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464B1 -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 Google Patents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464B1
KR102139464B1 KR1020200016353A KR20200016353A KR102139464B1 KR 102139464 B1 KR102139464 B1 KR 102139464B1 KR 1020200016353 A KR1020200016353 A KR 1020200016353A KR 20200016353 A KR20200016353 A KR 20200016353A KR 102139464 B1 KR102139464 B1 KR 102139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resin composition
acrylic resin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조
신원국
김현석
임병준
서경훈
이은진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파장대(400~450nm)의 고에너지 LED광(예, 백색, 엠버색 등), 특히 자동차 램프에 사용되는 고출력의 백색 LED광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칼라 변색이 되지 않는 현저히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고, 이와 동시에 높은 광투과율을 그대로 유지하며, 내광성, 내열성 및 내수성이 탁월하며 유연성을 가지는 백색 LED 도광판용 자외선 경화형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ACRYLIC RESIN COMPOSITION FOR A LIGHT GUIDE PLATE WHICH HAS AN EXCELLENT WEATHERABILITY AND LIGHT GUIDE PLATE FORMED BY MOLDING SAME}
본 발명은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짧은 파장대(400~450nm)의 고에너지 LED광(예, 백색, 엠버색 등), 특히 차량용 백색 LED광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칼라 변색이 되지 않는 현저히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높은 광투과율을 그대로 유지하며, 내광성, 내열성 및 내수성이 탁월하며 유연성을 가지는 백색 LED 도광판용 자외선 경화형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도광판(Light guide plate)은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성형체이다. TV나 스마트기기 등의 디스플레이 내부에 위치하거나 차량용 램프 등에 적용되어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광판은 가시광선 영역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빛의 손실이 적은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 특히, 차량용 램프나 각종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가시광 영역 중 짧은 파장, 즉 높은 빛에너지를 발산하는 백색(WHITE) 또는 엠버색(AMBER) LED의 경우, 장시간 빛에 노출 될 시 도광판의 적층구조에 황변, 균열 및 LED의 미점등과 같은 신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최근 고에너지 LED광원에 접촉되는 투명 적층구조에 대한 고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등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광판용 재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이하 PMMA)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PMMA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이 높고 복굴절이 적고 내광성이 우수하지만,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떨어진다. 또한, 자동차 램프에 사용되는 고출력의 백색 LED광에서는 여전히 황변, 균열 및 LED의 미점등과 같은 신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연성에서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실리콘계 화합물은 열경화형으로 분자간 결합력이 우수하여 내광성, 내열성이 뛰어나고, 아크릴 모노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긴 하지만, 비용 상승 및 기계적 물성이 열세하다. 또한, 에폭시나 우레탄 수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긴 하지만, 내광성 및 내열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어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출력의 백색 LED광원을 사용하는 자동차 램프의 도광판에 있어서, 종래 PMMA를 사용한 도광판에서와 같이 높은 광투과율 등 우수한 물성을 동등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고출력의 자동차 램프의 백색 LED광원에서도 열화에 따른 황변이 없고, 균열 및 일부 미점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없는 새로운 백색 LED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출력의 백색 LED광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내광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에 적용 시 유연성에 제한 받지 않을 수 있으며 물성이 탁월한 도광판용 소재에 대한 개발은 여전히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12082호(2005.08.26.)
