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926B1 - 와치 또는 타임피스를 위한 스트라이크 모드 및 곡 선택기 - Google Patents

와치 또는 타임피스를 위한 스트라이크 모드 및 곡 선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926B1
KR102136926B1 KR1020180085776A KR20180085776A KR102136926B1 KR 102136926 B1 KR102136926 B1 KR 102136926B1 KR 1020180085776 A KR1020180085776 A KR 1020180085776A KR 20180085776 A KR20180085776 A KR 20180085776A KR 102136926 B1 KR102136926 B1 KR 10213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
mode
cam
watc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689A (ko
Inventor
메흐디 덴덴
쥘리앙 페터
Original Assignee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9001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04Hour wheels; Racks or rakes; Snails or similar control mechanis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02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with saw mechanism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06Details of striking mechanisms, e.g. hammer, fan govern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10Releasing or locking the regular stroke, e.g. for silence during the nigh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12Reiterating watches or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26Hammer driving; hammers; devices with several hammers or sounding bodies; vibrato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12Alarm watches to be worn in pockets or on the wris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9/00Supervision of the state of winding, e.g. indicating the amount of winding
    • G04B9/02Devices controlled by such state, e.g. device affording protection means against overwin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와치 (1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외부의 프로파일링된 표면 (98) 을 갖는 캠 (90) 의 각도 위치를 규정하는, 사일런트 모드를 포함하는 별개의 모드들 중에서, 특정 스트라이크 모드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과 함께,
- 무브먼트 (200) 에 의해서 구동되는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 디텐트 래칫 (22) 및 리피팅 랙 피니언 (24) 을 포함하는 스트라이크 휠 세트 (2),
- 상기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를 리딩하고 상기 리피팅 랙 피니언 (24) 을 구동하기 위한 피벗팅 시간 랙 (20),
- 상기 디텐트 래칫 (22) 을 구동하도록 각각의 패싱 스트라이크에서 동작이 설정되는 클릭 (85) 을 포함하며, 사일런트 모드에서, 최대 반경부 (98S) 는 사일런싱 레버 (60) 의 비크 (61) 를 뒤로 밀어 모든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메인 아암 (64) 이 상기 클릭 (85) 을 상기 디텐트 래칫 (22) 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위치로 상기 사일런싱 레버를 배향한다.

Description

와치 또는 타임피스를 위한 스트라이크 모드 및 곡 선택기{STRIKE MODE AND TUNE SELECTOR FOR A WATCH OR TIMEPIECE}
본 발명은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와치 또는 타임피스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은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패싱 스트라이크 모드들에서, 그리고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곡들 (tunes) 및/또는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세트들의 공들 (gongs) 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무브먼트에 의해서 패싱 스트라이크를 해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와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무브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와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브먼트에 의해서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타임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무브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타임피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와치들, 타임피스들 또는 뮤직 박스들을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타임피스 스트라이킹 메카니즘들은 이들 구성 요소들의 운동학들의 수 및 복잡성 뿐만 아니라 이들의 가능한 작동 모드들과 관련하여 복잡한 다방면의 복잡한 문제들이 있다. 다양한 스트라이크 모드들 사이에서의 선택에는 그 자체로 컬럼 휠들 등과 같은 값 비싼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고, 그리고 종종 이런 선택 기능을 위한 한 세트의 노치들을 갖는 와치 또는 타임피스 케이스 내부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는 추가의 복잡한 문제가 있다. 선택 메카니즘과 케이스 외부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또한 특정 밀봉 기밀성을 가져야 한다. 다양한 모드들 사이의 안전 특징들을 관리하는 것은 항상 복잡하다.
이들 메카니즘들은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15190808.4 에 따른 알람 메카니즘,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15168700.1 에 따른 스트라이크 또는 곡의 선택 및/또는 해제를 위한 안전 메카니즘,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3136188A1 에 따른 커플링 해제 가능한 리프팅 피스 (uncouplable lifting piece) 를 갖는 곡 선택 메카니즘, 또는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16206572.6 에 따른 카릴론 (carillon)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통합할 때,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2947523B1 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스트라이킹된 쿼터들 (quarters struck) 또는 연주된 상이한 공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특히 상기 세트의 상이한 곡들을 구별을 해야 할 때, 훨신 더 많은 수의 별개의 모드들을 선택하기 위해 훨씬 더 복잡하게 된다.
PATEK PHILIPPE 명의의 스위스 특허 CH706080B1 은 기계식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해제될 수 있는 리피터 (repeater)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기계식 타임피스 무브먼트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은 상기 해제 레버에 피벗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퓨시 (fusee) 에 포함되는 디텐트 래칫의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클릭이 제공된 해제 레버를 포함하여, 자동 해제시, 바람직하게는 타임피스 무브먼트의 캐넌 피니언과 일체형인 무브먼트의 동작 작동에 의해서 구동되는 너트는 해제 레버가 상기 디텐트 래칫을 향하여 피벗 선회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해제 레버가 떨어질 때, 클릭 비크는 상기 디텐트 래칫을 회전 상태로 구동하며;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은 스트라이크 모드 선택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크 모드 선택 메카니즘은 타임피스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고 슬라이스 피스로 형성되고 적어도 2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타임피스 케이스의 주변에서 전후 움직임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들 중 하나는 스트라이크 모드에 해당하고, 다른 하나는 사일런트 모드에 해당한다.
