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063B1 -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 Google Patents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063B1
KR102139063B1 KR1020180016097A KR20180016097A KR102139063B1 KR 102139063 B1 KR102139063 B1 KR 102139063B1 KR 1020180016097 A KR1020180016097 A KR 1020180016097A KR 20180016097 A KR20180016097 A KR 20180016097A KR 102139063 B1 KR102139063 B1 KR 10213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nozzle
water
swimming pool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536A (ko
Inventor
변희웅
Original Assignee
(주)로신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신시스텍 filed Critical (주)로신시스텍
Priority to KR102018001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0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4/1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 E04H4/169Pool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장으로 물을 공급하되, 수영장의 내벽에 설치되어 수영장으로 물을 공급하되 물이 선회하면서 배출되어 확산 범위가 증가하고 미분포 구간이 최소화되어 소독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관한 것으로,
수영장의 내벽(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영장 내부로 물을 분출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10)에 있어서, 수영장의 내벽(20)에 설치되며 중앙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공(11')이 형성된 급수구(11)와; 물이 선회하면서 분출되도록 중앙에 형성된 중앙 분출공(13')의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노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Water Supply Nozzle for Swimming Pool}
본 발명은 수영장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영장의 내벽에 설치되어 수영장으로 물을 공급하되 물이 선회하면서 배출되어 확산 범위가 증가하고 미분포 구간이 최소화되어 소독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관한 것이다.
수영은 손과 발을 사용하여 물 위나 물속을 자유롭게 이동 또는 정지하는 운동, 즉 헤엄치는 것을 말한다. 현대인들의 생활체육에 적합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스포츠 종목 중에서 비교적 운동으로서의 숙달 방법이 단순한 편이다. 전신적 운동이고, 큰 호흡운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근육이나 심폐의 발달에 좋으며 여름철의 레크리에이션으로 좋다.
이에 따라, 운동부족에 따른 운동보충과 취미, 여가 활동 등을 영위하기 위해 수영을 배우거나 즐기는 수영인구가 상당히 늘고 있으며, 또한 많은 수의 실내외 수영장이나 풀장 등이 건립되어 이용중에 있다.
이러한 수영장이나 풀장은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수영장이나 풀장의 물은 빠르게 오염되므로, 쾌적하고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청소와 물의 교체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이들 시설의 관리자는 수영장이나 풀장에 저장되는 물을 정기적으로 외부로 배출한 후 물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이 침전된 수영장이나 풀장의 바닥면을 청소하고, 약품처리된 새로운 물을 수영장, 풀장 등에 채우고 있는 실정이다.
수영장에 물을 채우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장의 내벽(6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물 공급노즐(50)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물 공급노즐(50)은 단순히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 공급노즐(50)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노즐(50)의 구멍을 통해 물(55)이 분출되어 일정 범위로 확산된다. 이때, 도 3과 같이, 수영장에 구비된 복수의 물 공급노즐(50)에서 물이 동시에 분출되므로, 수영장에 물이 빠르게 채워진다. 그리고, 수영장에 공급되는 물은 약품 처리가 되어 있어, 수영장에 물이 채워지면 자연스럽게 소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물 공급노즐은 물을 직선으로 분사하고 있어 물 공급노즐과 다른 물 공급노즐 사이 및 물 공급노즐과 수영장의 내벽 사이에 일정한 미분포 구역(A)이 형성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물이 고르게 확산되지 않아 수영장의 소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동일 또는 유사한 특허문헌이 검색되지 않았으며, 관련 분야의 선행 기술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수영장의 저수조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보강지지대; 베이스 보강지지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저수조 바닥면에 고정설치되고, 중앙에 상측이 개방된 배관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배관통로내에 고정설치되는 용수공급관; 배관통로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되고, 일측이 용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복수의 상단커버; 상기 상단커버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관통로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영장 설치용 독립형 용수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영장 바닥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인젝션 펌프에서 가압된 연료가 주입되도록 내부에 연료 통로가 형성된 노즐 홀더와, 상기 노즐 홀더에 내재되어 연료압이 일정 이상되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연료 통로를 개방하는 니들 및 리턴 스프링과, 상기 니들의 끝단부에서 길게 연장되어 니들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어 랙기어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되는 피니언과, 상기 노즐 홀더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동시에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고 내부에 상기 노즐 홀더의 연료 통로와 연결되는 다수의 분공이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연료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회전식 노즐로 구성되어, 연료 분사시 정회전 역회전되면서 회전 분무할 수 있도록 한 디젤 엔진의 회전식 분사 노즐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산소 유입호스와 가스 유입호스가 연결되는 산소 유입관 가스 유입관을 가지는 노즐의 구성에서, 상기의 노즐이 작업의 절단작업에 의해 절단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때, 회전 노즐 후면부의 산소 유입호스와 가스 유입호수가 엉키지 않도록 한 것으로, 산소 유입구와 연결되는 산소 유통로와 가스 유입구와 연결된 가스 유통로를 가지는 회전체와 산소 유통로와 가스 유통로 및 역화 방지기를 가지는 고정체로 노즐을 구분하여, 구분된 회전체와 고정체를 나사봉과 넛트로 결합하여, 하나의 산소 절단기의 회전 노즐로 사용함으로써, 산소 유입호스와 가스 유입호스의 엉킴을 방지하고, 회전 노즐에 유입되는 화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역화 방지기가 형성된 산소 절단기의 회전 노즐을 개시하고 있다.
