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139B1 -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139B1
KR101222139B1 KR1020120005633A KR20120005633A KR101222139B1 KR 101222139 B1 KR101222139 B1 KR 101222139B1 KR 1020120005633 A KR1020120005633 A KR 1020120005633A KR 20120005633 A KR20120005633 A KR 20120005633A KR 101222139 B1 KR101222139 B1 KR 101222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variable color
bus bar
variable
col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디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디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디핑
Priority to KR102012000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바의 연결부위를 덮어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스바 절연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는, 버스바(BUS BAR) 절연보호커버에 있어서, 버스바의 연결부위를 덮는 절연체 재질의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되어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변하는 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본체에는 장착홀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변형되어 상기 장착홀에 고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 INSULATING COVER OF BUS BAR }
본 발명은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바의 연결부위를 덮어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스바 절연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의 공급 및 제어를 위해서 설치되는 수,배전반 및 제어반의 전원공급 및 분배를 위한 매개체로 동으로 제작된 버스바(bus bar)를 적용하고 있다.
버스바(bus bar)는 가요성이 없어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케이블보다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매우 큰 장점이 있다.
사회 발전으로 인한 전력사용의 증가와 전력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전력설비 단위용량의 증가와 전력소비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전력공급을 위한 수,배전반 설비의 단위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적, 기계적 안전성 확보가 필수요소로 대두되었다.
이로 인하여 각종 전력설비 및 다양한 장소 예컨대,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골프장, 터널 반도체, LCD 공장, 화학, 정유, 제철, 초고층빌딩, 초고압 변전소, LNG인수기지, 신공항, 항만 등의 각종 분야에 전원공급을 위하여 다양한 규격의 버스바(bus bar)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부하증가에 따른 전력 공급을 충당하기 위해 전원공급 버스바(bus bar)의 사용이 확대되고 허용전류용량은 더욱 증가하고 있으나, 버스바 중 절연재의 설치가 불가능한 가압되어 있는 충전부, 즉 버스바와 버스바의 연결부위, 버스바와 케이블 단자의 연결부위 등은 그대로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은 그만큼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된 충전부를 절연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또한 절연커버내의 기기의 이상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식별장치의 설치가 요구된다.
수,배전반에 설치된 버스바의 가압 충전부 중 버스바 절연재의 설치가 불가능한 버스바 연결부위, 케이블 접속부위 등 충전부는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 등의 접촉에 의한 상간단락 또는 상과 대지간 단락이 발생하여 사고가 일어나기 쉽고, 또한 운전, 유지, 보수 등 작업 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접촉으로 감전 및 화염 발생으로 인한 사망사고 등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스바용 절연커버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버스바용 절연커버의 설치과정을 보인 도면이다(공개특허 10-2011-0042778).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용 절연커버(100)는 버스바(1)를 감싸 절연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1)에는 다른 버스바 즉 분기버스바(2)나 케이블(3)이 볼트(11)와 너트(12)로서 접속될 수 있어, 고압전류를 각종 기기 장치에 분기시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연커버(100)는 이러한 버스바(1)의 접속부(10)까지 감싸 설치된다.
상기 절연커버(100)는, 유연한 재질의 절연성 및 난연성 재질로서, 버스바(1)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버스바(1)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자켓 형태로 형성되고, 그 길이는 버스바(1)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커버(100)의 외측면에는 버스바(1)의 접촉불량 등으로 인해 발생된 발열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가변색상표시부(110)가 버스바(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1)의 접촉불량은 분전반의 버스바(1)에 다른 버스바 즉 분기버스바(2)이나 케이블(3)이 볼트(11)와 너트(12)로서 접속되어 고압전류를 분기시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기계진동 등에 의해서 볼트(11)와 너트(12)가 풀려 접속부(10)의 접촉면이 감소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접촉면이 감소되면, 저항이 증가되고 저항 증가에 의한 주울열로 인해 발열이 발생되며, 스파크 등으로 인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커버(100)의 가변색상표시부(110)는 버스바(1)의 접촉불량 등으로 인해 발생된 발열에 의해 그 색상이 변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나 관리자가 가변색상표시부(110)를 보고 버스바(1)의 접촉불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변색상표시부(110)는 절연커버(100)의 외측면에 도색되는 도료 또는 절연커버(100)의 외측면에 테이핑되는 테이프 또는 절연커버(100)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시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색상표시부(110)는 일반적인 써모 컬러(thermo-color)라는 일명 카멜레온 도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열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도료이다.
