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423B1 - 수산물 해풍 건조기 - Google Patents

수산물 해풍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423B1
KR102136423B1 KR1020190123853A KR20190123853A KR102136423B1 KR 102136423 B1 KR102136423 B1 KR 102136423B1 KR 1020190123853 A KR1020190123853 A KR 1020190123853A KR 20190123853 A KR20190123853 A KR 20190123853A KR 102136423 B1 KR102136423 B1 KR 10213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drying chamber
sea
warm ai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케이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케이, 이승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케이
Priority to KR102019012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물 해풍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수산물이 내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되, 일측에는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문이 형성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유통되는 유통로를 마련하되, 내부에는 상기 유통로로 유입된 온풍을 상기 건조실에 수용된 수산물 측으로 안내 공급하는 다수의 통풍구멍이 형성되는 공급격판;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격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통로로 온풍을 생산 공급하는 온풍 공급수단;과, 상기 건조실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상기 건조실 내부로 공급된 온풍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건조실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배치되거나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건조할 수산물이 결속된 고리가 거치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건조봉이 형성되는 건조대;와, 상기 건조실 바닥에 위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해수(바닷물)가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공급격판의 통풍구멍으로 배출되는 온풍이 해수가 갖는 냄새와 혼합되면서 수산물이 해풍에 건조되는 효과를 유도하는 해풍 용기;와, 상기 해풍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해풍 용기로 열원을 공급하여 상기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의 용이한 증발을 유도하는 전열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외부와 밀폐되는 건조실 내부에서 대량의 수산물을 건조함으로 인해 파리 등과 같은 해충에 수산물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산물의 위생적인 건조를 유도하는 동시에,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는 온풍이 집진필터를 통해 정화되어 공급되므로 수산물이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노출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풍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따뜻한 온풍을 통해 수산물이 건조되므로 대량의 수산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어 건조된 수산물의 생산량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건조실 하부에 위치되는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와 접촉되면서 해수가 갖는 고유한 냄새를 포함함으로 건조실에서 건조되는 수산물이 자연의 해풍에 의해 건조되는 것과 같은 우수한 맛과 풍미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산물 해풍 건조기{Fishery products Sea Wind Dryer}
본 발명은 수산물 해풍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와 밀폐되는 건조실 내부에서 대량의 수산물을 건조함으로 인해 파리 등과 같은 해충에 수산물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산물의 위생적인 건조를 유도하는 동시에,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는 온풍이 집진필터를 통해 정화되어 공급되므로 수산물이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노출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풍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따뜻한 온풍을 통해 수산물이 건조되므로 대량의 수산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어 건조된 수산물의 생산량을 강화할 수 있는 수산물 해풍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산물은 바다, 강 등과 같이 물에서 나는 산물을 의미한다. 예컨대, 오징어 등과 같은 연체동물, 고등어, 삼치 등과 같은 어류 등이 수산물에 해당한다.
이러한 수산물은 통상 자연상태에서 건조되는 건조공정을 거쳐 시장에 유통되는데, 해상에서 해풍으로 건조하면 수산물의 우수한 맛과 풍미를 기대할 수 있어 주로 해풍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자연상태에서 해풍에 의해 수산물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건조하는 과정에서 수산물이 파리 등과 같은 해충에 직접 노출되어 수산물이 비위생적으로 건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자연적으로 불어오는 해풍에 잔존하는 각종 이물질에 수산물이 직접 노출되어 수산물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수산물이 해풍에 의지하여 건조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건조된 수산물의 생산량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와 밀폐되는 건조실 내부에서 대량의 수산물을 건조함으로 인해 파리 등과 같은 해충에 수산물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산물의 위생적인 건조를 유도하는 동시에,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는 온풍이 집진필터를 통해 정화되어 공급되므로 수산물이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노출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풍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따뜻한 온풍을 통해 수산물이 건조되므로 대량의 수산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어 건조된 수산물의 생산량을 강화할 수 있는 수산물 해풍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건조실 하부에 위치되는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와 접촉되면서 해수가 갖는 고유한 냄새를 포함함으로 건조실에서 건조되는 수산물이 자연의 해풍에 의해 건조되는 것과 같은 우수한 맛과 풍미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산물 해풍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는 내부에 수산물이 내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되, 일측에는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문이 형성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유통되는 유통로를 마련하되, 내부에는 상기 유통로로 유입된 온풍을 상기 건조실에 수용된 수산물 측으로 안내 공급하는 다수의 통풍구멍이 형성되는 공급격판;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격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통로로 온풍을 생산 공급하는 온풍 공급수단;과, 상기 건조실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상기 건조실 내부로 공급된 온풍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건조실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배치되거나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건조할 수산물이 결속된 고리가 거치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건조봉이 형성되는 건조대;와, 상기 건조실 바닥에 위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해수(바닷물)가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공급격판의 통풍구멍으로 배출되는 온풍이 해수가 갖는 냄새와 혼합되면서 수산물이 해풍에 건조되는 효과를 유도하는 해풍 용기;와, 상기 해풍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해풍 용기로 열원을 공급하여 상기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의 용이한 증발을 유도하는 전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온풍 공급수단은 상기 건조실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외부와 밀폐되되 상기 유통로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공급 하우징과, 일단은 상기 공급 하우징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급 하우징으로 안내하는 공급 덕트와, 상기 공급 덕트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공급 하우징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흡입팬과, 상기 공급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팬을 통해 상기 공급 하우징으로 유입되어 상기 유통로로 유통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따뜻한 