CHRISTOPHE CLARET 명의의 유럽 특허출원 1925997A1 은 랙들을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과, 조절 부재에 상기 에너지원을 연결시키는 기어 트레인을 포함하는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랙들은 상기 트레인 내부에 배열되고 제어 부재에 의해서 작동되는 스트라이크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서 상기 에너지원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랙들은 현재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달팽이 형상부들과 협동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를 통해 상기 구동 디바이스와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과,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이 해제될 때 상기 캠을 피벗 선회시키기 위한 적어도 구동 휠 세트가 제공된 캠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NTRES BREGUET 명의의 유럽 특허출원 EP 2498146A1 은 타임피스를 위한 소위 제 2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이라 불리는 음향 신호를 해제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메카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타임피스 무브먼트, 그리고 한편으로는, 사전 설정, 및/또는 신호의 수신, 및/또는 물리적 파라미터에 대한 임계값의 교차와 관련된 특정 순간에서 제 2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해제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트라이크 제어 메카니즘,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의해서 프로그램된 순간들에서 또는 요구에 따라 메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해제하도록 배열된 메인 스트라이크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라이킹 또는 그랑드 소네리 (grande sonnerie) 또는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 (minute repeater mechanism) 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스트라이크 해제 메카니즘은, 상기 제 2 스트라이크 제어 메카니즘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특정 순간에서, 메인 스트라이크 기능이 상기 메인 스트라이크 제어 수단을 커플링 해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킹 또는 그랑드 소네리 또는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의 적어도 일부를 커플링함으로써 제 2 스트라이크 신호를 해제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추가로, 상기 제 2 스트라이크 제어 메카니즘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특정 순간 이외에, 그리고 상기 제 2 스트라이크 제어 메카니즘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특정 순간에 링크된 상기 제 2 스트라이크 기능의 수행후에, 메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이 상기 메인 스트라이크 제어 수단을 커플링함으로써 작동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킹 또는 그랑드 소네리 또는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을 커플링함으로써 메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해제하도록 배열되는 커플링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평균 복잡성의 효율적인 안전 수단의 구현과 양립할 수 있는,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스트라이킹 기능들을 위해 사용되는 스트라이크 모드들 및 곡들 및/또는 공 세트들의 선택을 달성하도록 제안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무브먼트에 의해서 패싱 스트라이크를 해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상기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와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무브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와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브먼트에 의해서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상기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타임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무브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타임피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서 명백해 질 것이다.
- 도 1 내지 도 8 은 동일한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2x2 및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홀수의 도면들은 후방 측을 도시하고, 짝수의 도면들은 전방 측을 도시하며; 모든 구성 요소들이 도시되지 않고, 예시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들 만이 도시된다.
- 도 1 및 도 2 는 프티트 소네리 모드 (petite sonnerie mode) 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3 및 도 4 는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5 및 도 6 은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7 및 도 8 은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 정지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9 및 도 10 은 사일런트 모드에서 정지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11 은 도 9 의 상세이다.
-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많은 메인 구성 요소들의 양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 13 내지 도 18 은, 도 1 내지 도 8 과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크 선택 및 모드 선택을 조합하는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하며, 제 1 곡이 프티트 소네리 모드에서 연주되도록 하고, 그리고 제 1 곡과 상이한 제 2 곡이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 연주되도록 한다.
- 도 13 및 도 14 는 제 1 곡에 의한 프티트 소네리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15 및 도 16 은 제 2 곡에 의한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17 및 도 18 은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하며, 미닛 리피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서 제 2 곡을 연주할 수 있다.
- 도 19 는 제 1 변형예의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많은 메인 구성 요소들의 양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 20 내지 도 29 는, 도 13 내지 도 18 과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크 선택 및 모드 선택을 조합하는 제 2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변형예를 도시하며, 어느 하나는 각각의 스트라이크 모드에서 제 1 곡 또는 제 2 곡이 연주되도록 허용한다.
- 도 20 및 도 21 은 제 1 곡에 의한 프티트 소네리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22 및 도 23 은 제 2 곡에 의한 프티트 소네리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24 및 도 25 는 제 1 곡에 의한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26 및 도 27 은 제 2 곡에 의한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 28 및 도 29 는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도시하며, 미닛 리피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서 제 1 곡을 연주할 수 있다.
- 도 30 은 제 2 변형예의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많은 메인 구성 요소들의 양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 3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와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 도 32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뮤지컬 타임피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을 포함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타임피스 (2000) 는 뮤직 박스일 수도 있거나 뮤지 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Francois LECOULTRE 명의의 저작물 (Les montres compliquees (A Guide to Complicated Watches), Editions Horlogeres, Bienne (Switzerland), 1985, ISBN 2-88175-000-1) 은, 상세하게, 상이한 챕터들에서, 97 내지 205 페이지 (영문판 85 내지 181 페이지) 에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들을 형성하는 기본 메카니즘들을 설명한다:
- 리피팅 와치들,
- 올드 (old) 리피팅 와치들,
- 모던 쿼터-리피터,
- 단순형 리피터,
- 하프-쿼터 리피터,
- 브레게 (Breguet) 하프-쿼터 리피터,
- 5 미닛-리피터,
- 미닛-리피터들,
