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249B1 - 수중 공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공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249B1
KR102466249B1 KR1020220055515A KR20220055515A KR102466249B1 KR 102466249 B1 KR102466249 B1 KR 102466249B1 KR 1020220055515 A KR1020220055515 A KR 1020220055515A KR 20220055515 A KR20220055515 A KR 20220055515A KR 102466249 B1 KR102466249 B1 KR 102466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supply
supply device
disposed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코리아아쿠아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아쿠아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아쿠아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중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버블호스;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상기 버블호스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하로 이격된 링 형상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블호스가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양어장과 양식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공기공급장치{UNDERWATER AI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양어장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양어장 또는 양식장 등에 설치되어 수중에 공기를 불어넣어 용존산소량을 조절하는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양어장이나 양식장 등에서는 공기공급장치를 마련하여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조절함에 따라 수중 생물이 폐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기존 공기공급장치는 펌프방식 또는 구동모터 방식으로 흔히 사용되었는데, 상기 펌프방식은 펌프를 이용하여 분수대와 같이 양어장이나 양식장의 물을 수면위 소정의 높이로 분사하고 분사된 물이 포말(泡沫)상태로 되어 공기중의 산소와 같이 낙하하면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며, 상기 구동모터 방식은 구동모터의 축에 축설된 수차가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수차의 임펠라에 의해 대기중으로 퍼올려진 양어장이나 양식장의 물이 포말(泡沫)상태로 형성되어 공기중의 산소와 함께 낙하함에 따라 수중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존 공기공급장치는 수중에 직접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아닌, 수면 위로 물을 분사하거나 퍼올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중에 산소를 간접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산소공급효율이 다소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8497호 등에서는 수중에 직접적으로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공기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는 공기배출관(1)과 에어스톤(2)을 포함하여 압축공기를 수중에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에어스톤(2)이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분기관(3)을 더 포함하여 압축공기를 분기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중에 직접적으로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들은 산소공급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용존산소량 조절에 보다 용이한 장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현재 개시된 공기공급장치들은 양어장이나 양식장을 구축하면서 결정된 위치나 장소를 활용하거나, 비 설치시설에 규모가 다소 큰 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형태로 구성되는 양어장과 양식장에 범용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1988497 B1 (2019.06.12. 공고) KR 20-0389755 Y1 (2005.07.14. 공개) KR 10-2004-0059125 A (2004.07.05.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어장 또는 양식장의 수중에 배치되어 용존산소량 조절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는, 수중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중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버블호스;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상기 버블호스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하로 이격된 링 형상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버블호스가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상부홀 및 하부홀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수중의 밀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홀 또는 하부프레임의 하부홀에 배치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무게추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홀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상부 연장부재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홀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하부 연장부재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홀의 중심부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 연장부재와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상부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장부재가 복수로 이루어지되, 복수의 상기 상부 연장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타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상부 연장부재의 일단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블호스는, 링 형상의 호스몸체 및, 상기 호스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몸체가 상기 유로에 연결되어 외부로 개구된 복수의 미세홀을 포함하여 상기 유로에 흐르는 유체가 수중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호스몸체의 외면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는, 하나의 상기 측면프레임을 중심으로 둘 이상의 상기 체결부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 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이 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공기공급장치는, 다양한 규격의 버블호스를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면서도 수심 저층에 공기를 직접 주입할 수 있어 산소공급효율이 보다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공기공급장치는 다양한 형태나 수심을 가진 양어장 또는 양식장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음에 따라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무게추에 외부 힘에 의해서 자세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무게추와 상하부 연장부재를 통해 삽입 시에 올바른 자세로 수심 저층에 도달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에 설치된 공기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가 연결된 공기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공기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수중에 설치된 공기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를, 도 3은 공기공급장치의 정면도를, 도 4는 송풍기가 연결된 공기공급장치의 평면도를,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평단면도를,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부분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0)는 양어장이나 양식장 등의 기반시설(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배치하여 용존산소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장치(10)를 통해 기반시설(20)의 수중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으며, 미세기포 형태로 분사됨에 따라 용존산소량이 