온풍으로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과, 상기 공급 덕트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 덕트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집진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실의 상부에 상기 건조실과 공급 하우징을 연통하여 상기 건조실로 유입된 온풍을 상기 공급 하우징으로 안내하는 순환통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통로 상에는 상기 순환통로로 유통되는 온풍에 포함되는 수산물의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필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공급격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풍구멍으로 배출되는 온풍과 상기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와 용이한 접촉을 유도하는 해풍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해풍 생성수단은 상기 해풍 용기의 내부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평평한 긴 띠 형상을 갖는 다수의 접촉편과, 일단은 상기 해풍 용기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를 상기 접촉편의 상부로 안내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노즐이 형성되는 해수 공급배관과, 상기 해수 공급배관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가 상기 해수 공급배관을 타고 유통되어 상기 배출노즐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촉편은 나선형으로 꼬이면서 형성되어 상기 접촉편과 접촉되는 온풍의 와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에 의하면, 외부와 밀폐되는 건조실 내부에서 대량의 수산물을 건조함으로 인해 파리 등과 같은 해충에 수산물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산물의 위생적인 건조를 유도하는 동시에,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는 온풍이 집진필터를 통해 정화되어 공급되므로 수산물이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노출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풍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따뜻한 온풍을 통해 수산물이 건조되므로 대량의 수산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어 건조된 수산물의 생산량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풍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건조실 하부에 위치되는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와 접촉되면서 해수가 갖는 고유한 냄새를 포함함으로 건조실에서 건조되는 수산물이 자연의 해풍에 의해 건조되는 것과 같은 우수한 맛과 풍미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산물 해풍 건조기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의 종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산물 해풍 건조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산물 해풍 건조기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의 종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산물 해풍 건조기의 사용상태도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100)는 건조실(10)과, 공급격판(20)과, 온풍 공급수단(30)과, 배출구(40)와, 건조대(50)와, 해풍 용기(60)와, 전열선(9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10)은 내부에 수산물이 내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되, 일측에는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문(11)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실(10)은 건조하고자 하는 수산물이 내입 보관되는 구성으로 후설될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해 내부로 따뜻한 온풍이 유입되는 특성상, 내부의 열원이 외부로 전도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건조실(10) 표면에는 통상의 보온재(미도시)를 설치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격판(20)은 상기 건조실(10)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유통되는 유통로(21)를 마련하되, 내부에는 상기 유통로(21)로 유입된 온풍을 상기 건조실(10)에 수용된 수산물 측으로 안내 공급하는 다수의 통풍구멍(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격판(20)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풍구멍(22)을 통해 상기 건조실(10)에 수용된 수산물로 온풍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격판(20)은 상기 건조실(10) 측면 전체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격판(20)의 통풍구멍(22)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상기 건조실(10)에 수용되는 수산물 전체로 골고루 공급되어 수산물이 신속하고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유도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격판(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통로(21)로 온풍을 생산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실(10)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외부와 밀폐되되 상기 유통로(21)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공급 하우징(31)과, 일단은 상기 공급 하우징(31)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안내하는 공급 덕트(32)와, 상기 공급 덕트(3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흡입팬(33)과, 상기 공급 하우징(3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팬(33)을 통해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유입되어 상기 유통로(21)로 유통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따뜻한 온풍으로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34)과, 상기 공급 덕트(32)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 덕트(32)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집진필터(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건조실(10)에 수용된 수산물의 건조를 위해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한 온풍의 공급이 요구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의 흡입팬(33)을 작동시켜 상기 공급 덕트(3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유입되게 하고, 그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급 하우징(31)에 형성되는 상기 히터(34)와 열교환되면서 온풍으로 데워져 상기 공급 하우징(31)과 연통되는 상기 유통로(21)로 유통된 후, 상기 공급격판(20)의 통풍구멍(22)을 통해 상기 건조실(10)에 수용된 수산물로 공급되어 수산물의 신속한 건조를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 덕트(32)를 통해 흡입 유통되는 공기는 상기 집진필터(35)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잔존하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상기 건조실(10)에 건조되는 수산물이 온풍에 직접 노출되어 건조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수산물의 위생적인 건조를 유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건조실(1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해 상기 건조실(10) 내부로 공급된 온풍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도록 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건조실(10)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 배출함으로 상기 건조실(10)로 원활한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게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대(50)는 상기 건조실(10)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배치되거나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건조할 수산물이 결속된 고리(1)가 거치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건조봉(51)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대(50)에 건조할 수산물의 거치가 요구되면 상기 건조대(50)를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건조대(50)가 상기 건조실(10)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시켜 수산물이 결속된 고리(1)를 상기 건조대(50)에 편리하게 걸 수 있도록 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산물의 거치가 완료되면 상기 건조대(50)를 상기 건조실(10) 안쪽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건조대(50)와 함께 수산물이 상기 건조실(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되게 하여 수산물의 원활한 건조를 유도한다.
