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807B1 -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807B1
KR102136807B1 KR1020190061408A KR20190061408A KR102136807B1 KR 102136807 B1 KR102136807 B1 KR 102136807B1 KR 1020190061408 A KR1020190061408 A KR 1020190061408A KR 20190061408 A KR20190061408 A KR 20190061408A KR 102136807 B1 KR102136807 B1 KR 10213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gging
route
information
user
jogging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성
이수진
황희돈
안영수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 인프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맞춤형 조깅경로를 제공하는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는,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하는 조깅경로 생성모듈; 상기 조깅경로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에 대해 속성 정보를 적용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는 조깅경로 평가모듈; 상기 조깅경로 평가모듈에서 수치화 또는 등급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정렬하는 조깅경로 추천모듈;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깅경로가 선택되면,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하는 조깅경로 안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jogging path using urban infrastructure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jogging path}
본 발명은 도시 인프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맞춤형 조깅경로를 제공하는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책과 조깅은 누구나 어디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운동이다. 산책과 조깅이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 또한 건강하게 한다. 미국이나 호주 등에서 산책과 조깅을 하는 사람은 도시에서도 집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사람들의 건강 관련 인식도 조사 결과, 걷기, 등산, 달리기 등 건강과 운동에 관심도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나, 이에 반해 그 실천율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관심도는 증가하지만 걷기 실천율이 낮은 이유는 도시 인프라에 대한 무지, 산책과 조깅에 대한 편협한 인식을 들 수 있다.
현재, 도시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자신의 집 근처에 있는 도시 인프라를 충분히 활용한 좋은 산책로, 조깅코스가 있는데 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공에서 제공하는 산책로, 조깅코스는 관광코스와 다름이 없으며, 산책, 조깅이 필요한 도시민에게 관광객에게 소개해 주는 것처럼 소개하는 정도이다. 이는 사람들에게 산책, 조깅이 집 주변에서 언제든지 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의 밖에서 해야 하는 인식을 조성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한정되고 분산된 도시 인프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맞춤형 조깅경로를 제공하는 장치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10-1665655호
본 발명은 도시 인프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맞춤형 조깅경로를 제공하는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는,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하는 조깅경로 생성모듈; 상기 조깅경로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에 대해 속성 정보를 적용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는 조깅경로 평가모듈; 상기 조깅경로 평가모듈에서 수치화 또는 등급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정렬하는 조깅경로 추천모듈;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깅경로가 선택되면,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하는 조깅경로 안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기호(preference), 보행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조깅 시간, 조깅 경로의 테마, 조깅 목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옵션 정보와, 현재의 날씨, 현재 시각, 미세먼지 농도, 소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조깅경로 생성모듈은, 출발 노드와 동일한 가상의 노드를 추가하고 상기 가상의 노드를 도착 노드로 설정한 후,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속성 정보는 구조물 정보와 지리 정보와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 정보는 도시 지역을 이루는 일정 범위의 공간에 설치된 건물, 구조물, 도로, 인도, CCTV를 포함하는 일반 구조물 관련 정보이고, 상기 지리 정보는 산, 공원, 녹지 공간, 호수를 포함하는 지리적 특성 관련 정보이며, 상기 환경 정보는 소음, 유동 인구, 악취 여부, 그늘 발생 여부, 대기 상황(미세먼지 농도)을 포함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조깅경로 평가모듈은, 상기 조깅경로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모든 조깅경로 각각에 대해, 경로 번호를 할당하고, 각 조깅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을 분류하며, 분류된 링크들과 대응되는 속성 정보를 합산하고, 이를 링크 길이로 나누어서 카테고리 별로 평균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카테고리 별 평균값을 합산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조깅경로 추천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깅경로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는 조깅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에 포함된 도시 인프라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조깅경로 추천모듈은, 다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유된 조깅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조깅경로 상에서 발생한 민원 정보 또는 사용자 관심 사항으로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인프라 정보 갱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은, 조깅경로 생성 여부를 요청하고, 조깅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 받는 제2 단계;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에 대해 속성 정보를 적용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는 제4 단계; 수치화 또는 등급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정렬하는 제5 