본 발명은 종래 PMMA를 사용한 도광판에서의 문제점인,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떨어지고, 자동차 램프에 사용되는 고출력의 백색 LED광에서의 황변, 균열 및 LED의 미점등과 같은 신뢰성 저하를 해결함과 동시에 고출력의 백색 LED광에 노출되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유연성에 제한 없이 신뢰성 높은 물성구현이 가능한 새로운 조성의 백색 LED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자동차 램프에 사용되는 고출력의 백색 LED광에 노출되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내후성, 내열성, 내광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높은 광투과율을 유지하며, 기존의 딱딱한 도광판과 비교하여 탁월한 유연성을 갖는 도광판을 위한,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PMMA의 높은 광투과율 등 우수한 물성 대비 동등 이상의 수준을 구현함과 동시에 고에너지 광원인 백색 LED광에서도 장기사용 시 열화에 따른 황변이 없고, 균열 및 일부 미점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출력의 LED광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램프는 물론 건축용, 옥외용, 디스플레이 내장용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내후성, 내구성, 신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성형체인,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배제하고, 장파장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새로운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기, 시아노기, 에폭시기,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로 엔드 캡핑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및 장파장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토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1 내지 35중량%,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5 내지 30중량% 및 장파장 광개시제(C) 0.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활제 및 충격보강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도광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가혹조건1), 3㎜ 도광판 시트를,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온도하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차값(ΔE)은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값이다.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가혹조건2), 3㎜ 도광판 시트를, 400mJ/㎠의 에너지로 3일 동안 조사한 자외선 테스트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3.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가혹조건3), 3㎜ 도광판 시트를, 85℃, 85%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1000시간 보관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광판으로서, 3㎜두께를 기준으로 할 때, (가혹조건1)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온도하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1.3이하를 만족이고; (가혹조건2) 400mJ/㎠의 에너지로 3일 동안 조사한 자외선 테스트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3이하이며; (가혹조건3) 85℃, 85%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1000시간 보관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1.2이하를 동시에 만족하는, 도광판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색차값(ΔE)은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값이다.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 내열성, 내광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탁월한 유연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시간 내구성이 뛰어나며, 높은 광투과율을 구현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짧은 파장대(400~450nm)의 고에너지 LED광인 차량용 백색, 엠버색 LED등의 광원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더라도 황변, 균열 및 LED의 미점등과 같은 신뢰성 저하 현상을 야기하지 않는 놀라운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체인 도광판은, 종래 PMMA를 사용한 도광판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떨어지고, 자동차 램프에 사용되는 고출력의 백색 LED광에서의 황변, 균열 및 LED의 미점등과 같은 신뢰성 저하 등 종래 도광판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고출력의 차량용 백색, 엠버색 LED광에 노출되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유연성에 제한 없이 신뢰성 높은 물성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체인 도광판은, 고온고습 조건은 물론 장시간 자외선 폭로 조건에서도 색차값 변화율이 거의 없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은 충격 또는 휨을 가하여도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유연성에 우수함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은, (가혹조건1)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온도하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가혹조건2) 400mJ/㎠의 에너지로 3일 동안 조사한 자외선 테스트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3.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가혹조건3) 85℃, 85%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1000시간 보관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혹조건 모두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혹조건에서 평가된, 도광판은 기재에 대한 이형은 물론 어떠한 크랙, 균열, 수축 및 황변 등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미점등이 관찰되지 않는 놀라운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경화율이 90% 이상이고,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평균 투과율이 90% 이상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 즉 도광판은 고출력의 LED광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램프는 물론 건축용, 옥외용, 디스플레이 내장용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유연성이 뛰어나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장기 신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포함한다',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명세서 전반에 개시하고 있는 용도인 도광판 용도를 갖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과 등가의 의미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알킬'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지방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성형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된 재료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도광판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경화성 단량체를 배제하고, 장파장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새로운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경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에 사용되는 고출력의 백색 LED광을 사용하는 도광판에 적용되어, 상기 기재한 열화에 따른 황변이 없고, 균열 및 일부 미점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고출력의 자동차 램프의 장기사용에 따른 결함을 없애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아크릴 조성물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경화성 단량체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황변, 균열 및 미점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조합을 배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경화성 단량체를 채택하지 않고, 폴리에테르폴리올을 개질할 때,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개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 시아노기, 에폭시기,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복실산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능기로 폴리에테르폴리올의 말단을 개질함과 동시에 조성물을 경화할 때, 장파장 광경화제를 채택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그리고 본 발명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고도의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경화하여 제조한 도광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핀다.
