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546B1 -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546B1
KR102136546B1 KR1020190042664A KR20190042664A KR102136546B1 KR 102136546 B1 KR102136546 B1 KR 102136546B1 KR 1020190042664 A KR1020190042664 A KR 1020190042664A KR 20190042664 A KR20190042664 A KR 20190042664A KR 102136546 B1 KR102136546 B1 KR 10213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locker
support member
hoo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주
서상원
오민영
Original Assignee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3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9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locking the bolt by an electromagnet in the strik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37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도어에 연결되는 후크의 진입과 후퇴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선형이동을 통해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유도하는 구동부 및 개폐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후크의 진입과 후퇴시 회전운동을 통해서 상기 후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로커,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로커와 결합되어 로커의 회전을 지지하고, 로커의 회전운동시 상기 후크의 진입 또는 후퇴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커지지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상기 로커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로커지지부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의해서 선형추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한 추력에 의해서 선형운동을 하는 플렌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렌저와 제1링커로 연결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이 제2링커로 연결되어 상기 플렌저에 의해서 가해지는 선형추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판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A door-lock equipment of an electric household}
본 발명은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전제품 등에 채용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에는 다양한 가전제품이 존재한다. 특히 내용물을 투입해서 사용하는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전자레인지 등은 투입된 내용물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되고, 도어를 열고 닫는 잠금장치는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필수구성 부품이다.
최근까지 도어락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인 발명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7916호(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250호(수동식 도어락 장치) 등이 있다.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는 가전제품의 동작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고정부재의 구속력을 해제하여 락커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버튼과 일측에 캠돌기가 구비된 회전축의 회전 동작에 의해 도어 홀딩, 도어 잠금 및 도어 자동 개방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위 장치는 구동유닛과 감지부재가 캠돌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락커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을 감지하므로 전체적인 구성과 제어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수동식 도어락 장치는 솔레노이드에 의한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기존방식과는 달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도어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수동식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의 행위가 반드시 개입되어야 하는 수동제어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편리성을 지향하는 가전제품의 시류에 다소 역행하는 면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7916호(2016.10.1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250호(2018.10.30)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락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도어에 연결되는 후크의 진입과 후퇴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선형이동을 통해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유도하는 구동부 및 개폐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후크의 진입과 후퇴시 회전운동을 통해서 상기 후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로커,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로커와 결합되어 로커의 회전을 지지하고, 로커의 회전운동시 상기 후크의 진입 또는 후퇴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커지지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상기 로커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로커지지부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의해서 선형추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한 추력에 의해서 선형운동을 하는 플렌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렌저와 제1링커로 연결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이 제2링커로 연결되어 상기 플렌저에 의해서 가해지는 선형추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판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커는 후크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되는 고정걸이, 후크의 진입시 로커의 회전을 유인하는 누름편, 로커지지부재와 로커가 연결되도록 로커힌지봉이 관통하는 로커힌지홀, 위치고정봉에 의해서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안내홀과 결합하여 상기 위치고정봉이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로커의 회전을 유도하는 위치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위치고정봉이 결합되는 로커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캠은 상광하협의 단면을 가지며, 단부가 소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호형상이며,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일측의 형상이 상기 판캠의 일면이 안착될 수 있는 음각의 대응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내구성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도어락 장치 대비 컴팩트한 사이즈 구현이 가능하여 공간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소비자가 도어를 여닫는데 필요한 물리적인 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도어개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도어닫힘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도어잠김상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도어에 연결되는 후크(20)의 진입과 후퇴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부(200), 선형이동을 통해 상기 개폐부(200)의 개폐동작을 유도하는 구동부(300) 및 개폐부(200)와 구동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가전제품의 본체에 설치되며, 후크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여닫을 경우 후크가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락 장치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케이스(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구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어떤 형태의 케이스(100)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1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10)는 하부케이스(12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에 상부케이스(110)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는 도어락 장치(10)가 설치되는 공간에 적합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개폐부(200), 구동부(300) 및 연결부(400)가 탑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탑재되는 개폐부(200)는 로커(210), 로커지지부재(220) 및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로커(210)는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10)와 외부에서 연결되는 후크(20)의 진입과 후퇴시 회전운동을 통해서 후크(20)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로커(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갈고리 형태의 부재로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특히 도어락 장치(10)에 체결되는 후크(20)가 직접적으로 결합과 분리를 반복한다는 점에서 후크의 재질과 같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커(210)는 후크(20)에 형성되는 결합홀(21)에 삽입되는 고정걸이(211), 후크(20)의 진입시 로커(210)의 회전을 유인하는 누름편(212), 로커지지부재(220)와 로커(210)가 연결되도록 로커힌지봉(215)이 관통하는 로커힌지홀(213) 및 위치고정봉(216)에 의해서 로커지지부재(220)의 안내홀(221)과 결합하여 상기 위치고정봉(216)이 로커지지부재(220)의 안내홀(221)을 따라 이동하면서 로커(210)의 회전을 유도하는 위치고정홀(214)을 포함한다.