단계;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깅경로가 선택되면,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제1 단계에서,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조깅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제3 단계는, 출발 노드와 동일한 가상의 노드를 추가하고 상기 가상의 노드를 도착 노드로 설정한 후,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생성된 모든 조깅경로 각각에 대해, 경로 번호를 할당하고, 각 조깅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을 분류하며, 분류된 링크들과 대응되는 속성 정보를 합산하고, 이를 링크 길이로 나누어서 카테고리 별로 평균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카테고리 별 평균값을 합산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조깅경로 상에서 발생한 민원 정보 또는 사용자 관심 사항으로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인프라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조깅경로 생성 여부를 요청하고, 조깅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 받는 제2 단계;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에 대해 속성 정보를 적용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는 제4 단계; 수치화 또는 등급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정렬하는 제5 단계;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깅경로가 선택되면,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하는 제6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컴퓨터 해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조깅경로 상에서 발생한 민원 정보 또는 사용자 관심 사항으로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인프라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행시킬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시 인프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맞춤형 조깅경로를 제공하는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산책, 조깅을 하면서 조깅경로 주변의 도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시 인프라 정보를 관리하는 공공 기관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실제 시민들(사용자)의 needs를 파악하여 도시 계획에 반영할 수 있으며, 산책과 조깅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기존의 DFS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순환경로 생성을 위한 본 발명의 변형된 DFS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노드들에 대해 변형된 DFS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순환경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된 도시 인프라 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모든 순환경로에 대해 조깅경로를 평가한 결과가 예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직접 생성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조깅경로(추천코스)를 제공받는 과정이 예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직접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조깅경로 리스트와 미리보기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시 인프라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조깅경로 생성모듈(120), 조깅경로 평가모듈(130), 조깅경로 추천모듈(140), 조깅경로 안내모듈(150), 인프라 정보 갱신모듈(16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조깅’은 일정한 지역을 달리는 행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지역을 걷는 행위인 ‘산책’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되거나 또는 서비스 서버(200)에 프로그램 형태로 탑재되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조깅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가 조깅하고자 하는 다양한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현재의 위치정보와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GPS 모듈을 켜서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입력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GPS 모듈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전달받아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경로생성 조건정보는 사용자 정보와 옵션 정보와 상황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프로필 정보’라고도 함)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기호(preference), 보행속도 등 사용자 고유의 속성을 의미하는 정보이다. 옵션 정보는 사용자가 조깅하기를 원하는 시간, 조깅하는 경로에 대한 테마 정보, 조깅하는 목적(예, 운동, 다이어트, 주변 탐색 등) 등 조깅을 하는 사용자의 주관적 관심 사항에 대한 정보이다. 상황 정보는 현재의 날씨, 현재 시각, 미세먼지 농도, 소음 정보 등 조깅 환경의 객관적 상황에 대한 정보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 정보, 옵션 정보 등을 미리 입력하여 저장해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실행시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를 실행할 때마다 별도로 사용자 정보, 옵션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황 정보는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지만, 외부의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불러와서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를 켜고 본 발명의 장치를 실행하면, 기상청에 마련된 DB로 접속하여 현재 위치 및 그 주변의 날씨 정보를 수신하고, 미세먼지 정보가 저장된 외부의 DB(예를 들어, KT 미세먼지 DB)로 접속하여 현재 위치 및 그 주변의 미세먼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소음 정보는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 소음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음 정보는 공사 현장을 관리하는 공공 데이터 포털에 마련된 DB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깅 환경의 객관적 상황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입력 또는 해당 DB로부터 수신하여 자동 입력할 수 있다.
조깅경로 생성모듈(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에서 획득된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한다. 최단거리 또는 최소비용으로 출발지에서 목적지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조깅경로는 출발지로 되돌아오는 순환경로를 이룬다.
