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666B1 -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666B1
KR101932666B1 KR1020160030339A KR20160030339A KR101932666B1 KR 101932666 B1 KR101932666 B1 KR 101932666B1 KR 1020160030339 A KR1020160030339 A KR 1020160030339A KR 20160030339 A KR20160030339 A KR 20160030339A KR 101932666 B1 KR101932666 B1 KR 10193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ousing
drainage device
booth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782A (ko
Inventor
박상규
주성은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666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덕트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덕트 내에 유입된 수분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는, 세로 하우징과 가로 하우징이 만나는 코너부 중 상기 세로 하우징의 최하단 위치에서 상기 가로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 하우징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배수장치가 세로 하우징과 가로 하우징이 만나는 코너부 중 세로 하우징의 최하단 위치에서 가로 하우징에 형성되고, 가로 하우징을 관통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부스덕트 내부에 유입된 수분을 제거하여 부스덕트 내부에 수분으로 인한 단락사고와 소손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덕트용 배수장치{DRAINAGE FOR BUS DUCT}
본 발명은 부스덕트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등 건축물의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부스 형태의 부스덕트에 의한 배선 방식의 채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도체의 부스바가 내재되고 외부로는 보호기능을 하면서 접지 역할을 하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각각의 부스덕트는 조인트 키트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연결되고 외부 접지는 접지끼리 서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외부 접지 연결 시에는 하우징과 조인트 키트간에 덕트 측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부스덕트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그 내부는 외부로부터 폐쇄되어 방진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스덕트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스덕트(10)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의 도체가 삽입되는 데 이는 생략되어 도시된다.
제2 하우징(12)은 'H'문자 형태에 일측 양단이 'ㄱ'자 형태로 굴곡되어 '
Figure 112016024334388-pat00001
' 형태를 취하며, 제1 하우징(11)은 모자 형태인 '
Figure 112016024334388-pat00002
'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11, 12)이 결합되면 중심부에 도체가 위치되는 내부 영역이 형성되고 최종적으로 양쪽 하우징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게 된다.
이때 외부로부터의 방진 및 방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부스덕트(10)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서로 맞닿는 면에 젤 형태의 실리콘(13)을 고르게 도포하고 도포면 실리콘이 경화되면서 제1 및 제2 하우징(11, 12)이 맞닿는 면에서의 실링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실리콘(13)을 도포하는 방식은 부스덕트를 조립할 때마다 일일이 실리콘을 도포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 시간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부스덕트의 조립이 잘못되어 재조립을 해야 하는 경우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 실리콘이 경화되어 해체가 어려우며 해체가 된다 하더라도 경화된 실리콘이 불규칙하게 하우징 내면에 덕지덕지 붙어 있어 품질에서도 문제가 생긴다.
또한, 실리콘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지 못하므로 어느 면에서는 평균치 이하의 두께로 도포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수의 효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3621호에서는 부스덕트 하우징의 실링 구조를 개선하였다.
하지만, 부스덕트의 입상라인 포설 중과, 실 사용 중에도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가 있었고, 부스덕트를 해체하지 않고도 부스덕트 내에 유입된 수분을 배수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3621호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부스덕트를 해체하지 않고도 제거할 수 있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는, 세로 하우징과 가로 하우징이 만나는 코너부 중 상기 세로 하우징의 최하단 위치에서 상기 가로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 하우징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를 관통하는 드레인 볼트와, 상기 드레인 볼트를 상기 가로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제1 배수장치와 제2 배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수장치는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의 일 측단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제2 배수장치는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의 타 측단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된 형태의 엘보우(elbow) 타입 덕트부의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부분과 제3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부분이 평행을 이루는 형태의 오프셋(offset) 타입 덕트부의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부분과 제3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부분이 직각을 이루는 형태의 콤비네이션(combination) 타입 덕트부의 코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드레인 볼트와, 상기 드레인 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드레인 볼트에 탭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드레인 볼트와, 상기 드레인 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드레인 볼트에 탈부착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고무패킹과, 상기 드레인 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고무패킹에 끼워지는 고무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에 배수장치를 장착하기 때문에, 부스덕트의 입상라인 포설 중과, 실 사용 중에 유입되는 부스덕트 내부의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부스덕트 내부의 수분 유입으로 인한 단락사고 등 치명적 결함 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수장치를 입상라인의 최하층에 위치한 코너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모든 층에서 부스덕트 내부에 유입되는 수분을 하나의 배수장치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드레인 볼트의 드레인 홀을 통해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드레인 홀을 통해 수분이 배출되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될 시, 신속하게 현장 진단팀을 구성하여 문제의 현장을 확인하여 소손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엘보우 타입 덕트부, 오프셋 타입 덕트부 및 콤비네이션 타입 덕트부 등 다양한 형태의 덕트부에 배수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스덕트의 하우징 실링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투시 측면도이다.
도 5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투시 측면도이다.