- 클락 와치들.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 기본 메카니즘들은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전문가들이 이런 보편적인 참고서에서, 특히 전술한 마지막 2 개의 챕터들에서 이런 메카니즘의 구성을 찾는 방법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종래의 방식으로, 시간 기준 달팽이 형상부들 및/또는 별 형상부들, 그리고 특히 분 달팽이 형상부, 쿼터 달팽이 형상부 및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 (1) 및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기준 휠 세트들 (1) 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또한 특히 "A Guide to Complicated Watches" 의 '클락 와치들' 에 대한 챕터에서 설명되고, 그리고 특히 이 책의 도 40 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는 통상적으로 디텐트 래칫 (22) 및 리피팅 랙 피니언 (24) 을 포함한다.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패싱 스트라이크 모드들에서, 그리고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곡들 및/또는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세트들의 공들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곡 및/또는 공 선택기 메카니즘과 조합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을 포함한다.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할 스트라이크 모드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접근 가능한 모드 선택기 (96) 와,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이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경우에 미닛 리피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또는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패싱 스트라이크를 위해 무브먼트 (200) 에 의해서 제어되고, 그리고/또는 곡 및/또는 한 세트의 공들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곡 또는 한 세트의 공들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모드 선택기 (96) 와는 구별되는 곡 또는 한 세트의 공들 (103, 104) 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한다.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무브먼트 (200) 와 협동하고, 상기 무브먼트는 기준 휠 세트(들) (1) 을 구동하고, 그리고 상기 무브먼트에 의해서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해제하기 위한 별 형상부 (130) 의 비 제한적인 형태로 상기 도면들에서 예시된 특정 출력부 (3) 를 갖고, 상기 출력부는 캐논-피니언에 피팅되고, 그리고, 각각의 15분에서, 이하에서 메인 레버 (70) 로서 언급되는 상기 무브먼트에 의해서 해제하기 위한 중간 레버를 리프팅하기 위하여 4 개의 치형부들을 포함한다.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상기 메인 레버 (70) 를 통해 무브먼트 (200) 의 출력부 (3) 와 간접적으로 협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특히 이런 기준 휠 세트 (1) 를 리딩 (reading) 하기 위한 필러 아암 (feeler arm) 및 리피팅 랙 피니언 (24) 을 구동하기 위한 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벗 선회부를 포함한다. 이들 피벗 선회부들 중 하나는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와 협동하도록 배열되는 시간 랙 (20) 이다.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각각의 패싱 스트라이크에서 동작이 설정되고, 그리고, 가능하다면, 디텐트 래칫 (22) 을 구동하도록 배열되는 메인 클릭 (85)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메인 스트라이크 모드들, 즉 그랑드 소네리, 프티트 소네리, 알람, 사일런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특히 'A Guide to complicated watches' 의 '미닛 리피터' 챕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 특히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도면들에 의해서 예시된 비 제한적인 변형예는 3 개의 스트라이크 모드들, 즉 그랑드 소네리 (GS), 프티트 소네리 (PS), 사일런트 (S), 및 미닛 리피터를 포함한다. 상기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은, 특히, 내부에 포함된 필러 아암 (29) 을 통해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와 협동하도록 배열되는 시간 랙 (20) 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을 포함한다. 상기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사용자가 사용할 스트라이크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캠 (90) 의 각도 위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접근 가능한 모드 선택기 (96) 를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와치 (1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외부의 프로파일링된 표면 (98) 을 갖는 캠 (90) 의 각도 위치를 규정하는, 사일런트 모드를 포함하는 별개의 모드들 중에서, 특정 스트라이크 모드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과 함께, 무브먼트 (200) 에 의해서 구동되는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디텐트 래칫 (22) 및 리피팅 랙 피니언 (24) 을 포함하는 스트라이크 휠 세트 (2), 상기 달팽이 형상부 (190) 를 리딩하고 상기 리피팅 랙 피니언 (24) 을 구동하기 위한 피벗팅 시간 랙 (20), 상기 디텐트 래칫 (22) 을 구동하도록 각각의 패싱 스트라이크에서 동작이 설정되는 클릭 (85) 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일런트 모드에서, 최대 반경부 (98S) 는 사일런싱 레버 (60) 의 비크 (61) 를 뒤로 밀어 모든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메인 아암 (64) 이 클릭 (85) 을 상기 디텐트 래칫 (22) 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위치로 상기 사일런싱 레버의 비크를 배향한다.
변형예에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적어도 하나의 캠 (90) 을 포함하며, 상기 캠은 상기 도면들에 의해서 예시된 변형예에서와 같이,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지정된 모드들과 동일한 다수의 특정 위치들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모드들 중 일부만으로 특정된 위치들을 포함한다. 예시된 변형예는 편평한 캠 (90) 을 도시하고, 상기 캠은 선택 가능한 모드들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3 개의 노치된 부분들을 포함한다: 93 프티트 소네리, 94 그랑드 소네리, 95 사일런스. 보다 구체적으로, 노치된 부분들은 2 개의 작동 방향들 중 하나에서 증가하는 힘을 필요로 하는 가변 크기의 노치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특정 노치, 예를 들면 중심 노치는 사용자가 실수로 하나의 스트라이크 모드로부터 다른 스트라이크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단부 노치들 보다 더 크다.
캠 (90) 은 상이한 모드들에 대해 특정 위치들을 차지한다. 상기 캠 (90) 은 사일런싱 레버 (60) 에 포함된 비크 (61) 와 협동하도록 배열되는 연속적인 외부의 필러 아암 지지 프로파일링된 표면 (98) 을 갖는다. 상기 외부의 프로파일링된 표면 (98) 은 사일런트 모드에 대응하는 더 큰 반경부 (98S) 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더 큰 반경부의 영역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일런트 모드에서 모든 패싱 스트라이크를 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일런싱 레버 (60) 의 메인 아암 (64) 이 메인 클릭 (85) 을 디텐트 래칫 (22) 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위치로 상기 사일런싱 레버 (60) 를 배향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은, 특히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 EP2947523B1 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스트라이킹된 쿼터들 또는 상기 세트의 상이한 공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세트의 상이한 곡들을 구별해야 할 때, 또는 동일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15190808.4 에 따른 알람 메카니즘,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15168700.1 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또는 곡의 선택 및/또는 해제를 위한 안전 메카니즘,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15183110.4 에 따른 커플링 해제 가능한 리프팅 피스를 갖는 곡 선택 메카니즘, 또는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 EP16206572.6 에 따른 카릴론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통합할 때, 훨신 더 많은 수의 별개의 모드들의 선택에 적합한 것으로 이해된다.
캠 (90) 은 따라서 다중 노치들을 포함한다: GS 곡 A, GS 곡 B, PS 곡 A, PS 곡 B, S, 및/또는 또한 GS 공 A, GS 공 B, PS 공 A, PS 공 B, S. 단일 캠에 대해 너무 많은 상이한 모드들이 있는 경우에,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복수의 캠들 (90), 특히 중첩된 캠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예를 들면, 특정 곡 또는 특정 공 또는 다른 것에 의한 이들 모드들 중 어떤 모드와 관련된다.
이런 배열은 특히 연주된 곡들 및/또는 사용된 공들에 의한 스트라이크 모드들을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그랑드 소네리 모드는 제 1 곡 및/또는 제 1 세트의 공들에 해당하고, 그리고 프티트 소네리 모드는 제 2 곡 및/또는 제 2 세트의 공들에 해당한다.
상이한 캠들 (90) 은 하나의 평면에서, 특히 동축선 방향으로 중첩되거나, 또는 병치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직렬로 배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하나의 모드만이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의도된 모드 선택 이외에,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클릭들을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으로써 사일런트 모드에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을 불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시간 랙에 의한 대응하는 달팽이 형상부로의 접근을 방지한다.
특히,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상기 시간 랙 (20) 이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에 대한 리딩을 수행하면 디텐트 래칫 (22) 을 구동하도록 배열되는 리피터 클릭 (40) 을 포함하는 미닛 리피터 제어 디바이스 (4) 를 갖는 미닛 리피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일런트 모드에서, 사일런싱 레버 (60) 의 메인 아암 (64) 은 이용 가능한 에너지가 스트라이킹 기능을 완료하기에 충분한 경우에 리피터 클릭 (40) 이 디텐트 래칫 (22) 으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15분으로 시간을 반복하는, 각각의 시간 및 각각의 15분의 패싱 스트라이크에 대한 그랑드 소네리 모드와, 15분으로 시간을 반복하지 않는, 각각의 시간 및 각각의 15분의 패싱 스트라이크에 대한 프티트 소네리 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프티트 소네리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시간이 15분들로 스트라이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간 랙 (20) 이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로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를 배향하기 위하여 선택기 메카니즘 (9) 의 캠 (90) 에 포함된 캠 핀 (97) 에 지탱됨으로써 협동하도록 배열되는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를 포함한다.