본 발명은 고에너지 LED광을 사용하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의 고에너지 LED 광원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는 가혹조건에서도 내후성, 내열성, 내광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기존의 딱딱한 도광판과 비교하여 탁월한 유연성을 갖는 도광판을 위한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도광판으로 사용하던 PMMA의 높은 광투과율 등의 우수한 물성을 동등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고에너지 광인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디바이스의 도광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기사용 시의 열화에 따른 황변이 없고, 균열 및 일부 미점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고출력의 LED광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램프는 물론 건축용, 옥외용, 디스플레이 내장용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내구성, 신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성형체인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경화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하는 경우나 또는 이를 이용하여 개질한 올리고머 또는 단량체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차량용 백색 LED 또는 차량용 엠버색 LED에 장기적으로 노출 시, 황변, 크랙, 균열 및 미점등이 발생하거나 이형성의 문제가 발생하여 디바이스로서 수명이 연장되지 않는다는 점을 처음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 하, 본 발명자들은 상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경화성 단량체를 그 자체로 또는 개질하기 위한 반응물로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수단을 채택하지 않은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장파장 광개시제를 이용하는 조성을 고안하였다. 이와 같은 조성을 만족하는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형성된 도광판의 경우,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 광원을 사용하는 차량용 디바이스에 사용하여도, 열화에 따른 황변이 없고, 기재에 대한 부착성이 높고, 균열, 크랙 또는 미점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특히 고출력의 LED광원을 요구하는 차량용 디바이스에 사용되어 이의 장기 사용에 따른 결함을 없앨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백색 LED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램프에 사용되는 고출력의 LED 도광판용일 수 있다. 또한, 이보다 낮은 출력의 백색 또는 엠버색 LED 광원을 사용하는 건축용, 옥외용, 디스플레이 내장용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어 높은 신뢰성을 만족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양태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는 백색 LED 도광판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기, 시아노기, 에폭시기,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로 엔드 캡핑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및 장파장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일 양태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기, 시아노기, 에폭시기,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엔드캡핑한 폴리에테르 폴리올계 올리고머(A);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및 장파장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일 양태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히드록시기를 가지지 않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엔드캡핑한 폴리에테르 폴리올계 올리고머(A);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및 장파장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일 양태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시아노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로 개질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및 장파장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일 양태는 에틸에테르 및 프로필에테르 반복단위를 가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시아노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로 개질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및 장파장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에틸렌옥시드(EO)와 프로필렌옥시드(PO)의 부가반응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종래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경화성 단량체를 사용함에 따라 황변, 균열 및 미점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해결하지 못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해 이의 현상을 해결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채택한다. 1)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경화성 단량체를 채택하지 않고, 2)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을 개질할 때,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개질하지 않고, 이소시아네이트기, 시아노기, 에폭시기, 에스테르기 및 카르복실산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능기로 폴리에테르폴리올의 말단을 개질하고 동시에, 3)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경화할 때, 장파장 광개시제를 채택하는 구성을 의도적으로 가짐으로써, 4)그리고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은 본 발명세서 목적으로 하는 고도의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경화하여 제조된 도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g/mol이상인 것일 수 있다. 좋게는 5,000 내지 200,000일 수 있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반응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토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지만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동시에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5 내지 3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1 내지 35중량%,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5 내지 30중량% 및 장파장 광개시제(C) 0.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활제 및 충격보강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과의 조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광개시제는 감광영역에 따라 단파장 개시제와 장파장 개시제로 구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00nm 미만의 파장을 갖는 활성 에너지선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생성하는 광 라디칼 개시제를 단파장 개시제라 하고, 300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활성 에너지선을 흡수하여 라디칼을 생성하는 광 라디칼 개시제를 장파장 개시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파장 광개시제는 300nm 이상의 파장에서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좋게는 350nm 이상의 파장에서 라디칼을 생성하는 것을 더욱 선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C)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치환체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이거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고리계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일 수 있다. 이의 비한정적인 일 예로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도광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0.1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평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가혹조건1),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온도하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차값(ΔE)은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값이다.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가혹조건2), 3㎜ 도광판 시트를, 400mJ/㎠의 에너지로 3일 동안 조사한 자외선 테스트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3.