높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0)는, 프레임부(100), 버블호스(200) 및 체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버블호스(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주입구(201)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압축공기나 산소 등의 기체 혹은 높은 용존산소량을 가진 액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프레임(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3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블호스(20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결합되거나 상기 측면프레임(13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상기 버블호스(20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고정되어 전체 장비가 수저(水底)로 가라앉도록 조절하는 무게추(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게추는 가라앉도록 물의 밀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0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410)에 다양한 무게와 밀도를 가진 무게추(400)들이 탈부착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무게추(400)는 고정프레임(410)에 나사결합되거나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접착제나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프레임(110)은 링 형상으로 상하로 중공된 상부홀(111)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측면프레임(130)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블호스(20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부(300)를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300)도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측면 프레임(130)에 적어도 한 쌍의 체결부(3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프레임(130)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원주방향 일측 및 타측에 한 쌍의 상기 체결부(300)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물 속 조류가 강한 환경에서도 내구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어류에 의해서 버블호스(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측면프레임(130)의 상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상부홀(111)의 전후좌우 방향의 중심으로 타단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연장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30) 및 상부 연장부재(140)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상부 연장부재(140)의 타단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부홀(111)의 중심에 중심프레임(14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도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10)의 내경과 외경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측면프레임(13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내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하부홀(121)로 타단이 연장되는 하부 연장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연장부재(150)는 복수로 이루어져, 복수의 상기 하부 연장부재(150)의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연장부재(150)의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4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위치를 지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연장부재(140)와 하부 연장부재(15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 연장부재(140)와 하부 연장부재(150)가 서로 교번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수중에 삽입하거나 수중에서 기포 발생 기능을 유지하는 경우에 자세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버블호스(200)는 육지 상에 배치되거나 수면 혹은 수심에 배치되는 송풍기(30)와 공급호스(31)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송풍기(3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공급호스(31)를 통해 상기 버블호스(200)의 주입구(201)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버블호스(200)에서 외부로 유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송풍기(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기공급장치(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5마력 블로어로 구성된 송풍기(30)에 50~70개 가량의 공기공급장치(10)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버블호스(200)는 링 형상의 호스몸체(210)와 상기 호스몸체(210)의 내부에 중공되어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201)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유로(220)를 따라 상기 호스몸체(210)의 원주방향으로 유동되어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상기 호스몸체(210)에는 유체가 분사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버블호스(200)를 서로 고정할 수 있는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외주면과 상기 호스몸체(210)의 외주면을 함께 감싼 상태에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7은 공기공급장치의 평단면도를, 도 8은 공기공급장치의 평면도를, 도 9는 도 8의 C-C`선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부분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무게추(400) 및 고정프레임(41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3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상부홀(111)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재(140)의 타단은, 상기 상부홀(111)의 전후좌우 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4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무게추(400)가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0)는, 상기 측면프레임(130)에 배치되는 보조 무게추(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 무게추(500)가 복수의 측면프레임(130)에 적어도 하나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장치(10)는 상기 측면프레임(130)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무게추(500)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부(5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측면프레임(13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포켓부(510)가 배치되어 수중 삽입 시의 자세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무게추(500)도 물의 밀도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0)는, 상기 측면프레임(130)의 하단이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130)의 하단은 상기 하부프레임(120) 또는 하부 연장부재(150)의 하면 보다 하측에 배치됨에 따라, 하면을 기준으로 하측이 돌출부재(131)로 형성되어 연질의 수심 바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버블호스(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호스몸체(210)와 유로(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호스몸체(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미세홀(211)이 서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미세홀(211)은 상기 호스몸체(2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관통되거나 상하부 모두 관통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열로 배치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관통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0은 