이런 동일한 배열에서, 그랑드 소네리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캠 핀 (97) 은 시간들이 15분들로 자동으로 스트라이킹되도록 시간 랙 (20) 이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다른 위치로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를 배향한다.
시간들과 15분들의 패싱 스트라이크를 구별하기 위하여,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유리하게는 출력부 (3) 에 의해 구동되고 15분들로 스트라이크들을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배열된 4 개의 치형부를 갖는 별 형상부 (130) 와 동축선을 이루는 눈물 형상 시간 캠 (131) 을 포함하고, 상기 눈물 형상 시간 캠은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를 리프팅하고 시간 랙 (20) 이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팁 (132) 을 포함한다.
스트라이킹 기능이 완료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이용 가능한 에너지의 양이 불충분한 경우에, 유리하게는,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이 임의의 스트라이킹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특정 정지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의 작동은 특히 사일런트 모드에서 미닛 리피터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유리하게는 다시 시작할 때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중간 위치들에서 정지하는 어떤 휠 세트들에 의해서 나타나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임의의 스트라이킹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되는 정지 메카니즘 (5) 을 포함한다. 이것은 미닛 리피터의 작동이 또한 금지되는 정지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에만 해당된다.
상기 정지 메카니즘 (5) 은 이용 가능한 에너지가 스트라이킹 기능을 완료하기에 불충분한 경우에 스트라이크 역전 레버 (59) 를 피벗 선회시키도록 배열된다. 상기 스트라이크 역전 레버 (59) 는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 (55) 의 피벗 선회를 제어하며, 상기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는 이용 가능한 에너지가 스트라이킹 기능을 완료하기에 불충분한 경우에 디텐트 래칫 (22) 으로의 리피터 클릭 (40) 에 의한 접근을 방지하고, 그리고 이용 가능한 에너지가 스트라이킹 기능을 완료하기에 불충분한 경우에 메인 클릭 (85) 을 디텐트 래칫 (22) 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바람직하게는 선행 기술에서 표준인 와치 케이스 상에서 노치 시스템의 사용을 회피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모드 선택기 레버 (96) 는 유리하게는, 특히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식 연결부를 통해, 캠 (90) 또는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캠들 (90) 의 피벗 선회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캠 점퍼를 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캠 점퍼 스프링 (92) 과 관련된 캠 점퍼 (91) 는 캠 (90) 의 노치들 중 하나와 협동하는 선택기 핑거 (99) 를 포함한다. 상기 점퍼 (91) 및 그의 캠 점퍼 스프링 (92) 은 사용자가 노치의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허용하고, 그리고 결코 중간 위치로가 아닌 상기 모드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명확한 위치로 복귀하면서 선택 조작의 완료의 확실성을 제공하는 이중 기능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캠 점퍼 스프링 (92) 은 안전성을 보장하고, 특히 와치 케이스에서의 개스킷의 마찰력을 극복하도록 대형화된다.
상기 캠 (90) 은 또한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캠 핀 (97) 을 포함하며, 그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모드 선택 노치들 이외에, 캠 (90) 은 유리하게는 사일런싱 레버 (60) 의 비크 (61) 와 협동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2 개의 필러 아암 지지 영역들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외부의 프로파일링된 표면 (98) 을 포함한다: 더 큰 반경부 (98S) 의 영역은 사일런트 모드에 해당되고, 그리고 더 작은 반경부 (98AGS) 의 영역은 정지 기능 및 그랑드 소네리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 정지부에 해당한다.
모드 선택 메카니즘 (9) 은 상이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의 종래 구성 요소들과의 상호 작용들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특정 배열로 예시되어 있으며, 기계식 와치들 또는 타임피스들에 대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들을 전문으로 하는 당업자는 이들을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임의의 메카니즘들로 바꾸는 방법을 알 것이다.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먼저 정지 메카니즘 없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 및 도 2 는 통과시에 전체 시간들을, 그리고 통과시에만 15분들을 스트라이킹하는 프티트 소네리 노치 (93PS) 에 대응하는 인덱싱 위치에서의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을 도시한다. 작동에 대한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쿼터 랙 및 쿼터 달팽이 형상부는 되시되지 않는다.
기준 휠 세트들 (1) 에 근접하게 배열된 별 형상 휠 (130) 은, 15분 마다, 스트라이크 해제 메인 레버 (70) 에 포함된 비크 (72), 특히 탄성 비크와 협동하여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쿼터 랙 (20) 은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를 필링하도록 배열된 필러 아암 (29) 과,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에 포함된 리피팅 랙 피니언 (24) 과 협동하도록 배열된 랙 (25) 을 포함한다. 시간 랙 (20) 은 필러 아암 (29) 에 대해 뒤쪽으로 설정되고, 편평한 인접부 (27) 에서 필러 아암 (29) 과 동일한 측에서 끝나는 리브 (23) 를 더 포함한다.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는, 종래의 방식으로, 디텐트 래칫 (22) 을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 래칫은 핀 (41) 이 제공되고 미닛 리피터 제어 디바이스 (4) 에 포함된 미닛 리피터 해제 클릭 (40) 또는 메인 스트라이크 클릭 (85) 과 협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미닛 리피터 해제 클릭 (40) 은 스프링 (43) 과 협동한다.
스트라이크 해제 메인 레버 (70) 의 피벗 선회는 무브먼트에 의한 해제를 위한 레버 (50) 의 피벗 선회를 일으키고, 상기 레버 (50) 는 스러스트 스프링 (52) 을 지탱하고, 메인 스트라이크 클릭 (85) 상에 놓여지고, 상기 메인 스트라이크 클릭 (85) 은 해제 레버 (50) 에 의해서 또한 지탱된다.
