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436B1 -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436B1
KR102136436B1 KR1020150108974A KR20150108974A KR102136436B1 KR 102136436 B1 KR102136436 B1 KR 102136436B1 KR 1020150108974 A KR1020150108974 A KR 1020150108974A KR 20150108974 A KR20150108974 A KR 20150108974A KR 102136436 B1 KR102136436 B1 KR 102136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booth duct
air
insulate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923A (ko
Inventor
박재우
고성재
송욱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4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은 배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부스덕트의 접속 시 부스바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여 절연파괴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침식이나 부식에 강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방식 성능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이나 분진으로부터 도체를 완벽하게 보호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화재 시 화염의 확산을 막고 인화성 물질의 증기,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방폭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mixed distribution system of mold type busduct and air insulating type busduct}
본 발명은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방수, 방식, 내화 및 방폭 성능까지 구현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부스덕트(bus duct)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원래, 전력 배선 방식에 있어서는 전선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에서는 점차적으로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는 부스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은 도체를 보호하거나 절연하기 위하여 비닐 또는 고무를 사용하지만 부스덕트는 대용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달하므로, 절연체로서 직접 보호하기 어려워서 절연체를 부스바에 피복함과 동시에 부스바를 금속 덕트 안에 내장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예전에 비해서 지금의 건축물의 전기공급 시스템은 점점 크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안전하고 에너지 손실이 적은 부스덕트의 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부스덕트는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골프장, 터널, 반도체 및 LCD공장, 화학, 정유, 제철, 초고층빌딩, 초고압 변전소, LNG인수기지, 신공항, 항만 등의 다양한 분야의 시설물에 적용되고 있다.
부스덕트 내부에 구비된 부스바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소정 크기의 덕트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unit)으로 제조된 후 설치하고자 하는 시설 및 배전 설계에 맞추어 연결 시공된다.
그런데 최근에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배전 설계에 대한 안전 기준이 강화되고, 플랜트와 같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거나 습한 기후, 선박, 지하 공동구 등 가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배전 설비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전술한 통상적인 부스덕트만으로는 그러한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물이나 분진에 대한 완벽한 대비를 수 있고, 침식이나 부식 작용에도 강한 내구성을 발휘하며, 인화성 물질에 의한 화재나 폭발 등 비상 상황에서도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스덕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부스덕트의 접속 시 부스바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여 절연파괴 가능성을 낮추고자 한다.
또한, 침식이나 부식에 강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방식 성능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고자 한다.
또한, 물이나 분진으로부터 도체를 완벽하게 보호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방수 성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화재 시 화염의 확산을 막고 인화성 물질의 증기,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방폭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혼합배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몰딩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몰딩형 부스덕트; 및,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외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절연형 부스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는 방수, 방열, 방식 및 방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접속부는 복수의 부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간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바와 접촉하는 통전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통전플레이트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접속키트;와, 상기 접속키트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접속부 몰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은 상기 접속부 몰딩부 내측에 위치한 상기 부스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절연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은 상기 접속부 몰딩부 형성 시 함께 혼합되어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필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접속부는 복수의 부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간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바와 접촉하는 통전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통전플레이트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접속키트;와, 상기 접속키트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접속부 외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러는 coarse ground sand, fine ground sand, fine silica powder, chalk 또는 micro glass bal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러와 에폭시의 혼합비는 70:30 내지 80: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외함을 구비하는 복수의 공기절연형 부스덕트; 상기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부스바를 연결하는 접속키트와 상기 접속키트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접속부 외함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절연형 접속부;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몰딩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몰딩형 부스덕트; 및,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의 