조깅경로 생성모듈(120)은 우선 사용자가 입력한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모든 가능한 순환경로를 생성한다.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은 생성된 모든 순환경로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경로생성 조건정보와의 부합 여부를 평가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조깅경로를 추출한다.
조깅경로 생성모듈(120)은 변형된 DFS(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든 순환경로를 생성한다.
원래의 DFS 알고리즘은 시작 노드(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음 분기(branch)로 넘어가기 전에 해당 분기를 완벽하게 탐색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노드(①, ②, ③, ④)가 있다고 가정하면, 기존의 DFS 알고리즘은 출발 노드 ①에서 도착 노드 ④까지의 모든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 노드 테이블은 4개의 노드(①, ②, ③, ④)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DFS 알고리즘은 한번 방문한 노드를 다시 방문하는 경로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순환경로를 만들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순환경로를 만들기 위해, 출발 노드 ①과 동일한 가상의 노드 ①‘을 추가하고 이를 도착 노드로 설정한다. 순환경로 생성을 위한 변형된 DFS 알고리즘에 의한 인접 노드 테이블은 도 4와 같다. 이 테이블에 의하면, 순환경로를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노드 ② 또는 노드 ③이 경로에 포함되어야 한다. 노드 ④는 출발 노드이자 도착 노드인 노드 ①과 인접하지 않는 노드이므로, 순환경로에 필수적으로 포함될 필요는 없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노드들에 대해 본 발명의 변형된 DFS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순환경로를 예시하고 있다. 순환경로를 이루는 노드와 노드 사이는 링크(a ~ e)에 의해 연결되고, 링크는 노드와 노드 사이의 조깅 또는 산책 가능한 공간을 의미한다. 한편, 노드와 링크 정보는 국토정보 플랫폼(http://map.ngii.go.kr)에서 제공하는 토지위치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악될 수 있다.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은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에 저장된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조깅경로 생성모듈(120)에서 생성된 모든 조깅경로 각각에 대해 속성 정보를 적용하여 각각의 조깅경로에 대해 수치화 및/또는 등급화를 수행한다. 속성 정보는 구조물 정보와 지리 정보와 환경 정보 등을 포함하며,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는 구조물 정보와 지리 정보와 환경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구조물 정보는 도시 지역을 이루는 일정 범위의 공간에 설치된 건물, 구조물, 도로, 인도, CCTV 등의 일반 구조물과 관련된 정보이다. 지리 정보는, 산, 공원, 녹지 공간, 호수, 벤치/운동기구 설치 공간 등, 해당 지역의 지리적 특성 또는 편의 시설과 관련된 정보이다. 환경 정보는, 특정 지역의 소음, 유동 인구, 악취 여부, 그늘 발생 여부, 대기 상황(미세먼지 농도) 등에 대한 정보로서, 전술한 구조물 정보나 지리 정보와는 달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정보이다.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는 구조물 정보와 지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환경 정보는 기상청 DB, 공공 데이터 포털에 마련된 DB 등 외부의 DB와 연계하여 제공 받을 수 있다.