KR 10-1310090 B1 KR 10-1999-0060229 A KR 10-2006-0047001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출구에 나선부를 형성하여 물이 선회하면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분출된 물이 더 넓게 확산되어 미분포 구역이 최소화되고 그로 인해 소독 속도가 증가하도록 한,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급수부와 노즐부를 분리하되 별도의 베어링을 설치하지 않고도 노즐부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하는 노즐부에 보조 분출공이 형성되어 물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더 넓게 확산되도록 한,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노즐부가 자력에 의해 급수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회전 결합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영장의 내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영장 내부로 물을 분출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있어서, 수영장의 내벽에 설치되며 중앙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구와; 물이 선회하면서 분출되도록 중앙에 형성된 중앙 분출공의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따르면, 상기 회전체 노즐은 중앙 분출공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분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따르면, 상기 급수구는 급수중인 물에 공기 버블이 생성되도록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호스가 연결되고 중앙의 급수공에 연통하도록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호스 연결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따르면, 상기 급수구는 테이퍼 형태의 출구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 노즐은 상기 급수구의 출구면이 삽입되는 테이퍼 형태의 오목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과는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2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 노즐이 급수구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 노즐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체 노즐이 급수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회전체 노즐의 중앙 분출공에 형성된 나선부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따르면, 상기 제1자석은 급수구의 출구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2자석은 상기 회전체 노즐의 오목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은 급수부와 회전체 노즐로 분리 형성되고 회전체 노즐의 메인 분출공에 나선부가 형성됨에 따라 물이 선회하면서 분출되고, 그로 인해 확산 범위가 넓어져 미분포 구간이 최소화되고 확산 속도가 빨라짐과 아울러 수영장에 대한 소독 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체 노즐이 급수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물이 나선부를 따라 유동함에 따라 회전체 노즐이 회전하여 회전체 노즐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되고 회전체 노즐의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구에 형성된 호스 연결공에 에어 호스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 버블이 생성됨으로써, 공기 버블에 의해 오염된 물을 정화됨과 아울러 수영장의 물을 소독할 때에도 공기 버블에 의해 소독약이 골고루 빠르게 확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부와 회전체 노즐이 자석에 의해 고정되고 회전체 노즐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분리되어 회전체 노즐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 노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체 노즐이 중앙 분출공의 나선부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별도의 회전 구동수단을 요구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체 노즐의 중앙 분출공 외측에 복수의 보조 분출공이 구비됨에 따라 물이 보조 분출공으로도 분출되어 확산 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되어 미분포 구간이 더욱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부와 회전체 노즐에 설치되는 자석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됨에 따라 급수부와 회전체 노즐 사이의 마찰이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수영장의 물 공급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을 이용한 물 공급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서의 물 분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을 이용한 물 공급구조를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회전체 노즐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노즐이 적용된 수영장의 물 공급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형장용 물 공급노즐에서의 물 분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은,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장의 내벽(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영장 내부로 물을 분출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10)로서, 수영장의 내벽(20)에 설치되며 중앙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공(11')이 형성된 급수구(11)와; 물이 선회하면서 분출되도록 중앙에 형성된 중앙 분출공(13')의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노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급수구(11)는 급수중인 물에 공기 버블이 생성되도록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호스가 연결되고 중앙의 급수공(11')에 연통하도록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호스 연결공(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호스 