부스바를 연결하는 접속키트와, 상기 접속키트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접속부 몰딩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몰딩형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와 몰딩형 부스덕트 간의 접속은 상기 공기절연형 접속부 또는 몰딩형 접속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는 방수, 방열, 방식 및 방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가 100:25 내지 100:35로 이루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스덕트의 접속 시 부스바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여 절연파괴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침식이나 부식에 강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방식 성능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이나 분진으로부터 도체를 완벽하게 보호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 화염의 확산을 막고 인화성 물질의 증기,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방폭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혼합배전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몰딩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가 서로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키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키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가 접속키트를 통해 접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키트의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틀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틀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폭시와 필러의 혼합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된 에폭시와 필러를 주형틀에 주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틀을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접속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이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드덕트가 접속부 외함에 의해 접속부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드덕트가 접속부 몰딩부에 의해 접속부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배전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배전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몰딩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10)는 크게 도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부스바(20)와, 상기 복수의 부스바(20)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몰딩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10) 내부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부스바(20)가 다수 구비되는데, 상기 부스바(2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의 도체가 구리인 경우에는 도전율 99%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고, 알루미늄인 경우에는 도전율 61%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부스바(20)의 구성은 몰딩형 부스덕트(10)의 설치대상이나 설치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스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S, T의 3상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지거나 R, S, T, N의 4개 상으로 이루어져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R, S, T 및 2개의 N을 합쳐 5개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스바(20) 외측에는 몰딩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몰딩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틀(50)에 부스바(20)를 배치한 후 에폭시(epoxy)를 투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10)는 부스바(20) 외측을 주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몰딩부(30)로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10)는 상기 부스바(20)와 몰딩부(30)로 구성된 3m 길이의 단위 유닛(unit)으로 제조한 후 후술할 접속부를 통해 연결 설치함으로써 배전설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몰딩부(30)는 절연과 외함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내열과 내식 성능을 기본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30) 형성 시에는 상기 에폭시 외에 다양한 종류의 필러가 함께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coarse ground sand, fine ground sand, fine silica powder, chalk 또는 micro glass bal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5종의 필러를 적정한 비율로 함께 혼합하여 모두 첨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폭시와 필러는 자동 계량을 통해 기 설정된 정량을 투입하여야 제품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딩부(30)에는 전술한 에폭시 및 필러 외에도 배전 설치 시 주변 색상과 맞출 수 있도록 색소가 함께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가 서로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키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키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몰딩형 부스덕트(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유닛으로 제조된 후 몰딩형 접속부(100)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몰딩형 접속부(100) 외측에는 몰딩형 부스덕트(10)의 몰딩부(30)와 비슷하게 접속부 몰딩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 몰딩부(108) 내측에는 접속키트(101)에 의해 양측의 몰딩형 부스덕트(10)의 부스바(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접속부 몰딩부(108)는 상기 접속키트(101)의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접속키트(101)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절연플레이트(11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110)의 일면 또는 양측면에 통전플레이트(120)가 구비되어 부스바(20)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플레이트(110)는 상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플레이트(120)는 서로 이웃하는 절연플레이트(110)의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되어 삽입되는 부스바(20)의 양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부스바(20)는 R, S, T, N의 4개 상으로 이루어져 4개가 구비되는데 그에 따라 상기 절연플레이트(110)는 5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4개의 부스바(20)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며, 서로 이웃하는 절연플레이트(110)의 대향되는 면에는 각각 통전플레이트(120)가 구비되어 4개의 부스바(20) 각각의 