종래의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는 뱅킹 핀 (82) 을 지탱한다. 플레이트에 고정된 커플링 해제 스프링 (83) 에 의해서 복귀되는 상기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는 캠 (90) 에 포함된 캠 핀 (97) 상에 놓여지도록 배열되는 커플링 해제 비크 (81) 를 포함한다.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는 상기 시간 랙의 각도 이동 동안 시간 랙 (20) 을 향하고, 그리고 뱅킹 핀 (82) 은 동일한 반경으로 시간 랙 (20) 의 리브 (23) 의 레벨에 있고, 이는 시간 스트라이크가 프티트 소네리 모드로 특정된 작동에 따라 각각의 15분으로 반복되지 않도록 상기 뱅킹 핀이 시간 랙 (20) 의 편평한 부분 (27) 과 인접하여 협동하고, 그리고 상기 뱅킹 핀이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시간 랙의 편평한 부분을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시간이 전체 시간으로 스트라이킹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별 형상 휠 (130) 은 눈물 형상 시간 캠 (131) 과 일체로 되고, 그 팁 (132) 은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그리고 따라서 그 뱅킹 핀 (82) 을 리프팅하도록 배열되어 시간 랙 (20) 의 필러 아암 (29) 이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를 리딩하기 위하여 통과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 는 통과시에 전체 시간들을 스트라이킹하고, 그리고 통과시에 시간을 반복하고 15분들을 스트라이킹하는 그랑드 소네리 노치 (93GS) 에 대응하는 인덱싱 위치에서의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을 도시한다. 일반적인 쿼터 랙 및 쿼터 달팽이 형상부는 도시되지 않는다. 캠 핀 (97) 은 프티트 소네리의 경우에서 보다 커플링 해제 비크 (81) 의 단부로부터 더 큰 거리에서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에 지탱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뱅킹 핀 (82) 은 리브 (23) 또는 시간 랙 (20) 의 편평한 부분 (27) 의 레벨에 더 이상 있지 않고, 리세스 (28) 의 레벨에 있게 되고, 이는 시간 랙 (20) 이 15분 마다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를 향하여 자유롭게 피벗 선회하게 한다.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작동을 위하여,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이하에서 사일런싱 레버 (60) 로서 언급되는 그랑드 소네리 및 프티트 소네리 분리기 (isolator) 를 포함하고, 상기 사일런싱 레버는 제 1 단부에서 모드 선택기 캠 (90) 의 주변 영역들 (98) 중 하나와 협동하도록 배열된 리딩 비크 (61) 와, 제 2 단부 (62) 에서 메인 스트라이크 클릭 (85) 에 포함된 메인 클릭 핀 (86) 을 정지하도록 배열된 메인 아암 (64) 을 포함한다. 이 사일런싱 레버 (60) 는 그 피봇에 근접한 중간 부분에 사일런싱 핀 (63) 을 포함한다.
스프링 (65) 은 레버가 항상 비크 (61) 를 통해 캠 (90) 과 접촉하도록 핀 (63) 을 통해 사일런싱 레버 (60) 를 구속한다. 선택된 모드가 사일런트 모드인 경우에, 상기 사일런싱 레버 (60) 는 피벗 선회되고, 그리고 그 단부 (62) 는 디텐트 래칫 (22) 으로부터 클릭 (85) 을 분리하도록 이동한다. 캠 핀 (97) 은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의 커플링 해제 비크 (81) 와 접촉한다. 미닛 리피터 기능 (프티트 소네리 모드에서) 동안, 레버 (상기 도면들에 미도시) 는 시간 랙 (20) 이 구성 요소 (1) 의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위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제어 디바이스 (4) 와 레버 (80) 의 구멍 사이에서 링크를 형성한다.
사일런싱 레버 (60) 는 도 5 내지 도 11 에 도시되고, 이들 도면은 또한 정지 메카니즘 (5) 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 메카니즘은 본질적으로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 (55) 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사일런싱 레버 (60) 및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 (55) 를 포함하고, 이들 레버들은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각각이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의 래칫 (22) 으로의 특정 클릭에 의한 접근을 방해하도록 배열된다. 실제로,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 (55) 는 미닛 리피터 제어 디바이스 (4) 의 미닛 리피터 해제 클릭 (40) 에 포함된 리피터 클릭 핀 (41) 을 정지하도록 배열되는 정지 아암 (56) 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 은 사일런트 모드 노치 (95S) 에 대응하는 인덱싱 위치에서의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을 도시하며, 프티트 소네리 및 그랑드 소네리 메카니즘들은 커플링 해제되지만 미닛 리피터를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일런싱 레버 (60) 의 리딩 비크 (61) 는 캠 (90) 의 주변 숄더 (98) 의 최대 반경부 (98S) 상에 놓여지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한편으로는, 프티트 소네리 레버 (80) 는 스프링 (67) 을 통해 캠 핀 (97) 에 의해서 정지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일런싱 레버 (60) 의 메인 아암 (64) 은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고 메인 클릭 핀 (86) 을 정지시킨다. 반대로,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 (55) 는 이 극단적인 위치에 대항할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에 매우 근접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미닛 리피터 해제 클릭 (40) 은 방해받지 않고 디텐트 래칫 (22) 으로 접근할 수 있고 따라서 미닛 리피터는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 은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의 정지부를 예시하고, 그리고 그랑드 소네리 노치 (94GS) 에 대응하는 인덱싱 위치에서의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을 도시한다. 정지 메카니즘 (5) 은 배럴(들) 등으로 이용 가능한 에너지의 양이 불충분한 경우에 모든 클릭들을 커플링 해제하도록 배열된다. 이 때, 사일런싱 레버 (60) 의 리딩 비크 (61) 는 캠 (90) 의 주변 숄더 (98) 의 최소 반경부 (98AGS) 상에 놓여지고, 그리고, 제 2 단부 (62) 에서, 사일런싱 레버 (60) 의 메인 아암 (64) 은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고 메인 클릭 핀 (86) 을 정지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 (55) 는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메인 클릭 (85) 의 메인 핀 (86) 및 리피터 클릭 핀 (41) 을 방해하여 메인 클릭 (85) 및 미닛 리피터 해제 클릭 (40) 은 방해를 받고 디텐트 래칫 (22) 으로 접근할 수 없다. 미닛 리피터는 사용자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없다. 따라서, 어떠한 스트라이킹 기능도 활성화될 수 없다. 모드 선택기 레버 (96) 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도 9 내지 도 11 은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정지부를 예시하고, 그리고 사일런트 모드 노치 (95S) 에 대응하는 인덱싱 위치에서의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들은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 (55) 의 관절식 제어를 위한 작동 볼트 (59) 를 도시한다. 사일런싱 레버 (60) 의 리딩 비크 (61) 는 캠 (90) 의 주변 숄더 (98) 의 최대 반경부 (98S) 상에 놓여지고, 그리고, 사일런싱 레버 (60) 의 메인 아암 (64) 은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고 메인 클릭 핀 (86) 을 정지시킨다. 스트라이크 커플링 해제 레버 (55) 는 또한 스트라이크 구동 휠 세트 (2) 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고, 그리고 리피터 클릭 핀 (41) 을 방해한다. 따라서, 메인 클릭 (85) 및 미닛 리피터 해제 클릭 (40) 은 방해를 받고, 그리고 디텐트 래칫 (22) 으로 접근할 수 없다.