그런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10)에 수용된 수산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건조대(50)를 상기 건조실(10) 바깥쪽으로 다시 슬라이드 노출시켜 상기 건조대(50)에 거치된 수산물이 편리하게 회수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풍 용기(60)는 상기 건조실(10) 바닥에 위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해수(바닷물)가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공급격판(20)의 통풍구멍(22)으로 배출되는 온풍이 해수가 갖는 냄새와 혼합되면서 수산물이 해풍에 건조되는 효과를 유도하도록 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격판(20)의 통풍구멍(22)으로 배출되는 온풍은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를 지나면서 해수 고유의 향(냄새)이 자연스럽게 포함되어 상기 건조실(10)에 건조되는 수산물이 마치 자연의 해풍에 건조되는 효과를 유도하여 건조되는 수산물의 우수한 맛과 풍미를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되는 해수(바닷물)를 대신하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금물을 적용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선(90)은 해풍 용기(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해풍 용기(60)로 열원을 공급하여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의 용이한 증발을 유도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선(90)을 통해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의 증발을 유도함으로 상기 통풍구멍(22)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더욱 효과적으로 해수 고유의 향을 머금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10)의 상부에 상기 건조실(10)과 공급 하우징(31)을 연통하여 상기 건조실(10)로 유입된 온풍을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안내하는 순환통로(7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통로(71) 상에는 상기 순환통로(71)로 유통되는 온풍에 포함되는 수산물의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필터(72)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해 상기 건조실(10)로 공급되는 온풍의 일부는 상기 배출구(4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나머지 온풍은 상기 순환통로(71)를 통해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공급하여 재활용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재공급되는 온풍은 소정의 온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히터(34)를 통해 상기 유통로(21)로 유통되는 공기를 온풍으로 데우는데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순환통로(71)를 통해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재공급되는 온풍에는 수산물의 비린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활성탄필터(72)를 통해 온풍에 잔존하는 비린내(잡내)를 흡착 제거하여 상기 건조실(10)로 깨끗하게 정화된 온풍이 재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격판(20)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풍구멍(22)으로 배출되는 온풍과 상기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와 용이한 접촉을 유도하는 해풍 생성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해풍 생성수단(80)은 상기 해풍 용기(60)의 내부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평평한 긴 띠 형상을 갖는 다수의 접촉편(81)과, 일단은 상기 해풍 용기(6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를 상기 접촉편(81)의 상부로 안내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노즐(82a)이 형성되는 해수 공급배관(82)과, 상기 해수 공급배관(82)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가 상기 해수 공급배관(82)을 타고 유통되어 상기 배출노즐(82a)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급펌프(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풍 용기(60)가 상기 건조실(10)의 바닥에 위치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상기 공급격판(20)의 통풍구멍(22)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와 용이한 접촉이 곤란하여 해풍을 통한 수산물의 건조 효과를 기대하기 다소 곤란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풍 생성수단(80)의 공급펌프(83)를 통해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가 상기 해수 공급배관(82)으로 강제 유통되어 상기 접촉편(81)의 상부로 배출되게 하고, 그 배출되는 해수는 상기 접촉편(81)의 표면을 타고 아래로 흐르는데, 이때 상기 접촉편(81) 다수가 직립되게 세워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상기 공급격판(20)의 통풍구멍(22)을 통해 배출되는 온풍과 매우 효과적으로 접촉되므로 해풍을 통한 수산물의 우수한 건조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접촉편(81)이 나선형으로 꼬여 형성되는 이유로 인해 상기 접촉편(81)에 접촉되는 온풍은 자연스럽게 와류가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10)에 위치된 수산물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수산물의 건조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편(81)을 타고 하강하는 해수는 다시 상기 해풍 용기(60)로 복귀되어 재사용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산물 해풍 건조기(100)는 외부와 밀폐되는 상기 건조실(10) 내부에서 대량의 수산물을 건조함으로 인해 파리 등과 같은 해충에 수산물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산물의 위생적인 건조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해 상기 건조실(10) 내부로 유입되는 온풍이 상기 집진필터(35)를 통해 정화되어 공급되므로 수산물이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노출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에서 공급되는 따뜻한 온풍을 통해 수산물이 건조되므로 대량의 수산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어 건조된 수산물의 생산량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상기 