양측면에서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절연플레이트(110)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통전플레이트(120)가 부스바(20)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상기 절연플레이트(110)가 각각의 쌍을 이루는 통전플레이트(120)들 사이에서 상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20)가 R, S, T의 3상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지거나 R, S, T 및 2개의 N을 합쳐 5개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절연플레이트(110)와 통전플레이트(120) 또한 상기 부스바(20)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몰딩형 접속부(1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110)들의 최외각에는 외부플레이트(1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플레이트(180)는 상하 양측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플레이트(180), 절연플레이트(110) 및 통전플레이트(120) 중앙에는 각각 관통공(112, 122, 18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2, 122, 182)을 통해 체결볼트(140)가 삽입되어 외부플레이트(180), 절연플레이트(110) 및 통전플레이트(120)를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볼트(140)는 상기 관통공(112, 122, 182)으로 삽입된 후 반대편에 너트(170)가 결합되어 조여지며 상기 외부플레이트(180), 절연플레이트(110) 및 통전플레이트(120)를 내측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절연플레이트(110) 사이사이에 삽입된 부스바(20) 또한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통전플레이트(120)와 밀착된 상태로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상기 체결볼트(140)가 삽입되는 측과 타측의 너트(170)가 조여지는 부분에는 와셔(150)가 구비되어 체결력을 높이며, 추가로 상기 너트(170) 외주측으로 풀림방지구(160)가 구비되어 너트(170)가 체결볼트(140)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볼트(140)가 상기 관통공(112, 122, 182)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체결볼트(1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연부시(130)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시(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12, 122, 182)으로 삽입된 체결볼트(140)를 둘러쌈으로써 부스바(20)가 신장하더라도 체결볼트(140)와 맞닿지 않도록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플레이트(110) 사이사이에는 상기 절연부시(130)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부재(132)가 추가로 구비되어 절연부시(130)를 보호하고, 체결볼트(140)를 추가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전플레이트(120) 상에는 형성되어 부스바(20) 신축 시 부스바(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요철부(124)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요철부(124)는 필수 구성은 아니며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 통전플레이트(120)에는 부스덕트(10) 접속 시 시공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1 스톱퍼(1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톱퍼(126)는 상기 부스바(20) 접속 시, 부스바(20)의 단부가 상기 제1 스톱퍼(126)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부스바(20)를 진입시키면 자동으로 부스바(20)의 초기 진입량 즉, 초기 위치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부스바(20)를 균일한 위치에 정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톱퍼(126)는 부스바(20)가 열팽창에 의해 신장하여 부스바(20)의 단부가 밀게 되면 구조적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부스바(20)의 신장을 자연스럽게 허용하기 때문에 부스바(20)의 이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시(130) 외주면을 감싸는 링부재(132)는 상기 부스바(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톱퍼(1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톱퍼(136)는 제1 스톱퍼(126)처럼 부스바(20)의 시공 기준점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부스바(20)가 열팽창에 의해 신장하여 부스바(20)의 단부가 밀게 되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부스바(20)의 신장을 자연스럽게 허용하여 부스바(20)의 이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톱퍼(136)는 필수 구성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접속부 몰딩부(108) 내측에 위치한 상기 부스바(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절연테이프(10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테이프(109)는 상기 부스바(20)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이격된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통전 플레이트(120)와 접촉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절연테이프(109)가 부착되는 길이는 80mm 내지 120mm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약 100mm 정도의 길이로 부스바(20)에 부착되며, 일부는 몰딩형 부스덕트(10)의 몰딩부(30)와 중첩되어 몰딩부(30)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테이프(109)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테이프(109)는 접속부 몰딩부(108) 형성 시, 부스바(20) 간의 절연거리 유지를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예비적인 절연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부 몰딩부(108) 형성 시 부스바(20) 사이의 기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남아 있으면 에폭시가 채워지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절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절연테이프(109)는 몰딩 시 기포나 이물이 남아서 에폭시가 잘 안 채워질 때를 대비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부스바 간의 절연거리 유지를 통해 절연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가 접속키트를 통해 접속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키트의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틀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틀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폭시와 필러의 혼합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된 에폭시와 필러를 주형틀에 주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틀을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10)의 접속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스바(20) 단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일정 길이로 절연테이프(109)를 부착하고, 몰딩형 부스덕트(10)의 몰딩부(30)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키트(101) 연결 전에 상하, 좌우의 수평과 수직이 맞도록 몰딩형 부스덕트(10)를 정렬한다. 이때 접속키트(101)가 기울어지거나 편심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그 표면에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한 후 연결한다.