즉, 상기 버스바(1)의 접속부(10)에서 접촉불량 등에 의한 과부하로 인해 발열이 되는 경우, 전술한 도료가 도색된 가변색상표시부(110)는 색상이 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스바용 절연커버(100)에는 상기 가변색상표시부(110)가 도색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변색상표시부(110)의 색상이 변경된 경우 절연커버 전체를 교화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상기 가변색상표시부(110)가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시 상기 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상기 가변색상표시부(110)가 절연커버(100)로부터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커버본체에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에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변하는 가변색상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가변색상부재의 색상변화시 상기 가변색상부재만을 교체하고 상기 가변색상부재가 커버본체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는, 버스바(BUS BAR) 절연보호커버에 있어서, 버스바의 연결부위를 덮는 절연체 재질의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되어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변하는 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본체에는 장착홀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변형되어 상기 장착홀에 고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고온에 의해 색상이 변하였다가 저온이 되면 원래 색상으로 복귀하는 가역성의 제1안료가 포함되어 하면이 상기 버스바에 접촉되는 제1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의 측면에는 상부걸림돌기와 하부걸림돌기가 상호 이격되게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고온에 의해 색상이 영구적으로 변하는 비가역성의 제2안료가 포함되어 하면이 상기 버스바에 접촉되는 제2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버스바에 접촉하는 베이스층과; 상기 제2안료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도포되는 제2안료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층의 측면에는 상부걸림돌기와 하부걸림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고온에 의해 색상이 변하였다가 저온이 되면 원래 색상으로 복귀하는 가역성의 제1안료가 포함된 제1가변색상부재와; 고온에 의해 색상이 영구적으로 변하는 비가역성의 제2안료가 포함된 제2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의 측면에는 상부걸림돌기와 하부걸림돌기가 상호 이격되게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는 상기 제2안료가 포함되어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의 상면에 도포되는 제2안료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 또는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료층은 상기 안착홈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제2안료층은, 분말형태의 착색안료와; 분말형태의 제2안료와; 액상실리콘;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2안료는 발포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고온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착색안료를 변색시키고, 상기 액상실리콘은 상기 제2안료의 발포시 상기 착색안료 및 제2안료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착색안료, 제2안료, 액상실리콘은 각각 8~15wt%, 25~35wt%, 55~65wt%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2안료는 발포제 성분으로 CAS-NO. 75-28-5인 이소부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본체는, 하부가 개방되고, 버스바의 연결부위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측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에 밀착되어 감싸는 밀착부와; 상기 덮개부의 개방된 하부를 상호 결합시켜 상기 덮개부 및 밀착부가 상기 버스바를 감싸도록 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착홀은 상기 밀착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 장착되어 하면이 상기 버스바에 접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커버본체에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에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변하는 가변색상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가변색상부재의 색상변화시 상기 가변색상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재료절감의 효과가 있고, 상부걸림돌기와 하부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가변색상부재가 커버본체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가역성의 제2안료가 도포된 제2안료층에 의해, 작업자가 확인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여도 비가역성의 상기 제2안료층의 색상변화를 통해 쉽게 접속불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액상실리콘이 상기 착색안료 및 제2안료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안료의 발포시 상기 착색안료 및 제2안료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스바용 절연커버의 설치과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절연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절연보호커버가 버스바를 감싸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색상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절연보호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절연보호커버가 버스바를 감싸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는, 버스바(210, BUS BAR)의 연결부위를 덮어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써, 커버본체(220)와 가변색상부재(231,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본체(220)는 버스바(210)의 연결부위를 덮는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변형된다.
상기 커버본체(220)는, 덮개부(221)와, 밀착부(222)와, 결합부(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221)는 하부가 개방되고 버스바(210)의 연결부위를 덮는다.
이때, 상기 덮개부(221)는 상기 버스바(210)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볼트, 너트를 감안하여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221)의 하부는 상호 면접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222)는 상기 덮개부(221)의 양측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2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싼다.