도 6은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부스덕트용 배수장치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코너부를 설명하기 위해 임의로 그린 것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덕트부, 조인트 키트 및 플러그 인 박스의 연결 형태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부스덕트는 부스바(도 4의 50), 덕트부(100), 배수장치(200), 조인트 키트(300) 및 플러그 인 박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덕트는 전체 하우징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지 도체 역할과 동시에 도체의 열발산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을 설명하면 먼저, 부스바(50)는 덕트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도체 역할을 한다. 부스바(50)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로 배치된다.
덕트부(100)는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부(100)는 세로 하우징 및/또는 가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덕트부(100)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된 형태의 엘보우(elbow) 타입 덕트부(110),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제2부분과 제3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제1 부분과 제3부분이 평행을 이루는 형태의 오프셋(offset) 타입 덕트부(120) 및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제2부분과 제3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제1 부분과 제3부분이 직각을 이루는 형태의 콤비네이션(combination) 타입 덕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엘보우 타입 덕트부(110), 오프셋 타입 덕트부(120) 및 콤비네이션 타입 덕트부(130)는 일 예로써 도시한 것으로 덕트부(100)는 반드시 엘보우 타입 덕트부(110), 오프셋 타입 덕트부(120) 및 콤비네이션 타입 덕트부(130)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덕트부(100)는 엘보우 타입 덕트부(110), 오프셋 타입 덕트부(120) 및 콤비네이션 타입 덕트부(130) 이외의 다양한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는(200)는 덕트부(100)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제거한다. 여기서, 코너부는 입상라인으로 구성된 덕트부(100)에서 가장 최하층에 배치되는 덕트부의 세로 하우징과 가로 하우징이 만나는 부분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코너부(110-a)는 엘보우 타입 덕트부(110)의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로 정의될 수 있고, 코너부(110-b)는 오프셋 타입 덕트부(120)의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로 정의될 수 있고, 코너부(130-a)는 콤비네이션 타입 덕트부(130)의 말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장치(200)는 세로 하우징의 최하단 위치의 덕트부(100)의 가로 하우징에 형성된다. 일 예로, 배수장치(200)는 엘보우 타입 덕트부(110)의 코너부(110-a)에 형성될 수 있고, 오프셋 타입 덕트부(120)의 코너부(120-a)에 형성될 수 있고, 콤비네이션 타입 덕트부(130)의 코너부(13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수장치(200)는 가로 하우징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배수장치(200)는 IP54등급을 만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IP54등급의 고체에 대한 보호정도는 먼지로부터 보호되는 정도이고, 액체에 대한 보호정도는 모든 방향의 스프레이로부터 보호되는 정도이다.
조인트 키트(300)는 부스바(50)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조인트 키트(300)는 키트형, 원 볼팅(one-bolting)형 등이 있다.
플러그 인 박스(400)는 부스바(5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부스부(50)의 전력 상태, 누설전류 및 절연저항, 온도를 분석하고 디스플레이 한다. 플러그 인 박스(400)는 검출된 전류 및 전압 값이 일정수치 이상이 되면 경보출력을 발생하여 비상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200)는 입상라인의 최하층에 위치한 코너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모든 층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하나의 배수장치로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는 엘보우 타입 덕트부(110), 오프셋 타입 덕트부(120) 및 콤비네이션 타입 덕트부(130) 등 다양한 형태의 덕트부(1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투시 측면도이고, 도 5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투시 측면도이고, 도 6은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코너부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200)는 도 4와 같이 부스바(5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덕트부(100)의 코너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배수장치(200)는 도 7과 같이 세로 하우징(101)과 가로 하우징(102)이 만나는 코너부 중 세로 하우징(101)의 최하단 위치에서 가로 하우징(102)에 형성되고, 가로 하우징(102)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또한, 배수장치(200)는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가로 하우징(101)과 세로 하우징(101)이 만나는 코너부 중 세로 하우징(101)의 최하단 위치에서 가로 하우징(102)에 형성되고, 가로 하우징(102)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즉, 배수장치(200)는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가장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코너부의 어느 한 부분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배수장치(20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의 양 측단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장치(200)는 제1 배수장치(210)와 제2 배수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수장치(210)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의 일 측단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제2 배수장치(220)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의 타 측단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배수장치(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수장치(200)는 너트(nut, 201)와 드레인 볼트(drain bolt, 202)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201)는 난연PC(polycarbonate) 또는 난연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로 형성될 수 있다. 너트(201)는 도 7과 같이 드레인 볼트(202)를 세로 하우징(101)과 만나는 가로 하우징(102)에 고정시킨다. 또한, 너트(201)는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드레인 볼트(202)를 가로 하우징(102)과 만나는 세로 하우징(1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너트(201)는 드레인 볼트(202)의 장금장치일 수 있다.
