) 2018-07-12 2018-11-20 任務実行に応じた知能型報酬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6/221,898 US20200020197A1 (en) 2018-07-12 2018-12-17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ly rewarding game mission accomplishment
CN201811586794.9A CN110711379A (zh) 2018-07-12 2018-12-25 对任务的完成进行智能奖励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916A KR102139775B1 (ko) 2018-07-12 2018-07-12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52A KR20200007152A (ko) 2020-01-22
KR102139775B1 true KR102139775B1 (ko) 2020-07-30

Family

ID=6913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916A KR102139775B1 (ko) 2018-07-12 2018-07-12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020197A1 (ko)
JP (1) JP2020013531A (ko)
KR (1) KR102139775B1 (ko)
CN (1) CN1107113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53366A1 (en) * 2019-05-10 2020-11-12 Golden Poppy, Inc.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game system
CN112073335B (zh) * 2020-09-03 2021-05-25 深圳市掌易文化传播有限公司 大数据支持下的游戏数据连接卡顿处理系统及方法
CN112306691B (zh) * 2020-11-05 2024-02-13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用户等级确定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743997A (zh) * 2021-09-18 2021-12-03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在线运动任务执行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296A (ja) * 2005-01-24 2006-08-03 Taito Corp 2次元バーコード作成機能付きゲーム機および該ゲーム機連動webコンテンツアクセスシステム
JP2013172977A (ja) * 2013-04-04 2013-09-05 Square Enix Co Ltd ゲームサーバ及びプレイヤ制御プログラム
KR101689330B1 (ko) * 2016-02-22 2016-12-26 조세희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94702B (en) * 1996-10-09 2000-06-21 Sega Enterprises Kk Player, solution and play implementation and play system
JP3924966B2 (ja) * 1998-11-24 2007-06-06 株式会社セガ ゲーム装置
US6287201B1 (en) * 1999-03-12 2001-09-11 Midway Games West Arcade game with keypad input
KR100523079B1 (ko) 2002-12-04 2005-10-20 주식회사 유니텍 가상 현실 체감용 모션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JP2006280462A (ja) * 2005-03-31 2006-10-19 Sega Corp ゲームシステム
KR20070052493A (ko) * 2005-11-17 2007-05-22 (주)윌비솔루션 게이머의 플레이 패턴 분석을 통한 게임 가이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US20080032787A1 (en) * 2006-07-21 2008-02-07 Igt Customizable and personal game offerings for use with a gaming machine
US7950993B2 (en) * 2006-11-08 2011-05-31 Igt Gam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n interactive game with automatic wagers
JP5548381B2 (ja) * 2009-04-13 2014-07-16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システム
US20120115580A1 (en) * 2010-11-05 2012-05-10 Wms Gaming Inc. Wagering game with player-directed pursuit of award outcomes
JP5648005B2 (ja) * 2012-03-09 2015-01-0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ユーザの選択行動調査方法及び選択行動調査システム
JP6069611B2 (ja) * 2013-01-18 2017-02-0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並びにゲー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05138B2 (ja) * 2013-02-07 2017-09-27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296A (ja) * 2005-01-24 2006-08-03 Taito Corp 2次元バーコード作成機能付きゲーム機および該ゲーム機連動webコンテンツアクセスシステム
JP2013172977A (ja) * 2013-04-04 2013-09-05 Square Enix Co Ltd ゲームサーバ及びプレイヤ制御プログラム
KR101689330B1 (ko) * 2016-02-22 2016-12-26 조세희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20197A1 (en) 2020-01-16
CN110711379A (zh) 2020-01-21
KR20200007152A (ko) 2020-01-22
JP2020013531A (ja)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775B1 (ko) 임무 수행에 따른 지능형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60879B1 (ko) 비디오 게임 애플리케이션 내의 게임플레이 파라미터들의 실시간 동적 수정 및 최적화
US11052321B2 (en) Applying participant metrics in game environments
Yannakakis Game AI revisited
KR20180111467A (ko) 사용자 감정 판단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90318539A1 (en) Smart tracking system
WO2015153878A1 (en) Modeling social identity in digital media with dynamic group membership
US201801808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596458B2 (en) Intelligent servic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ors
CN109389417A (zh) 模拟参加者的反应奖励方法、装置及服务器
Baldominos et al. Learning levels of mario ai using genetic algorithms
KR102234068B1 (ko) 복권 구매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CN113457167A (zh) 用户分类网络的训练方法、用户分类方法及装置
US20230260005A1 (en) Smart window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mart window display
KR20210000181A (ko) 게임 데이터 처리 방법
Khaquan et al. Using Smartphone Sensing for Recognition of Game Player Attributes During Gameplay
KR20200029923A (ko) 컴퓨팅 장치에서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팅 장치
US20230419356A1 (en) Optimized exchange rates based on user profiles
US20240165509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Player Modeling and Training
EP4325163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evice for generating training dataset for identifying hit location of dart pin
WO202123532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ang et al. Application of Game Refinement Theory to Automated Driving
CN117679737A (zh) 虚拟场景的互动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82443A (ko) 펫 로봇 장치와의 친밀도를 이용하는 펫 로봇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e Almeida et al. Playing NES through the use of a DQ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