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가혹조건3), 3㎜ 도광판 시트를, 85℃, 85%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1000시간 보관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상술된 가혹조건1 내지 가혹조건3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충격 또는 휨을 가하여도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유연성에 우수함을 보인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혹조건에서 평가한 후, 도광판은 우수한 부착성은 물론 어떠한 크랙, 균열 및 미점등이 관찰되지 않는 놀라운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경화율이 9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은 가혹조건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높은 광투과율은 물론 내광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에 적용 시 유연성에 제한 받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고온고습의 가혹조건, 충격 또는 휨 등의 가혹조건에서도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장시간 안정적으로 물성을 구현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광 영역 중 높은 빛에너지를 발산하는 백색 또는 엠버색 LED는 물론 고출력을 요구하는 차량용 LED광원에 적용하는 경우더라도 신뢰성 저하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편의상, 일 예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시아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개질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및 장파장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차량용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의 구조에서 2종이상의 알킬렌옥시드가 부가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더욱 좋게는 에틸렌옥시(-에틸렌-O-) 및 프로필렌옥시(-프로필렌-O-) 반복단위를 가지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을 달성하는 데 가장 현저한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로 엔드 캡핑된 것과 동시에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것을 사용하는 조합에 따른 반응물이다. 이때, 상기 반응물은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의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도입할 수 있는 반응에 의한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도입하는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 시아노기, 에폭시기,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으며,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하이드록시기를, 시아노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개질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일 수 있다. 이는 단일 종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 폴리올로부터 유도된 반응물에 비하여,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광경화율을 높이고 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좋다. 이때, 광경화율은 조성물 내 모노머가 폴리머로 경화되는 정도로, 조성물 내 미반응 모노머의 잔존율을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상기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일 경우, 양 말단 모두가 엔드 캡핑된 양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토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토에틸 아크릴레이트(Isocyanatoethyl acrylate, AOI), 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타크릴레이트(Isocyanatoethyl methacrylate, MOI), 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좋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이의 경우, 단독의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등 알킬렌옥사이드를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올과 비교시 광경화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반응 모노머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장파장 광경화제와 결합하여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황변 또는 산화 등의 부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도광판에 적용 시 내광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좋다. 나아가, 광개시제의 함량을 줄이거나 광조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성형체의 치수안정성을 구현하고,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어 좋다.
상기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구체적으로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몰비가 다양한 양태로 조절되어 목적하는 효과에 시너지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부가 몰비가 3:7 내지 9:1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부가 몰비가 5:5 내지 8:2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장시간의 항온항습 및 고온 시험 후에도 도광판 성형체의 외관의 투명성 및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 자체의 형상이 상온(25℃)에서 고상화되지 않으며, 광경화율을 상승시킬 수 있어 더욱 좋다. 반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항온항습 테스트(가혹조건3) 및 도광판 형태에서 변형이 발생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g/mol이상인 것이 좋으나, 5,000 내지 200,000g/mol의 범위의 것이라면 목적하는 효과의 구현에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내후성에서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사용하는 차량용 디바이스의 도광판으로 사용하여도 장기 사용에 따른 황변, 수축, 이형 또는 크랙, 부식, 미점등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성과 취급성이 용이하고 내후성,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이 양호하며,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내지 200,000g/mol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내지 100,000g/mol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내지 50,000g/mol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디올(diol) 또는 트리올(triol)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형체 수축 현상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디올 형태인 것이 더욱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이 디올의 형태를 갖는 경우, 수축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하이드록시기는 모두 상술된 방법으로 엔드 캡핑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1 내지 35중량%,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5 내지 30중량% 및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C) 0.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2 내지 20중량%,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10 내지 20중량% 및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C) 0.05 내지 2.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5 내지 15중량%,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12 내지 18중량% 및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C) 0.1 내지 2.