연결공(11")에 에어 호스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회전체 노즐(13)을 통해 분출되는 분출수에 공기 버블이 생성됨으로써, 공기 버블에 의해 오염된 물을 정화됨과 아울러 수영장의 물을 소독할 때에도 공기 버블에 의해 소독약이 골고루 빠르게 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 노즐(13)은 중앙 분출공(13')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분출공(1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급수부(11)의 급수공(11')을 통해 공급되어 회전체 노즐(13)의 중앙 분출공(13')을 통해 분출되는 중앙 분출수(15)는 중앙 분출공(13')의 나선부로 인해 일정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분출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분출공(13')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회전체 노즐(13)이 급수부(11)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 노즐(13)이 중앙 분출수(15)의 선회 방향과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회전체 노즐(13)의 보조 분출공(13")을 통해 분출되는 분출수(16)는 중앙 분출수(15)의 외측에서 중앙 분출수(15)를 감싸는 형태로 중앙 분출수(15)의 선회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앙 분출수(15)의 선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분출수(16)가 회전하게 되면, 물 공급노즐의 출구 주변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이 와류로 인해 주변으로 확산하게 되어 미분포 구역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급수구(11)는 테이퍼 형태의 출구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자석(1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 노즐(13)은 상기 급수구(11)의 출구면이 삽입되는 테이퍼 형태의 오목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12)과는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2자석(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자석(12)과 제2자석(14)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 노즐(13)이 급수구(11)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 노즐(13)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체 노즐(13)이 급수구(11)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회전체 노즐(13)의 중앙 분출공(13')에 형성된 나선부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체 노즐(13)에 작용하는 수압은 상기 제1자석(12)과 제2자석(14) 사이의 인력에 비해 커야 하지만, 상기 회전체 노즐(13)에 수압이 너무 크게 작용하면 상기 회전체 노즐(13)이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 노즐(13)에 작용하는 수압이 상기 제1자석(12)과 제2자석(14) 사이의 인력의 105~110%가 되도록 중앙 분출공(13') 및 보조 분출공(13")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자석(12)은 급수구(11)에 180도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자석(14)은 회전체 노즐(13)에 4~12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자석(12)이 1개만 설치될 경우 회전체 노즐(13)이 균형을 이루어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균형 유지를 위하여 제1자석(12)은 2개를 설치한다. 또, 상기 제2자석(14)은 제1자석(12)과의 인력(引力)이 작용하여 회전체 노즐(13)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4개 이상 설치되어야 하지만 너무 많이 설치할 경우에는 강한 자력으로 인해 오히려 회전체 노즐(13)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12개를 초과하여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물론, 상기 제1자석(12)과 제2자석(14)의 수는 급수구(11)와 회전체 노즐(13)의 크기나, 자석의 크기, 보유 자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자석(12)은 급수구(11)의 출구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2자석(14)은 상기 회전체 노즐(13)의 오목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된 자석으로 인해 회전체 노즐(13)과 급수구(11) 사이에 간섭이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체 노즐(13)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은 중앙 분출공을 통해 중앙 분출수를 선회시키면서 분출함과 아울러 회전체 노즐의 회전을 이용하여 보조 분출공으로 분출되는 분출수가 중앙 분출수를 감싸면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물 공급노즐의 주변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미분포 구역을 최소화하고 수영장 소독 속도를 빠르게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물 공급노즐
11...급수구
11'...급수공
11"...호스 연결공
12...제1자석
13...회전체 노즐
13'...중앙 분출공
13"...보조 분출공
14...제2자석
15...메인 분출수
16...분출수
20...수영장의 내벽

Claims (5)

  1. 수영장의 내벽(2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영장 내부로 물을 분출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10)에 있어서,
    수영장의 내벽(20)에 설치되며 중앙에 물이 공급되는 급수공(11')이 형성된 급수구(11)와;
    물이 선회하면서 분출되도록 중앙에 형성된 중앙 분출공(13')의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노즐(13);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11)는 테이퍼 형태의 출구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자석(1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 노즐(13)은 상기 급수구(11)의 출구면이 삽입되는 테이퍼 형태의 오목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12)과는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2자석(14)을 구비하여,