정지 메카니즘은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만 활성화되고, 그리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정지 메카니즘은 분리되는 것이 분명하다.
도 13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크 선택 및 모드 선택을 조합하는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제 1 변형예를 예시하며, 제 1 곡이 프티트 소네리 모드에서 연주되도록 하고, 그리고 제 1 곡과 상이한 제 2 곡이 그랑드 소네리 모드에서 연주되도록 한다.
도 20 내지 도 29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크 선택 및 모드 선택을 조합하는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제 2 변형예를 예시하며, 어느 하나는 각각의 스트라이크 모드에서 제 1 곡 또는 제 2 곡이 연주되도록 한다.
유일한 제한은 와치 또는 뮤지컬 타임피스 내부의 이용 가능한 공간의 제한이라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제 1 변형예 및 제 2 변형예는 각각 여기에서 2 개의 곡들로 표시되지만,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이 더 많은 곡들을 연주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 EP2947523B1 및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유럽 특허출원들 EP15190808.4, EP15168700.1, EP15183110.4 및 EP16206572.6 의 교시들과 조합하여, 상이한 세트들의 공들 또는 차임들로 곡들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모드 선택은 하나의 평면에서 동축선 방향 캠들 및/또는 병치된 캠들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 1 곡 및 제 2 곡의 특별한 경우에 설명된다. 전술한 특허 출원들의 교시들에 따르면, 더 많은 수의 곡들, 또는 곡들 대신에 또는 상기 곡들 이외에 특정 세트들의 공들의 선택에 명백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곡 선택기 캠 (101) 을 포함하고, 상기 곡 선택기 캠은 적어도 제 1 곡 레버 (103) 및 제 2 곡 레버 (104) 와 협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곡 레버 및 상기 제 2 곡 레버는 모두 스트라이크 해머들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트립들 (107) 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곡 선택기 (107) 와 협동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제 1 곡 레버 (103) 및 상기 제 2 곡 레버 (104) 각각은 곡 선택기 캠 (101) 의 주변 (1011) 에 걸쳐서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중간 필러 비크 (1030, 1040) 를 포함한다. 후자는 곡 선택 필러 아암 (105) 의 포크 (1050) 를 구동하는 핀 (1010) 을 포함하며, 상기 곡 선택 필러 아암의 제 1 핑거 (1051) 는 곡 선택 바이 모드 캠 (tune-selection-by-mode cam; 102) 의 주변 (1021) 을 따르고, 그 각도 위치는 모드 선택기 (96) 에 의해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되고, 그리고 상기 곡 선택 필러 아암은 제 2 이동 제한 핑거 (1052) 를 포함한다. 곡 선택 바이 모드 캠 (102) 은, 더 구체적으로, 곡 선택기 캠 (101) 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프티트 소네리 레버는 도 1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97) 과 상호 작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선택기 (96) 는 도 17 에 도시된 노치된 섹터 (1020) 의 각도 위치를 제어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노치된 섹터 (1020) 는 곡 선택 바이 모드 캠 (102) 과 일체로 피벗 선회하고, 상기 노치된 섹터 (1020) 는 점퍼 및/또는 유지 스프링에 의해서 제 위치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모드 선택기 (96) 를 형성하고 또한 곡 및/또는 한 세트의 공들의 상기 선택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단일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제 2 변형예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제 1 곡 레버 (103) 및 제 2 곡 레버 (104)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곡 레버 및 상기 제 2 곡 레버는 모두 스트라이크 해머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이한 트립들 (107) 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곡 선택기 (106) 와 협동하도록 배열되고, 제 1 곡 레버 (103) 및 제 2 곡 레버 (104) 각각은 중간 필러 비크 (1030, 1040) 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필러 비크는 상기 제 1 곡을 제어하는 제 1 캠 (114) 및 상기 제 2 곡을 제어하는 제 2 캠 (115) 의 각각의 주변에 걸쳐셔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및 곡 선택은 제어 휠 세트 (110) 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제어 휠 세트 (110) 는 서로 적층된 여러 개의 캠들을 포함하며, 제 1 캠 (111, 90) 은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이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경우의 미닛 리피터 기능과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 사이에서 임의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패싱 스트라이크 분리기 (109) 에 포함된 비크 (1090) 가 뒤 따르게 되는, 주변 윤곽 (113) 을 통해 프티트 소네리, 그랑드 소네리 및 사일런트 모드들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 도 21 에 도시된 유지 스프링으로, 점퍼 (116, 91) 에 의한 각도 위치 결정 및 유지를 위한 노치들 (112, 93) 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벨에서, 제 1 캠 (111) 은 전술한 캠 (90) 과 유사하고, 그리고 점퍼 노치들 (112) 을 포함하고, 그리고 프티트 소네리, 그랑드 소네리 및 사일런트 모드들은 미닛 리피터 기능과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 사이에서 임의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패싱 스트라이크 분리기 (109) 의 비크 (1090) 가 뒤 따르게 되는, 주변 윤곽 (113) 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 제어 휠 세트 (110) 는 극도로 콤팩트하고, 그리고 스트라이크 휠 세트 (2) 보다 적은 높이 공간을 사용한다.
변형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적어도 제 1 캠 (90, 111) 또는 노치된 섹터 (10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캠 또는 상기 노치된 섹터는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지정된 모드들과 동일한 다수의 특정 위치들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모드들 중 어느 정도만으로 특정된 위치들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캠 (90, 111) 또는 노치된 섹터 (1020) 는 선택 가능한 모드들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노치된 부분들 (93, 94, 95) 을 포함한다. 훨씬 보다 구체적으로, 이들 노치된 부분들은 2 개의 작동 방향들 중 하나에서 증가하는 힘을 필요로 하는 가변 크기의 노치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에서의 또는 중심에 근접한 하나의 특정 노치는 사용자가 실수로 하나의 스트라이크 모드로부터 다른 스트라이크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단부 노치들 보다 더 크다.