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총 중량은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추가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8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높은 광투과율을 비롯하여 고출력이 요구되는 차량용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 광원에서도 장기 사용에 따른 우수한 내광성, 내후성, 내열성, 내수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유연성을 구현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재에 대한 향상된 부착성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프로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성 화합물;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프로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프로폭시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타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상술된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추가 물성 부여에 도움을 주지만,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없이 상술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에 대한 부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일 예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로, 플락셀 FA-1, 플락셀 FA-2, 플락셀 FA-2D, 플락셀 FA-3, 플락셀 FA-4, 플락셀 FA-5, 플락셀 FA-10L, 플락셀 FM-1, 플락셀 FM-2, 플락셀 FM-2D, 플락셀 FM-3, 플락셀 FM-4 및 플락셀 FM-5(모두 다이셀화학사제)(플락셀(PLACCEL)은 등록상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는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2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1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총 중량은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의미한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경화율을 높일 수 있고, 목적하는 물성의 밸런스를 구현하며, 이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C)는 장파장의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중합 반응을 개시 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00nm이상, 좋게는 350nm 이상의 파장을 흡수하는 장파장 광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는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티오크산톤계 화합물은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1-클로로-2-프로필옥시-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및 2,4-디에틸-티오크산톤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은 포스핀옥사이드,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광개시제(C)는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중량%,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2.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소량 광개시제 함량에도 높은 광경화율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은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데칸-2-산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히드로퍼옥시드,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에니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및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추가적인 물성 향상을 위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첨가제로는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활제 및 충격보강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추가의 첨가제는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상술한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체, 즉 도광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광경화에 의해 형성된 성형체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경화는 자외선, 전자빔등을 조사하는 공정을 통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정은 자외선(UV)을 100mj/㎠ 내지 10,000mj/㎠의 광량으로 5 내지 50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통상의 범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음은가 크게 물론이지만, 구체적으로는 0.1mm 내지 10mm의 두께, 보다 구체적으로는 1 mm 내지 5 mm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가시광선 평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시광선은 400-800 nm 파장범위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3mm 두께로 형성된 상기 도광판은 가시광선 평균 투과율이 90 내지 99.99%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3mm 두께로 형성된 상기 도광판은 (가혹조건1), 3㎜ 도광판 시트를,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온도하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차값(ΔE)은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값이다.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에도, 초기 투과율 기준 광투과율에 대한 유지율이 90 내지 100%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상기 (가혹조건1)에서, 상기에서 정의한 색차값(ΔE)이 2.0미만, 좋게는 1.7이하, 더욱 좋게는 1.3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3mm 두께로 형성된 상기 도광판은 (가혹조건2), 3㎜ 도광판 시트를, 400mJ/㎠의 에너지로 3일 동안 조사한 자외선 테스트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3.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상기 (가혹조건2)에서, 상기에서 정의한 색차값(ΔE)이 2.8이하, 좋게는 2.5이하, 더욱 좋게는 2.3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3mm 두께로 형성된 상기 도광판은 (가혹조건3), 3㎜ 도광판 시트를, 85℃, 85%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1000시간 보관 후 평가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상기 (가혹조건3)에서, 상기에서 정의한 색차값(ΔE)이 2.0미만, 좋게는 1.5이하, 더욱 좋게는 1.2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상술된 가혹조건1 내지 가혹조건3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을 만큼의 놀랍도록 현저한 효과를 구현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상술된 가혹조건에서의 현저한 효과의 구현은 물론 다양한 양태의 기판에 유리하게 적용되어 황변 및 균열은 물론 백색 LED 칩과 같은 견고하지 못한 디바이스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기술분야에 획기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3㎜두께를 기준으로 할 때,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 온도하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1.3이하이고, 400mJ/㎠의 에너지로 3일 동안 조사한 자외선 테스트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2.3이하이며, 85℃, 85%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1000시간 보관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1.2이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유연성이 우수하고,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의 색상 및 투과율의 변화가 작고, 무색 투명성이 뛰어나며, 특히 고출력의 LED광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램프는 물론 건축용, 옥외용, 디스플레이 내장용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의 백색 또는 엠버색 LED의 광원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도광판으로 사용하여도 상기 가혹조건에서 색차값이 변화가 적고, 기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며, 황변, 크랙 및 미점등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백색 또는 엠버색 LED의 광원을 사용하는 다양한 양태의 디바이스, 예를 들면, 건축용, 옥외용, 차량용, 디스플레이 내장용의 광학장치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나 고출력의 LED광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램프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또한 탁월하여 디자인 설계에 있어 크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어 다양한 양태로 적용될 수 있고, 우수한 내수성, 내광성,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과 장기 신뢰성 및 경제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백색 또는 엠버색 LED의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광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평가방법)
시편의 제조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차량용 백색 LED가 SIDE VIEW 형태로 솔더링 되어 있는 기판 위에 몰딩 형태로 3mm 두께로 채워 넣고, 이것을 수은 고압 램프 800mj (350mw/㎠)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기를 5회 통과시켜 총 4000mj의 광량으로 경화시켜 10㎝×10㎝×3mm의 도광판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기는 무빙벨트(6m/1min) 타입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도광판 시편을 포함하는 차량용 백색 LED에 전압 약 12V를 인가하여 구동하였다. 일정한 전류의 인가를 위해 Regulated D.C power supply를 사용하였다.