    상기 제1자석(12)과 제2자석(14)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체 노즐(13)이 급수구(11)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 노즐(13)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회전체 노즐(13)이 급수구(11)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회전체 노즐(13)의 중앙 분출공(13')에 형성된 나선부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노즐(13)은 중앙 분출공(13')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분출공(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11)는 급수중인 물에 공기 버블이 생성되도록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호스가 연결되고 중앙의 급수공(11')에 연통하도록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 호스 연결공(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12)은 급수구(11)의 출구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되고,
    상기 제2자석(14)은 상기 회전체 노즐(13)의 오목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KR1020180016097A 2018-02-09 2018-02-09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KR102139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097A KR102139063B1 (ko) 2018-02-09 2018-02-09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097A KR102139063B1 (ko) 2018-02-09 2018-02-09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36A KR20190096536A (ko) 2019-08-20
KR102139063B1 true KR102139063B1 (ko) 2020-07-29

Family

ID=6780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097A KR102139063B1 (ko) 2018-02-09 2018-02-09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979A (ko) * 2020-09-22 2022-03-30 김기대 소용돌이 구조의 플레어 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73Y1 (ko) * 2021-09-09 2022-04-15 니브스코리아 주식회사 하수도 내의 악취를 제거하는 액체를 분무하는 노즐
CN216949694U (zh) * 2021-12-31 2022-07-12 上海荣威塑胶工业有限公司 喷水装置及地上水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810B2 (ja) * 1993-01-19 2001-03-26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無電解メッキ材料の製造方法
JP3174668B2 (ja) * 1993-08-17 2001-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素分離膜
KR101264149B1 (ko) * 2011-11-23 2013-05-14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디퓨저 노즐
JP2015174013A (ja)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ミスミ 回転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996B1 (ko) 1997-12-31 2001-02-01 정몽규 디젤 엔진의 회전식 분사 노즐
KR100615388B1 (ko) 2004-11-12 2006-08-25 유영철 역화 방지기가 형성된 산소 절단기의 회전 노즐
JP3150810U (ja) * 2009-02-27 2009-06-04 株式会社秀政 プール槽の吐出ノズル
JP3174668U (ja) * 2012-01-20 2012-03-29 株式会社田中金属製作所 空気及び炭酸ガスのマイクロバブルを発生させるシャワーノズル
KR101310090B1 (ko) 2013-06-13 2013-09-23 주식회사 바움 수영장 설치용 독립형 용수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영장 바닥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810B2 (ja) * 1993-01-19 2001-03-26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無電解メッキ材料の製造方法
JP3174668B2 (ja) * 1993-08-17 2001-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素分離膜
KR101264149B1 (ko) * 2011-11-23 2013-05-14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디퓨저 노즐
JP2015174013A (ja)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ミスミ 回転ノズ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979A (ko) * 2020-09-22 2022-03-30 김기대 소용돌이 구조의 플레어 팁 장치
KR102405748B1 (ko) 2020-09-22 2022-06-21 김기대 소용돌이 구조의 플레어 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36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063B1 (ko)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US4936506A (en) Swimming pool fountain
CA2337336C (en) Nutating fluid delivery apparatus
US20090089944A1 (en) Fluid Distribution System for a Swimming Pool Cleaning Apparatus
US3030028A (en) Floating fountain
CN106852128B (zh) 水上玩具
US20110004993A1 (en) Swimming pool with eductor jets
US20060230518A1 (en) Double pulsating hydrotherapy jet
CA2279603A1 (en) Interactive arena play structure
US20070245480A1 (en) Spa with waterfall
US9192866B2 (en) Water slide with spray fountain delivery system
CN109772636B (zh) 一种园林喷泉
KR200486839Y1 (ko) 양어장용 산소 공급장치
KR101427165B1 (ko) 샤워기 헤드
ES1263409U (es) Dispositivo disenado para la purificacion y oxigenacion de una corriente de aire-agua
CN201446028U (zh) 一种改进的浴缸用按摩喷头
JP4291814B2 (ja) ジェット噴射装置
JP2007130614A (ja) シャワーヘッド
JP3220073U (ja) シャワー用機能付加容器
KR102466249B1 (ko) 수중 공기공급장치
KR101744263B1 (ko) 무비산 점핑분수 장치
KR100671782B1 (ko) 분수용 드레인밸브장치
JP3026464U (ja) 流体回転構造物
CN204565925U (zh) 一种高压抛光料抛光液混合喷枪
KR102194959B1 (ko) 물 분사 헤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