로커(210)를 구성하는 고정걸이(211) 및 누름편(212)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커힌지홀(213)과 위치고정홀(214)은 고정걸이(211)를 구성하는 몸체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고정걸이(211)는 후크(20)의 결합홀(21)에 삽입 체결되는 로커(210)의 일부분으로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로 구현될 수 있는 갈고리형상이며, 로커힌지봉(215)을 중심으로 로커(210)가 회전할때 후크(20)를 감싸듯이 후크(20)의 결합홀(21)로 투입된다.
누름편(212)은 도어를 닫고, 잠김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후크(20)가 진입하면, 진입하는 후크(20)에 의해서 안쪽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누름편(212)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로커(210)는 로커힌지봉(21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걸이(211)가 후크(20)의 결합홀(21)에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누름편(212)은 앞서 설명한 고정걸이(211)가 형성하는 원호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며, 도어가 닫히고 잠김상태에 있을때 고정걸이(211)와 누름편(212) 사이에 후크(20)가 위치하게 된다.
로커힌지홀(213)은 로커힌지봉(215)이 관통하고, 로커지지부재(220)가 로커힌지홀(213)에 안착되어 로커(210)와 로커지지부재(220)를 로커힌지봉(215)을 통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로커힌지홀(213)은 고정걸이(2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급적 고정걸이(211)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커힌지홀(213)을 관통하는 로커힌지봉(215)은 로커힌지홀(213)의 직경과 같은 직경의 원통형 봉으로서 로커(210)가 회전하는 중심축이다.
위치고정홀(214)은 위치고정봉(216)에 의해서 로커지지부재(220)의 안내홀(221)과 결합할 수 있도록 로커(210)의 고정걸이(211) 상부에 고정걸이(2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위치고정홀(214)에 체결되어 로커지지부재(220)와 로커(210)를 연결하는 위치고정봉(216)은 로커지지부재(220)의 안내홀(221)에 안착되어 안내홀(221)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위치고정봉(216)은 하부케이스(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ㄴ"형상의 로커고정홈(122)에도 동반안착하여, 로커고정홈(122)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위치고정홀(214)에 관통 체결되는 위치고정봉(216)은 로커지지부재(220)의 안내홀(221)과 하부케이스(120)의 로커고정홈(122)에 안착되어 로커지지부재(220)의 위치에 따라 도어의 열림, 닫힘, 잠김이 구현된다.
로커지지부재(220)는 케이스(100)에 힌지결합하고, 내부에 구비된 공간에 로커(210)가 결합되어 로커(210)의 회전을 지지하고, 로커(210)의 회전운동시에 후크(20)의 진입 또는 후퇴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커지지부재(220)는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케이스(120)의 로커지지부재 체결홈(125)과 로커지지부재 체결봉(126)에 의해서 연결된다. 로커지지부재(220)는 고정된 하부케이스(120)에서 로커지지부재 체결봉(12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며, 회전운동의 범위는 아래 설명하게 될 탄성부재(230)와 판캠(440)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로커지지부재(220)는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부케이스(120)와 평행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판캠(440)에 의해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서 로커지지부재의 일측(222)이 하부케이스(12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커지지부재(220)의 양측면에는 하부케이스(120)와 로커지지부재 체결봉(126)에 의해서 결합하는 부재힌지홀(225)이 형성되며, 로커(210)가 결합되는 로커체결홀(223)이 형성되고, 로커(210)에 체결되는 위치고정봉(216)의 이동을 유도하는 원호형상의 안내홀(221)이 형성된다.
탄성부재(230)는 케이스(100)의 하부면, 즉 하부 케이스(120)와 로커지지부재(220) 사이에 위치하여 로커지지부재(220)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한다. 탄성부재(230)는 금속스프링, 에어스프링 등 일정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고, 로커지지부재(22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과 하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0)는 솔레노이드(310) 및 플렌저(320)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310)는 일정한 간격으로 권취되어 있는 전도성 코일이며, 코일에 전류가 흐를 경우 솔레노이드 내부에 자기장이 유도되어 플렌저(320)를 선형운동시킨다.