(1)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평균 광투과율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도광판의 광투과율은 색차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투과율로 기록되었다.
(2) 색차값(ΔE)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도광판 시편의 색차값(ΔE)을 측정하였다. 차량용 백색 LED광 조사가 도광판 시료에 미친 영향 중 색상의 변화정도를 색차계(Spectrophotometer)(CM-5, 코니카 미놀타사)를 통하여 측정하고 KS A 0063 색차 표시 방법에 L*a*b* 표색계의 색차로 표시하였다. 기본적으로 색차값은 하기 식으로 계산되며, 이는 L, a, b의 3가지 값에 기인한다.
(식)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상기 식에서, L값은 명도의 차이(Lightness)를 수치화한 것이며, a와 b는 각각 red와 yellow를 수치화한 것으로, +a는 red의 경향을 뜻하며, -a로 갈수록 green의 경향을 나타낸다. +b는 yellow의 경향을 수치화한 것이며, -b로 갈수록 blue의 경향을 나타내는 색좌표의 개념이다. 특히, 색좌표 상의 b값은 yellow와 관계된 값으로 육안 상 관찰되는 도광판 시료의 광노화에 의한 황변현상, 즉 황색도 수치가 크게 관여된다.
(3)광경화율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도광판 시편의 FT-IR 상의 이중결합 피크의 상대 면적비를 비교하여 광경화율을 확인하였다.
(4)안정성 테스트
- 고온 테스트(가혹조건1): 제조된 3㎜ 도광판 시편을 포함하는 차량용 백색 LED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125도 오븐에 1000시간 방치 후 꺼내어 도광판 시료의 색차값 및 광투과율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내자외선 테스트(가혹조건2): 제조된 3㎜ 도광판 시편을 포함하는 차량용 백색 LED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내자외선 테스트기에서 3일 방치후 꺼내어 도광판 시료의 파손 유무 확인하였다.
- 항온항습 테스트(가혹조건3): 제조된 3㎜ 도광판 시편을 포함하는 차량용 백색 LED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85℃, 85% 상태의 항온항습기에 1000시간 방치후 꺼내어 도광판 시료의 색차값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열충격 테스트(가혹조건4): 제조된 3㎜ 도광판 시편을 포함하는 차량용 백색 LED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열충격기를 사용하여 -40℃에서 30분, +80℃에서 30분간 유지시키며 총 1000시간 방치 후 꺼내어 도광판 시료의 파손 유무 확인하였다.
- 도광판의 형태: 초기 자외선 경화 후 도광판 시료를 180도 이상 휘거나 접어서 균열 및 파손 여부 또는 외관 이상에 대한 부분의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제조예1)
재킷타입의 1L 플라스크에 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의 몰비가 8:2로 랜덤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중량평균분자량(MW): 5,000g/mol) 300g,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100g, 메틸하이드로퀴논(MEHQ) 0.15g, 반응 촉매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BTDL(10% in toluene)) 0.1g를 투입하고, 50℃로 승온시킨 다음 교반하였다.