건조실(10)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와 접촉되면서 해수가 갖는 고유한 냄새를 포함함으로 상기 건조실(10)에서 건조되는 수산물이 자연의 해풍에 의해 건조되는 것과 같은 우수한 맛과 풍미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산물 해풍 건조기(100)는 다음과 같이 수산물을 건조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10)의 개폐문(11)을 개방한 후에 상기 건조실(10) 내부에 위치되는 건조대(50)를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노출시킨 후, 건조하고자 하는 수산물이 결속된 고리(1)를 상기 건조대(50)의 건조봉(51)에 걸이 고정시킨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대(50)를 상기 건조실(10) 안쪽으로 슬라이드 내입시킨 후에 상기 건조실(10)의 개폐문(11)을 닫아 상기 건조실(10)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 공급수단(30)을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를 데워 상기 건조실(10)로 온풍을 공급하여 수산물의 건조를 유도하되, 상기 건조실(10) 바닥에 위치되는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와 접촉되는 온풍을 통해 수산물이 자연의 해풍에서 건조되는 것과 같은 효과로 건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산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10)의 개폐문(11)을 개방한 후에 상기 건조대(50)를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노출시켜 건조된 수산물을 간편히 회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고리
10. 건조실 11. 개폐문
20. 공급격판 21. 유통로
22. 통풍구멍 30. 온풍 공급수단
31. 공급 하우징 32. 공급 덕트
33. 흡입팬 34. 히터
35. 집진필터 40. 배출구
50. 건조대 51. 건조봉
60. 해풍 용기 71. 순환통로
72. 활성탄필터 80. 해풍 생성수단
81. 접촉편 82. 해수 공급배관
83. 공급펌프 90. 전열선
100. 수산물 해풍 건조기

Claims (4)

  1. 내부에 수산물이 내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되, 일측에는 내부의 개폐를 결정하는 개폐문(11)이 형성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10)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유통되는 유통로(21)를 마련하되, 내부에는 상기 유통로(21)로 유입된 온풍을 상기 건조실(10)에 수용된 수산물 측으로 안내 공급하는 다수의 통풍구멍(22)이 형성되는 공급격판(2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격판(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통로(21)로 온풍을 생산 공급하는 온풍 공급수단(30);
    상기 건조실(1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을 통해 상기 건조실(10) 내부로 공급된 온풍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는 배출구(40);
    상기 건조실(10)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배치되거나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건조할 수산물이 결속된 고리(1)가 거치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건조봉(51)이 형성되는 건조대(50);
    상기 건조실(10) 바닥에 위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해수(바닷물)가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공급격판(20)의 통풍구멍(22)으로 배출되는 온풍이 해수가 갖는 냄새와 혼합되면서 수산물이 해풍에 건조되는 효과를 유도하는 해풍 용기(60); 및
    상기 해풍 용기(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해풍 용기(60)로 열원을 공급하여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의 용이한 증발을 유도하는 전열선(90);을 포함하며,
    상기 온풍 공급수단(30)은 상기 건조실(10)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외부와 밀폐되되 상기 유통로(21)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공급 하우징(31)과, 일단은 상기 공급 하우징(31)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안내하는 공급 덕트(32)와, 상기 공급 덕트(3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흡입팬(33)과, 상기 공급 하우징(3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팬(33)을 통해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유입되어 상기 유통로(21)로 유통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따뜻한 온풍으로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히터(34)과, 상기 공급 덕트(32)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 덕트(32)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집진필터(35)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실(10)의 상부에 상기 건조실(10)과 공급 하우징(31)을 연통하여 상기 건조실(10)로 유입된 온풍을 상기 공급 하우징(31)으로 안내하는 순환통로(7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통로(71) 상에는 상기 순환통로(71)로 유통되는 온풍에 포함되는 수산물의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필터(7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해풍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격판(20)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풍구멍(22)으로 배출되는 온풍과 상기 해풍 용기에 수용된 해수와 용이한 접촉을 유도하는 해풍 생성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해풍 생성수단(80)은,
    상기 해풍 용기(60)의 내부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평평한 긴 띠 형상을 갖는 다수의 접촉편(81)과,
    일단은 상기 해풍 용기(6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를 상기 접촉편(81)의 상부로 안내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노즐(82a)이 형성되는 해수 공급배관(82)과,
    상기 해수 공급배관(82) 상에 형성되어 상기 해풍 용기(60)에 수용된 해수가 상기 해수 공급배관(82)을 타고 유통되어 상기 배출노즐(82a)을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급펌프(8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촉편(81)은 나선형으로 꼬이면서 형성되어 상기 접촉편(81)과 접촉되는 온풍의 와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해풍 건조기.