플렌저(320)는 솔레노이드(310) 내부에 선형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금속막대일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310)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압력을 받는다. 특히 플렌저(320)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310)에 가해지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00)는 플렌저(320)와 제1링커(411)로 연결되는 제1링크(410), 일단이 제1링크(410)와 연결되는 제2링크(420), 제2링크(420)의 타단이 제2링커(412)로 연결되어 플렌저(320)에 의해서 가해지는 선형추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430) 및 회전샤프트(430)의 일측에 연결되어 로커지지부재(220)의 일측을 가압하는 판캠(440)을 포함한다.
연결부(400)는 플렌저(320)의 선형운동을 소정각도를 갖는 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특히 플렌저(320)와 제1링커(411)로 연결되는 제1링크(410)와 제1링크(410)의 타단과 제2링커(412)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링크(420)에 의해서 선형운동이 회전샤프트(430)를 회전시키는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회전샤프트(430)는 하부케이스(120)의 한쪽 측면에 마련된 수납홈(127)에 안착되며, 하부케이스(127)의 중간에 형성되는 격벽(129)에 형성되는 격벽홈(128)에 의해서 지지된다. 회전샤프트(430)는 제2링크(42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볼트체결 등 다양한 형태로 견고하게 제2링크와 결합된다.
회전샤프트(430)의 중단에는 고정평와셔(450)가 형성되어 회전샤프트(430)와 판캠(440)이 하부케이스(120)의 중단에 형성된 격벽(129)을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판캠(440)은 회전샤프트(430)의 일측에 연결되어 로커지지부재(220)의 일측을 가압한다. 판캠(440)은 상광하협의 단면을 가지며 단부가 소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호형상이고, 로커지지부재(220)의 일측의 형상이 판캠(440)의 일면이 안착될 수 있는 음각의 대응형상일 수 있다. 판캠(440)은 회전샤프트(43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동작상태를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도어개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도어닫힘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도어잠김상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의 도어개방상태는 판캠(440)이 로커지지부재(220)를 하부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구현된다.
판캠(440)이 로커지지부재(220)를 가압하면 탄성부재(230)가 아래로 눌린다. 로커지지부재(22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홀(221)은 하부케이스(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ㄴ"자 형상의 로커고정홈(122)의 가로변(하부변)과 일치하는 위치에 놓인다.
위치고정봉(216)은 로커지지부재(220)에 형성된 안내홀(221)과 하부케이스(120)의 로커고정홈(122)의 하부면에서 전진(도면상 좌측)하여 있고, 로커(210)는 로커힌지봉(215)을 중심으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솔레노이드(310) 내측에 선형추력을 제공하는 플렌저(320)는 솔레노이드(310) 내측으로 이동하고, 제1링커(411)로 플렌저(320)와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410)와 제2링커(412)로 제1링크(411)와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420)는 선형추력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회전샤프트(4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샤프트(430)의 회전으로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판캠(440)은 로커지지부재의 일측(222)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안내홀(221)과 로커고정홈(122)의 가로변(하부변)을 일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는 도 4와 같이 닫힘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도어측에 부착되어 있는 후크(20)를 도어락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후크(20)가 진입하면 로커(210)의 누름편(212)이 후크(20)와 닿게 되고, 누름편(212)에 가해지는 후크(20)의 압력에 의해서 로커(210)가 로커힌지봉(215)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로커(210)가 로커힌지봉(21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위치고정봉(216)이 안내홀(221)을 따라서 후진(도면상 우측)한다.
로커지지부재(22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홀(221)과 하부케이스(120)의 로커고정홈(122)의 가로변(하부변)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형상이 반달모양의 굴곡진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어, 위치고정봉(216)이 안내홀(221)을 따라 후진(도면상 우측)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한 움직이지 않는다.
로커지지부재(220)는 판캠(440)이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탄성부재(230)도 판캠(440)이 누르는 압력에 의해 수축된 상태로 도어는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는 도 5와 같이 잠김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 판캠(4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솔레노이드(310)에 연결되어 있는 플렌저(320)는 외부전원의 인가로 인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솔레노이드(310)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링크(410)와 제2링크(420)는 회전샤프트(43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샤프트(43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판캠(440)이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로커지지부재(220)는 상승한다.