이후, 50℃에서 Isocyanatoethyl acrylate 16.94g을 균일하게 플라스크 내부로 적하(dropping)시킨 다음 30분 동안 동일온도를 유지시키며 정치시킨 후, 60℃로 승온시켜 2시간 동안 추가 반응시켜 연노랑 빛의 투명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를 수득하였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양단이 우레탄결합된 아크릴레이트기로 엔드 캡핑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이다. 상기 캡핑은 NMR 및 IR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1)
하기 표1의 조성으로, 상기 제조예1에서 제조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1.0g,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GMA) 1.5g,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5g,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2g 및 장파장 광개시제(Omnirad TPO-L) 0.05g 넣고 35℃에서 400rpm으로 교반하여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평가방법에 기재된 방법으로 도광판 시편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2 내지 실시예4)
하기 표1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1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평가방법에 기재된 방법으로 도광판 시편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제조예1에서 제조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대신 폴리에틸렌글리콜(MW 5,000)의 양단이 우레탄결합된 아크릴레이트기로 엔드 캡핑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1)을 사용하여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평가방법에 기재된 방법으로 도광판 시편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1 내지 비교예7)
하기 표1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평가방법에 기재된 방법으로 도광판 시편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20014296985-pat00001
Figure 112020014296985-pat00002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시료는 각각의 가혹조건에서도 내후성, 내열성, 내광성, 내수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효과는 서로 상이한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로부터 유도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를 채용하는 경우에 보다 현저함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시료는 고출력의 차량용 백색 LED를 점등시킨 상태의 가혹조건1에서 색차값(ΔE)이 1.1이하를 만족하고, 가혹조건2에서 색차값(ΔE)이 2.3이하를 만족하며, 가혹조건3에서 색차값(ΔE)이 1.1이하를 만족하는 우수한 내후성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시료는 각각의 가혹조건 하에서도 황변, 수축, 이형, 크랙, 부식, 미점등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으며, 열충격 테스트 후에도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시료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평균 광투과율이 90%이상이고, 고온 중에도 광투과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은 물론 높은 경화율을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시료는 자동차 램프에 사용되는 고출력의 백색 LED광은 물론 백색 또는 엠버색 LED의 광원을 사용하는 유연한 디스플레이, 건축용 면발광 조명 외 특히 굴곡의 디자인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재된다. 특히, 높은 출력으로 까다로운 신뢰성이 요구되는 차량용 실내, 실외 램프용 백색 LED에 사용되는 종래 도광판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색차값이 높고, 도광판의 형태변화(예, 황변, 수축, 이형 등의 형태변화)에서 불리함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히드록시기 또는 에폭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한 비교예1의 경우, 열충격 테스트 후 이형과 백화 현상이 발생되어 외관의 변화를 보였을 뿐 아니라 크랙에 의한 결함으로 LED의 미점등 현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비교예1의 경우, 기재와의 부착성이 불량하여 이형성을 보였다. 또한,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한 비교예2 내지 비교예5의 경우, 각각의 가혹조건 하 색차값(ΔE)이 현저하게 높았다. 또한, 비교예2 내지 비교예5의 모든 경우에서 황변, 균열, 수축 또는 크랙이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른 미점등의 결함이 발생되었다. 또한,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채용하는 경우더라도 단파장 광개시제를 사용하는 비교예6 및 7의 경우, 도광판의 형태에 크랙이 발생되지는 않았으나, 가혹조건에 따른 색차값에 대한 변화가 본 발명의 실시예 대비 현저하게 높게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파장 개시제의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예상한다. 명확하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파장 개시제의 경우, 본 발명에서 배제하고 있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에 대한 특징을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히드록시기는 고에너지의 광 또는 고온고습 조건에서 불안정한 라디칼을 형성기 때문에, 이들이 분해되면서 도광판의 형태 변화 또는 부식과 미점등과 같은 결함을 야기하는 것으로 예상하나 이와 같은 현상을 억제하는 것만이 본 발명에서의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는 이유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상과 같이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기, 시아노기, 에폭시기, 에스테르기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로 엔드 캡핑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및 장파장 광개시제(C)를 포함하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것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것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토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테르폴리올계 올리고머(A) 1 내지 35중량%,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 5 내지 30중량% 및 장파장 광개시제(C) 0.01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활제 및 충격보강제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도광판.