그 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렌치(60)를 이용하여 체결볼트(140)를 임시로 조이고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절연 성능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 후 체결을 완료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키트(101) 외측으로 접속부 주형틀(70)을 조립하고 이형제를 접속부 주형틀(70) 내부에 살포한다.
접속부 주형틀(70)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에폭시와 필러를 혼합한다. 여기서 혼합 전에 온도를 확인하여 25℃ 이상 유지하여야 하는데 저온 환경에서 믹싱할 경우에는 믹싱통을 보온 및 보양 처리하여 25℃ 이상을 유지한다.
상기 에폭시는 주제와 경화를 촉진하는 경화제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는 100:25 내지 100:3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혼합비가 100:25보다 작은 경우에는 접속부 몰딩부(108) 경화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100:35보다 큰 경우에는 경화 품질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는 100:25 내지 100:35 범위 내에서 접속부 몰딩부(108)를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러와 에폭시의 혼합비는 70:30 내지 80:20의 범위로 구성한다. 상기 필러의 혼합비가 70:30보다 작은 경우에는 에폭시의 비중이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혼합비가 80:20보다 큰 경우에는 경화 품질이 저하되고 접속부 몰딩부(108)의 기계적 강도 및 절연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필러와 에폭시의 혼합비는 70:30 내지 80:20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는 coarse ground sand, fine ground sand, fine silica powder, chalk 또는 micro glass bal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5종의 필러를 적정한 비율로 함께 혼합하여 모두 첨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필러 중 coarse ground sand는 PH값은 5.3 내지 9.3이고, 비중은 0.78 내지 1.78인 제품을 적용하는데, 함유된 수분은 0.03% 이하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fine ground sand 경우에는 PH값은 4.8 내지 8.8이고, 비중은 1.09 내지 2.09인 제품을 적용하며, 함유된 수분은 0.05% 이하를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필러가 fine silica powder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fine silica powder의 PH값은 5 내지 8이고, 비중은 1.6 내지 3.6인 제품을 적용한다. 이때 상기 fine silica powder의 모스(Mohs) 경도는 7 이상, 함유된 수분은 0.1%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며, 평균입자 크기는 10um 내지 15um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가 chalk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chalk의 PH값은 6.8 내지 10.8 범위의 제품을 적용한다. 이때 상기 chalk의 모스 경도는 7 이상, 함유된 수분은 0.35%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며, 평균입자 크기는 9um 내지 13um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chalk의 백색도 즉, whiteness는 90% 내지 94%인 제품을 적용한다. 상기 chalk는 microdol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필러가 micro glass ball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icro glass ball의 비중은 1.5 내지 3.5 범위의 제품을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micro glass ball의 백색도는 90% 내지 94%, 함유된 수분은 0.1%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필러 : 에폭시 (76 : 24)
주제 0.17700
경화제 0.06300
coarse ground sand 0.23800
fine ground sand 0.25000
find silica powder 0.14000
chalk or microdol 0.04200
micro glass ball 0.09000
1.0000
표 1은 전술한 접속부 몰딩부(108)의 주요 구성의 실제 적용 혼합비를 예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건으로 혼합 완료된 에폭시를 접속부 주형틀(70) 내에 주입한다. 이때 주변 온도는 25℃ 이상 유지해야 하며, 저온 환경에서 몰딩할 경우에는 접속부 주형틀(70)을 보온 및 보양 처리하여 25℃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폭시 주입 후 약 1시간 동안 상면으로 부풀어 오르는 기포를 제거한다.