조깅경로 생성과 관련하여,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은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에 저장된 도시 인프라 정보를, 도 6과 같이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 인프라 정보는 구조적 편리성 카테고리, 안전성 카테고리, 쾌적성 카테고리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물론, 도 6의 분류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조적 편리성 카테고리는 계단 정보, 비탈길 정보(경사도 포함), 육교/횡단보도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안전성 카테고리는 도로폭, 도로 유형을 포함하는 공간적 안정성 항목과 CCTV 유무, 가로등 유무 등의 심리적 안정성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로 유형 항목은 인도, 보행/차량 혼용도로, 보행/차량 분리 도로, 보행/자전거 분리 도로 등 세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쾌적성 카테고리는 녹지 공간(산, 공원 등), 호수/하천의 경계 구역을 포함하는 수변 공간, 벤치/운동기구 설치 공간 등을 포함하는 물리적 환경 항목과, 소음, 유동인구, 냄새(악취), 미세먼지(대기), 그늘 등의 비물리적 환경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는 이러한 도시 인프라 정보들을 수치화하여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링크와 매칭 및 수치화되어 저장된 도시 인프라 정보를 속성 정보라 한다.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은 조깅경로 생성모듈(120)에서 생성된 모든 조깅경로 각각에 대해, 경로 번호를 할당하고, 각 조깅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을 분류한다.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은 분류된 링크들과 대응되는 속성 정보를 합산하고 이를 링크 길이로 나누어서 카테고리 별로 평균값을 산출한다.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은 산출된 카테고리 별 평균값을 합산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한다. 또는, 합산된 평균값을 등급화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의 동작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조깅경로 생성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도 5에 예시된 모든 순환경로에 대해 조깅경로를 평가한 결과가 예시된 도면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모든 순환경로는 링크 a ~ 링크 e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모든 순환경로는 출발 노드 ①과 연결되는 링크 a, 링크 b를 포함한다. 각각의 링크들은 동일 크기의 단위 길이 “1”을 가지며, 각각의 링크들에 대해 전술한 속성 정보가 매칭된다.
경로번호 1은, 노드 ①과 노드 ② 사이를 왕복하는 경로이며, 링크 a를 2번 경유하므로, 길이 2를 가진다. 링크 a에 대해 각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의 점수가 합산된 후, 길이 2로 나누어서 산출된 카테고리별 평균값은 심리적 안정성 5, 물리적 환경 6, 구조적 편리성 3이다.
경로번호 2는, 노드 ①과 노드 ②를 거쳐서 다시 노드 ①로 순환하는 경로이며, 링크 a, 링크 c, 링크 b를 1번씩 경유하므로, 길이 3을 가진다. 링크 a, 링크 c, 링크 b에 대해 각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의 점수가 합산된 후, 길이 3으로 나누어서 산출된 카테고리별 평균값은 심리적 안정성 7, 물리적 환경 4, 구조적 편리성 7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은 각각의 순환경로에 대해 이를 수치화 및/또는 등급화한다.
조깅경로 추천모듈(140)은 사용자가 입력한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에 의해 수치화 및/또는 등급화된 순환경로를 높은 점수 또는 높은 등급 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조깅경로 추천모듈(140)은 생성된 순환경로를 총점 또는 각 카테고리별 점수를 높은 점수 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테고리 별로 원하는 순환경로를 선택하여 조깅경로로 삼을 수 있다.
사용자가 조깅경로 추천모듈(140)에 의해 제공된 순환경로들 중에서 임의의 순환경로들을 선택하면, 조깅경로 추천모듈(14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순환경로들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미리보기 화면에는 순환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에 포함된 도시 인프라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가 제공되어, 사용자는 해당 경로 상의 도시 인프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리보기 화면에는 도시 인프라 정보에 의해 평가되는 각각의 순환경로에 대한 감성 표현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깅경로는 통신망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이 경우, 조깅경로 추천모듈(140)은 공유된 조깅경로를 수신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어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깅경로는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조깅을 하고자 할 때, 다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유된 조깅경로를 추천 받을 수 있다. 이때, 다른 사용자는 단지 현재의 위치 정보만을 입력함으로써 공유된 조깅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치 정보 입력은, 사용자가 GPS 모듈을 켜서 자동으로 현재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 것을 포함한다.