  11. 제10항에 있어서,
    3㎜ 도광판 시트를,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온도하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인, 도광판: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3㎜ 도광판 시트를, 400mJ/㎠의 에너지로 3일 동안 조사한 자외선 테스트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3.0이하인, 도광판: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13. 제11항에 있어서,
    3㎜ 도광판 시트를, 85℃, 85%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1000시간 보관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2.0이하인, 도광판: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14. 도광판으로서, 3㎜두께를 기준으로 할 때,
    백색 LED 또는 엠버색 LED를 점등 시켜 놓은 상태에서 125℃온도하 1,000시간 동안 방치하는 조건에 폭로된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1.3이하이고,
    400mJ/㎠의 에너지로 3일 동안 조사한 자외선 테스트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2.3이하이며,
    85℃, 85%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1000시간 보관 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의 CR-5)를 이용하여 하기 식으로 계산되는 색차값(ΔE)이 1.2이하를 만족하는, 도광판.
    ΔE = (ΔL2 + Δa2 + Δb2)1/2
    상기 식에서, L은 명도지수, a는 순도지수, b는 명암지수이다.
KR1020200016353A 2020-02-11 2020-02-11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KR102139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53A KR102139464B1 (ko) 2020-02-11 2020-02-11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53A KR102139464B1 (ko) 2020-02-11 2020-02-11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464B1 true KR102139464B1 (ko) 2020-07-30

Family

ID=7183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53A KR102139464B1 (ko) 2020-02-11 2020-02-11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46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82B1 (ko) 2000-11-13 2005-09-02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광판 및 도광판용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6331478A (ja) * 2005-05-23 2006-12-07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エレメント。
KR20100047024A (ko) * 2008-10-28 2010-05-07 도요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기포 연질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6788A (ko) * 2010-11-25 2012-06-04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광학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표시장치
KR20120059434A (ko) * 2010-11-30 2012-06-08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카르복실기 함유 변성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20064531A (ko) * 2010-12-09 2012-06-19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blu 도광판 조성물 및 도광판
KR20120089414A (ko) * 2010-11-18 2012-08-10 주식회사 미뉴타텍 도광판 무늬형용 활성에너지선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130067532A (ko) * 2011-12-14 2013-06-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로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8178100A (ja) * 2017-04-05 2018-11-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82B1 (ko) 2000-11-13 2005-09-02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광판 및 도광판용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6331478A (ja) * 2005-05-23 2006-12-07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エレメント。
KR20100047024A (ko) * 2008-10-28 2010-05-07 도요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기포 연질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9414A (ko) * 2010-11-18 2012-08-10 주식회사 미뉴타텍 도광판 무늬형용 활성에너지선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120056788A (ko) * 2010-11-25 2012-06-04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광학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표시장치
KR20120059434A (ko) * 2010-11-30 2012-06-08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카르복실기 함유 변성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20064531A (ko) * 2010-12-09 2012-06-19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blu 도광판 조성물 및 도광판
KR20130067532A (ko) * 2011-12-14 2013-06-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로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8178100A (ja) * 2017-04-05 2018-11-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368B1 (ko)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제조 방법
KR101988922B1 (ko)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용 수지 조성물, 점착제 및 적층체
KR101580246B1 (ko) 실리콘 수지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 실리콘 수지를 포함한 경화형 수지 조성물
EP2586802B1 (en)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sition, cured product and plastic lens
KR100964642B1 (ko) 고굴절, 고탄성의 프리즘 시트와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제조 방법
KR20160127719A (ko) 반응성 실세스퀴옥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TWI526709B (zh) 光學膜以及包括該光學膜的光學顯示裝置
US10550217B2 (en) Polymerizabl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reactive silsesquioxane compound
JP2013076097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材
JP2016169335A (ja) 硬化性組成物、硬化物、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7110655A1 (ja) 硬化性組成物、粘着層、透明面材、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39169B2 (ja) 光学部材
US20130148330A1 (en) Optical film,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39464B1 (ko)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KR102210760B1 (ko) 도광판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KR20130067532A (ko)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로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97501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와 그 제조 방법
KR20130042393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KR101258453B1 (ko) 자외선 경화형 blu 도광판 조성물 및 도광판
KR102139462B1 (ko) Uv 경화형 유리 접착용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체
KR101246684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67774A (ko)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로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JPH08258172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7321103A (ja)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付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15218A (ko)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