에폭시 주입 후 약 8시간 경과 후에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부 주형틀(70)을 해체하며, 접속부 몰딩부(108)의 거친 표면은 사상하여 매끄럽게 가공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몰딩형 접속부(100)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여 접속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접속완료된 몰딩형 접속부(100)의 절연파괴전압은 24kV/mm 보다 크게 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상기 몰딩형 접속부(100)의 인장강도는 700kg/m2 내지 800kg/m2 범위로 형성하는데, 통상적으로 약 760kg/m2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접속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이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접속함의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의 기본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외함(212)이 구비된다. 상기 외함(212) 내부에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20)가 구비되어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하게 된다. 상기 외함(212)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측으로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날개부(214)가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부스바(20)는 전술한 몰딩형 부스덕트(10)에서와 마찬가지로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에서는 부스바(20)의 표면을 각각 절연체로 피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부스바(20)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1차적으로 절연체를 피복하여 절연하고, 상기 외함(212)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수용하여 보호한다.
이러한 부스바(20)를 포함하는 외함(212)은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unit)으로 제조된 후, 공기절연형 접속부(200)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절연형 접속부(200)에 삽입되는 부스바(20)의 단부는 상기 절연체를 벗겨내어 도체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양측의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 부스바(20)의 전기적 연결은 접속키트(10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키트(101)의 구조는 이전 실시예의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접속키트(101)를 통해 부스바(20)의 연결이 마무리 되면 접속부 외함(201, 203)을 덮어씌운다. 이때, 상기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의 외함(212)에는 부스덕트의 온도감시를 위한 광케이블이 외함(212)에 형성된 거치부(216)를 따라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접속부 외함(201, 203)에도 상기 거치부(216)에 대응하여 상기 광케이블이 연속적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광선로 거치부(20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선로 거치부(20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 외함(201, 20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접속부 외함(201, 203)의 내측면에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접속부 외함(201, 203) 외측면에 형성되어 광케이블이 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는 전기실의 메인 배전반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건축물의 벽체를 통과하여 단위배전영역을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각각의 단위배전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에는 접속구(Plug-In Hole)(220)를 만들며, 해당 접속구(220)에 '플러그 홀 박스(Plug Hole Box; PH BOX)'나 '플러그-인 유닛(Plug-In Unit)'으로 불리우는 전력 접속함(300)을 설치하여 전력을 인출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 접속함(300)으로부터는 케이블을 연장하여 단위배전영역용 분전반(미도시)에 연결하며, 상기 분전반에서 단위배전영역에 할당된 개별 부하로 전력을 재분배한다.
상기 전력 접속함(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배전영역의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로부터 전력을 인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플러그인 박스 또는 플러그 홀 박스로 활용되는 전력 접속함(300)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접속함(300)은, 함체(310)와 도어(32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310)의 배면(311)에는 브러시 단자대(340)가 설치된다. 상기 브러시 단자대(340)에는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 접속구(220)의 접속 플러그(222)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브러시(342)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 플러그(222)는 부스덕트 외함(212)을 관통하여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 내부에 배치된 부스바(2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전력 접속함(300)의 접속 브러시(342)를 접속 플러그(222)에 접속함으로써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를 통해 전달된 전력을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함체(310) 내부에는 메인 차단기(3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단자대(340)를 기준으로 상기 함체(310)의 배면(311) 쪽으로는 접속 브러시(342)의 일단이 돌출되고, 접속 브러시(342)의 타단은 함체(3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메인 차단기(350)는 양측에 1차측 단자대(352)와 2차측 단자대(354)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310)의 내부의 접속 브러시(342)의 하류(전류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下流))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1차측 단자대(352)는 연결용 부스바(344)에 의해 접속 브러시(342)와 접속되고, 상기 2차측 단자대(354)에는 부하측으로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연장 단자(360)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 단자(360)에는 분전반 및 케이블과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 러그(362)가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 러그(362)에 분배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함체(310) 내부의 메인 차단기(350)의 1차측 단자대(352) 상류 측에는 벽체(34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벽체(349)는 차단기(350)의 1차측 단자대(352)를 포함하는 지점부터 브러시 단자대(340)를 포함하는 전력 인입 부분의 공간 둘레를 막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 차단기(350)의 1차측 단자대(352), 브러시 단자대(340) 