KR1020190123853A 2019-10-07 2019-10-07 수산물 해풍 건조기 KR10213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53A KR102136423B1 (ko) 2019-10-07 2019-10-07 수산물 해풍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53A KR102136423B1 (ko) 2019-10-07 2019-10-07 수산물 해풍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423B1 true KR102136423B1 (ko) 2020-07-22

Family

ID=7189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53A KR102136423B1 (ko) 2019-10-07 2019-10-07 수산물 해풍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9063A (zh) * 2020-09-25 2021-01-05 河源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烘干数据采集器及烘干机
CN114061287A (zh) * 2021-11-09 2022-02-18 陈槟 一种冶金用粉末金属零件烘干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592A (en) * 1977-08-11 1979-03-13 Johnnie Kuest Apparatus for food dehydration and raising bakery products doughs
KR101452845B1 (ko) * 2014-05-12 2014-10-23 주식회사 신호씨푸드 수산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452842B1 (ko) * 2014-05-12 2014-10-23 주식회사 신호씨푸드 거치부 이동식 수산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160117086A (ko) * 2015-03-31 2016-10-10 (주)씨엔티 4면 열풍 전기건조기
KR20170001072A (ko) * 2015-06-25 2017-01-04 디엠테크 주식회사 고효율 스마트 웰빙 식품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건조방법
KR20180075150A (ko) * 2016-12-26 2018-07-04 이민욱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식 수산물건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592A (en) * 1977-08-11 1979-03-13 Johnnie Kuest Apparatus for food dehydration and raising bakery products doughs
KR101452845B1 (ko) * 2014-05-12 2014-10-23 주식회사 신호씨푸드 수산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452842B1 (ko) * 2014-05-12 2014-10-23 주식회사 신호씨푸드 거치부 이동식 수산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160117086A (ko) * 2015-03-31 2016-10-10 (주)씨엔티 4면 열풍 전기건조기
KR20170001072A (ko) * 2015-06-25 2017-01-04 디엠테크 주식회사 고효율 스마트 웰빙 식품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건조방법
KR20180075150A (ko) * 2016-12-26 2018-07-04 이민욱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식 수산물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9063A (zh) * 2020-09-25 2021-01-05 河源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烘干数据采集器及烘干机
CN114061287A (zh) * 2021-11-09 2022-02-18 陈槟 一种冶金用粉末金属零件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423B1 (ko) 수산물 해풍 건조기
CN2907241Y (zh) 一种宠物清洁用的电热烘干箱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050105945A (ko) 탄소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CN107981821A (zh) 引风系统及洗碗机
CN214508741U (zh) 一种宠物烘干机
CN2220823Y (zh) 具有蒸汽杀菌的烘碗机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KR10088078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0406583U (zh) 一种新型实验鼠饲养盒
CN108903895B (zh) 一种可自转且带有热循环功能的菜板霉斑清除装置
KR102113730B1 (ko)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킨 구이장치
CN208365988U (zh) 一种饲料生产用烘干装置
CN207881401U (zh) 一种中空式奶瓶干燥架
KR200474969Y1 (ko) 농산물 건조기
KR101562123B1 (ko) 사료용 발효건조기
KR100865905B1 (ko) 습기제거장치가 부설된 농수산물 건조기
CN208527500U (zh) 一种汽车配件清洗装置
US2447766A (en) Drier
KR101254791B1 (ko) 세탁물 건조기
CN206424333U (zh) 一种消毒机
CN218680998U (zh) 一种幼崽培育保温箱
CN209732274U (zh) 一种宠物烘干器
CN216627025U (zh) 一种用于畜牧兽医用仔猪保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