변형예에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적어도 하나의 곡 캠 (101, 114, 115) 을 포함하고, 상기 곡 캠은 상기 세트의 상이한 곡들 및/또는 상기 세트의 상이한 공들을 구별하도록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각각의 스트라이크 모드에 할당된 곡들 및/또는 공들을 구별하기 위한 다중 노치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캠 (90, 111) 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사일런트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모드들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들 상이한 변형예들은 많은 공통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고, 이는 다방면의 복잡한 문제들로 항상 높은 제조 비용들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간/야간, 오전/오후, 주간 비작업일들 등과 같은 패싱 스트라이크들을 위한 와치 또는 타임피스 무브먼트 (200) 에 의해서 제어되거나 사용자가 적합하다고 생각될 때 제어되는 다양한 차별화된 스트라이킹 기능들을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브먼트에 의한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출력부 (3) 를 포함하는 무브먼트 (200) 를 포함하는 와치 (1000)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무브먼트 (200) 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와치 (1000) 는 적어도 하나의 이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브먼트에 의한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출력부 (3) 를 포함하는 무브먼트 (200) 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2000)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무브먼트 (200) 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타임피스 (2000) 는 적어도 하나의 이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을 포함한다.

Claims (17)

  1. 무브먼트 (200) 를 포함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으로서,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패싱 스트라이크 모드들에서, 그리고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세트들의 공들 (gongs) 로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는 곡 (tune) 또는 한 세트의 공들을 선택하기 위한 메카니즘과 조합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사용자가 사용할 스트라이크 모드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접근 가능한 모드 선택기 (96) 와,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이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 (minute repeater mechanism) 을 포함하는 경우에 미닛 리피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또는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패싱 스트라이크를 위해 상기 무브먼트 (200) 에 의해서 제어되고, 그리고 곡 또는 한 세트의 공들의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곡 또는 한 세트의 공들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상기 모드 선택기 (96) 와는 별개로 곡 또는 한 세트의 공들 (103; 104) 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곡 선택기 캠 (101) 을 포함하고,
    상기 곡 선택기 캠 (101) 은 적어도 제 1 곡 레버 (103) 및 제 2 곡 레버 (104) 와 협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곡 레버 (103) 및 상기 제 2 곡 레버 (104) 는 모두 스트라이크 해머들을 작동하기 위하여 상이한 트립들 (107) 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곡 선택기 (106) 와 협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곡 레버 (103) 및 상기 제 2 곡 레버 (104) 각각은 상기 곡 선택기 캠 (101) 의 주변 (1011) 에 걸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 중간 필러 비크 (1030; 1040) 를 포함하고,
    상기 곡 선택기 캠 (101) 은 곡 선택 필러 아암 (105) 의 포크 (1050), 곡 선택 바이 모드 캠 (tune-selection-by-mode cam; 102) 의 주변 (1021) 을 따르고 각도 위치가 상기 모드 선택기 (96) 에 의해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되는 상기 곡 선택 필러 아암 (tune selection feeler arm; 105) 의 제 1 핑거 (1051) 및 프티트 소네리 레버 (petite sonnerie lever; 108) 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곡 선택 필러 아암 (105) 의 제 2 핑거 (1052) 를 구동하는 핀 (10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 선택 바이 모드 캠 (102) 은 상기 곡 선택기 캠 (101) 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 선택 필러 아암 (105) 은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에 포함된 프티트 소네리 레버 (108) 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열된 제 2 핑거 (10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기 (96) 는 상기 곡 선택 바이 모드 캠 (102) 과 일체로 피벗 선회하는 노치된 섹터 (1020) 의 각도 위치를 제어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노치된 섹터 (1020) 는 점퍼 및 유지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제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상기 모드 선택기 (96) 를 형성하고 또한 스트라이킹 기능 및 한 세트의 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택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단일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적어도 제 1 곡 레버 (103) 및 제 2 곡 레버 (104)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곡 레버 (103) 및 상기 제 2 곡 레버 (104) 는 모두 스트라이크 해머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이한 트립들 (107) 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곡 선택기 (106) 와 협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곡 레버 (103) 및 상기 제 2 곡 레버 (104) 각각은 제 1 곡을 제어하는 제 1 캠 (114) 및 제 2 곡을 제어하는 제 2 캠 (115) 의 각각의 주변에 걸쳐셔 이동하는 중간 필러 비크 (1030; 10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7. 제 5 항에 있어서,
    모드 및 곡 선택의 제어는 제어 휠 세트 (110) 를 통해 달성되고,
    상기 제어 휠 세트 (110) 는 서로 적층된 여러 개의 캠들을 포함하며,
    상기 캠들 중 제 1 캠 (111, 90) 은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이 미닛 리피터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경우의 미닛 리피터 기능과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 사이에서 임의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패싱 스트라이크 분리기 (109) 에 포함된 비크 (1090) 가 뒤 따르게 되는, 상기 제 1 캠 (111, 90) 의 주변 윤곽 (113) 을 통해 프티트 소네리, 그랑드 소네리 (grande sonnerie) 및 사일런트 모드들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 유지 스프링으로 점퍼 (116, 91) 에 의한 각도 위치 결정 및 유지를 위한 노치들 (112, 9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적어도 제 1 캠 (90, 111) 또는 노치된 섹터 (10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캠 (90, 111) 또는 상기 노치된 섹터 (1020) 는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의 지정된 모드들과 동일한 다수의 특정 위치들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모드들 중 일부만으로 특정된 위치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 (90, 111) 또는 상기 노치된 섹터 (1020) 는 선택 가능한 모드들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노치된 부분들 (93; 94; 9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된 부분들은 2 개의 작동 방향들 중 하나에서 증가하는 힘을 필요로 하는 가변 크기의 노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중심에서의 또는 중심에 근접한 하나의 특정 노치는 사용자가 실수로 하나의 스트라이크 모드로부터 다른 스트라이크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하도록 단부 노치들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상기 세트의 상이한 공들 및 상기 곡 중 적어도 하나를 구별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곡 캠 (101, 114, 1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은 각각의 스트라이크 모드에 할당된 곡 및 공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별하기 위한 다중 노치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캠 (90, 11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사일런트 모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스트라이크 모드들에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은 외부의 프로파일링된 표면 (98) 을 갖는 캠 (90) 의 각도 위치를 규정하는, 사일런트 모드를 포함하는 별개의 모드들 중에서, 특정 스트라이크 모드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기 메카니즘 (9) 과 함께, 무브먼트 (200) 에 의해서 구동되는 시간 달팽이 형상부 (190), 디텐트 래칫 (22) 및 리피팅 랙 피니언 (24) 을 포함하는 스트라이크 휠 세트 (2), 상기 달팽이 형상부 (190) 를 리딩 (reading) 하고 상기 리피팅 랙 피니언 (24) 을 구동하기 위한 피벗팅 시간 랙 (20), 상기 디텐트 래칫 (22) 을 구동하도록 각각의 패싱 스트라이크에서 동작이 설정되는 클릭 (85) 을 포함하며,
    사일런트 모드에서, 최대 반경부 (98S) 는 사일런싱 레버 (60) 의 비크 (61) 를 뒤로 밀어 모든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메인 아암 (64) 이 상기 클릭 (85) 을 상기 디텐트 래칫 (22) 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위치로 상기 사일런싱 레버를 배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1000) 또는 타임피스 (2000) 를 위한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16. 무브먼트 (200) 에 의한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출력부 (3) 를 포함하는 상기 무브먼트 (200) 를 포함하는 와치 (1000) 로서,
    상기 무브먼트 (200) 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와치 (1000) 는 제 1 항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와치 (1000).