공기공급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주입구(201)에서 주입되는 유체가 링 형상의 상기 호스몸체(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분배됨에 따라, 주입구(201)와 인접한 호스몸체(210)에는 비교적 멀리 이격된 주입구(201)에 비하여 부력의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측면프레임(130)에서 상기 주입구(201)에 비교적 가까운 일부의 상기 측면프레임(130)에 상기 보조 무게추(5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상기 측면프레임(130) 중에서 일부의 상기 측면프레임(130)에 설치되는 보조 무게추(500)가 다른 일부의 상기 측면프레임(130)에 설치되는 보조 무게추(500) 보다 고중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0)는, 상기 호스몸체(21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미세홀(211)이 배치되되, 상기 주입구(201)에 비교적 멀리 이격된 미세홀(211)로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미세홀(211)에서 일부가 서로 다른 배열, 수량, 크기 및 이격거리 등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상기 미세홀(211)은 상기 주입구(201)에 인접한 복수의 제1미세홀(211a)과 비교적 이격된 복수의 제2미세홀(2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미세홀(211a) 사이의 간격인 제1간격(L1)이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미세홀(211b)의 간격인 제2간격(L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입구(201)로 주입된 유체가 호스몸체(210)의 둘레에 따라 분배되어 넓은 영역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공기공급장치
20 : 기반시설
30 : 송풍기 31 : 공급호스
100 : 프레임부
110 : 상부프레임 111 : 상부홀
120 : 하부프레임 121 : 하부홀
130 : 측면프레임 131 : 돌출부재
140 : 상부 연장부재 141 : 중심프레임
150 : 하부 연장부재
200 : 버블호스 201 : 주입구
210 : 호스몸체 211 : 미세홀
211a : 제1미세홀 211b : 제2미세홀
220 : 유로
300 : 체결부
400 : 무게추 410 : 고정프레임
500 : 보조 무게추 510 : 포켓부

Claims (12)

  1.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중에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중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버블호스;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상기 버블호스를 고정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하로 이격된 링 형상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버블호스가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상부홀 및 하부홀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홀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수중의 밀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홀에 배치되는 무게추; 및
    상기 하부 연장부재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고정되되 상기 무게추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버블호스는,
    링 형상의 호스몸체, 상기 호스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유로 및 상기 유로로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몸체가 상기 유로에 연결되어 외부로 개구된 복수의 미세홀을 포함하여 상기 유로에 흐르는 유체가 수중으로 분사되며,
    복수의 상기 미세홀은,
    적어도 한 쌍의 제1미세홀과 한 쌍의 제2미세홀을 포함하되,
    상기 호스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미세홀이 상기 제2미세홀 보다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되,
    한 쌍의 제1미세홀 사이의 제1간격이, 한 쌍의 제2미세홀 사이의 제2간격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수중의 밀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에 배치되는 보조무게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홀의 중심부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 연장부재와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상부 연장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장부재가 복수로 이루어지되,
    복수의 상기 상부 연장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타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상부 연장부재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호스몸체의 외면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측면프레임을 중심으로 둘 이상의 상기 체결부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 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이 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KR1020220055515A 2022-05-04 2022-05-04 수중 공기공급장치 KR10246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515A KR102466249B1 (ko) 2022-05-04 2022-05-04 수중 공기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515A KR102466249B1 (ko) 2022-05-04 2022-05-04 수중 공기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249B1 true KR102466249B1 (ko) 2022-11-11

Family

ID=8404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515A KR102466249B1 (ko) 2022-05-04 2022-05-04 수중 공기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2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125A (ko) 2002-12-28 2004-07-05 송재윤 양어장 또는 수조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장치
KR200389755Y1 (ko) 2005-03-21 2005-07-14 김문겸 수중온도조절겸 산소공급장치
KR20060102303A (ko) * 2006-08-23 2006-09-27 조현국 공기방울을 이용한 집어기
KR101544414B1 (ko) * 2014-12-26 2015-08-18 유승범 수중과 대기에서 사용이 가능한 기포 공급장치 및 기포 공급방법
KR101988497B1 (ko) 2017-08-02 2019-06-12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가두리양식장 산소공급장치
KR20210117775A (ko) * 2020-03-20 2021-09-29 최재영 부유형 공기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125A (ko) 2002-12-28 2004-07-05 송재윤 양어장 또는 수조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장치
KR200389755Y1 (ko) 2005-03-21 2005-07-14 김문겸 수중온도조절겸 산소공급장치
KR20060102303A (ko) * 2006-08-23 2006-09-27 조현국 공기방울을 이용한 집어기
KR101544414B1 (ko) * 2014-12-26 2015-08-18 유승범 수중과 대기에서 사용이 가능한 기포 공급장치 및 기포 공급방법
KR101988497B1 (ko) 2017-08-02 2019-06-12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가두리양식장 산소공급장치
KR20210117775A (ko) * 2020-03-20 2021-09-29 최재영 부유형 공기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2151A (en) Aerator
CN106852128B (zh) 水上玩具
CN105028302A (zh) 一种水增氧装置
JP2007307450A (ja) 気泡発生装置
KR102466249B1 (ko) 수중 공기공급장치
KR102139063B1 (ko) 수영장용 물 공급노즐
CN206576095U (zh) 自行移位喷气扬水式鱼池增氧机
CN108935286A (zh) 一种自转式富氧设备及其鱼苗养殖池
JP2003305494A (ja) マイクロバブル製造装置
CA2747286C (en) Counter current supersaturation oxygenation system
US20210185952A1 (en) Hydroponic nutrient solution aeration device
JP2014161241A (ja) 二酸化炭素供給システム
CN100389863C (zh) 混合装置
KR101163971B1 (ko) 수질 개선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0226218B1 (ko) 부양식 분수대의 설치방법
CN109329190B (zh) 一种减振的小气泡鱼池供氧装置
CN207827954U (zh) 一种潜水曝气机
KR20120077673A (ko) 분수가 구비된 방사형 폭기 장치
JP2007016534A (ja) 地盤硬化材注入ロッド
JP2008049215A (ja) 分散型散気装置
CN109316988A (zh) 微细气泡产生系统
JP3734676B2 (ja) 圧縮空気を利用した噴水装置
TWI689249B (zh) 飄浮裝置
KR100827928B1 (ko) 에어 분수장치
CN210043011U (zh) 一种鱼塘微孔曝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