및 연결용 부스바(344)를 타 부품들과 격리된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함체(310)의 측면(312)에는 개폐 도어(3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도어(330)에는, 전원공급모듈(331), 표시기(333)와 표시램프(335)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도어(330)를 이용하여 함체(310) 내부의 상태 등을 용이하게 확인, 점검할 수 있고 내부 구성의 설치나 교체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 도어(330)는 힌지(33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잠금 기구(334)를 통해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접속함(300)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의 예로서는, 전류 검출기(364)나 전압 검출기(346) 더 나아가 도체, 예를 들어 접속 브러시(342), 연결용 부스바(344), 연장 단자(360)의 온도나 함체(310) 내부의 온도(특히, 전력 도입측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들(미도시), 차단기(350) 하류측에 누설전류 검출기(미도시)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차단기(350)에 연계된 차단기 온/오프 상태 또는 전력 트립(trip)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모듈(331)은 상기 각종 검출기들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상기 개폐 도어(330)의 일측에는 상기 전원공급모듈(331)에 연결되는 전원선로를 도입하기 위한 구멍(3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기(333)는, 부하전류, 누설전류, 도체 온도, 내부 공기 온도, 또는 차단기 상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장을 순회하는 관리자가 해당 전력 접속함(300)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램프(335)는, 차단기의 상태, 예를 들어, 차단기(350)의 온/오프 상태나 트립(Trip) 상태 등을 램프를 점등하여 표시함으로써 현장을 순회하는 관리자가 해당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드덕트가 접속부 외함에 의해 접속부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드덕트가 접속부 몰딩부에 의해 접속부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배전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배전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10)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가 혼합 배치되어 배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10)는 전체 배전시스템 중에서 특히 방수, 방열, 방식 및 방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부분에 배치되며,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는 단위배전영역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 접속함(300)을 연결할 필요가 있을 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배전설계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에 몰딩형 부스덕트(10)를 배치할 것인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를 배치할 것인지 여부는 설계자가 안전 및 배전의 최적화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10)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의 접속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 외함(201, 203)이 적용되는 공기절연형 접속부(200)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부 몰딩부(108)가 적용된 몰딩형 접속부(100)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혼합배전시스템은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한 것처럼 화학플랜트, 정유설비와 같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거나 습한 기후, 선박, 지하 공동구 등 부식에 노출되는 가혹한 환경에서 몰딩형 부스덕트(10)를 적용하게 되며, 단위배전영역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 접속함(300)을 연결해야 하는 위치에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가 1 단위 유닛씩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을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를 연결하고, 배전시스템이 지나가는 경로 중에 물이나 분진에 대한 방비가 필요하거나, 침식이나 부식 작용이 활발한 위치, 또는 인화성 물질에 의한 화재나 폭발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할 염려가 큰 위치 등에는 원 포인트 방식으로 몰딩형 부스덕트(10)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10)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210)의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몰딩형 접속부(100)나 공기절연형 접속부(200)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은 배전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부스덕트의 접속 시 부스바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여 절연파괴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침식이나 부식에 강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방식 성능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이나 분진으로부터 도체를 완벽하게 보호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화재 시 화염의 확산을 막고 인화성 물질의 증기,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방폭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몰딩형 부스덕트 20: 부스바
30: 몰딩부 40: 중공부
50: 주형틀 70: 접속부 주형틀
100: 접속부 101: 접속키트
108: 접속부 몰딩부 109: 절연테이프
210: 공기절연형 부스덕트

Claims (11)

  1.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몰딩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몰딩형 부스덕트; 및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외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절연형 부스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는 방수, 방열, 방식 및 방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접속부는
    복수의 부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간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바와 접촉하는 통전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통전플레이트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접속키트;와,
    상기 접속키트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접속부 몰딩부;를 포함하는 몰딩형 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몰딩형 접속부의 절연파괴전압은 24kV/mm 보다 크고, 인장강도는 700kg/m2 내지 800kg/m2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몰딩부 내측에 위치한 상기 부스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절연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4. 삭제