조깅경로 안내모듈(15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깅경로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조깅경로를 안내한다. 조깅경로 안내모듈(150)은 GPS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한다. 조깅경로 안내모듈(150)은 음성 등의 청각 수단, 또는 진동 등의 촉각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조깅경로를 따라 조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이거나 또는, 아암 밴드(arm band)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 착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인프라 정보 갱신모듈(160)은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조깅할 때, 사용자가 조깅경로와 관련된 인프라 정보를 획득하면, 이를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가 해당 인프라와 관련된 정보를 갱신하도록 한다. 여기서, 인프라 정보는 조깅경로 상에서 발생한 민원 정보 또는 공유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민원 정보는 조깅경로를 이루는 인도에 발생한 보도블록 파손 정보, 조깅경로 상의 특정 구조물에 대한 훼손 정보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정보는 사용자가 조깅경로 상에서 발견한 뷰 포인트(view point), 마음에 드는 커피숍, 음식점 등 사용자 관심 사항으로 타인과 공유하고 싶은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조깅 중에 민원 정보 또는 공유 정보를 발견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촬영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조깅경로 안내를 위해 GPS 모듈이 켜져 있는 상태이므로, 촬영된 이미지는 촬영 장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지를 촬영하면, 인프라 정보 갱신모듈(16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민원 정보를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것인 여부, 또는 공유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요청하고, 사용자가 승낙을 하면 민원 정보 또는 공유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완주한 후에, 해당 조깅경로에 대한 코스 만족도 평가 여부를 요청하고, 해당 조깅경로의 공유 여부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 만족도를 입력하고 조깅경로 공유를 승낙하면, 해당 조깅경로는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되어 다른 사용자와 공유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조깅경로를 조깅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공유 정보도 해당 조깅경로 상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9는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직접 생성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조깅경로(추천코스)를 제공받는 과정이 예시된 도면이며, 도 10은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직접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조깅경로 리스트와 미리보기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며, 도 12는 도시 인프라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은 전술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10)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탑재되거나 또는 서비스 서버(200)에 프로그램 형태로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10)를 실행하면, 도 9의 (a)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가 제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현재의 날씨 정보, 현재의 위치, 현재 시각 등을 표시하고, 조깅경로 생성 여부를 요청한다. (S110)
S1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직접 생성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조깅경로(추천코스)를 제공한다. (S111) 도 9의 (b)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에서 제공되는 추천코스를 예시하고 있다. 추천코스에는 소요시간,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평가된 등급 및 감성요소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만족도/최신순 등으로 추천코스들을 정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코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도 9의 (c)과 같이 해당 코스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S111 단계에서 제공된 추천코스 중 어느 하나를 조깅경로로 선택(S112)하면, 조깅경로 안내모듈(150)은 해당 코스에 대한 안내를 개시한다. 조깅경로 안내모듈(150)은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한다. (S140)
S110 단계에서, 도 10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직접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도 10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조깅하고자 하는 다양한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S120) 경로생성 조건정보는 사용자 정보와 옵션 정보와 상황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조깅경로 생성모듈(120)은 S120 단계에서 입력된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모든 가능한 순환경로를 생성하고, 조깅경로 평가모듈(130)은 생성된 모든 순환경로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경로생성 조건정보과의 부합 여부를 평가하여 수치화 및/또는 등급화된 조깅경로들을 제공한다. 조깅경로 추천모듈(140)은 도 11의 (a)와 같이, 조깅경로들을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S130)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면 도 11의 (b)와 같이, 해당 코스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제공되며, 미리보기 화면은 단순히 경로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경로에 대한 요약 정보(조깅 브리핑), 감성 요소, 코스 세부사항 등을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경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S130 단계에서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선택하면, 조깅경로 안내모듈(150)은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한다. (S140) 조깅경로 안내모듈(150)은 음성 등의 청각 수단, 또는 진동 등의 촉각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조깅경로를 따라 조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다음, S15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조깅할 때, 사용자가 조깅경로와 관련된 인프라 정보를 획득하면, 이를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가 해당 인프라와 관련된 정보를 갱신하도록 한다. 여기서, 인프라 정보는 조깅경로 상에서 발생한 민원 정보 또는 공유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조깅경로를 안내하면서, 민원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문제있어요” 아이콘과 공유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사진찍기” 아이콘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조깅 중에 보도블록 파손(A1)과 같은 민원 정보를 발견하면 “문제있어요” 아이콘(I1)을 클릭하고 촬영하여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조깅 중에 마음에 드는 경치(A2)를 발견하면 “사진찍기” 아이콘(I2)을 클릭하고 촬영하여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S150 단계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음, S16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조깅을 완료하면, 해당 조깅경로를 평가하는 평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20 : 조깅경로 생성모듈