상기 결합부(223)는 면접하고 있는 상기 덮개부(221)의 개방된 하부를 상호 결합시켜 상기 덮개부(221) 및 밀착부(222)가 상기 버스바(210)를 감싸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223)는 절연체 재질로써,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는 상기 커버본체(220)에 결합되어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변한다.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를 상기 커버본체(220)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커버본체(220)에는 장착홀(22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홀(224)은 상기 덮개부(221)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버스바(210)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장착홀(224)은 상기 밀착부(22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변형되어 상기 장착홀(224)에 삽입 장착되어 하면이 상기 버스바(210)에 접촉한다.
이러한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는, 고온에 의해 색상이 변하였다가 저온이 되면 원래 색상으로 복귀하는 가역성의 제1안료가 포함된 제1가변색상부재(231)와, 고온에 의해 색상이 영구적으로 변하는 비가역성의 제2안료가 포함된 제2가변색상부재(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는(231)은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하면이 상기 버스바(210)에 접촉하며, 상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의 측면에는 상부걸림돌기(234)와 하부걸림돌기(235)가 상호 이격되게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가 상기 장착홀(224)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돌기(234)는 상기 커버본체(220)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걸림돌기(235)는 상기 커버본체(22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가 상기 커버본체(22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는 상기 버스바(210)가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전체적으로 상기 제1안료가 포함되어 있는바, 전체적으로 색상이 변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은 원래의 색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는, 베이스층(233)과, 제2안료층(2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층(233)은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하면이 상기 버스바(210)에 접촉한다.
상기 제2안료층(237)은 비가역성의 상기 제2안료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층(233)의 상면에 도포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2안료층(237)은 상기 베이스층(233)의 평평한 상면에 도포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기 베이스층(233)의 상면에 안착홈(23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36)에 상기 제2안료층(237)이 삽입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안착홈(236)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제2안료층(237)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안료층(237)이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층(233)으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층(233)의 측면에는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와 같이 상기 상부걸림돌기(234)와 하부걸림돌기(235)가 상호 이격되게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는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상기 버스바(210)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베이스층(233)을 통해 상기 제2안료층(237)에 온도가 전달되어, 상기 제2안료층(237)의 색상이 변하게 된다.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는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가 하강하여도, 상기 제2안료층(237)은 원래의 색상으로 복귀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제2안료층(237)은, 분말형태의 착색안료와, 분말형태의 제2안료와, 액상실리콘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착색안료, 제2안료, 액상실리콘은 각각 8~15wt%, 25~35wt%, 55~65wt%로 혼합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안료는 발포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고온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착색안료를 영구적으로 변색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안료는 자체의 색상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 발포제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발포제가 발포되면서 상기 착색안료의 색깔을 연하게 변색시키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제2안료가 고온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의 색상이 영구적으로 변색되게 된다.
상기 제2안료를 이루는 발포제 성분으로는 CAS-NO. 75-28-5인 이소부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상실리콘은 상기 착색안료 및 제2안료와 결합되어 상기 제2안료의 발포시 상기 착색안료 및 제2안료가 외부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 즉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일, 상기 액상실리콘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2안료가 고온에 의해 발포되었을 때 상기 착색안료와 제2안료가 부풀어 오르면서 분말형태로 외부로 흩날리게 되어, 작업자가 변색여부를 구분하지 못하거나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액상실리콘이 상기 착색안료 및 제2안료와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안료가 고온에 의해 발포되어도 상기 착색안료와 제2안료가 부풀어 오르면서 분말형태로 외부로 흩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의 변색여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주변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의 색상이 변하는 온도보다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의 색상이 변하는 온도가 더 높도록 한다.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는 65~70℃ 이상부터 변색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는 80℃ 이상부터 변색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비가역성의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의 색상변화온도가 가역성의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의 색상변화온도보다 높음으로써, 비교적은 낮은 온도에서는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가 변색되었다가 원래의 색상으로 복귀하도록 하고, 높은 온도에서는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 뿐만 아니라 제2가변색상부재(232)까지 영구적으로 변색되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절연보호커버에 가해진 온도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는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와 제2가변색상부재(232) 중 어느 하나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모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를 상기 커버본체(220)에 고정 장착하기 위해, 상기 상부걸림돌기(234)의 지름 및 상기 하부걸림돌기(235)의 지름은, 상기 장착홀(224)의 지름보다 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걸림돌기(234)의 하부걸림돌기(235) 사이에서 상기 가변색상부재의 최소지름은 상기 장착홀(224)의 지름과 같거나, 약간 크거나 작도록 한다.