드레인 볼트(202)는 난연PC 또는 난연ABS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볼트(202)는 도 7과 같이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중공(드레인 홀)이 형성된다. 이때, 드레인 볼트(202)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볼트(202)는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세로 하우징(101)의 말단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스덕트의 사용자는 드레인 볼트(202)의 드레인 홀을 통해 드레인되는 수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수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배수장치(200)는 너트(201) 및 드레인 볼트(2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 볼트(202)에는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드레인 볼트(202)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때, 드레인 볼트(202)의 가로 하우징(102) 내부로 끼워지는 단부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볼록부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너트(201)는 드레인 볼트(202)의 드레인 홀을 개폐하도록 드레인 볼트(202)에 탭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배수장치(200)는 드레인 볼트(202)가 자체적으로 고정되고, 너트(201)가 드레인 볼트(202)에 탭 결합되어 드레인 볼트(202)의 드레인 홀을 개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배수장치(200)는 캡(201) 및 드레인 볼트(2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 볼트(202)에는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드레인 볼트(202)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때, 드레인 볼트(202)의 가로 하우징(102) 내부로 끼워지는 단부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볼록부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캡(201)은 드레인 볼트(202)의 드레인 홀을 개폐하도록 드레인 볼트(202)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배수장치(200)는 드레인 볼트(202)가 자체적으로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캡(201)이 드레인 볼트(202)에 탈부착되어 드레인 볼트(202)의 드레인 홀을 개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배수장치(200)는 고무 캡(201) 및 고무패킹(2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무패킹(202)에는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끼움 고정된다. 이때, 고무패킹(202)의 가로 하우징(102) 내부로 끼워지는 단부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볼록부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무 캡(201)은 고무패킹(202)의 드레인 홀을 개폐하도록 고무패킹(202)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배수장치(200)는 고무패킹(202)이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고, 고무 캡(201)이 고무패킹(202)에 끼워져 고무패킹의 드레인 홀을 개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는 가로 하우징(102)의 말단부에 배치되어 부스덕트의 입상라인의 포설 및 포설 후 실 사용 중에 부스덕트 내부에 유입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의 유입으로 인한 단락사고와 소손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배수장치는 드레인 볼트(202)의 드레인 홀을 통해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이 배출되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될 시, 신속하게 현장 진단팀을 구성하여 문제의 현장을 확인하여 소손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부스바 100: 덕트부
110-a, 120-a, 130-a: 코너부 200: 배수장치
201: 너트 202: 드레인 볼트

Claims (9)

  1. 입상라인으로 구성된 덕트부에서 세로 하우징과 가로 하우징이 만나는 코너부 중 상기 세로 하우징의 최하단의 직하방 위치에서 상기 가로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 하우징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를 관통하는 드레인 볼트와 상기 드레인 볼트를 상기 가로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드레인 너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부스덕트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를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고무패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의 일 측단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배수장치와, 상기 가로 하우징의 말단부의 타 측단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2 배수장치로 이루어지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된 형태의 엘보우(elbow) 타입 덕트부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부분과 제3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부분이 평행을 이루는 형태의 오프셋(offset) 타입 덕트부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부분과 제3부분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부분이 직각을 이루는 형태의 콤비네이션(combination) 타입 덕트부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30339A 2016-03-14 2016-03-14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KR101932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39A KR101932666B1 (ko) 2016-03-14 2016-03-14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39A KR101932666B1 (ko) 2016-03-14 2016-03-14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782A KR20170106782A (ko) 2017-09-22
KR101932666B1 true KR101932666B1 (ko) 2018-12-26

Family

ID=6003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339A KR101932666B1 (ko) 2016-03-14 2016-03-14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1468A (zh) * 2019-06-13 2019-07-30 华翔翔能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带散热装置的防水母线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0734A (ja) * 2006-04-28 2007-11-15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及びバスダクトの接続部防水構造
KR101598040B1 (ko) 2014-08-27 2016-02-26 이태영 전기모터 일체형 구동 회전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0734A (ja) * 2006-04-28 2007-11-15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及びバスダクトの接続部防水構造
KR101598040B1 (ko) 2014-08-27 2016-02-26 이태영 전기모터 일체형 구동 회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782A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1906A (en) Water resistant supplementary joint cover for an electrical busway
DE102008034459B4 (de) Schutzdeckelanordnung für eine elektrische Einheit
KR101816316B1 (ko) 버스웨이 구성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835679B1 (ko) 케이블 코밍장치
KR100986678B1 (ko)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101612747B1 (ko)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1731393B1 (ko) 버스바용 절연보호커버
KR101932666B1 (ko) 부스덕트용 배수장치
KR101334322B1 (ko) 수밀형 분배전반
KR101593174B1 (ko) 수배전반
KR20080090900A (ko) 덧판을 구비한 부스 덕트
US10973141B2 (en) Cooling system for enclosure for electrical network protection element
KR100811055B1 (ko)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KR100643184B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CN206379642U (zh) 一种具有防水漏电功能的配电箱
CN210224886U (zh) 一种母线槽用防漏电绝缘保护装置
KR100925970B1 (ko) 부스 덕트용 방수형 플러그인 유닛 및 플러그인 유닛을구비하는 부스 덕트
US20140209620A1 (en) Drain Nut
GB2557947A (en) Improvements to safety enclosures for covering linkages between items of hazardous equipment
KR101263621B1 (ko) 방진 및 방수 등급에 대응되는 부스덕트용 하우징
KR101748281B1 (ko) 시공의 편의성이 강화된 분전반
CN111769499A (zh) 户外母线桥架
KR200454350Y1 (ko) 옥외형 버스관로
KR200398644Y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