130 : 조깅경로 평가모듈 140 : 조깅경로 추천모듈
150 : 조깅경로 안내모듈 160 : 인프라 정보 갱신모듈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서비스 서버
300 : 도시 인프라 관리 서버

Claims (15)

  1.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발 노드와 동일한 가상의 노드를 추가하고 상기 가상의 노드를 도착 노드로 설정한 후,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하는 조깅경로 생성모듈;
    상기 조깅경로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에 대해 속성 정보를 적용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는 조깅경로 평가모듈;
    상기 조깅경로 평가모듈에서 수치화 또는 등급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정렬하는 조깅경로 추천모듈;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깅경로가 선택되면,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하는 조깅경로 안내모듈
    을 포함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기호(preference), 보행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조깅 시간, 조깅 경로의 테마, 조깅 목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옵션 정보와,
    현재의 날씨, 현재 시각, 미세먼지 농도, 소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
    를 포함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구조물 정보와 지리 정보와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 정보는, 도시 지역을 이루는 일정 범위의 공간에 설치된 건물, 구조물, 도로, 인도, CCTV를 포함하는 일반 구조물 관련 정보이고,
    상기 지리 정보는, 산, 공원, 녹지 공간, 호수를 포함하는 지리적 특성 관련 정보이며,
    상기 환경 정보는, 소음, 유동 인구, 악취 여부, 그늘 발생 여부, 대기 상황(미세먼지 농도)을 포함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깅경로 평가모듈은,
    상기 조깅경로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모든 조깅경로 각각에 대해, 경로 번호를 할당하고, 각 조깅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을 분류하며, 분류된 링크들과 대응되는 속성 정보를 합산하고, 이를 링크 길이로 나누어서 카테고리 별로 평균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카테고리 별 평균값을 합산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깅경로 추천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깅경로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는, 조깅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에 포함된 도시 인프라 정보와 관련된 이미지가 제공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깅경로 추천모듈은,
    다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유된 조깅경로를 제공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8.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깅경로 상에서 발생한 민원 정보 또는 사용자 관심 사항으로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인프라 정보 갱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9. 조깅경로 생성 여부를 요청하고, 조깅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 받는 제2 단계;
    출발 노드와 동일한 가상의 노드를 추가하고 상기 가상의 노드를 도착 노드로 설정한 후,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에 대해 속성 정보를 적용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는 제4 단계;
    수치화 또는 등급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정렬하는 제5 단계;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깅경로가 선택되면,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사용자가 조깅경로를 생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 조깅경로를 제공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생성된 모든 조깅경로 각각에 대해, 경로 번호를 할당하고, 각 조깅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을 분류하며, 분류된 링크들과 대응되는 속성 정보를 합산하고, 이를 링크 길이로 나누어서 카테고리 별로 평균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카테고리 별 평균값을 합산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13. 청구항 9, 청구항 10,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깅경로 상에서 발생한 민원 정보 또는 사용자 관심 사항으로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인프라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14.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며,
    조깅경로 생성 여부를 요청하고, 조깅경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로생성 조건정보를 입력 받는 제2 단계;
    출발 노드와 동일한 가상의 노드를 추가하고 상기 가상의 노드를 도착 노드로 설정한 후,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에 대해 속성 정보를 적용하여 각각의 조깅경로를 수치화 또는 등급화하는 제4 단계;
    수치화 또는 등급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깅경로를 상기 경로생성 조건정보에 따라 정렬하는 제5 단계;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깅경로가 선택되면, 조깅 중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가 선택한 조깅경로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조깅경로를 안내하는 제6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조깅경로 상에서 발생한 민원 정보 또는 사용자 관심 사항으로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여 인프라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행시키는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61408A 2019-05-24 2019-05-24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KR10213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408A KR102136807B1 (ko) 2019-05-24 2019-05-24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408A KR102136807B1 (ko) 2019-05-24 2019-05-24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807B1 true KR102136807B1 (ko) 2020-07-22