도 4와 같은 닫힘 상태에서 로커지지부재(220)가 상승하게 되면, 서로 평행한 위치에 놓여 있던 로커지지부재(220)의 안내홀(221)과 하부케이스(120) 로커고정홈(122)의 가로변(하부변)은 서로 이격된다. 동시에 위치고정봉(216)은 로커고정홈(122)의 세로변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다. 위치고정봉(216)은 로커지지부재(220)의 안내홀(22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없는 잠김상태가 되고, 로커(210)는 위치고정봉(216)의 고정상태에 의해서 로커힌지봉(21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이 잠김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는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락의 열림과 잠김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의 도어락 장치로 제조단가가 저렴해질 수 있고, 지속적인 외력을 작용하고 있는 탄성부재가 최소한으로 사용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도어를 여닫을 때 가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10 도어락 장치 20 후크
21 결합홀 100 케이스
110 상부케이스 120 하부케이스
122 로커고정홈 125 로커지지부재 체결홈
126 로커지지부재 체결봉 127 수납홈
128 격벽홈 129 격벽
200 개폐부 210 로커
211 고정걸이 212 누름편
213 로커힌지홀 214 위치고정홀
215 로커힌지봉 216 위치고정봉
220 로커지지부재 221 안내홀
223 로커체결홀 225 부재힌지홀
230 탄성부재 300 구동부
310 솔레노이드 320 프렌저
400 연결부 410 제1링크
411 제1링커 412 제2링커
420 제2링크 430 회전샤프트
440 판캠 450 고정평와셔

Claims (4)

  1.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도어에 연결되는 후크의 진입과 후퇴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선형이동을 통해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유도하는 구동부 및 개폐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후크의 진입과 후퇴시 회전운동을 통해서 상기 후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로커;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로커와 결합되어 로커의 회전을 지지하고, 로커의 회전운동시 상기 후크의 진입 또는 후퇴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커지지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상기 로커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로커지지부재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의해서 선형추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한 추력에 의해서 선형운동을 하는 플렌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렌저와 제1링커로 연결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제2링커로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플렌저에 의해서 가해지는 선형추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판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후크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삽입되는 고정걸이;
    후크의 진입시 로커의 회전을 유인하는 누름편;
    로커지지부재와 로커가 연결되도록 로커힌지봉이 관통하는 로커힌지홀;
    위치고정봉에 의해서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안내홀과 결합하여 상기 위치고정봉이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로커의 회전을 유도하는 위치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위치고정봉이 결합되는 로커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캠은 상광하협의 단면을 가지며, 단부가 소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호형상이며, 상기 로커지지부재의 일측의 형상이 상기 판캠의 일면이 안착될 수 있는 음각의 대응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KR1020190042664A 2019-04-11 2019-04-11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KR10213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64A KR102136546B1 (ko) 2019-04-11 2019-04-11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64A KR102136546B1 (ko) 2019-04-11 2019-04-11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546B1 true KR102136546B1 (ko) 2020-07-22

Family

ID=7189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64A KR102136546B1 (ko) 2019-04-11 2019-04-11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5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025A (ja) * 2004-03-29 2005-10-13 Nippon Jido Hokanki Kk 電気錠
KR100954076B1 (ko) * 2009-10-08 2010-04-23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잠금해제 버튼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럼세탁기
KR101667916B1 (ko) 2015-10-27 2016-10-2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1915250B1 (ko) 2017-10-30 2018-11-05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수동식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025A (ja) * 2004-03-29 2005-10-13 Nippon Jido Hokanki Kk 電気錠
KR100954076B1 (ko) * 2009-10-08 2010-04-23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잠금해제 버튼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럼세탁기
KR101667916B1 (ko) 2015-10-27 2016-10-2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101915250B1 (ko) 2017-10-30 2018-11-05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수동식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6309B1 (en) Closure device for the door of an apparatus comprising a rotary drum, and latch for one such device
KR102020078B1 (ko) 잠금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
US8991877B2 (en) Door lock for the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EP2147176B1 (en) Gasket-compensating latch mechanism
EP2655724B1 (en) A washer/dryer comprising a lock
CN110241563B (zh) 小型化的门锁装置
EP2107186A1 (en) Lock
US10876735B2 (en) Locking device for a door of a domestic appliance
WO2008055819A1 (de)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insbesondere wäschetrockner
KR102136546B1 (ko)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KR100954077B1 (ko) 양방향 락커를 구비한 가전제품용 도어락 장치
KR102078713B1 (ko) 자기로 작동되는 도어잠금장치
KR101975814B1 (ko) 도어 자동 오픈을 위한 도어락 장치
CN209071929U (zh) 机械联锁机构
WO2018160718A1 (en) Locking module
CN112262246A (zh) 用于操作锁的电驱动机构
KR102429320B1 (ko)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CN110720768A (zh) 用于可相对活动的物件的锁机构
EP3717687A1 (en) Door-lock for home appliances
JPH01502837A (ja) 電磁石により施錠および解錠する機構を備えた錠
KR10194024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6653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KR102635993B1 (ko)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KR102356893B1 (ko) 가전제품 오토오픈 도어락 장치
CN214498722U (zh) 开关门装置和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