  17. 무브먼트 (200) 에 의한 패싱 스트라이크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출력부 (3) 를 포함하는 상기 무브먼트 (200) 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2000) 로서,
    상기 무브먼트 (200) 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휠 세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타임피스 (2000) 는 제 1 항에 따른 스트라이킹 메카니즘 (100) 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타임피스 (2000).
KR1020180085776A 2017-07-25 2018-07-24 와치 또는 타임피스를 위한 스트라이크 모드 및 곡 선택기 KR102136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82977.3 2017-07-25
EP17182977.3A EP3435175A1 (fr) 2017-07-25 2017-07-25 Sélecteur de mode de sonnerie et de mélodie pour montre ou pièce d'horlog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689A KR20190011689A (ko) 2019-02-07
KR102136926B1 true KR102136926B1 (ko) 2020-07-23

Family

ID=5939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776A KR102136926B1 (ko) 2017-07-25 2018-07-24 와치 또는 타임피스를 위한 스트라이크 모드 및 곡 선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0878B2 (ko)
EP (2) EP3435175A1 (ko)
JP (1) JP6589019B2 (ko)
KR (1) KR102136926B1 (ko)
CN (1) CN109298616B (ko)
RU (1) RU2767294C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9589A (ja) 2011-03-08 2012-10-04 Montres Breguet Sa グランド・ストライクを使用するアラーム打鈴
JP2015222255A (ja) 2014-05-21 2015-12-10 ブランパン・エス アー 時打ち計時器のためのメロディ選択機構
JP2016218052A (ja) 2015-05-21 2016-12-22 ブランパン・エス アー 計時器の打撃ワークの選択及び/又は発動のための安全機構
JP2017049248A (ja) 2015-08-31 2017-03-09 ブランパン・エス アー 打鐘計時器のためのメロディ選択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02A (en) * 1887-08-09 pfisteb
DE3148853C2 (de) * 1981-12-10 1985-04-18 Joseph Kieninger Uhrenfabrik GmbH, 7209 Aldingen Schlagwerksuhr mit Vorrichtung zum zeitweisen Verhindern des Gong- oder Glockenschlages
CH689337A5 (fr) * 1996-09-03 1999-02-26 Patek Philippe Sa Pièce d'horlogerie à carillon.
EP1760550A1 (fr) * 2005-09-01 2007-03-07 Montres Journe SA Pièce d'horlogerie à grande sonnerie
EP1925997B1 (fr) * 2006-11-21 2013-02-27 Manufacture Claret SA Mécanisme de sonnerie
CH706080B1 (fr) * 2008-02-26 2013-08-15 Patek Philippe Sa Geneve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 mécanisme de sonnerie.
EP2498147B1 (fr) * 2011-03-08 2016-06-22 Montres Breguet SA Bloc de sonnerie et mécanisme d'entraînement de sonnerie de réveil pour pièce d'horlogerie à sonnerie
EP3001258B1 (fr) * 2011-03-08 2018-01-31 Montres Breguet S.A. Mécanisme de sonnerie à sonneries différenciées
CH708095B1 (fr) * 2013-05-28 2021-05-14 Montres Breguet Sa Mécanisme de sonnerie muni de moyens de sélection de mode vibratoire d'un timbre.
CN103713512B (zh) * 2013-12-25 2019-01-15 烟台北极星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音乐报时时钟机芯
CN106030420B (zh) * 2014-02-19 2018-11-20 萧邦科技公司 用于钟表件的响铃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9589A (ja) 2011-03-08 2012-10-04 Montres Breguet Sa グランド・ストライクを使用するアラーム打鈴
JP2015222255A (ja) 2014-05-21 2015-12-10 ブランパン・エス アー 時打ち計時器のためのメロディ選択機構
JP2016218052A (ja) 2015-05-21 2016-12-22 ブランパン・エス アー 計時器の打撃ワークの選択及び/又は発動のための安全機構
JP2017049248A (ja) 2015-08-31 2017-03-09 ブランパン・エス アー 打鐘計時器のためのメロディ選択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67294C2 (ru) 2022-03-17
CN109298616A (zh) 2019-02-01
JP2019028069A (ja) 2019-02-21
EP3447591B1 (fr) 2021-08-11
US10890878B2 (en) 2021-01-12
EP3435175A1 (fr) 2019-01-30
JP6589019B2 (ja) 2019-10-09
US20190033789A1 (en) 2019-01-31
KR20190011689A (ko) 2019-02-07
RU2018127067A (ru) 2020-01-27
EP3447591A1 (fr) 2019-02-27
RU2018127067A3 (ko) 2021-09-14
CN109298616B (zh)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035B2 (en) Safety mechanism protecting against inadvertent actuations of the minute repeater
KR101727383B1 (ko) 스트라이킹 타임피스용 멜로디 선택 메커니즘
US8565045B2 (en) Striking mechanism unit and drive mechanism for an alarm striking mechanism for a striking timepiece
US8873347B2 (en) Mechanism for isolating timepiece mechanisms which release various acoustic signals
US8599651B2 (en) Alarm strike using the grand strike
US8570841B2 (en) Duration limiting mechanism for a timepiece mechanism
US10514660B2 (en) Mechanical watch with a carillon striking mechanism
US10732570B2 (en) Stopping mechanism for timepiece striking mechanism
KR102139412B1 (ko) 와치 또는 타임피스를 위한 스트라이크 모드 선택기
KR102136926B1 (ko) 와치 또는 타임피스를 위한 스트라이크 모드 및 곡 선택기
JP6691590B2 (ja) 安全機能を備えたクロノグラフ・リピータ機構
US11372373B2 (en) Watch with a striking mechanism having a governor and time setting safety function
US11188031B2 (en) Timepiece with striking mechanism and release-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