  5.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몰딩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몰딩형 부스덕트;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외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절연형 부스덕트; 및,
    상기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력 분기용 전력 접속함;을 포함하고,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는 방수, 방열, 방식 및 방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접속부는
    복수의 부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간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바와 접촉하는 통전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통전플레이트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접속키트;와,
    상기 접속키트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접속부 외함;을 포함하는 공기절연형 접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의 몰딩부 또는 상기 몰딩형 접속부의 몰딩부 형성 시 함께 혼합되어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필러를 더 포함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거친 모래(coarse ground sand), 고운 모래(fine ground sand), 고운 실리카 분말(fine silica powder), 석고(chalk) 또는 미세 유리볼(micro glass ball)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와 에폭시의 혼합비는 70:30 내지 8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9.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외함을 구비하는 복수의 공기절연형 부스덕트;
    상기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력 분기용 전력 접속함;
    상기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부스바를 연결하는 접속키트와 상기 접속키트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는 접속부 외함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절연형 접속부;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몰딩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몰딩형 부스덕트; 및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의 부스바를 연결하는 접속키트와, 상기 접속키트 외측을 일정한 외형을 이루도록 둘러싸며, 주형에 의해 에폭시를 경화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접속부 몰딩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몰딩형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형 접속부의 절연파괴전압은 24kV/mm 보다 크고, 인장강도는 700kg/m2 내지 800kg/m2 범위이며,
    상기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와 몰딩형 부스덕트 간의 접속은 상기 공기절연형 접속부 또는 몰딩형 접속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형 부스덕트는 방수, 방열, 방식 및 방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11. 제1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가 100:25 내지 100:35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KR1020150108974A 2015-07-31 2015-07-31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KR102136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74A KR102136436B1 (ko) 2015-07-31 2015-07-31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74A KR102136436B1 (ko) 2015-07-31 2015-07-31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23A KR20170014923A (ko) 2017-02-08
KR102136436B1 true KR102136436B1 (ko) 2020-07-21

Family

ID=5815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974A KR102136436B1 (ko) 2015-07-31 2015-07-31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372B1 (ko) * 2017-05-15 2021-12-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032A (ko) * 2009-03-16 2010-09-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축적을 최소화한 배전관로의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5372B1 (ko) * 2013-12-30 2020-12-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23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448B1 (ko) 몰딩형 부스덕트
US9997897B2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BR112015026626B1 (pt) Equipamento elétrico, montagem de barramento, placa de montagem para uma montagem de barramento e blindagem para isolar uma montagem de barramento
KR20190063531A (ko)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부스덕트
US8477503B2 (en) Switch cabinet connection and comb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06754B1 (ko)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부용 주형틀
KR100659289B1 (ko) 전기배선 분배용 버스덕트
KR102100523B1 (ko) 몰딩형 부스덕트
CN206864901U (zh) 一种新型安全高压柜
KR102136436B1 (ko)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KR102124664B1 (ko)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부 및 그 접속방법
US9667041B2 (e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CN202210646U (zh) 应用于高原环境的40.5kV金属铠装移开式开关设备
KR102124683B1 (ko) 몰딩형 부스덕트
CN116505461A (zh) 一种耐火合金母线槽
CN202210645U (zh) 应用于高原环境的12kV金属铠装移开式开关设备
KR102339372B1 (ko) 부스덕트 시스템
KR101222139B1 (ko)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EP1648052A2 (en) A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EP2518843B1 (en) Device for high-voltage electric connection between electric devices
KR100752235B1 (ko) 부스바의 적층식 절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20180083660A (ko)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부
KR101932666B1 (ko)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KR102577302B1 (ko) 분전반용 단락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KR102334422B1 (ko)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