상기 하부걸림돌기(235)는 탄성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바, 작업자가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를 상기 장착홀(224)에 삽입할 때, 상기 하부걸림돌기(235)는 탄성변형되면서 지름이 작은 상기 장착홀(224)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장착홀(224)을 관통한 상기 하부걸림돌기(235)는 탄성복원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여, 상기 하부걸림돌기(235)의 상면은 상기 커버본체(220)의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상부걸림돌기(234)의 하면은 상기 커버본체(220)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를 잡아 당기지 않는 이상,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는 상기 커버본체(22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가변색상부재(231,232)가 장착된 상기 커버본체(220)가 상기 버스바(210)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덮은 후 상기 결합부(223)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상기 하부걸림돌기(235)의 하면은 상기 버스바(21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210)의 접촉불량에 의해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는 가변색상부재(231,232)까지 전달된다.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가 65~70℃ 이상이 되면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의 색상이 점점 변하게 되고,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가 80℃ 이상이 되면 상기 제2안료층(237)의 색상이 점점 변하여 약 110℃가 되면 완전히 변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는 원래의 색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제2안료층(237)은 상기 버스바(210)의 온도가 약 110℃ 이상으로 상승하였었다면 완전히 색상이 변하여 복귀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와 제2가변색상부재(232)가 별개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변색된 상기 제2안료층(237)이 도포된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232)만을 상기 커버본체(22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재료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와 제2가변색상부재가 하나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료가 포함된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의 측면에 상기 상부걸림돌기(234)와 하부걸림돌기(23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제2안료가 포함된 제2안료층(237)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의 상면에 도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231)의 상면에는 안착홈(236)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료층(237)은 상기 안착홈(236)에 삽입 배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1개의 가변색상부재를 통해 온도에 따라 그 색상이 변하는 가역성과 비가역성을 모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인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210 : 버스바,
220 : 커버본체, 221 : 덮개부, 222 : 밀착부, 223 : 결합부, 224 : 장착홀,
231 : 제1가변색상부재, 232 : 제2가변색상부재, 233 : 베이스층, 234 : 상부걸림돌기, 235 : 하부걸림돌기, 236 : 안착홈, 237 : 제2안료층,

Claims (9)

  1. 버스바(BUS BAR) 절연보호커버에 있어서,
    버스바의 연결부위를 덮는 절연체 재질의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에 결합되어 온도에 의해 색상이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변하는 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본체에는 장착홀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변형되어 상기 장착홀에 고정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고온에 의해 색상이 변하였다가 저온이 되면 원래 색상으로 복귀하는 가역성의 제1안료가 포함되어 하면이 상기 버스바에 접촉되는 제1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의 측면에는 상부걸림돌기와 하부걸림돌기가 상호 이격되게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고온에 의해 색상이 영구적으로 변하는 비가역성의 제2안료가 포함되어 하면이 상기 버스바에 접촉되는 제2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버스바에 접촉하는 베이스층과; 상기 제2안료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 도포되는 제2안료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층의 측면에는 상부걸림돌기와 하부걸림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고온에 의해 색상이 변하였다가 저온이 되면 원래 색상으로 복귀하는 가역성의 제1안료가 포함된 제1가변색상부재와;
    고온에 의해 색상이 영구적으로 변하는 비가역성의 제2안료가 포함된 제2가변색상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의 측면에는 상부걸림돌기와 하부걸림돌기가 상호 이격되게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걸림돌기는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가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2가변색상부재는 상기 제2안료가 포함되어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의 상면에 도포되는 제2안료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료층은 상기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색상부재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안료층은 상기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7. 청구항3 내지 청구항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료층은, 분말형태의 착색안료와; 분말형태의 제2안료와; 액상실리콘;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2안료는 발포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고온에 의해 발포되면서 상기 착색안료를 변색시키고,