Family

ID=7189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408A KR102136807B1 (ko) 2019-05-24 2019-05-24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8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707B1 (ko) * 2020-09-02 2021-04-30 포티투닷 주식회사 날씨를 반영한 경로 안내 방법
KR20220136739A (ko) * 2021-04-01 2022-10-11 신용승 초미세먼지 회피를 위한 도보용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WO2023014090A1 (ko) * 2021-08-05 2023-02-09 김경민 산책 코스 추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6087A (ko) * 2008-12-09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 정보 제공 서버, 경로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110069053A (ko) * 2008-10-07 2011-06-22 톰톰 인터내셔날 비.브이. 경로 미리보기
KR20130034917A (ko) * 2011-09-29 2013-04-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온톨로지 기반의 최적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KR20150020850A (ko) * 2013-08-19 201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맵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65655B1 (ko) 2014-12-18 2016-10-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경험 기반의 보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053A (ko) * 2008-10-07 2011-06-22 톰톰 인터내셔날 비.브이. 경로 미리보기
KR20100066087A (ko) * 2008-12-09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경로 정보 제공 서버, 경로 정보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130034917A (ko) * 2011-09-29 2013-04-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온톨로지 기반의 최적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KR20150020850A (ko) * 2013-08-19 201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맵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65655B1 (ko) 2014-12-18 2016-10-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경험 기반의 보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707B1 (ko) * 2020-09-02 2021-04-30 포티투닷 주식회사 날씨를 반영한 경로 안내 방법
KR20220136739A (ko) * 2021-04-01 2022-10-11 신용승 초미세먼지 회피를 위한 도보용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572024B1 (ko) * 2021-04-01 2023-08-28 신용승 초미세먼지 회피를 위한 도보용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WO2023014090A1 (ko) * 2021-08-05 2023-02-09 김경민 산책 코스 추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230021394A (ko) * 2021-08-05 2023-02-14 김경민 산책 코스 추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614076B1 (ko) * 2021-08-05 2023-12-13 김경민 산책 코스 추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streetscapes and human walking activities using Google Street View and human trajectory data
KR102136807B1 (ko) 도시 인프라를 이용한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장치 및 맞춤형 조깅경로 제공방법
KR101611438B1 (ko) 추천 여행코스를 제공하는 관광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746556B2 (en)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to evaluate the quality of sidewalks and other pedestrian flow zones as a means to operationalize walkability
KR102301086B1 (ko) 빅데이터 기반 최적의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여행 경로 추천 방법
US11421993B2 (en) Human vision-empowered 3D scene analysis tools
KR101741942B1 (ko)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관광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00089218A (ko)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Sevtsuk et al. Predicting pedestrian flow along city streets: A comparison of route choice estimation approaches in downtown San Francisco
Zhang et al. Walking down a different path: route recommendation based on visual and facility based diversity
Parker et al. Capturing volunteered information for inclusive service design: potential benefits and challenges
Rice et al. Position validation in crowdsourced accessibility mapping
Herzog et al. Integrating route attractiveness attributes into tourist trip recommendations
Hu et al. Prioritizing disaster mapping tasks for online volunteers based on information value theory
Erath et al. Introducing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tool: walkability analysis for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ani et al. Smart surface classification for accessible routing through built environment: A crowd-sourced approach
US20160146608A1 (en) Automatic tour guiding method
Chen et al. Historic neighborhood design based on facility heatmap and pedestrian simulation: Case study in China
Jabbari et al. The pedestrian network concep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101001101B1 (ko) 공간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Tajgardoon et al. Simulating and visualizing sidewalk accessibility for wayfi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Kozievitch et al. An alternative and smarter route planner for wheelchair users: Exploring open data
Semenov et al. Application suggesting attractive walking routes for pedestrians using an example of Saint-Petersburg City
JP3534228B2 (ja) 目的地案内装置
Sushma et al. Finding an optimal path with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based Network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