    상기 액상실리콘은 상기 제2안료의 발포시 상기 착색안료 및 제2안료와 외부로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착색안료, 제2안료, 액상실리콘은 각각 8~15wt%, 25~35wt%, 55~65wt%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2안료는 발포제 성분으로 CAS-NO. 75-28-5인 이소부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9.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하부가 개방되고, 버스바의 연결부위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측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에 밀착되어 감싸는 밀착부와;
    상기 덮개부의 개방된 하부를 상호 결합시켜 상기 덮개부 및 밀착부가 상기 버스바를 감싸도록 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착홀은 상기 밀착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변색상부재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 장착되어 하면이 상기 버스바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KR1020120005633A 2012-01-18 2012-01-18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KR10122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33A KR101222139B1 (ko) 2012-01-18 2012-01-18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633A KR101222139B1 (ko) 2012-01-18 2012-01-18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139B1 true KR101222139B1 (ko) 2013-01-15

Family

ID=4784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633A KR101222139B1 (ko) 2012-01-18 2012-01-18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65U (ko) * 2019-08-20 2019-08-26 임장호 분리 타입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분리 타입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KR20190002501U (ko) * 2019-09-25 2019-10-08 임장호 변색 몸체와 절연 캡 몸체의 결합력이 향상된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EP4198471A1 (fr) 2021-12-16 2023-06-21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Témoin thermochromique, appareil électrique et tableau électrique associé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075B1 (ko) 2005-01-21 2006-11-10 박기주 온도 감시 기능을 갖는 부스바
KR100906774B1 (ko) 2007-07-27 2009-07-09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JP2010066078A (ja) 2008-09-09 2010-03-25 Systec:Kk 感温変色体付設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075B1 (ko) 2005-01-21 2006-11-10 박기주 온도 감시 기능을 갖는 부스바
KR100906774B1 (ko) 2007-07-27 2009-07-09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JP2010066078A (ja) 2008-09-09 2010-03-25 Systec:Kk 感温変色体付設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65U (ko) * 2019-08-20 2019-08-26 임장호 분리 타입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분리 타입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KR200492237Y1 (ko) * 2019-08-20 2020-09-02 임장호 분리 타입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분리 타입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KR20190002501U (ko) * 2019-09-25 2019-10-08 임장호 변색 몸체와 절연 캡 몸체의 결합력이 향상된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KR200492115Y1 (ko) * 2019-09-25 2020-08-10 임장호 변색 몸체와 절연 캡 몸체의 결합력이 향상된 부스 바용 절연 캡 및 상기 부스 바용 절연 캡 성형을 위한 성형 금형 유닛
EP4198471A1 (fr) 2021-12-16 2023-06-21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Témoin thermochromique, appareil électrique et tableau électrique associés
FR3130963A1 (fr) * 2021-12-16 2023-06-23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Pastille thermochromique pour témoin thermochromique, témoin thermochromique, appareil électrique et tableau électrique associé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685B1 (ko) 배선용 접속부의 절연캡
KR101222139B1 (ko) 색상가변형 버스바 절연보호커버
KR20110042777A (ko) 배선용 접속부의 절연커버
CN105790147A (zh) 一种铠装移开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WO2017026913A1 (ru) Муфта токопровода
CN206864901U (zh) 一种新型安全高压柜
KR101264344B1 (ko) 배전반 내부 이상상태 감시용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
CN106300104B (zh) 应急电源车与低压架空导线的通用型连接装置及其应用
KR101754343B1 (ko)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결선 단자유닛
KR20110042778A (ko) 모선용 절연튜브
CN108565803A (zh) 一种环保型的消防供配电干线系统母线槽
CN216819329U (zh) 一种耐热性能好的耐火型母线槽
KR102136436B1 (ko) 몰딩형 부스덕트와 공기절연형 부스덕트의 혼합배전시스템
KR20170014914A (ko) 몰딩형 부스덕트
CN204927862U (zh) 安全性低压配电箱
KR102124664B1 (ko)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부 및 그 접속방법
CN204793992U (zh) 一种条形开关及电缆分支箱
KR20150003033U (ko) 온도 표시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CN206225847U (zh) 应急电源车与低压架空导线的通用型连接装置
CN205846458U (zh) 一种安全性高的高压开关柜
CN205846459U (zh) 一种太阳能开关柜
CN206041228U (zh) 一种开关柜
KR20210006194A (ko) 발향 기능이 구비된 전력시설 이상상태 감지장치
KR102487400B1 (ko) 전기 설비용 온도감응 변색 부스바
CN217508218U (zh) 一种x型水平四通的防火型母线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